KR100328514B1 -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514B1
KR100328514B1 KR1019990067334A KR19990067334A KR100328514B1 KR 100328514 B1 KR100328514 B1 KR 100328514B1 KR 1019990067334 A KR1019990067334 A KR 1019990067334A KR 19990067334 A KR19990067334 A KR 19990067334A KR 100328514 B1 KR100328514 B1 KR 100328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st
conveying
rai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9804A (ko
Inventor
박임곤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514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정 목적물을 고정하게 되는 칼럼(column)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다른 차종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정 목적물을 지지하게 되는 정반과, 정반 상부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된 하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과,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부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플레이트 이송수단과,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포스트 이송용 레일과, 포스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된 칼럼과, 칼럼의 상부에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단부가 측정 목적물의 홈에 끼워지는 핀과, 칼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를 포스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는 포스트 이송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Positioning apparatus for measuring car}
본 발명은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정 목적물을 고정하게 되는 칼럼(column)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다른 차종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검사하기 위하여 측정을 실시하게 되면, 차량을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시킨 후 측정을 하게 되는 바, 그 위치 고정을 정확하게 해야만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참조된 도면,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목적물인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인 정반(1)과, 상기 정반(1)의 상면에 각각 네 곳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 목적물을 지지하는 네 개의 포스트(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10)는 상기 정반에 직접 결합되도록 용접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된 기둥인 칼럼과, 상기 칼럼의 상면에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된 핀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은 상기 측정 목적물(1)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측정 목적물(1)을 측정을 위한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는 측정 목적물이 차량의 종류가 바뀌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세팅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를 떼어 내고 다시 용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는 차종이 바뀜에 따라 상기 베이스를 여러 번 용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과도한 용접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종에 따라 포스트를 정반 위에서 용접할 필요 없이 자유자재로 이동시켜 작업시간을 절약하는 동시에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는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일부구성요소인 포스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일부구성요소인 정반에 하부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상태도로서, 정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측정 목적물 2 : 정반
20 : 포스트 21 : 베이스
22 : 칼럼 23 : 핀
24 : 테이퍼 30 : 하부 플레이트
31 :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 32,43 : 받침부재
33 : 고정너트 34 : 플레이트 이송용 스크류
35,37,44,46 : 손잡이 36 : 로커
38 : 회전축 39 : 하우징
40 : 상부 플레이트 41 : 포스트 이송용 레일
42 : 포스트 이송용 스크류 45 : 거리 조절용 스크류
본 발명은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정 목적물을 지지하게 되는 정반과, 상기 정반 상부의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방향으로 설치된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과, 상기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플레이트 이송수단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포스트 이송용 레일과,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된 칼럼과, 상기 칼럼의 상부에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단부가 측정 목적물의 홈에 끼워지는 핀과, 상기 칼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를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는 포스트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일부구성요소인 포스트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의 일부구성요소인 정반에 하부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상태도로서, 정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목적물(1)인 차량을 지지하게 되는 정반(2)과, 상기 정반(2) 상부의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고정장치가 구비된 하부 플레이트(3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의 상부에 단방향으로 설치된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31)과, 상기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31)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4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40)를 이송시키는 플레이트 이송장치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40)의 상부에 상기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31)과 직각 방향인 장방향으로 설치된 포스트 이송용 레일(41)과,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41)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상부에 고정된 칼럼(22)과, 상기 칼럼(22)의 상부에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 상단부가 측정 목적물의 홈(2a)에 끼워지는 핀(23)과, 상기 칼럼(2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21)를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41)을 따라 이송시키는 포스트 이송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1), 칼럼(22), 그리고 핀(23)은 측정 목적물(1)을 지지하는 포스트(20)를 이루게 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에 설치된 고정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의 측면에 설치된 하우징(39)과, 상기 하우징(39)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38)과, 상기 회전축(38)에 일단부가 편심되게 결합된 로커(36)와, 상기 로커(36)를 상기 회전축(38)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37)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 플레이트(30)가 상기 정반(2)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는 상기 로커(36)가 상기 하우징(39)의 상부로 회전된 상태로서 도 6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고정시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를 측정 대상물(1)인 차종에 따라 상기 정반(2)의 소정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손잡이(37)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로커(36)가 상기 정반(2)의 홈(2a)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장치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 플레이트(30)가 상기 정반(2)에 완전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 이송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이송방향이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31)과 일치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의 일단에 고정된 받침부재(32)와, 상기 나사이송방향과 동일한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40) 하부면에 고정된 고정너트(33)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4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31)을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받침부재(32) 및 고정너트(33)에 끼워지는 상부 플레이트 이송용 스크류(34)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이송용 스크류(34)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끝단에 설치된 손잡이(3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35)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받침부재(32)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35)와 받침부재(3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그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너트(33)가 힘을 받게 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40)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31)의 안내에 따라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 이송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이송방향이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41)과 일치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40)의 일단에 고정된 받침부재(43)와, 상기 포스트(2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40)에 대하여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41)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43)의 구멍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21)에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41)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멍(21a)에 나사 결합되는 포스트 이송용 스크류(42)와, 상기 포스트 이송용 스크류(42)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끝단에 설치된 손잡이(4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44)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받침부재(43)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44)와 받침부재(4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21)가 힘을 받게 되어 상기 베이스(21)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41)의 안내에 따라서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 이송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칼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칼럼의 거리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21)들에 형성된 일직선상에 위치한 다른 구멍(21b)에 삽입되는 거리조절용 스크류(45)와, 상기 거리조절용 스크류(45)의 끝단에 설치되어 그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46)로 구성되고, 상기 거리조절용 스크류(45)가 삽입되는 상기 베이스(21)의 구멍(21b) 중에 상기 손잡이(46)로부터 근거리의 구멍은 상기 받침부재(43)와 마찬가지로 나사가 형성되지 않고 항상 상기 손잡이(46)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있으며, 나머지 구멍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45)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4)를 돌리게 되면 상기 포스트(20) 모두가 그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손잡이(46)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포스트(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베이스(21), 칼럼(22), 핀(23)으로 구성된 포스트(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23)과 칼럼(22) 사이에는 테이퍼(24)가 추가된 구성으로서, 상기 칼럼(22)에는 홈(2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22a)에 상기 테이퍼(24)가 삽입되고, 상기 테이퍼(24)의 상단부에도 홈(24b)이 형성되고 그 홈(24b)에 핀(23)이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칼럼(22)의 홈(22a)의 입구부에는 테이퍼 가공(22b)이 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테이퍼(24)에도 테이퍼 가공(24a)이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1)에는 상기 포스트 이송용 스크류(42)와 거리 조절용 스크류(45)가 각각 삽입되는 구멍(21a,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는 상기 포스트에 의해 지지되는 측정 대상물인 차종에 따라 정반 위에서 측정 대상물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측정의 정확도가 보장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는 차종에 따라 포스트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차종이 바뀌더라도 빠른 시간내에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는 상기 테이퍼 가공이 된 상기 테이퍼가 상기 칼럼에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핀이 결합되는 다른 구성요소와 항상 동심을 유지하게 되어 측정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측정 목적물을 지지하게 되는 정반과, 상기 정반 상부의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방향으로 설치된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과, 상기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플레이트 이송수단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포스트 이송용 레일과,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된 칼럼과, 상기 칼럼의 상부에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단부가 측정 목적물의 홈에 끼워지는 핀과, 상기 칼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를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는 포스트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정반 상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홈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로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이송수단은 나사이송방향이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과 일치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면 일단에 설치된 받침부재와, 상기 나사이송방향과 동일한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면에 고정된 고정너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받침부재 및 고정너트에 끼워지는 상부 플레이트 이송용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과 칼럼 사이에는 상단부에 상기 핀의 하단부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 홈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칼럼의 테이퍼 가공 홈에 끼워지는 테이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이송수단은 나사이송방향이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과 일치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의 일단에 고정된 받침부재와, 상기 칼럼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구멍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포스트 이송용 레일의 방향을따라 형성된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포스트 이송용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KR1019990067334A 1999-12-30 1999-12-30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KR100328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34A KR100328514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34A KR100328514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804A KR20010059804A (ko) 2001-07-06
KR100328514B1 true KR100328514B1 (ko) 2002-03-16

Family

ID=1963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334A KR100328514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5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4801A (en) * 1980-09-12 1982-07-16 Samefua Ab Apparatus for measuring and inspecting body or chassis of automobiles
KR950020297U (ko) * 1993-12-31 1995-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셋팅 지그
KR19980021407A (ko) * 1996-09-16 1998-06-25 박병재 차량 세팅용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4801A (en) * 1980-09-12 1982-07-16 Samefua Ab Apparatus for measuring and inspecting body or chassis of automobiles
KR950020297U (ko) * 1993-12-31 1995-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셋팅 지그
KR19980021407A (ko) * 1996-09-16 1998-06-25 박병재 차량 세팅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804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3456A1 (en) Apparatus for clamping work pieces
KR100986640B1 (ko) 프로브 유닛 및 검사장치
CN107187200A (zh) 喷印机构喷头调节装置以及调节系统
US8905389B2 (en) Apparatus for mounting workpieces to be measured
KR100328514B1 (ko) 차량 측정용 위치 고정 장치
US99504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n ingot with mounting block
JP2001113433A (ja) クランプ装置
KR102315857B1 (ko) 인공위성 판넬모듈 조립 및 회전 핸들링 장치
CN206938198U (zh) 喷印机构喷头调节装置以及调节系统
JP3086121B2 (ja) ワーク位置決め治具
US9272442B2 (en) Methods for aligning an ingot with mounting block
TWM528569U (zh) 電路板之整板治具
KR19990033172A (ko) 가진 시험기 장착용 지그
CN211253637U (zh) 一种通用型回转体类工件运输工装
JP2004010452A (ja) 硬質脆性板の切断装置
CN205060874U (zh) 纵向移行机
CN219082718U (zh) 一种车辆同轴划线装置
JPS6037186Y2 (ja) レ−ザ加工装置
JPH07299562A (ja) 仕口仮組装置
US3336675A (en) Angle and taper gauging assembly
JPH02198722A (ja) ボデー位置決め装置
KR200415762Y1 (ko) 선박 배관의 관통관 패드 설치를 위한 외경선 마킹기
JPS63237831A (ja) Xyテ−ブルの位置決め装置
JPH0720101Y2 (ja) 丸物ワ−クの搬送位置決め装置
JPS61404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