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164B1 - 파워팩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164B1
KR100328164B1 KR1019997001586A KR19997001586A KR100328164B1 KR 100328164 B1 KR100328164 B1 KR 100328164B1 KR 1019997001586 A KR1019997001586 A KR 1019997001586A KR 19997001586 A KR19997001586 A KR 19997001586A KR 100328164 B1 KR100328164 B1 KR 10032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ack
current
switch
unit
pa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878A (ko
Inventor
하인즈 크라우스
Original Assignee
한스-외르그 게스레르
인터레쎈게마인샤프트 퓌어 룬트푼크슈츠레흐테 게엠베하슈츠레흐스페르베르퉁운트콤파니콤만디트게셀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외르그 게스레르, 인터레쎈게마인샤프트 퓌어 룬트푼크슈츠레흐테 게엠베하슈츠레흐스페르베르퉁운트콤파니콤만디트게셀샤프트 filed Critical 한스-외르그 게스레르
Publication of KR2000003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8Modifications for indicating state of swit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30Modifications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before switching
    • H03K17/305Modifications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before switching in thyris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03K17/79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controlling bipolar semiconductor switches with more than two PN-junctions, or more than three electrodes, or more than on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ity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로 교류 전압을 전달하는 전력 공급 네트워크와의 접속부와, 소비자가 접속할 수 있는 다운스트림 정류 회로와, 변압기 1차 권선 전력 공급선내의 전자 스위치를 포함하는 파워백에 관한 것이다. 파워팩은, 파워팩 전력 공급선에 용량적으로 접속되는 보조 파워팩을 포함하며, 그 보조 파워팩의 출력에서의 제어 전압은 전자 스위치에 대해 탭되며, 상기 제어 전압은 파워팩 출력에서의 전압보다 더 높고, 보조 파워팩 출력 리드는 파워팩 변압기의 2차 권선측상의 전위 전달 리드에 접속된다. 소비자와 접속되는 경우, 전류는 보조 파워팩으로부터 취하여, 전류 및/또는 전압의 함수로서 동작하는 제어 소자는 변압기 일차 권선의 전력 공급선내의 전자 스위치를 위한 제어 신호를 파워팩에서 발생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파워팩 장치{Power back}
반파 정류기, 또는 완전파 정류기, 또는 또다른 류의 정류기 회로들을 포함한 파워팩 장치는 예를 들자면 '반도체 회로이론', 제 3판, 페이지 28ff, U. Tietze 및 Ch. Schenk 공저'에 공지되어 있다.
WO-A-9 523 450호에는 또한 자동 스위칭 장치에 관해 공지되어 있다. 이 스위칭 장치는 교류 전류를 안내하는 전류 공급 파워팩에 연결될 단자와, 일차 전류 회로의 양쪽 도선에 두 개의 전자 스위칭 요소와, 하나의 변압기와 소모기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병렬 정류기 회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스위칭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서 양 전자 스위칭 요소 제어 회로용 이차 전류가 공급된다. 상기 제어 회로에 대한 전류 공급은 소모기가 스위치오프되어 있을 때에라도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정상 동작시에는 일차 전류 회로의 이차측으로부터 전류 공급 회로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일차 전류회로 내의 전자 스위칭 요소는 부하가 스위치 온되거나 접속되면 자동적으로 도통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어 동작은 제어 회로와 연동하여 수동으로 조작하는 특수 스위치에 의해 수행된다.현대에 이르러 소형 장치들, 특히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 오락기, 시계, 전화 또는 그와 같은 소형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장치에 직류 전류를 공급하는 독립된 파워팩 장치를 구비한다. 일면 플러그 형식의 파워팩으로도 불리우는 이러한 파워팩은 종래의 방식대로 파워팩 소켓안으로 끼워질 수 있는 종래의 파워팩 플러그를 필요로 한다. 또다른 구성예에서, 특히 구술 녹음기 또는 인쇄기에는 연장용으로 파워팩 연결 플러그가 달린 유입 케이블과, 전류를 공급할 구술 녹음기와 접속을 위한 연장 출력 케이블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파워팩은 변압기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 변압기의 이차 코일은 브리지 직류 정류기 또는 전자 콘덴서와 병렬 접속된 반파 정류기로 구성된 정류기 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여기에 대해서 정류기 회로에 병렬 연결된 종래 형태의 전압 유지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단 내지 이 출력단에 연결된 케이블로부터 연결할 장치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전류를 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연결된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on/off 스위치가 하나밖에 없거나 아니면 직류 전류 플러그 또는 파워팩 플러그가 빠져서 전류 공급이 중단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연결된 장치가 스위치 오프되면, 플러그 파워팩 장치, 즉 다른 구성 형태로 설계된 플러그 파워팩 장치는 무부하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전력 손실률이 상당히 높다. 일반적인 소형 장치용 파워팩에서의 손실 전력은 약 8 내지 10 W에 달한다. 이러한 손실 전력은 계속적으로 파워팩으로 연결된 파워팩 변압기의 일차 코일을 통해 항상 존재하게 된다.
파워팩 연결 회로는 DE 41 40 357 A1에서 도 1a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DE 39 09 064 C2에서는 전기 전선과 소모기를 파워팩의 교류전압과 분리시키기 위한 파워팩 프리회로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이 회로에서 파워팩 도선의 위상 및 중립 도전체가 도통시에 각각 하나의 구동가능한 접촉점으로 분리되고 또한 측정 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이 측정 회로는 파워팩 내에서의 전류 소모를 감지하고 전류 소모기가 정지될때까지 접촉은 계속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교류전압이 공급되는 도선과 연결되어 있는 전류 소모기가 스위치 오프되면, 전류 소모는 비교기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비교기는 돌출지연을 발생시키는 지연회로를 통해 교류 전류 도선 파워팩내에 접촉 단자가 달린 릴레이를 제어한다. 이 때 시험을 위해, 교류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특수 파워팩 유닛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유닛은 변압기를 사용해서 교류 전류를 안내하는 전선에 연결된다. 소모기에 따라 폐쇄되고 전환되는 한 쌍의 스위칭 접촉을 구비함으로써 스위치 오프된 파워팩 장치의 완전한 전위 자유를 성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류 전류를 유도하는 전류 공급 메인스(mains)에의 연결 장치와 직류 출력단을 구비하는 파워팩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출력단은 단부에 연결할 장치의 전류 공급 부쉬 안으로 삽입할 플러그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이거나, 상기 파워팩의 구성 부품으로서 배선 장치의 플러그 연결부가 삽입되는 연결 부쉬이다. 상기 파워팩은 이른바 플러그 배선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직접 배선 소켓에 배치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자면 배선 케이블(라인코드)을 통해 전류 공급 파워팩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회로 기판으로 구성되어 전력 소모기 안으로 삽입가능한 파워팩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두에 언급한 파워팩 장치를, 부하가 걸리지 않으면 파워팩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고, 소비 전력을 현격하게 감소시키며 그리고 소모기에 잭을 꼽거나 연결해서 다시 자동적으로 스위치 온되는 방식으로 조절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탠바이 동작시에 전류를 연결된 소모기에 소정 시간 동안 공급함으로써 자동 스위치 on/off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청구항 1항에 제시된 요지를 포함하는 파워팩 구성을 통해 성취한다.
상기 파워팩 장치의 효과적인 다른 구성들은 종속항에서 개별적으로 기재되어 있고, 청구항 17항은 전류를 공급할 연결 장치가 소정 시간동안 스탠바이 동작으로 작동되면 파워팩 분리 또는 전류 공급 파워팩으로부터의 스위치-오프 동작을 가능케 하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근간이 되는 요지는 변압기가 스위치 오프된 상태에서 보조 파워팩 유닛이 용량에 맞게 교류 전류 공급 단자에 접속되고, 이때의 소모되는 전류는 현격하게 적은 량이라는 데에 있다. AC/DC 파워팩 유닛뿐만 아니라 DC/DC 파워팩으로도 구성할 수 있는 이러한 보조 파워팩 유닛은 게이트 트리거 전류나 제어 전류가 전자 스위치에 공급되는데, 상기 전자 스위치는 파워팩 내에 있는 일련의 변압기의 일차 코일과 연결된 선에서 온/오프 되고, 상기 일차코일은 배선 전류와 분리되거나 접속된다. 상기 전류는 이 때 스위치 온된 소모기에 따라 또는 부하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장치가 스위치 오프되어 있거나, 연결 부쉬가 연결할 장치의 전류 공급 입력단에서 빠져 있는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이로 인해 일차 회로 내의 스위치는 전류 흐름을 차단하거나 아니면 이와 반대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부하가 출력 단자에 걸리면, 스위치를 스위치 온 시키기 위해서 회로의 크기에 맞추어 적당한 규모인 보조 파워팩 유닛으로부터 전류가 나온다. 이로써 변압기의 일차 코일은 교류 전류 파워팩에 연결된다. 전압 안정 회로가 게이트 트리거 전압의 전압 안정화를 위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필요한 제어 전류는 보조 전압과 출력 전압간의 전압차로 결정된다. 이러한 회로는 종래의 회로와는 달리, 변압기 일차 권선의 전류 공급 배선에서 스위치가 스위치 온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항상 일정한 제어 전류가 계속적으로 흐른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팩은 또한 소모기가 스위치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전력 소비가 현격히 감소하며, 이는 무시될 수 있는 수치로까지 감소하는 (<0.5W) 효과를 갖는다.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은 이 상태에서는 용량이 큰 소모기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이하에서는 도면에 간략 도시된 전류 흐름도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은 간략 도시된 보조 파워팩 유닛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요소들의 전류 흐름 플랜을 도시한다.
도 2는 소모기의 플러그 연결장치 및 정밀 도시된 보조 파워팩 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쉬의 특수 구성부가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배선의 전류 흐름 플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바람직한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파워팩은 사실상 전류 공급 파워팩, 예를 들어 230V의 교류 전류 파워팩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의 파워팩(1)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전압, 예를 들어 110V를 도통시키는 파워팩에의 연결도 마찬가지로 회로를 그에 맞게 구성하면 가능하다. 상기 파워팩 단자중 한 극은 양방향 트라이오드 사이리스터(5)에 의해 파워팩 변압기(2)의 일차 코일(6)에 연결된다. 상기 일차코일의 타측 출력단은 안전장치(29)에 의해 파워팩 입력단의 제 2 극에 연결된다. 파워팩 변압기(2)는 정류기(32)와 직류 전압을 수집할 수 있는 필터 커패시터로서 형성된 전자 커패시터(33)로 이루어진 정류기 회로(3)와 연결되어 있는 이차 코일(20)을 포함한다. 상기 반파 정류기(32)와 커패시터(33)간의 연결점은 도선(9)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도선(9)에 의해서 정전위 직류 전압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정류기 배선(3)의 양쪽 도선들은 부쉬가 달린 이차측 출력단(22,18)으로 안내되거나 소모기(4)에 직접적으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연결 케이블을 지나간다. 종래의 플러그 파워팩에서 이러한 케이블은 예를 들어 원형 플러그로 폐쇄되어 있고, 그 외측 쉘로는 마이너스 전압을 그리고 그 중앙 플러그 접촉점으로는 플러스 전압을 인가하며, 장치의 해당 부쉬안에 끼워질 수 있다. 소모기(4)는 소모기가 직류 전압 소오스에 의해 스위치 오프 또는 스위치 온하는 스위치(23)를 구비한다.
교류 전류 파워팩 장치의 한 극에는 보조 파워팩 유닛(7)이 연결되고, 이 보조 파워팩 유닛(7)은 사실상 캐패시터(14)를 구비하고, 여기에 직렬로 전자 스위치(11), 예컨대 스위칭 파워팩 장치의 구성부로서 배치되는 전자 스위치를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보조 변압기(13)의 일차 코일(12)로 직렬 접속된다. 상기 일차 코일(12)의 제 2 연결 단자는 안전 장치(29)에 의해 전류 과부하가 일어나지 않게 보호되는 교류 전류 파워팩 장치의 제 2 극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 변압기(13)의 이차 코일(24)은 정류기 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정류기 회로는 사실상 하나의 다이오드(25)와 전압 안정 장치(27)와 병렬로 접속되는 하나의 필터 커패시터(2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선(8)으로 안정화된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이러한 안정화된 직류 전압은, 음극이 플러스 전압을 안내하는 직류 전압 단자(9)에 연결되어 있는 광전자 트라이액(10)의 포토다이오드(19)와 접속되어 있는 전류 제한 저항(28)에 인가된다. 이러한 전류 제한 저항(28)과 소모기의 저항(4)은 상기 광전자 트라이액의 포토다이오드(19)를 통해 흐르는 제어 전류를 결정한다. 만일 소모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즉 스위치(23)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와 반대로 소모기가 스위치 온되어 있으면, 즉 스위치(23)가 닫혀 있으면 전류 흐름은 소모기를 거쳐 접지쪽으로 가버린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를 발광시킬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제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포토다이오드는 광전자 트라이액(10)의 트라이액(34)를 제어한다. 광전자 트라이액(10)은 스위치로서의 트라이액(5)을 위한 점화 스위치로서 파워팩 변압기의 일차 회로내에서 스위치 온된다. 이를 위해 트라이액(5)의 점화 연결 단자는 트라이액(34)의 양극에 연결되고, 그의 다른 양극이 교류전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다이오드를 위한 제어 전류(izund)와 회로 배선의 측정은 출력 직류전압을 더해 일정한 값으로 보조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트라이액을 점화시키기에 필요한 전류는 소모기가 연결된 상태에서만 흐르며, 스위치 오프된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오직 매우 적은 양의 전류인가만이, C 커플링을 통해 용량이 큰 소모기로 도시되어 있는 보조 파워팩 유닛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별로 없다. 따라서 동일한 부품을 나타내는 부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써 도시하였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의 파워팩 역시 전류 공급 파워팩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 단자(1)를 구비하며, 하나의 트라이액(5)과 파워팩 변압기(2)의 일차 코일, 그리고 직류 정류 스위치에 있는 이차 코일을 포함한다. 그 이차 코일은 브리지 정류기(21)와 충전 커패시터(33)로 이루어진 정류기 회로안에 있다. 이 회로는 안정화 회로와 병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측에는 안정화된 출력 전압이 인가된다. 도선(9)은 부쉬(22)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부쉬 접촉(18)은 접지와 연결되고 그리고 같은 방식으로 플러그 접촉을 통해 동작하는 스위치(17)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17)를 통하여 바이패스가 높은 저항(16)으로 스위치 온/오프된다. 소모기(4)에 플러그를 꽂음으로써 스위치(17)가 닫히고, 바이패스(16)를 거쳐 일정한 전류가 흐른다. 이 일정한 전류는 소모기가 자신의 동작 스위치(23)에 의해 스위치 온될 경우에도 역시 흐른다. 파워팩은 이에 대해서 대기 동작으로 동작된다. 도면상으로는 보조 파워팩 유닛에 의해서 하나의 트라이액(11)으로 이루어져 다이액(15)과 접속되어 전자 스위치를 구성하며 직렬로 보조 변압기(12)의 일차코일에 의해 스위칭되는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점화 전류가 흐르거나 이 점화전류가 차단된다. 이차 코일(24)은 브리지 정류기(25)에 연결되어 있으며 브리지 정류기의 출력단은 필터 커패시터(26)와 접속되어 있다. 필터 커패시터와 평행하게 저항(31)과 안정화 회로(27)가 흐름에 대칭되게 스위칭된다. 필요한 제어 전류는 전류 제한 저항(28)과 도선(8)을 거쳐 광전자 트라이액(10)의 포토다이오드(19)로 유입된다. 상기 광전자 트라이액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이 회로의 특수성은 바이패스(16)에 의해 억압적으로 파워팩 변압기(6)의 일차 코일이 스위치 온되는 동안에 스탠바이 동작시에 상기 파워팩 유닛 역시 스탠바이 동작중에도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타이머를 써서 기계적으로 제어가능하거나 또는 전자 스위치로서도 구현가능하며 기계적인 작동에 관련되거나 이와 무관하게 통합 구성되었을 시에도 제어가능한 상기 스위치(17)를 제어할 수 있도록 출력측으로는 소정의 공급 전압이 인가된다. 스위치(17)가 열려 있는 동안, 장치가 스탠바이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오프 상태로 스위칭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타이머를 사용함으로써 제어 전류가 상기 포토다이오드(19)로 더 이상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다른 한편으로 타이머 기능이 스위치-온되어 있거나 타이머가 없을 경우에는 소모기가 스탠바이 동작에서 구동되게 한다. 예를 들어 소모기가 위성 수신기인 경우에는 TV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 스위치(23)가 스위치(17)의 전자 제어 기능을 대신하므로서, 타이머기능을 대신하거나 타이머 기능을 보충하여 이 구동 스위치에 의해서 스탠바이-동작이 스위치-온/오프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동 스위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따른 회로에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하나의 구성에 따르면, 커패시터(33)에 평행하게 하나의 오옴 저항(40)을, 그리고 이 저항(40)에서 멀리 떨어진 쪽 단부와 출력단(22)과의 사이에 또하나의 다이오드(41)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은 다른 하나의 커패시터(42) 위에 상향적으로 놓여 있다. 저항(40)에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또하나의 저항(40')이 콘덴서(42)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공진 상태에서 커패시터(33,42)에서 높은 허용 전압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저항(40')은 다이오드(19)를 발광시키기에 충분한 제어 전류(izund)가 더 흐르지 못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2)와 소모기(4)에 연결 가능한 병렬 직류 정류 회로(3)를 포함하는, 교류 전압이 걸리는 전류 공급 파워팩에 달린 연결 단자(1)와, 상기 변압기(2)의 일차코일(6)의 전류 공급 도선상의 전자 스위치(5)와, 파워팩 장치의 전류 공급 도선으로 용량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보조 파워팩 유닛(7)을 구비하는 파워팩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7)은 자체 진동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 파워팩 유닛이고,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7)의 출력단에서 부하가 걸려 상기 파워팩 출력단에 인가된 전압보다 높은 전자 스위치(5) 동작을 위한 제어 전압이 유입되고,
    -전위를 유도하는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의 출력 도선(8)은 상기 파워팩 변압기(2)의 이차 코일측으로 전위를 유도하는 도선(9)과 연결되며,
    -소모기(4)에 의해서 부하가 걸려 있는 경우,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7)으로부터 전류가 흐르고, 이를 통해서 전류 및/또는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제어 요소(10)가 파워팩내의 변압기(2)의 일차 코일(6)의 전류 유도 도선에서 전자 스위치(5)용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진동 스위치의 부품으로서 병렬 점화 반도체(15)가 달린 트라이액(11)은, 일련의 보조 변압기(13)의 일차 코일(12)과, 병렬 배치된 커패시터(14)를 구비하며, 상기 커패시터는 전류 공급 파워팩 장치의 위상과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일차 코일의 타측단은 다른 위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된 상기 소모기(4)는 스위치 온/오프된 상태에 있을 때 소정의 전류 세기를 가지고 스위치(5)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의 부하를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7)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저항의 바이패스(16)는 전위 및 고전위를 유도하는 이차측 출력단들(18,22)의 사이에 하나의 스위칭 요소(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요소(17)는 소모기(4)와 접속되도록 연결 부쉬(18)에 설치되고, 플러그 연결이 폐쇄될 경우에 저항(16)을 바이패스로 스위치 온시키고 열리면 스위치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7)은 파워팩 전류 공급 도선에 용량적 단일 위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7)은 DC/DC 변환기이며, 상기 커패시터(14)와 직렬로 하나의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배열은 배선 전압이 걸려 있거나 또는 전압이 나뉘어 걸려 있는 직류 정류기에 의해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7)은 AC/DC 변환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7)은 두 개의 커패시터에 의해 전류 공급 파워팩 장치의 양측 위상에 연결되어 있는 브리지 정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10)는 광전자 트라이액이며,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7)의 이차측 전류는 발광 다이오드(19)를 통해 흐르고 장착된 트라이액(34)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는 전자 반도체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는 광전자 트라이액(10)에 의해 제어되는 트라이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10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로 부품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파워팩은 전류 공급 파워팩 장치의 플러그 소켓안으로 끼울수 있는 파워팩 장치의 구성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로 부품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파워팩은 소모기내에 설치할 수 있는 회로 기판의 형태를 띠는 구성 유닛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은 주조되거나 캅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기(4) 플러그연결(22,18)을 분리시킬 때에 전류는 상기 제어요소(10)에 의해 중단되고, 상기 전자 스위치(5)는 일차회로에서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17. 제 4 항, 제 5 항, 제 10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동작 상태(정상 동작)에서는 높은 전류 부하를 받고 제 2 동작 상태(스탠바이 동작)에서는 적은 전류 부하만을 받는 연결 장치에 전류를 공급하며, 제 2 동작 상태에서 측정된 낮은 전류에 따라 제어되고 소정의 조절 가능한 시간이 흐르면 바이패스(16)를 자동적으로 개방하는 시간 회로를 제어하는 평가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전류 측정 센서가 직류 전류 출력 브랜치(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10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파워팩 유닛(7)의 출력 도선(8)은 전류 및/또는 전압에 따라 동작하는 제어 요소(10)를 거쳐 파워팩 변압기(2)의 이차측에 있는 전위를 공급하는 도선(9)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10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류기(32)의 필터 커패시터(33)와 병렬로 오옴 저항기(40)들이 배열되며, 상기 저항기들(40)에서 멀리 떨어진 접지와 출력단(22)과의 사이에는, 그 음극이 커패시터(42)를 접지와 연결하는 다이오드(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오옴 저항기(40)에 대하여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커패시터(42)에 병렬로 또하나의 오옴 저항기(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팩 장치.
KR1019997001586A 1996-08-29 1997-08-29 파워팩 장치 KR100328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4948A DE19634948C1 (de) 1996-08-29 1996-08-29 Netzgerät
DE19634948.6 1996-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878A KR20000035878A (ko) 2000-06-26
KR100328164B1 true KR100328164B1 (ko) 2002-03-16

Family

ID=780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586A KR100328164B1 (ko) 1996-08-29 1997-08-29 파워팩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22322B1 (ko)
JP (1) JP2000517152A (ko)
KR (1) KR100328164B1 (ko)
CN (1) CN1117424C (ko)
DE (2) DE19634948C1 (ko)
ES (1) ES2146120T3 (ko)
WO (1) WO19980093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4558A3 (de) * 1998-10-14 2000-12-27 Getatron Elektronik Sparschaltung für ein Netzgerät
DE10017837B4 (de) * 2000-04-11 2005-10-27 Heinrich Kopp Ag Vorrichtung zur Netzfreischaltung
CN100525105C (zh) * 2004-12-24 2009-08-05 佛山市顺德区松本电工实业有限公司 一种电子式开关的共用式控制方法及无零线多位电子式开关
FR2936113B1 (fr) * 2008-09-12 2010-12-10 Mge Ups Systems Dispositif convertisseur et alimentation sans interruption equipee d'un tel dispositif
CN101510735B (zh) * 2008-10-24 2012-10-1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正常工作兼合待机功能的节能开关电源
DE102010019116A1 (de) * 2010-04-30 2011-11-03 Bionical Systems Ag Anordnung zur Netzfreischaltung einer Antriebseinrichtung
CN103124453B (zh) * 2011-11-17 2015-04-15 四川蓝讯宝迩电子科技有限公司 用于安全防盗的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42267A1 (de) * 1976-05-31 1978-03-23 Werner Ing Grad Falk Automatisches ein- und ausschaltgeraet fuer wechselstromnetze
DE3909064A1 (de) * 1989-03-20 1990-09-27 Poelzl Helmut Netzfreischalter
FR2699024B1 (fr) * 1992-12-08 1995-01-06 Michel Bernis Relais statique autonome.
EP0792533B1 (en) * 1994-02-28 1999-06-09 Linak A/S A system for off-mains switching of current consuming devices such as actu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424C (zh) 2003-08-06
WO1998009362A3 (de) 1998-05-22
ES2146120T3 (es) 2000-07-16
WO1998009362A2 (de) 1998-03-05
EP0922322B1 (de) 2000-03-15
DE19634948C1 (de) 1998-04-23
KR20000035878A (ko) 2000-06-26
JP2000517152A (ja) 2000-12-19
EP0922322A2 (de) 1999-06-16
DE59701284D1 (de) 2000-04-20
CN1228883A (zh)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2675B1 (en)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comprising relay devices for controlling current flow along power paths of the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CA1328899C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ultiple accessory unit
KR100419324B1 (ko) 전력공급장치를구비하는전자트립장치
KR102108827B1 (ko) 퓨즈를 통한 부하 전류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충전하는 저장 커패시터를 갖는 자가-전력공급형 전자 퓨즈
US10574050B2 (en) Docking module for a current transformer for preventing overvoltages and a current transformer having a docking module
CN101584096A (zh) Dc高功率分配装置
KR20030011323A (ko)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위한 스타트업 회로
CN105191043A (zh) 用于电流变换器的保护电路以及具有保护电路的电流变换器
US7082041B2 (en) Power supply filtering
KR100328164B1 (ko) 파워팩 장치
US20070109827A1 (en) Ac to dc converter circuit
CA2168707C (en) Two wire air gap off power supply circuit
EP0787996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discontinuity of ground conductor and leak detector having function of detecting discontinuity of ground conductor
EP1751863A1 (en) Power switching apparatus
FI66271B (fi) Krets foer gasurladdningslampor
US9124087B2 (en) Arc suppression circuit
RU2316074C2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JP2000166090A (ja) 電源装置
CN113791342B (zh) 开关器件以及用电器
PL202987B1 (pl) Sposób i układ do rozładowania kondensatora zasilacza kondensatorowego
RU21833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и контрол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изоляци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аппаратов
KR200156513Y1 (ko) 모니터의 스위칭 전원 보호 회로
JPH08106844A (ja) 漏電遮断器の遠隔テスト装置
CN118399145A (zh) 连接电路及充电枪
JPH04178110A (ja) 漏電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