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123B1 -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123B1
KR100328123B1 KR1020000018799A KR20000018799A KR100328123B1 KR 100328123 B1 KR100328123 B1 KR 100328123B1 KR 1020000018799 A KR1020000018799 A KR 1020000018799A KR 20000018799 A KR20000018799 A KR 20000018799A KR 100328123 B1 KR100328123 B1 KR 100328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screen stencil
transparent
resi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557A (ko
Inventor
임익수
Original Assignee
임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익수 filed Critical 임익수
Priority to KR1020000018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12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12Production of screen printing forms or similar printing forms, e.g. stenc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 개방부에 부착된 망, 망위에 광중합성 수지를 코팅하고 투명양화를 부착한 후,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불용성막을 갖는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막이 스크린 스텐실의 내측에서의 광조사에 노출되어 형성되고 비노광부의 수지제거에 의해 형성된 무늬부가 스크린 스텐실의 내표면측에서 외표면 측으로 갈수록 점증적으로 넓게 형성된 것을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이 제공되며, 이러한 구조의 스크린 스텐실은 날염호료가 잘 빠져나오게 되어 날염속도를 증대시키고, 날염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screen stencil}
본 발명은 스크린 날염(screen printing)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날염에 사용되는 스크린 스텐실(screen stencil)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날염은 스크린 스텐실을 사용해서 날인하는 날염을 말하는 것으로,날염용 생지 폭에 상응하는 프레임(frame)에 망사로 된 얇은 천은 붙이고 무늬 이외의 부분에 불용성 막을 첨부 또는 형성시킨 것을 스크린 스텐실이라 한다. 한 번 날염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린 스텐실의 수는 빛깔이나 무늬에 따라서는 10여장이 되는 경우도 있다. 생지에 고착되는 날염두께는 스크린 스텐실에 형성된 불용성 막의 두께에 좌우된다. 즉, 날염두께를 두껍게 하기 위해서는 불용성막의 두께를 두껍게하면 된다.
종래, 불용성 박막을 형성시켜 스크린 스텐실을 제조하는데에는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a) 목제 또는 금속제의 프레임(62)의 일측 개방부에 망사(61)를 붙이는 공정, (b) 암실에서 망사에 광중합성 수지를 코팅하는 공정, (c)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기대(11)와 그 하부에 위치하여 투명기대쪽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12)을 구비하는 광조사수단(10)의 투명기대(11) 위에 투명양화(40)를 올려놓고 그 위에 수지도포면이 양화에 밀착되게 프레임을 올려놓은 다음 가압하에 광을 조사하여 노광부의 수지를 중합 또는 경화시키는 공정, (d) 비노광부의 수지를 제거하여 무늬가 형성된 스크린 스텐실(60)을 얻는 공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크린 스텐실 제조방법은 망사에 적층되는 불용성막의 두께를 두껍게 하기 위해서는 수지 도포를 수차례 반복하여야 하며, 따라서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을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스크린 스텐실 제조시의 빛에 조사되지 않은 부위(비노광부), 즉 양화의 무늬부분에 대응하는 부위는 광중합후 세척하게 되면, 양화와 직접 접촉하는 수지 표면 보다 반대 쪽면이 약간 더 넓어지게 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에는 비노광부의 세척후 형성된 무늬부분의 단면형상이 예시된다. 즉, 비노광부의 수지제거에 의해 형성된 무늬부가 날염호료가 공급될 스크린 스텐실의 내표면측에서 외표면 측으로 갈수록 점증적으로 좁게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무늬구조를 갖는 스크린 스텐실로 날염하는 경우 날염호료가 상대적으로 넓은 구멍으로 들어가서 상대적으로 좁은 구멍을 통해 나오게 되므로 날염호료가 잘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어 날염속도가 저하되고 날염품질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 스텐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새로운 구조의 스크린 스텐실을 제조할 수 있으며, 두꺼운 불용성 막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도.
도 2는 종래의 스크린 스텐실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스크린 스텐실의 무늬부분의 단면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스크린 스텐실의 무늬부분의 단면구조를 예시한 도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 개방부에 부착된 망, 망위에 광중합성 수지를 코팅하고 투명양화를 부착한 후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불용성막을 갖는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막이 스크린 스텐실의 내측에서의 광조사에 노출되어 형성되고 비노광부의 수지제거에 의해 형성된 무늬부가 스크린 스텐실의 외표면측에서 내표면 측으로 갈수록점증적으로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조의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로서,
(Ⅰ) 하부에서 상부로 광이 조사되는 투명기대 위에 지지대, 광투과성 경질 판, 목적하는 스크린 스텐실에 부여하고자 하는 무늬가 형성된 투명양화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공정,
(Ⅱ) 일측 개방부에 망사가 부착된 프레임을 타측 개방부 측의 망사가 투명양화와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공정,
(Ⅲ) 투명양화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망사 표면상에 투명 양화의 무늬부 보다 넓은 영역에 소망하는 불용성 막 두께의 테두리를 부착하는 공정,
(Ⅳ) 상기 테두리에 의해 결정된 내부 공간에 광중합성 수지를 붓고 테투리의 높이와 테두리내에 수용된 수지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공정,
(Ⅴ) 광을 조사하여 수지를 중합시키는 공정, 및
(Ⅵ) 비노광부의 수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형태를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에 따라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을 제조하는 방법이 공정별로 도시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기대(11)와 그 하부에 위치하여 투명기대쪽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12)을 구비하는 광조사수단(10)의 투명기대(11) 위에 지지대(20)를 배치한 다음, 지지대 위에 유리판과 같은 광투과성 경질 판(30)을 올려 놓고, 경질판 위에 스크린 스텐실에 부여하고자 하는 무늬 또는 글씨가 검정색으로 인쇄되어 있는 투명양화(40)를 올려놓는다(공정 Ⅰ). 이때 투명양화(40)는 뒤집어 놓아야 한다. 이는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방법에서의 투명양화 배치형태와 다르다. 그 이유는 스크린 스텐실의 형태에서 볼 때 투명양화가 접촉하였던 위치가 도 2에 나타낸 종래 방법의 경우에는 스크린 스텐실의 외표면이 되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스크린 스텐실의 내표면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광조사수단(10)의 광원(12)은 광중합성 수지의 중합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광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그 바람직한 예로는 자외선(UV)이나 적외선(IR) 발생기가 있다. 이중에서 자외선 발생기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다음, 일측 개방부에 망사(61)가 부착된 프레임(62)을 타측 개방부 측의 망사(61a)가 투명양화(40)와 접촉하도록 투명양화 위에 올려 놓는다 (공정 Ⅱ). 이때, 투명양화(40)는 광중합성 수지에 들러붙지 않는 소재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거나,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명양화(40) 위에 광투과성이 있는 이형지(41)를 배치하거나, 또는 광투과성이 있는 이형지를 붙인 투명양화(40)를 사용하거나 하여, 광중합후 수지로부터 용이하게 투명양화가 박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투명양화(40) 또는 이형지(41)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망사 표면상에 투명 양화(40)의 무늬부 보다 넓은 영역에 테두리(50)를 붙여 테두리 내에 투명양화의 무늬부가 들어오게 한다 (공정 Ⅲ). 이때 테두리(50)의 두께는 목적하는 스크린 스텐실에 피복하고자 하는 불용성 막의 두께와 일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두께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데에는 가느다란 테이프를 원하는 두께를 얻을 때까지 망사표면(61b)에 여러 겹으로 붙이는 방법이나, 또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리 준비한 테두리를 망사표면(61b)에 접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테두리 밖에 있는 망사는 테이핑 등의 방법으로 밀폐시켜 후속 수지 도포 공정에서 과량공급된 수지의 제거시에 망사를 통해 광조사수단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테두리에 의해 결정된 망사표면 상의 내부 공간에 광중합성 수지(63)를 붓고 테투리의 높이와 테두리에 수용된 수지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나이프와 같은 수단으로 밀어서 평평하게 하여준다 (공정 Ⅳ). 광중합성 수지는 중합의 에너지원으로 자외선이나 적외선과 같은 광을 이용하여 중합하는 수지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는 비닐에스테르, 스티렌,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모노모나 올리고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다음, 광원(12)을 가동하여 수지에 광을 조사시킴으로써 수지를 중합 또는 경화시키고(공정 Ⅴ), 테두리(50)와 투명양화(40)를 떼어내고 나서 투명양화의 무늬부에 의한 광차단으로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비노광부의 수지를 제거하면 소망하는 두께의 무늬가 형성된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60)이 얻어진다(공정 Ⅵ). 중합되지 않은 수지의 제거에는 보통 유기 용제나 무기용제와 같은 용제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60)은 양화(40)가 접촉하는 쪽이 스크린 스텐실의 내측이었기 때문에 비노광부의 수지 제거에 의해 형성된 무늬부가 스크린 스텐실의 외표면측에서 내표면 측으로 갈수록 점증적으로 넓게 형성되어(도 3 참조), 날염시 날염호료가 상대적으로 좁은 구멍으로 들어가서 상대적으로 넓은 구멍을 통해 나오게 되므로 날염호료가 잘 빠져나오게 되어 날염속도가 증대되고, 날염품질이 양호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무늬부의 두께가 두꺼운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을 제조하는데 여러차례 반복하여 수지를 도포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광조사시에 수지와 투명양화를 밀착시키기 위해 압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정이 간단하고 스크린 스텐실의 생산속도가 일층 향상되며,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은 날염호료가 잘 빠져나오게 되어 날염속도가 증대되고, 날염품질이 양호하게 된다.

Claims (2)

  1. 프레임의 일측 개방부에 부착된 망위에 광중합성 수지를 코팅하고 투명양화를 부착한 후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불용성막을 갖는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막이 스크린 스텐실의 내측에서의 광조사에 노출되어 형성되고 비노광부의 수지제거에 의해 형성된 무늬부가 스크린 스텐실의 내표면측에서 외표면 측으로 갈수록 점증적으로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
  2.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에 있어서,
    (Ⅰ) 하부에서 상부로 광이 조사되는 투명기대 위에 지지대, 광투과성 경질 판, 목적하는 스크린 스텐실에 부여하고자 하는 무늬가 형성된 투명양화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공정,
    (Ⅱ) 일측 개방부에 망사가 부착된 프레임을 타측 개방부 측의 망사가 투명양화와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공정,
    (Ⅲ) 투명양화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망사 표면상에 투명 양화의 무늬부 보다 넓은 영역에 소망하는 불용성 막 두께의 테두리를 부착하는 공정,
    (Ⅳ) 상기 테두리에 의해 결정된 내부 공간에 광중합성 수지를 붓고 테투리의 높이와 테두리 내에 수용된 수지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공정,
    (Ⅴ) 광을 조사하여 수지를 중합시키는 공정, 및
    (Ⅵ) 비노광부의 수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
KR1020000018799A 2000-04-11 2000-04-11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 KR100328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799A KR100328123B1 (ko) 2000-04-11 2000-04-11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799A KR100328123B1 (ko) 2000-04-11 2000-04-11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557A KR20010095557A (ko) 2001-11-07
KR100328123B1 true KR100328123B1 (ko) 2002-03-16

Family

ID=1966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799A KR100328123B1 (ko) 2000-04-11 2000-04-11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1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557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4089A (en) Photoprint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exposing paste-consistency photopolymers
US56374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resist pattern, and printed wiring board fabricated thereby
EP0141868A1 (en) High resolution phototransparency image forming with photopolymers
US4652513A (en) Method for creating a design in relief in a hard smooth substrate and apparatus for use in the method
KR100328123B1 (ko) 날염용 스크린 스텐실의 제조방법
JPH04202677A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US4888270A (en) Photoprint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exposing paste consistency photopolymers
EP1730594B1 (en) Method for producing a base material for screen printing
NL8105657A (nl) Zeefdrukprocede alsmede zeefdrukvorm die geschikt is om daarbij te worden gebruikt.
JP2974647B2 (ja) スクリーン捺染用厚膜印刷版の製版方法
US3507654A (en) Stencil screen and method
JPS5917656B2 (ja) 模様形成法
IL45626A (en) Hybrid microcircuit fabrication aid
US4732829A (en) Polymer printing
JPH07257099A (ja) 絵柄模様と凹凸模様とを有する原稿の複製方法および複製物
US4560639A (en) Reusable phototransparency image forming tools for direct contact printing
US4669869A (en) Photoprint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exposing paste-consistency photopolymers
JP2901225B2 (ja) スクリーン印刷版の製造方法
JP3262412B2 (ja) スクリーン印刷版の製造方法
JP2501921B2 (ja) スクリ―ン印刷用版の製造方法
KR20020045675A (ko) 핫 스탬핑호일을 이용한 표면인쇄방법
JPS6285926A (ja) パネルシ−トの製造方法
JP3326504B2 (ja) エンボス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2079775A (ja) スクリーン印刷用製版の製造方法
US1112540A (en) Photographic screen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