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849B1 - 베이비 캐리어 - Google Patents

베이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849B1
KR100327849B1 KR1019990002344A KR19990002344A KR100327849B1 KR 100327849 B1 KR100327849 B1 KR 100327849B1 KR 1019990002344 A KR1019990002344 A KR 1019990002344A KR 19990002344 A KR19990002344 A KR 19990002344A KR 100327849 B1 KR100327849 B1 KR 10032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infant
head support
baby carrier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121A (ko
Inventor
야마조에후미요
갓사이겐죠
Original Assignee
카사이 켄조우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사이 켄조우,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사이 켄조우
Publication of KR1999006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Buck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베이비 캐리어(1; baby carrier)는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전방 덮개부(3)와 가랑이 덮개부(4)와 등 덮개부(5)를 가지는 캐리어 본체(2)와, 상기 등 덮개부(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어깨 벨트(6, 7)와, 상기 어깨 벨트(6, 7)의 단부에 있는 원-터치 버클(12, 13)과, 상기 원-터치 버클(12, 13)과 맞물리는 전방 덮개부(3) 옆의 덮개형 버클(20, 21)을 포함한다. 베이비 캐리어(1)는 전방 덮개부 옆의 후크 부재(31, 32)와, 상기 후크 부재(31, 32)와 결합하는 등 덮개부(5)상의 환형 부재(28, 29 및 28', 29')를 추가로 포함한다. 더욱이,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부(8)와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머리 보호부(9)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부(8)의 후면측을 향해 접을 수 있고, 유아쪽을 향해 세울 수 있다. 그에 의해, 베이비 캐리어(1)의 종방향 지지 형태와 측방향 지지 형태 사이의 변환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유아가 측방향 또는 측면으로 유지되어 있을 때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이비 캐리어{Baby Carrier}
본 발명은 유아를 그안에 넣어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이고, 또한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방향 및 측방향 지지 기능을 가진 베이비 캐리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도면들은 동일한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를 측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벨트의 연결을 바꾸어 유아를 종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비 캐리어(100)는 유아의 머리와 등을 각각 유지하는 머리 받침부(102)와 등 받침부(103)가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캐리어 본체(101)를 갖는다. 상기 캐리어 본체(101)에는 벨트(A-G)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비 캐리어(100)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지지를 위해 사용될 때, 벨트(C)의 단부는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를 경유하여 벨트(A)상에 죄어지고, 벨트(G)의 단부에 있는 버클(buckle)은 벨트(F)의 단부에 있는 버클과 맞물린다. 그때, 벨트(A)의 단부에 있는 버클은 어깨 벨트(104)를 구성하도록 벨트(D)의 단부에 있는 버클과 맞물린다.
이런 상태에서, 유아는 캐리어 본체(101)상에 위치되고, 어깨 벨트(104)는 보호자의 한쪽 어깨상에 각도를 형성하며 위치되게 된다(도 19 참조). 그때,벨트(E)는 보호자의 엉덩이 둘레에 감겨지고, 벨트(E)의 단부에 있는 버클은 벨트(B)의 단부에 있는 버클과 맞물려 보호자의 엉덩이상에 캐리어 본체(101)를 유지하기 위한 허리 벨트(105)를 구성한다.
한편, 베이비 캐리어(100)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지지를 위해 사용될 때, 벨트(G)의 단부는 스냅 패스너를 경유하여 벨트(A)상에 죄어지고, 벨트(A)의 단부에 있는 버클은 벨트(D)의 단부에 있는 버클과 맞물려 어깨 벨트(104')를 구성한다.
다음에, 캐리어 본체(101)상에 유아가 위치된 상태에서, 벨트(B, C)의 버클이 서로 맞물려서 캐리어 본체(101)상에 유아를 유지한다. 이상태에서, 어깨 벨트(104')는 보호자의 한쪽 어깨상에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다(도 20 참조) 그때, 벨트(E)는 보호자의 엉덩이 둘레에 감겨지고, 벨트(E)의 단부에 있는 버클은 벨트(F)의 단부에 있는 버클과 맞물려 보호자의 엉덩이상에 캐리어 본체(101)를 유지하기 위한 허리 벨트(105')를 구성한다.
따라서,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는 다수의 벨트의 결합 상태를 변경하여 측방향 지지 또는 종방향 지지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게 되어 있고, 측방향 및 종방향 지지의 벨트 변경 작업이 매우 복잡하며 성가시다. 더욱이, 유아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을 때, 단지 캐리어 본체(101)상에만 위치되게 되고, 따라서, 유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방향 지지 및 종방향 지지 사이의 변경 작업이 매우 단순하며 유아가 유아의 머리쪽으로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방향 지지 및 종방향 지지 사이의 변경 작업이 매우 단순하며 유아가 측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을 때 유아의 머리쪽 및 다리쪽 양쪽 모두의 방향으로 유아가 떨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아의 머리를 충격 하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베이비 캐리어 및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아가 유아의 머리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아를 내부에 넣어 지지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비 캐리어는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본체와,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캐리어 본체에 제공된 머리 지지부와,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머리 지지부의 단부에 제공된 머리 보호부를 포함한다. 머리 보호부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향해 세울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비 캐리어는 전방 덮개부와, 좁은 가랑이 덮개부와, 등 덮개부를 구비한 캐리어 본체를 포함하고, 이들은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아의 복부와 가랑이와 등을 각각 지지한다. 조립에 있어서, 전방 덮개부는 등 덮개부를 향해 접혀지고, 가랑이 덮개부는 백(bag) 형태로 형성된다.베이비 캐리어는 캐리어 본체에 제공된 어깨 벨트부와,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등 덮개부에 제공된 머리 지지부와,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머리 지지부의 단부에 제공된 머리 보호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머리 보호부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향해 세울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비 캐리어는 전방 덮개부와, 좁은 가랑이 덮개부와, 등 덮개부를 구비한 캐리어 본체를 포함하고, 이들은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아의 복부와, 가랑이와, 등을 각각 지지한다. 한쌍의 어깨 벨트가 등 덮개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된다. 더욱이, 베이비 캐리어는 어깨 벨트의 말단부에 제 1 벨트 부재를 경유하여 제공된 제 1 버클과, 제 2 벨트 부재를 경유하여 전방 덮개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된 제 2 버클을 포함한다. 제 2 버클은 제 1 버클과 풀수 있도록 맞물릴 수 있다. 후크(hook) 부재는 제 3 벨트 부재를 경유하여 전방 덮개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된다. 한쌍 이상의 환형 부재가 등 덮개부에 제공된다. 환형 부재는 후크 부재와 풀수 있도록 맞물릴 수 있다. 머리 지지부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등 덮개부에 제공된다. 머리 보호부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 지지부의 단부에 제공된다. 머리 보호부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향해 세울 수 있다.
제 4 실시예는 머리 지지부가 캐리어 본체 또는 등 덮개부와 풀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한다.
제 5 실시예는 벨트편(piece)이 보호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하여 머리 지지부의 외측에 제공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한다.
제 6 실시예는 머리 보호부가 실질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 굴곡면을 경유하여 머리 지지부의 후면상에 고착되어 있고, 머리 지지부의 유아의 머리측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한다.
제 7 실시예는 머리 보호부가 머리 지지부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다른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한다. 머리 지지부상에 머리 보호부가 설치되었을 때,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부의 유아의 머리측을 향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실질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 굴곡면을 경유하여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상에 설치되어 머리 지지부의 유아의 머리측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제 8 실시예는 머리 보호부가 유아 머리의 상단부의 측면에 배치된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제 1 쿠션 부재(sweat-absorbent cushioning member)와,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제 1 쿠션 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제 2 쿠션 부재와 그 사이에 삽입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다른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한다.
제 9 실시예는 머리 지지부와 머리 보호부 중 하나 이상이 공기 쿠션 구조를 통합하고 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 쿠션 구조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 저장부와, 외부 충격으로 인한 공기 저장부의 변형시에 공기 저장부내의 공기 누출에 의한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공기 저장부를 둘러싸고 있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한다.
제 10 실시예는 충격 흡수부가 공기 저장부와 소통하는 바이-패스 포트를 포함하는 제 9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한다.
제 11 실시예는 충격 흡수부가 공기 저장부와 소통하는 절결부(notch)를 포함하는 제 9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한다.
제 12 실시예는 충격 흡수부가 다공성 재료로 구성된 제 9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한다.
제 13 실시예는 머리 지지부 또는 머리 보호부 중 하나 이상이 공기 쿠션 구조를 통합하고 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한다. 공기 쿠션 구조가 복수개의 제 1 관통 구멍을 가진 제 1 쿠션 부재와, 복수개의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을 각각 가지고 제 1 쿠션 부재의 대향측에 있는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은 서로 대항하지 않고 상기 제 1 관통구멍과 소통한다.
제 14 실시예는 베이비 캐리어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체와,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향해 세워질 수 있으면서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머리 지지체의 단부에 제공된 머리 보호부를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를 제공한다.
제 15 실시예는 머리 지지체의 외측에 보호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하여 벨트편이 제공되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를 제공한다.
제 16 실시예는 머리 보호부가 실질적인 볼록 또는 오목 굴곡면을 경유하여상기 머리 지지체의 후면측상에 고착되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를 제공한다. 상기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체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 기립 상태를 유지한다.
제 17 실시예는 머리 보호부는 상기 머리 지지체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를 제공한다. 머리 지지체상에 설치되었을 때,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체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세워져 유지되거나, 실질적인 볼록 또는 오목 굴곡면을 경유하여 상기 머리 지지체의 후면측상에 설치된다. 머리 지지체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상기 머리 보호부는 세워져 기립 상태를 유지한다.
제 18 실시예는 머리 보호부가 유아 머리의 상단부의 측면에 위치된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제 1 쿠션 부재와,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제 1 쿠션 부재의 외측에 위치된 제 2 쿠션 부재와, 이들 사이에 삽입된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를 제공한다.
제 19 실시예는 머리 지지체 또는 상기 머리 보호부 중 하나 이상이 공기 쿠션 구조를 통합하고 있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를 제공한다. 공기 쿠션 구조는 소정의 공간 영역을 형성하는 공기 저장부와, 외부 충격으로 인한 상기 공기 저장부의 변형시에 상기 공기 저장부의 공기 누출에 의해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공기 저장부를 둘러싸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한다.
제 20 실시예는 충격 흡수부가 상기 공기 저장부와 소통하는 바이-패스 포트를 포함하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를 제공한다.
제 21 실시예는 충격 흡수부가 공기 저장부와 소통하는 절결부를 포함하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를 제공한다.
제 22 실시예는 충격 흡수부가 다공성 재료로 구성된 제 14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를 제공한다.
제 23 실시예는 머리 지지체 또는 상기 머리 보호부 중 하나 이상이 공기 쿠션 구조를 통합하고 있는 제 14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를 제공한다. 공기 쿠션 구조는 복수개의 제 1 관통 구멍을 가진 제 1 쿠션 부재와, 복수개의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을 각각 가지고 제 1 쿠션 부재의 대향측에 있는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를 포함한다.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은 서로 대항하지 않고 상기 제 1 관통구멍과 소통한다.
제 1 발명의 베이비 캐리어를 사용할 때, 먼저, 유아가 캐리어 본체내에 수용 및 지지된다. 그후, 머리 보호부가 세워진다. 이경우에 있어서, 베이비 캐리어는 측방향 지지형으로 사용된다. 이때, 유아 머리의 후부는 머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유아 머리의 상단부는 머리 보호부에 의해 보호된다. 이렇게 세워진 상태의 머리 보호부는 유아가 베이비 캐리어의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후, 종방향 지지 형태로 베이비 캐리어를 사용할 때, 머리 보호부는 세워지지 않은 상태로 위치된다. 즉,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혀지거나 머리 지지부로부터 제거된다. 이때, 유아 머리의 후면부는 머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에,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가 종방향 지지 형태로부터 측방향 지지 형태로 변환될 때, 머리 보호부는 세워진 위치로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혀져 있던 머리 보호부가 세워지거나, 머리 지지부로부터 제거되었던 머리 보호부가 머리 지지부에 설치되어 세워진다. 대조적으로,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가 측방향 지지 형태로부터 종방향 지지 형태로 변경될 때, 세워진 위치에 있던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혀지거나 머리 지지부로부터 제거된다.
이 방식으로, 제 1 발명에 따라서, 종방향 지지 형태와 측방향 지지 형태 사이의 변환 작업이 머리 보호부의 작용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측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을 때 베이비 캐리어의 상부로부터 유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의 베이비 캐리어에 유아를 유지하기 위하여, 먼저, 캐리어 본체상에 유아를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방 덮개부를 유아의 상체를 향해 접혀지고, 가랑이 덮개부는 백(bag) 형태로 형성된다. 그에 의해, 베이비 캐리어가 조립된다.
베이비 캐리어가 조립되어 있을 때, 백 형태의 가랑이 덮개부는 유아의 가랑이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베이비 캐리어가 사용되는 도중에 유아가 베이비 캐리어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후, 측방향 지지 형태로 베이비 캐리어가 사용될 때, 어깨 벨트가 보호자의 한쪽 어깨에 위치되며, 머리 보호부는 세워진 상태로 머리 지지부의 단부에 위치된다. 이때, 유아 머리의 후면부는 머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유아 머리의상단부는 머리 보호부에 의해 보호된다. 세워진 상태의 머리 보호부는 베이비 캐리어의 상부로부터 유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부가적으로, 종방향 지지 형태로서 상기 베이비 캐리어를 사용할 때, 머리 보호부는 세워지지 않은 상태로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혀지거나 머리 지지부로부터 제거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어깨 벨트는 보호자의 어깨상에 십자형으로 되어 있다. 이때, 유아 머리의 후면부는 머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에,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가 종방향 지지 형태로부터 측방향 지지 형태로 변환될 때, 취해야할 유일한 절차는 후면부를 향해 졉혀져 있은 머리 보호부를 단순히 세우거나 제거된 머리 보호부를 머리 지지부에 설치하여 세우는 것 뿐이다. 반대로,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를 측방향 지지 형태로부터 종방향 지지 형태로 변환할때에는 단지 세워진 상태의 머리 보호부를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거나 머리 지지부로부터 제거하면 된다. 양자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 어깨 벨트는 보호자의 어깨 상의 그 배치를 변환하여 사용된다.
이 방식으로, 제 2 발명에 따라서, 종방향 지지 형태와 측방향 지지 형태 사이의 변환 작업은 머리 보호부의 작용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유아가 측방향 또는 옆으로 유지되어 있을 때 베이비 캐리어의 상부 및 하부로 떨어지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수 있다.
제 3 발명의 유아 보호기에 유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아가 캐리어 본체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방 덮개부는 유아의 상체를 향해 접혀지고전방 덮개부 옆의 후크 부재는 등 덮개부상의 대응하는 환형 부재와 맞물린다. 그에 의해, 가랑이 덮개부는 유아의 가랑이에 대해 백 형태로 형성된다. 다음에, 어깨 벨트의 제 1 버클이 베이비 캐리어를 조립하도록 전방 덮개부 옆의 제 2 버클과 맞물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비 캐리어가 조립될 때, 백형 가랑이 덮개부는 유아의 가랑이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베이비 캐리어가 사용되는 동안 베이비 캐리어의 하부로 유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다음에, 베이비 캐리어가 측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될 때, 어깨 벨트는 다발을 이루어 보호자의 한쪽 어깨상에 위치되고, 머리 보호부는 세워진 상태로 머리 지지부의 단부에 위치된다. 이때, 유아 머리의 후면부는 머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유아 머리의 상단부는 머리 보호부에 의해 보호된다. 세워진 상태의 머리 보호부는 유아가 베이비 캐리어의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베이비 캐리어가 종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될 때, 머리 지지부의 단부에 있는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혀지거나 머리 지지부로부터 제거된다. 이상태에서, 어깨 벨트는 보호자의 어깨에 십자형으로 걸려져 있다. 이때, 유아 머리의 후면부는 머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에,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가 종방향 지지 형태로부터 측방향 지지 형태로 변환될 때, 단순히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혀져 있는 머리 보호부를 단순히 세우거나, 제거되어 있던 머리 보호부를 머리 지지부에 설치하여 세우기는 절차만이 필요하다. 반대로,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가 측방향 지지 형태로부터 종방향지지 형태로 변환될 때, 단순히 세워져 있는 머리 보호부를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거나 머리 지지부로부터 제거하는 절차만이 필요하다. 양자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 어깨 벨트는 보호자의 어깨 상에서 그 위치만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 3 발명에 따라,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측방향 지지 형태와 종방향 지지 형태 사이의 변환 작업은 머리 보호부의 작용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유아는 측방향 또는 측면으로 유지되어 있을 때 베이비 캐리어의 상부 및 하부로 떨어지는 것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머리 지지부는 캐리어 본체 또는 등 덮개부상에 분리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고, 보호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한 벨트편(belt pieces)이 머리 지지부의 외측에 제공될 수 있다.
머리 보호부는 실질적인 볼록 또는 오목 굴곡면에 의해 머리 지지부의 후면부상에 고착되어 머리 지지부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 기립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유아 머리의 상단부는 유아가 측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을 때 이 세워진 머리 보호부에 의해 유아 머리의 상단부가 보호될 수 있다.
머리 보호부를 머리 지지부상에 설치할 때,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부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머리 보호부는 실질적인 볼록 또는 오목 굴곡면을 경유하여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 상에 부착되고, 머리 지지부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 상태로 유지된다.
머리 보호부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의 측면에 위치된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제 1 쿠션 부재와, 제 1 쿠션 부대의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2 쿠션 부재와, 이들 사이에 삽입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 지지부 또는 머리 보호부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쿠션 구조는 소정의 공간 영역을 형성하는 공기 저장부와, 상기 공기 저장부를 둘러싸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공기 저장부가 변형되었을 때 공기 저장부내의 공기를 누출시킴에 의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는 공기 저장부와 소통하는 절결부나 바이-패스 포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공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머리 지지부나 머리 보호부 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쿠션 구조는 복수개의 제 1 관통 구멍을 가지는 제 1 쿠션 부재와, 복수개의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을 각각 가지고 제 1 쿠션 부재의 양쪽에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은 서로 대항하지 않고, 제 1 관통 구멍과 소통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의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 각각은 서로 대항하지 않기 때문에, 충격 하중이 머리 지지부나 머리 보호부에 적용되고 제 1 쿠션 부재가 변형되었을 때 제 1 쿠션 부재로부터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로 누출되는 공기 유동에 공기 저항이 발생한다. 이 결과로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하중은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제 4 발명의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에 따라서, 머리 지지부는 머리 지지부의 단부에 있는 머리 보호부를 세움으로써 측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유아 머리의 후면부는 머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유아 머리의 상단부는 머리 보호부에 의해 보호된다. 이런 세워진 상태의 머리 보호부는 베이비 캐리어의 상부로부터 유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머리 지지부가 측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될 때, 머리 보호부는 세워지지 않은 상태로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혀지거나 머리 지지부로부터 제거된다. 이때, 유아 머리의 후면부는 머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에, 머리 지지부가 종향향 지지 형태로부터 측방향 지지 형태로 변경될 때, 머리 보호부는 세워진 상태로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혀져 있던 머리 보호부가 세워지거나, 머리 지지부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머리 보호부가 머리 지지부에 설치되고 세워진다. 반대로, 머리 지지부가 측방향 지지 형태로부터 종방향 지지 형태로 변경될 때,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부의 후면측을 향해 접혀지거나, 머리 지지부로부터 제거된다.
이 방식에서, 제 4 발명에 따라서, 종방향 지지 형태와 측방향 지지 형태 사이의 변환 작업이 머리 보호부의 작용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유아는 측면으로 지지되어 있을 때 유아의 머리측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보호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한 벨트편이 머리 지지부의 외측에제공될 수 있다.
머리 보호부는 실질적인 볼록 또는 오목 굴곡면을 경유하여 머리 지지체의 후면측상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머리 지지체의 유아의 머리측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유아 머리의 상단부는 유아가 측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을 때 이 세워진 머리 보호부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체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머리 보호부는 머리 보호부가 필요한 측방향 지지시에 머리 지지체에 설치된다.
머리 지지체상에 머리 보호부의 설치시에, 머리 보호부는 머리 지지체의 유아의 머리측을 향하여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머리 보호부는 실질적인 볼록 또는 오목 굴곡면을 경유하여 머리 지지체의 후면측상에 설치되고 머리 지지체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짐에 의해 세워져서 기립 상태를 유지한다.
머리 보호부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의 측면에 위치된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제 1 쿠션 부재와, 제 1 쿠션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쿠션 부재와, 이들 사이에 삽입된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 지지체나 머리 보호부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쿠션 구조는 소정의 공간 영역을 형성하는 공기 저장부와 충격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는 공기 저장부를 둘러싸고, 외부 충격에 의해 공기 저장부가 변형되었을 때 공기 저장부내의 공기의 누출에 의해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충격 흡수부는 공기 저장부와 소통하는 절결부나 바이-패스 포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공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머리 지지체나 머리 보호부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쿠션 구조는 복수개의 제 1 관통 구멍을 가진 제 1 쿠션 부재와, 복수개의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을 각각 가지며 제 1 쿠션 부재의 양쪽 측면에 있는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은 서로 대항하지 않고 제 1 관통 구멍과 소통한다.
이 경우에,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의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은 서로 대항하지 않기 때문에, 머리 지지체나 머리 보호부에 충격 하중이 적용되어 제 1 쿠션 부재가 변형되었을 때, 제 1 관통 구멍으로부터 제 2 및 제 3 관통구멍으로 누출되는 공기 유동내에 공기 저항이 발생한다. 이 결과로 외부로부터의 충격 하중은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도 1은 전개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의 정면도.
도 2는 전개된 상태의 도 1의 베이비 캐리어의 후면도.
도 3은 머리 보호부의 사용법을 도시하는 머리 보호보와 머리 지지부의 측면도.
도 4는 머리 보호부의 사용법을 도시하는 머리 보호부와 머리 지지부의 측면도.
도 5는 머리 보호부의 사용법을 도시하는 머리 보호부와 머리 지지부의 측면도.
도 6은 머리 보호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7은 머리 지지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제 1 선택적 실시예의 확대도.
도 9는 도 7의 제 2 선택적 실시예의 확대도.
도 10은 도 7의 제 3 선택적 실시예의 확대도.
도 11은 도 7의 제 4 선택적 실시예의 확대도.
도 12는 유아가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종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되는 베이비 캐리어의 사시도.
도 14는 측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되는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5는 측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되는 베이비 캐리어의 사시도.
도 16은 머리 보호부의 선택적인 실시예의 확대도.
도 17은 측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되는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의 벨트를 죄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8은 종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되는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의 벨트를 죄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9는 측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되는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0은 종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되는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비 캐리어2 : 캐리어 본체
3 : 전방 덮개부4 : 가랑이 덮개부
5 : 등 덮개부6, 7 : 어깨 벨트
8 : 머리 지지부9 : 머리 보호부
31, 32 : 후크 부재28, 29, 28', 29' : 환형 부재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비 캐리어(1)는 캐리어 본체(2)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본체(2)는 유아의 복부와 가랑이와 등 부분을 각각 지지하는 전방 덮개부(3)와 좁은 가랑이 덮개부(4)와 등 덮개부(5)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부(3, 4, 5)는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어깨 벨트(6, 7)의 말단부는 등 덮개부(5)의 대향 단부에 연결된다. 상방으로 연장된 벨트 부재(10, 11)는 어깨 벨트(6, 7)상에 재봉된다. 벨트 부재(10, 11)는 어깨 벨트(6, 7)의 말단부위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추가적으로 연장되며, 원-터치 버클(12, 13)이 상기 벨트 부재(10, 11)의 팁에 부착되어 있다.
벨트 부재(10, 11)는 등 덮개부(5)의 대향 단부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가랑이 덮개부(4)의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하며, 전방 덮개부(3)의 아래로 추가적으로 하방으로 연장된다. 캐리어 본체(2)의 벨트 부재(10, 11)는 필수적으로 캐리어 본체(2)의 내측에 위치될 필요는 없다.
덮개형 버클(20, 21)이 벨트 부재(10, 11)의 저면 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버클(20, 21)은 원-터치 버클(12, 13)과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원-터치 버클(22, 23)과, 상기 원-터치 버클(22, 23)의 작동부를 덮는 개방 및 폐쇄 기능을 가진 덮개(24, 25)로 구성된다.
측방향 연장 벨트 부재(30)는 전방 덮개부(3)의 하부에 연결된다. 후크 부재(31, 32)는 상기 벨트 부재(30)의 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후크 부재(31, 32)는 등 덮개부(5)상의 포켓(14)의 대향측에 부착된 쌍을 이루는 D형 환형 부재(28, 29 또는 28', 29')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환형 부재(28, 29)는 베이비 캐리어(1)를 측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환형 부재(28', 29')는 베이비 캐리어(1)를 종향향 지지 형태로 사용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환형 부재의 수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측방향 및 종방향 지지 양쪽 모두를 위한 복수개의 환형부재 쌍이 제공될 수 있다.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부(8)는 등 덮개부(5)의 상부 단부상에 제공된다. 머리 지지부(8)는 머리 지지체(8a)와 머리 지지체(8a)의 대향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벤드형 부분(8b)을 포함한다. 머리 지지체(8a)의 하부는 등 덮개부(5)상의 포켓(14)내로 삽입되고, 포켓(14) 내측의 접착포(또는 표면 고정장치)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부가적으로, 베이비 캐리어(1)가 측방향 지지 형태로 사용될 때 보호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해 머리 지지체(8a)상에 벨트편(35)이 제공된다.
스냅 패스너(16, 17 및 18, 19; snap fastener)가 벤드형 부분(8b)의 단부에 각각 부착된다. 스냅 패스너(16, 17)는 어깨 벨트(6)상에 설치된 스냅 패스너(26, 27)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스냅 패스너(18, 19)는 어깨 벨트(7)상에 설치된 스냅 패스너(26', 27')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스냅 패스너(26, 27, 26', 27')는 등 덮개부(5)의 상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원형인 머리 보호부(9)가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 지지부(8)의 상부에 제공된다. 머리 보호부(9)가 머리 지지부(8)의 후면상에 배치될 때, 머리 보호부(9)의 상단부에 있는 볼록면(9a)은 머리 지지부(8)의 상단부상에 부착된다. 따라서, 머리 보호부(9)의 부착면은 볼록하게 굴곡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이 볼록 굴곡면(9a)은 엄밀한 굴곡면일 필요는 없으며,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제, 머리 보호부(9)와 머리 지지부(8)에 관하여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머리 지지부(8)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측면(A) 또는 머리 지지체(8a)의 좌측면은 유아의 머리가 위치되는 유아측면이고, 측면(B)은 머리 지지부(8)의 후면이다. 도 3은 머리 보호부(9)가 머리 지지부(8)의 후면측을 향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머리 보호부(9)가 유아의 측면을 향해 접혀져 세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머리 보호부(9)가 상술한 두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접혀진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세워진 상태로 머리 보호부(9)의 상태를 변화시킬 때, 단지 화살표 방향(도 3 및 도 4 참조)으로 점진적으로 머리 보호부(9)의 하부를 들어올리고, 머리 보호부(9)를 측면(A)을 향해 접기만 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머리 보호부(9)는 접합면이 볼록하게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도 6은 머리 보호부(9)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측면(A)은 내부 또는 머리 보호부(9)가 세워져 있는 상태(도 5 참조)로 유아 머리의 상단부가 위치되어 있는 측면을 도시하고, 측면(B)는 측면(A)에 대향한 측면 또는 머리 보호부(9)의 외측면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보호부(9)는 단단한 판형 코어 부재(40)를 포함한다. 코어 부재(40)의 대향 측면에대해서, 제 1 땀흡수 쿠션 부재(41)가 측면(A)상에 위치되고,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2 쿠션 부재가 측면(B)에 위치된다. 쿠션 부재(41, 42)는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지지부(8)는 5층 구조를 포함한다. 이 5층 구조는 비교적 작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예로서, 폴리우레탄 포옴(folyurethane foam)으로 제조된 쿠션 부재(51, 52, 53)와, 비교적 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쿠션 부재(51, 52, 53)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예로서, 폴리에틸렌 포옴으로 제조된 쿠션부재(54, 55)로 구성된다. 코어 부재(56)는 쿠션 부재(53)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런 5층 구조를 채용함에 의해, 유아의 머리는 부드럽게 지지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더욱이, 공기 쿠션 구조는 머리 지지부(8) 내측에 제공된다. 이 공기 쿠션 구조는 쿠션 부재(52)에 경성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52a)과, 쿠션 부재(52)상의 각 관통 구멍(52a)에 대응하도록 쿠션 부재(54, 55)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작은 관통 구멍(54a, 55a)으로 구성된다. 관통 구멍(54a, 55a)은 쿠션 부재(52)의 관통 구멍(52a)을 경유하여 서로 소통되지만 서로 대면하지는 않는다.
그에 의해, 각 쿠션 부재가 머리 지지부상에 적용된 충격 하중에 의해 변형될 때, 쿠션 부재(52)의 관통 구멍(52a)으로부터 쿠션 부재(54, 55)의 관통 구멍(54a, 55a)으로 누출되는 공기 유동에 공기 저항이 발생된다. 이 결과로, 외부로부터의 충격 하중이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부가적으로, 머리 지지부(8)를 위한 공기 쿠션 구조로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쿠션 부재(60, 70, 80, 90)가 도 7의 쿠션 부재(52, 54, 55)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쿠션 부재로서 각각 사용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공기 저장부(60a)가 쿠션 부재(60)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공기 저장부(60a) 각각과 소통하는 한쌍의 관통 구멍(60b)이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공기 저장부(70a)가 쿠션 부재(70)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공기 저장부(70) 각각의 대향측면에 한쌍의 절결부(70b)가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공기 저장부(80a)가 쿠션 부재(80)의 내측에 제공되고, 다공성 부재(81)가 공기 저장부(80a) 각각의 둘레에 환형으로 배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공기 저장부(90a)가 쿠션 부재(90) 내측에 제공되고, 다공성 부재(91)가 공기 저장부(90a) 둘레에 밴드 형태로 배치된다.
소정의 경우에 있어서, 쿠션 부재가 충격 하중이 적용되어 변형될 때, 각 공기 저장부(60a, 70a, 80a, 90a)내의 공기는 화살표 방향으로 전달되며, 각각 관통 구멍(60b)과, 절결부(70b)와, 다공성 부재(80a, 90a)를 통해 누출된다. 그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충격 하중이 흡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공기 쿠션 구조도 머리 보호부(9)에 사용될 수 있다.
베이비 캐리어(1)내에 유아를 유지할 때, 머리 지지부(8)의 벤드형 부분(8b)상의 스냅 패스너(16 내지 19)는 어깨 벨트(6, 7)상의 스냅 패스너(26, 27, 26', 27')와 맞물린다. 이 상태에 있어서, 유아는 캐리어 본체(2)상에(또는 도 2에 도시된 측면상에) 위치된다.
그후, 전방 덮개부(3)는 유아의 상체를 향해 접혀지고, 벨트 부재(30)의 대향 단부에 있는 후크 부재(31, 32)는 등 덮개부(5)상의 대응하는 환형 부재(28, 29 또는 28', 29')와 맞물린다. 그에 의해, 가랑이 덮개부(4)는 유아의 가랑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백(bag) 형태로 형성되며(도 12 참조), 따라서, 유아가 베이비캐리어(1)의 하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환형 부재(28, 29 또는 28', 29')중 어느쪽이 후크 부재(31, 32)와 결합되는 지를 결정하는 것은 하기의 규칙을 따를 수 있다.
종방향 지지 형태로 베이비 캐리어(1)를 사용할 때, 후크 부재(31, 32)는 등 덮개부(5)의 상부 위치상의 환형 부재(28, 29)와 결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아의 가랑이 개방부는 확대되고, 따라서, 유아는 종방향으로 유지될 때 엉덩이 결합부분을 다치지 않고 캐리어 본체(2)상에 유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측방향 지지 형태로 베이비 캐리어(1)를 사용할 때, 후크 부재(31, 32)는 등 덮개부(5)의 하부상의 환형 부재(28', 29')와 결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아의 무게 중심은 백 형태의 캐리어 본체내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는 캐리어 본체(2)내에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후, 어깨 벨트(6, 7)상의 원-터치 버클(12, 13)이 전방 덮개부(3) 옆의 덮개형 버클(20, 21)과 맞물린다. 이들 버클이 서로 결합될 때, 원-터치 버클(12, 13)은 덮개(24, 25)가 개방된 원-터치 버클(22, 23)과 맞물리고, 그후, 덮개(24, 25)가 닫혀진다. 이 방식으로, 베이비 캐리어(1)가 조립되고, 유아가 베이비 캐리어(1)내에 유지된다(도 12 참조).
다음에, 종방향 지지 형태로 베이비 캐리어(1)를 사용할 때, 도 1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어깨 벨트(6, 7)가 보호자(P)의 양쪽 어깨에 걸린다(도 13 참조). 이때, 유아 머리의 후면부는 머리 지지부(8)에 의해 지지된다.
이 종방향 지지 형태로 베이비 캐리어(1)를 사용할 때, 어깨 벨트(6)상의원-터치 버클(12)은 전방 덮개부(3) 옆의 덮개형 버클(20)과 맞물리고, 어깨 벨트(7)상의 원-터치 버클(13)은 전방 덮개부(3) 옆의 덮개형 버클(21)과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 12에 도시된 상태와는 다른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어깨 벨트(6, 7)는 교차상태로 어깨에 걸려진다.
다른 한편, 측방향 지지 형태로 베이비 캐리어(1)를 사용할 때, 도 1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머리 보호부가 유아쪽을 향해 접혀지고, 세워진다(도 3 내지 도 5 참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머리 보호부(9)의 접합면은 볼록하게 굴곡되며, 이것이 도 5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머리 보호부(9)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어깨 벨트(6, 7)는 보호자(P)의 한쪽 어깨상에 다발을 이루어 위치된다(도 15 참조). 이때, 유아 머리의 후면부는 머리 지지부(8)에 의해 지지되고, 유아 머리의 상단부는 머리 보호부(9)에 의해 보호된다. 이 세워진 상태의 머리 보호부(9)는 베이비 캐리어(1)의 상부로부터 유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부가적으로, 측방향 지지 형태로 베이비 캐리어(1)를 사용할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P)는 벨트부(35)내측에 그/그녀의 손을 넣어서 머리 지지부(8)의 하부로부터 유아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다.
그때,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1)는 종방향 지지 형태로부터 측방향 지지 형태로 변환될 때, 단지 후면측을 향해 접혀있던 머리 보호부(9)를 세우기만 하면 된다. 반대로, 베이비 캐리어(1)가 측방향 지지 형태로부터 종방향 지지 형태로 변환될 때에는 단지 세워진 머리 보호부(9)를 후면측을 향해 접기만 하면 된다. 양자의경우에 있어서, 어깨 벨트(6, 7)는 보호자의 어깨상에서 그 위치만 바꾸어 사용된다.
이 방식으로, 종방향 지지 형태와 측방향 지지 형태 사이의 변환 작업이 머리 보호부(9)를 뒤로 접거나 세움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머리 보호부(9)는 그 상단부에서 볼록 굴곡면(9a)을 가지고, 머리 지지부(8)의 상단부에 꿰메져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도 16에서는 머리 보호부(9)가 그 상단부에 오목 굴곡면(9'a)를 가지고, 머리 지지부(8)의 오목 굴곡면과 꿰메져 결합되어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머리 보호부(9)는 유아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16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 또는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되어 있다. 오목 굴곡면(9'a)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머리 보호부(9)는 머리 지지부(8)에 고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머리 보호부(9)는 스냅 패스너, 접착포등의 분리가능한 결합 부재에 의해 머리 지지부(8)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머리 보호부(9)를 머리 지지부(8)상에 설치할 때, 머리 보호부(9)는 머리 지지부(8)의 유아의 머리측면상에 부착되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머리 보호부(9)가 필요하지 않을 때, 머리 지지부(8)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머리 보호부(9)를 머리 지지부(8)상에 설치할 때, 머리보호부(9)는 실질적인 오목 또는 볼록 굴곡면을 경유하여 머리 지지부(8)의 후면측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머리 보호부(9)는 머리 지지부(8)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록 캐리어 본체가 전방 덮개부와 가랑이 덮개부와 등 덮개부가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본 발명은 전방 덮개부와 가랑이 덮개부가 없는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베이비 캐리어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의 머리 지지부와 동일한 머리 지지부가 캐리어 본체(101)의 머리 받침부(102)에 부착될 수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측방향 지지시에 머리 보호부를 세움으로서, 유아가 그 머리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가랑이쪽으로 떨어질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캐리어 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본체가 조립되었을 때 백 형태로 가랑이 덮개부가 형성되는 것 또는 미리 백 형태로 가랑이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말하면, 캐리어 본체가 백 형 형태인 것인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종류의 베이비 캐리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된 특성과 원리를사용하는 변용 및 다른 실시예들을 만들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일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져서는 안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바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아직도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한 구조와 순서와 재료의 변용들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43)

  1. 유아를 지지하여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1)에 있어서,
    유아를 수용하는 캐리어 본체(2)와,
    상기 캐리어 본체(2)에 설치되어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8)와,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선단부에서 유아 머리의 상단부측으로 세울수 있도록 설치되어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머리 보호부(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2. 유아를 지지하여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1)에 있어서,
    유아의 복부, 가랑이부 및 등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전방 덮개부(3)와, 폭이 좁은 가랑이 덮개부(4) 및 등 덮개부(5)를 일체로 형성하고, 베이비 캐리어(1)의 조립시에는 상기 전방 덮개부(3)가 상기 등 덮개부(5)측으로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어서 상기 가랑이 덮개부(4)가 백(bag) 형상으로 형성되는 캐리어 본체(2)와,
    상기 캐리어 본체(2)에 설치된 어깨 벨트(6, 7)와,
    상기 등 덮개부(5)에 설치되어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8)와,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선단부에서 유아 머리의 상단부측으로 세울수 있도록 설치되어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머리 보호부(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유아를 지지 및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1)에 있어서,
    유아의 복부, 가랑이부 및 등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전방 덮개부(3)와, 폭이 좁은 가랑이 덮개부(4)와 등 덮개부(5)를 일체로 형성한 캐리어 본체(2)를 가지고,
    상기 등 덮개부(5)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다는 한쌍의 어께 밸트(6, 7)가 설치되어 있고, 그 각 선단부에는 각각 제 1 벨트 부재(10, 11)를 경유하여 제 1 버클(12, 13)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 덮개부(3)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각 제 1 버클(12, 13)이 각각 자유롭게 끼우고 뺄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 2 버클(20, 21)이 제 2 벨트 부재(10, 11)를 경유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 덮개부(3)의 좌우 양측면에는 각각 제 3 벨트 부재(30)를 경유하여 후크 부재(31, 32)가 설치되고,
    상기 등 덮개부(5)에는 상기 각 후크 부재(31, 32)가 각각 자유롭게 끼우고 뺄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한 쌍 이상의 환형 부재(28, 29; 28', 2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등 덮개부(5)에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부(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선단부에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 측으로 세울수 있도록 설치되어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머리 보호부(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는 상기 캐리어 본체(2) 또는 상기 등 덮개부(5)와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외측에는 보호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해 벨트편(35; belt piece)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실질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형상으로 굴곡된 부착면(9a)을 경유하여 상기 머리 지지부(8)의 후면측에 고정되고,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상기 머리 지지부(8)에 자유롭게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부(8)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유아 머리의 상단부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실질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 형상으로 굴곡된 부착면(9a)을 경유하여 상기 머리 지지부의 후면상에 부착되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측에 위치된 땀을 흡수하는 제 1 쿠션 부재(41)와, 그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쿠션 부재(42)와, 이들 사이에 삽입된 코어 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 또는 상기 머리 보호부(9) 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 쿠션 구조는 소정의 공간 영역을 형성하는 공기 저장부(60a, 70a)와,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를 둘러싼 영역에 설치되어 충격에 의해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가 변형될때,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로부터의 공기를 누출시켜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공기 저장부(60a)에 연통된 바이-패스 포트(6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공기저장부(70a)에 연통된 절결부(70b; not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다공성 재료(81, 9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 또는 상기 머리 보호부(9) 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 쿠션 구조는 복수개의 제 1 관통 구멍을 가진 제 1 쿠션 부재(52)와, 상기 제 1 쿠션 부재(52)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쿠션 부재(52)의 각 관통 구멍(52a)과 연통하지만 서로 대면하지는 않는 복수개의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54a, 55a)을 각각 가지는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54, 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14. 유아를 지지하여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1)에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8)에 있어서,
    유아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체(8a)와,
    상기 머리 지지체(8a)의 선단부에서 유아 머리의 상단부측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유아 머리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머리 보호부(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체의 외측에는 보호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해 벨트편(3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실질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형상으로 굴곡된 부착면(9a, 9'a)을 경유하여 상기 머리 지지체(8a)의 후면측에 고정되고, 상기 머리 지지체(8a)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상기 머리 지지체(8a)에 자유롭게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체(8a)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체(8a)의 유아 머리의 상단부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실질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 형상으로 굴곡된 부착면(9a, 9'a)을 경유하여 상기 머리 지지부의 후면상에 부착되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체(8a)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측에 위치된 땀을 흡수하는 제 1 쿠션 부재(41)와, 그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쿠션 부재(42)와, 이들 사이에 삽입된 코어 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체(8a) 또는 상기 머리 보호부(9) 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 쿠션 구조는 소정의 공간 영역을 형성하는 공기 저장부(60a, 70a)와,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를 둘러싼 영역에 설치되어 충격에 의해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가 변형될때,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로부터의 공기를 누출시켜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공기 저장부(60a)에 연통된 바이-패스 포트(6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공기저장부(70a)에 연통된 절결부(7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다공성 재료(81, 9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체(8a) 또는 상기 머리 보호부(9) 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 쿠션 구조는 복수개의 제 1 관통 구멍을 가진 제 1 쿠션 부재(52)와, 상기 제 1 쿠션 부재(52)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쿠션 부재(52)의 각 관통 구멍(52a)과 연통하지만 서로 대면하지는 않는 복수개의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54a, 55a)을 각각 가지는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54, 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용 머리 지지부.
  2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는 상기 캐리어 본체(2) 또는 상기 등 덮개부(5)와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2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외측에는 보호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해 벨트편(3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실질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형상으로 굴곡된 부착면(9a)을 경유하여 상기 머리 지지부(8)의 후면측에 고정되고,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2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상기 머리 지지부(8)에 자유롭게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부(8)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유아 머리의 상단부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실질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 형상으로 굴곡된 부착면(9a)을 경유하여 상기 머리 지지부의 후면상에 부착되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측에 위치된 땀을 흡수하는 제 1 쿠션 부재(41)와, 그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쿠션 부재(42)와, 이들 사이에 삽입된 코어 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 또는 상기 머리 보호부(9) 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 쿠션 구조는 소정의 공간 영역을 형성하는 공기 저장부(60a, 70a)와,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를 둘러싼 영역에 설치되어 충격에 의해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가 변형될때,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로부터의 공기를 누출시켜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공기 저장부(60a)에 연통된 바이-패스 포트(6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공기저장부(70a)에 연통된 절결부(7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다공성 재료(81, 9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 또는 상기 머리 보호부(9) 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 쿠션 구조는 복수개의 제 1 관통 구멍을 가진 제 1 쿠션 부재(52)와, 상기 제 1 쿠션 부재(52)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쿠션 부재(52)의 각 관통 구멍(52a)과 연통하지만 서로 대면하지는 않는 복수개의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54a, 55a)을 각각 가지는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54, 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는 상기 캐리어 본체(2) 또는 상기 등 덮개부(5)와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외측에는 보호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해 벨트편(3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실질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형상으로 굴곡된 부착면(9a)을 경유하여 상기 머리 지지부(8)의 후면측에 고정되고,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상기 머리 지지부(8)에 자유롭게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부(8)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유아 머리의 상단부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실질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 형상으로 굴곡된 부착면(9a)을 경유하여 상기 머리 지지부의 후면상에 부착되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가 상기 머리 지지부(8)의 유아의 머리쪽을 향해 접혀졌을 때, 세워져서 기립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부(9)는 유아 머리의 상단부측에 위치된 땀을 흡수하는 제 1 쿠션 부재(41)와, 그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쿠션 부재(42)와, 이들 사이에 삽입된 코어 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 또는 상기 머리 보호부(9) 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 쿠션 구조는 소정의 공간 영역을 형성하는 공기 저장부(60a, 70a)와,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를 둘러싼 영역에 설치되어 충격에 의해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가 변형될때, 상기 공기 저장부(60a, 70a)로부터의 공기를 누출시켜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공기 저장부(60a)에 연통된 바이-패스 포트(6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공기저장부(70a)에 연통된 절결부(7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42. 청구항 4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다공성 재료(81, 9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43.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지지부(8) 또는 상기 머리 보호부(9) 중 하나 이상은 공기 쿠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공기 쿠션 구조는 복수개의 제 1 관통 구멍을 가진 제 1 쿠션 부재(52)와, 상기 제 1 쿠션 부재(52)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쿠션 부재(52)의 각 관통 구멍(52a)과 연통하지만 서로 대면하지는 않는 복수개의 제 2 및 제 3 관통 구멍(54a, 55a)을 각각 가지는 제 2 및 제 3 쿠션 부재(54, 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KR1019990002344A 1998-01-28 1999-01-26 베이비 캐리어 KR100327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0556 1998-01-28
JP3055698 1998-01-28
JP36590098A JP4138982B2 (ja) 1998-01-28 1998-12-24 ベビーキャリアおよびベビーキャリア用ヘッドサポート
JP98-365900 1998-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121A KR19990068121A (ko) 1999-08-25
KR100327849B1 true KR100327849B1 (ko) 2002-03-09

Family

ID=2636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344A KR100327849B1 (ko) 1998-01-28 1999-01-26 베이비 캐리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57468B1 (ko)
EP (1) EP0931487A3 (ko)
JP (1) JP4138982B2 (ko)
KR (1) KR100327849B1 (ko)
CN (1) CN1119966C (ko)
TW (1) TW38524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609A3 (ko) * 2014-10-30 2016-06-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중분산형 하네스
KR101828820B1 (ko) * 2014-10-30 2018-0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중분산형 하네스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003859L (no) * 2000-07-27 2002-01-28 Torgersen Hans & Soenn B¶reinnretning for barn
US7322498B2 (en) 2003-09-10 2008-01-29 The Ergo Baby Carrier, Inc. Baby carrier
KR20070011232A (ko) * 2003-10-20 2007-01-24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베이비 밴드
JP2005270176A (ja) * 2004-03-23 2005-10-06 Aprica Kassai Inc 子守帯
JP4391347B2 (ja) * 2004-07-12 2009-12-2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子守帯
JP2007215551A (ja) * 2004-08-30 2007-08-30 Nippon Eitekkusu Kk ベビーキャリア
SE528184C2 (sv) * 2005-03-10 2006-09-19 Baby Bjoern Ab Barnbärsele
AU2006263324A1 (en) * 2005-06-27 2007-01-04 Ronit Bachar Baby and toddler carrier
JP2007111482A (ja) * 2005-09-21 2007-05-10 Aprica Kassai Inc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089883A (ja) * 2005-09-29 2007-04-12 Lucky Kogyo Kk ベビースリング
US9179758B2 (en) * 2005-12-16 2015-11-10 Kolcraft Enterprises, Inc. Child carrier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JP5026720B2 (ja) * 2006-03-31 2012-09-19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US20080087694A1 (en) * 2006-10-12 2008-04-17 Audra Meng Hands-free baby carrier
WO2009084057A1 (en) * 2008-01-02 2009-07-09 Raffaella Abbate Baby holder with convertible structure
US9386863B1 (en) 2010-06-18 2016-07-12 Boba Inc. Child carrier and methods of use
US9314111B2 (en) 2012-09-21 2016-04-19 BityBean LLC Convertible child carrier
CN105377085B (zh) 2013-03-13 2018-06-19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儿童载具
DE202013010298U1 (de) * 2013-11-15 2013-12-16 Lewon Schaarschmidt Kleinkind- und Babytrage und Verlängerungselement zur Verwendung als Bestandteil einer Kleinkind- und Babytrage
US10426275B2 (en) 2015-10-30 2019-10-01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O2017117493A1 (en) 2015-12-31 2017-07-06 Cummings Kimberly Infant carrier
CN110035677B (zh) * 2016-10-28 2022-12-23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具有多个承载取向的可调整儿童载具
USD844973S1 (en) 2017-02-10 2019-04-09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US10264894B2 (en) 2017-02-10 2019-04-23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US10555620B2 (en) 2017-02-10 2020-02-11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11389011B2 (en) 2017-02-10 2022-07-19 The Boppy Company, Llc Newborn carrier
US10264895B2 (en) 2017-02-22 2019-04-23 Kolcraft Enterprises, Inc. Adjustable child carriers
US11399638B2 (en) * 2017-06-23 2022-08-02 Kimberly Cummings Multifunctional infant carrier
US11272791B2 (en) * 2018-10-15 2022-03-15 Angelique N. Warner Multiple position baby carrier
CN110384365A (zh) * 2018-04-19 2019-10-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抱婴带
US10905252B2 (en) 2018-04-19 2021-02-02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carrier
CN113382664B (zh) 2018-11-26 2022-08-16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带有增强的运动自由度的可调节型儿童背带
USD882244S1 (en) 2018-12-28 2020-04-28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D910309S1 (en) 2019-07-24 2021-02-16 The Boppy Company, Llc Component for baby carrier
USD1024541S1 (en) 2020-06-19 2024-04-30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EP4292479A1 (en) 2020-06-19 2023-12-20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D971589S1 (en) * 2020-11-02 2022-12-06 Jiang Jin Baby carrier
USD975431S1 (en) * 2020-12-18 2023-01-17 Wonderland Switzerland Ag Infant carrier
USD1010305S1 (en) * 2020-12-18 2024-01-09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8358A (en) * 1949-11-04 1953-02-17 Josette M Neils Baby carrier
US4923104A (en) * 1987-10-27 1990-05-08 Doris Rice Child carrier and protector
US5071047A (en) 1990-06-04 1991-12-10 Claire Cordisco Baby carrier
US5205451A (en) 1992-01-27 1993-04-27 Manzer Donna S Infant carrier
US5246152A (en) 1992-07-10 1993-09-21 Dotseth Junice A Baby carrier with head support
US5224229A (en) * 1992-09-11 1993-07-06 Smith Dale A Infant protective device for use in vehicles
GB9317832D0 (en) * 1993-08-27 1993-10-13 Mercia Safety Centre Ltd Baby protector
JPH08150051A (ja) 1994-09-28 1996-06-11 Aprica Kassai Inc 乳幼児キャリア
JP3523387B2 (ja) 1995-09-13 2004-04-26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幼児キャリア
KR100257802B1 (ko) * 1997-02-17 2000-06-01 갓사이 겐조 베이비 캐리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609A3 (ko) * 2014-10-30 2016-06-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중분산형 하네스
KR101828820B1 (ko) * 2014-10-30 2018-0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중분산형 하네스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5240B (en) 2000-03-21
EP0931487A2 (en) 1999-07-28
CN1119966C (zh) 2003-09-03
CN1224594A (zh) 1999-08-04
KR19990068121A (ko) 1999-08-25
US6257468B1 (en) 2001-07-10
EP0931487A3 (en) 2001-08-08
JP4138982B2 (ja) 2008-08-27
JPH11276311A (ja) 199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849B1 (ko) 베이비 캐리어
KR100257802B1 (ko) 베이비 캐리어
US6298509B1 (en) Convertible diaper bag/changing pad
KR101204618B1 (ko) 후드 부착 아기띠
KR100386652B1 (ko) 패드부착 베이비 캐리어
US6327726B1 (en) Baby diaper-changing pad for use in a motor vehicle
US6325259B1 (en) Hip pouch baby carrier
US20060011678A1 (en) Nursery band
EP2194817B1 (e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carrier means
US6036263A (en) Infant rest
US6112960A (en) Combination sling carrier and cushion
US6283347B1 (en) Fully enclosable backpack baby carrier
AU681538B2 (en) Baby carrier
US6581228B1 (en) Portable changing apparatus for an infant
CA2455697A1 (en) Seat boot with cover
KR101552712B1 (ko) 아기 운반용 외출가방
CA1123796A (en) Baby-carrier without rigid frame
US20020053583A1 (en) Motorcycle pack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and attachment system for modular bags
CN212212287U (zh) 宠物车
KR100531611B1 (ko) 유아용 포대기
JP2002253394A (ja) 頭部サポート部材付ベビーキャリア
JPH0616499Y2 (ja) ペット犬の運搬バッグ
KR200353453Y1 (ko) 유아용 시트커버
KR200348986Y1 (ko) 베이비 캐리어
JP3523386B2 (ja) 乳幼児キャリア用ヘッドサポートおよび乳幼児キャリ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