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675B1 -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675B1
KR100327675B1 KR1019990019322A KR19990019322A KR100327675B1 KR 100327675 B1 KR100327675 B1 KR 100327675B1 KR 1019990019322 A KR1019990019322 A KR 1019990019322A KR 19990019322 A KR19990019322 A KR 19990019322A KR 100327675 B1 KR100327675 B1 KR 10032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reen
train
mjpeg
hard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022A (ko
Inventor
김봉택
Original Assignee
김봉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택 filed Critical 김봉택
Priority to KR101999001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675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전동차, 기관차 등) 운전 연습을 위한 열차 시뮬레이터 (TRAIN SIMULATOR)(이하, 시뮬레이터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관대와, 교관대스위치제어패널과, 교관대영상장치와, 통신시스템과, 컴퓨터 시스템과, 운전대, 그래픽표시장치와, 음향장치와, 영상시스템 등으로 이루어진 열차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영상시스템은,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된 영상을 MJPEG의 포맷에 맞추어 저장하는 하드디스크와; 상기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MJPEG과; 상기 하드디스크와 MJPEG의 동작을 제어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시키는 컴퓨터와; 스크린과; 상기 MJPEG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영상 촬영시 실제속도로 촬영하여 이를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MJPEG을 통해 저장, 독출함으로 인해 열차의 서행운전시(저속재생시) 영상의 단절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임의 구간에 대한 반복 표출이 용이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스크린에의 영상 투사시에는 스크린의 후면에서 영상을 투사하여, 훈련생과 스크린 사이의 공간을 어둡게 함으로써(암실구성) 영상이 선명게 됨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TRAIN SIMULATOR USING DIGITAL IMAGE}
본 발명은 열차(전동차, 기관차 등) 운전 연습을 위한 열차 시뮬레이터(TRAIN SIMULATOR)(이하, 시뮬레이터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훈련 구간(선로)을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하여 이를 하드디스크(HARD DISK)에 저장한 후, 엠제이펙(MOTION 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 이하 'MJPEG'이라 한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표출하고, 또한, 영상 투사시에는 스크린의 후면에서 후면 투사시킴으로써, 임의 구간에 대한 반복 표출(반복 훈련)이 가능하고, 저속에서의 영상 단절이 없으며, 선명도가 높고, 비용이 저렴하며, 설치가 용이한 열차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시뮬레이터는, 도1 내지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컨트롤 모니터(CONTROL MONITOR) 등으로 이루어진 교관대(INSTRUCTION'S STATION)(1)와; 속도계, 에어브레이크 측정기(AIRBRAKE GAUGES), 컨트롤 스위치(CONTROL SWITCHES) 등으로 이루어진 교관대스위치제어패널(INSTRUCTOR'S SWITCH CONTROL PANEL)(2)과; 전방 영상장치(FORWARD VISUAL), 측면영상장치(SIDEVIEW VISUAL), 운전실 그래픽장치, CCTV 등으로 이루어진 교관대영상장치(INSTRUCTOR'S REPEAT DISPLAYS)(3)와; 부저(BUZZER), 마이크(MICROPHONE), 컨트롤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4)과;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5)과; 운전대(CONTROL STAND)(6)와; 열차 움직임, 브레이크 압력, 트랙 프로파일(TRACK PROFILE) 등을 나타내는 그래픽표시장치(GRAPICS DISPLAY UNIT)(7)와; 음향장치(SOUNT SYSTEM)(8)와; 전방영상과 측면영상을 제어하는 영상시스템(VISUAL SYSTEM)(9)과; 엔진 컨트롤 패널과 같은 기타 부가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1은 시뮬레이터의 모듈별 블록을 나타낸 것이고, 도2는 운전실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3은 교관실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4는 시뮬레이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시뮬레이터는, 교관이 교관대(1)를 통해 훈련 구간과, 훈련 내용을 입력하면, 이에 따라 훈련생이 훈련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과정을 컴퓨터시스템(5)에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음향장치(8)와 영상시스템(9)은, 훈련 구간에 대한 실영상 및 음향을 출력시켜 현장감을 나타내며, 훈련 내용 및 점수는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다.
이하, 상기 영상시스템(9)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종래 영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시스템의 호스트컴퓨터(16)에 의해 제어되어, 훈련구간을 촬영한 비디오디스크(VIDEO DISK)를 플레이(PLAY)하는 4개의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VIDEO DISK PLAYER)(11∼14)와; 상기 호스트컴퓨터(16)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11∼14)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비디오스위치(15)와; 상기 비디오스위치(15)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스크린(20)에 투사하는 프로젝터(PROJECTOR)(17)와; 상기 프로젝터(17)를 제어하는 제어패널(18)과; 교관용 모니터(1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영상시스템은, 비디오디스크에 저장된 영상을 호스트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속도로 재생하여 스크린(20)에 투사하여 줌으로써, 열차의정지, 운행 및, 서행과 고속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전면 투사방식을 사용하여 영상을 재현함으로 인해, 프로젝터의 스크린 투사 영상에 대한 빛으로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이 선명하지 못하다는 문제점 및, 상기 프로젝터의 설치 및 제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영상 촬영방법은, 정속도촬영방법과 2종속도촬영방법이 있다.
정속도촬영방법은 일정한 속도로 선로구간(학습구간)을 촬영하는 방법이고, 2종속도촬영방법은 역구내에서는 낮은속도(1/2속도)로 촬영을 하고 기타의 경우에는 일정속도로 촬영하는 방법이다.그러나, 상기 정속도촬영방법의 경우에는, 일정한 속도로 선로 구간(학습구간)을 촬영한 후, 이를 표출시킬 시 훈련생이 운전하는 속도에 따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재생함으로 인해, 느린재생시(역구내 진입과 같은 서행시)에는 영상이 단절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선로구간 촬영시 열차의 정속주행이 용이하지 않아 촬영후에는 많은 편집과정에 의해 속도를 일정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열차의 정차, 출발 구간의 화면정보가 적어 프레임의 고유거리(정속도 값에 의해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정위치정차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출발과 정차시의 화면정보(프레임)가 적어 화면이 건너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말코니(MARCONI) 사의 시뮬레이터의 경우에는 최대 영상 프레임(FRAME) 간격이 프레임당 35cm, 최소 영상 프레임당 간격이 35cm이므로, 상기 35cm/Frame 이하로 운전할 경우에는 영상이 단절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상 표출방법이 훈련구간에 대한 영상을 비디오디스크에 저장하여 비디오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표출하는 엘디피(LASER DISK PLAYER : 이하 'LDP'라 한다) 방식이므로 인해, 임의 구간에 대한 반복 표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테이프(VCR)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임의 구간에 대한 반복 표출이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2종속도촬영방법(2가지 촬영속도)은 열차의 정차 지점이나 출발 지점과 같이 저속운행을 하는 곳에서는 빠른 속도로 촬영을 하여 많은 수의 화면정보(프레임)을 확보하고,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느린 속도로 촬영을 하여(2가지 속도로 촬영) 화면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저속구간에 대한 화질을 개선한 것으로, 상기 정속도촬영방법(1가지 촬영속도)에 비해 양질의 화질을 얻을 수 있으나, 이 역시 서행 운전시에는 영상이 단절됨은 물론, 임의 구간에 대한 반복 표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프로젝터를 훈련생 쪽에 설치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정면투사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빛으로 인하여 훈련생과 스크린 사이의 공간에 대한 조도가 밝아져 영상이 선명하지 않게 됨은 물론, 훈련생의 시야를 가지리 않으면서도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빛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위치에 프로젝터를 설치하여야 함으로 인해, 공간, 거리, 각도에 대한 제약을 많이 받아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훈련구간에 대한 영상 촬영시 열차의 실제 운행 속도로 촬영하여 이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후, 영상 표출시 MJPEG을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표출하도록 하며, 또한, 영상 투사시에는 반사경을 이용하여 스크린의 후면에서 후면 투사시킴으로 인해, 임의 구간에 대한 반복 표출이 가능하고, 저속 재생시의 영상 단절이 없으며, 선명도가 높고, 비용이 저렴하며,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시말해, 영상 촬영시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하여 이를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저장, 독출함으로 인해 열차의 서행운전시(저속재생시) 발생하는 영상의 단절을 방지하고, 임의 구간에 대한 반복 표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스크린에의 영상 투사시에는 스크린의 후면에서 영상을 투사하여, 훈련생과 스크린 사이의 공간을 어둡게 함으로써(암실구성) 영상이 선명함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열차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모듈화하여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종래 열차 시뮬레이터의 운전실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은 종래 열차 시뮬레이터의 교관실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종래 열차 시뮬레이터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종래 영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실과 영상시스템의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데이터 저장 관계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하드디스크 32: MJPEG
33: 컴퓨터 34: 스크린
35: 프로젝터 37: 반사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는, 교관대와, 교관대스위치제어패널과, 교관대영상장치와, 통신시스템과, 컴퓨터 시스템과, 운전대, 그래픽표시장치와, 음향장치와, 영상시스템 등으로 이루어진 열차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영상시스템은,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된 영상을 MJPEG의 포맷(FORMAT)에 맞추어 저장하는 하드디스크와; 상기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MJPEG과; 상기 하드디스크와 MJPEG의 동작을 제어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시키는 컴퓨터와; 스크린과; 상기 MJPEG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영상을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할 경우에는, 스크린의 후면에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영상을 스크린의 후면에서 투사함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시, 영상의 좌우를 바꾸어 저장한 후, 상기 좌우가 교환된 영상을 스크린 후면에서 스크린에 직접 투사함으로써 후면 투사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스크린의 후면에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영상을 스크린의 후면에서 투사할 경우에는,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을 반사경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반사경을 이용하여 좌우를 교환(뒤집어)한 후, 이를 스크린에 투사함으로써, 프르젝터와 스크린상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경을 하나 사용할 경우에는 그 거리를 1/2로 줄일 수 있으며, 반사경 3개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거리를 1/4로 줄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열차 시뮬레이터'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경을 하나 사용하여 영상을 표출하도록 구성한다.
먼저, 도6과 도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31)와 MJPEG(32)을 컴퓨터(33)에 접속하고, 상기 MJPEG(32)의 출력단에 프로젝터(35)를 접속한 후, 스크린(34)의 후면에 프로젝터(35)와 반사경(37)을 설치하여 상기 프로젝터(35)에서 투사되는 영상이 상기 반사경(37)에 반사되어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MJPEG(32)은 국제에서 공인된 정지영상압축방식에 의해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공지의 영상처리장치로, 엠펙(MOVING PICTURE EXPERTS GROUP : 이하 'MPEG'이라 한다)과 제이펙(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 이하 'JPEG'이라 한다)의 장점을 모두 가지는 장치이다. 즉, MPEG의 경우에는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으나 해상도가 저하되며, JPEG의 경우에는 고해상도의 화질을 얻을 수 있으나 움직임 표현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 JPEG 화상을 초당 30프레임 속도로 재현함으로써 고화질의 움직이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는, JPEG, 또는 MPEG에 비해 첫째, 최종의 출력물인 영상이 표준 JPEG 포맷이고, 둘째, 고해상도에서 화질 열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셋째, 실시간 고해상도 영상 재생 및 비 선형제어가 가능하며, 프레임 제어를 통한 시작점(STARTING POINT)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6)은 프로젝터 제어패널이며, (38)은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이 출력되는 교관용 모니터이다. 또한, 컴퓨터(33)는 컴퓨터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퓨터 중에 하나로 호스트 컴퓨터를 지칭한다.
먼저, 훈련구간에 대한 영상 촬영시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한 영상을 수치화(DIGITIZING)하여 MJPEG(32)의 압축 포맷에 의해 압축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그러면, 영상 표출시 상기 실제속도에 의거하여 저장된 영상을 표출하여 줌으로써 저속 재생시 발생하는 영상의 단절 현상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MJPEG(32)에 의한 영상 처리로 인하여 임의 구간에 대한 고화질, 비선형의 반복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즉, 훈련시 열차의 실제 운전형태(영업운전)를 갖는다고 가정하여, 열차의 최대속도만을 제한하여 촬영하는 것으로, 촬영되는 매 프레임마다 고유의 위치정보를 갖도록 한다. 이 경우 동역학 계산은 현재의 열차위치를 매 프레임 재현시간(예: 1/30초) 마다 출력하고 시스템에서 화면의 프레임 위치를 찾아서 투사한다.
그러면, 정차나 출발지점의 영상정보를 충분하게 보유하게 되므로 질이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 실제 열차 운전상태(실제 열차 운행 속도 상태)에서 선로구간(학습구간)을 촬영하여 이를 MJPEG(32)에 의해 영상처리 함으로써 고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서울역에서 수원역까지의 선로구간을 촬영할 경우 에는 서울역에서 운전을 개시하여 수원역에 열차가 정차할때까지의 영상을 실제 운행속도에 맞추어 촬영하는 것이다. 그러면, 운행 개시시나 정지시와 같이 서행운전을 행하는 곳에서는 그만큼 영상에 대한 데이터가 많아져 시뮬레이션시 열차의 속도를 줄여도 화질이 열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이렇게 촬영하는 방법의 한가지 예로는 열차에 촬영장치를 설치하여 일정속도로 촬영을 하는 것으로, 이렇게 하면 열차의 운행속도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을 갖는 영상 데이터가 얻어지게 된다.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MJPEG(32)의 기능에 따라 MJPEG 데이터로 변환되어 하드디스크(31)에 저장되며, 상기 하드디스크(3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MJPEG(32)에 의해 원래 영상으로 복원되어 출력되게 된다.한편, 영상 표출시에는 반사경(37)을 이용하여 영상을 후면 투사하여 줌으로 인해 영상을 선명하게 표출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그 투사거리를 짧게하여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을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하게 되면, 속도가 빠른 구간에서는 동일 거리에 대해 적은 수의 영상이, 속도가 느린 구간에서는 많은 수의 영상이 얻어지게 된다.
그러면,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된 영상을 MJPEG(32)의 포맷에 의해 각각의 프레임으로 나누어 라이브러리(LIBRARY) 형태로 하드디스크(31)에 저장하게 된다.
도8은 어떤 임의 선로 구간의 영상에 대한 하드디스크의 저장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는 어드레스(ADDRESS) '1500'부터 '15FF' 사이에 각 프레임이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이후, 훈련을 시작하여 영상표출속도를 저속에서 고속으로, 또는 고속에서 저속으로 가변하게 되면, 상기 실제속도에 맞게 저장된 각 영상 프레임이 MJPEG(32)에 의해 독출되어 스크린에 투사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실제속도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 인해 영상의 단절 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즉, 라이브러리 형태로 저장된 영상을 지정된 속도에 따른 복호화(DECODING) 및 편집단계를 실시간 처리한 후, 속도/거리에 따른 프레임제어를 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저속에서부터 고속에 이르기까지 고화질, 고해상도의 영상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하다시피, 훈련의 목적은 어떤 구간에 대한 열차 운전 기술을 익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운전 기술은 실제의 열차 운행 속도로 진행되게 된다. 그러므로, 훈련시 열차의 속도를 가변하는 범위는 실제의 운행속도와 일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시뮬레이터에서는 열차의 실제속도에 의한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저속운행시에는 동일 거리에 대해 고속운행시보다 많은 수의 영상 프레임이 표출되어 영상의 단절 현상없이 부드러운 영상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에 있어, 열차의 운행속도에 맞추어 선로구간을 촬영하였을 시, 최대 영상 프레임 간격은 프레임당 33.3cm이고, 최소 영상 프레임당 간격은 3.33cm으로, 이는 종래의 35cm에 비교할 때 10배 이상의 조밀함을 가지는 값이다.
또한, 훈련시(영상 표출시) 반복하고자 하는 임의 구간이 있을 경우에는 이에 대한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주면,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된 영상을 독출하여 투사시케게 되는 것으로, 이로인해 임의 구간에 대한 반복 재생(반복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8에서 어드레스 '1510'과 '15A1' 사이를 지정하면, 상기 어드레스 구간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영상 데이터)를 반복 재생하여 주게 된다.
실제에 있어서는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주는 것이 아니라, 반복할 구간을 화면상에서 선택하여 주면, 그 화면에 대한 어드레스가 자동 지정되어 반복 재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저속재생시에도 영상의 단절이 없으며, 임의 구간 반복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영상 데이터 저장 매체를 하드디스크로 함으로 인해 그 데이터 접근 시간이 단축되어 최초 영상 표출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또한, 반사경을 이용하여 영상을 후면 투사시킴으로 인해, 훈련자와 스크린 사이의 암실이 조성되어(즉, 프로젝터의 영상 투사시 발생하는 빛으로 인한 조명효과가 차단되어)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후면 투사 방식을 구성하였으나, 상기 반사경 없이 후면투사를 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개의 반사경을 사용하여 후면 투사를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열차 시뮬레이터'는, 특히, 영상 촬영시 실제속도로 촬영하여 이를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MJPEG을 통해 저장, 독출함으로 인해 열차의 서행운전시(저속재생시) 영상의 단절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임의 구간에 대한 반복 표출이 용이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스크린에의 영상 투사시에는 스크린의 후면에서 영상을 투사하여, 훈련생과 스크린 사이의 공간을 어둡게 함으로써(암실구성) 영상이 선명하게 됨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키보드, 마우스, 컨트롤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진 교관대와; 속도계, 에어브레이크 측정기, 컨트롤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교관대스위치제어패널과; 전방 영상장치, 측면영상장치, 운전실 그래픽장치, CCTV 등으로 이루어진 교관대영상 장치와; 부저, 마이크, 컨트롤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통신시스템과; 컴퓨터 시스템과; 운전대와; 열차 움직임, 브레이크 압력, 트랙 프로파일 등을 나타내는 그래픽표시장치와; 음향장치와; 영상의 저장과 표출을 제어하는 영상시스템과; 엔진 컨트롤 패널과 같은 기타 부가장치로 이루어진 열차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영상시스템은,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
    상기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된 영상을 MJPEG의 포맷에 맞추어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원 영상을 복원하는 MJPEG;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상기 MJPEG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하드디스크와, MJPEG과, 프로젝터 사이에 접속되어,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된 영상을 MJPEG을 이용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MJPEG을 통해 원 영상으로 복원한 후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컴퓨터; 및
    훈련구간에 대한 선로 영상 촬영시 열차의 실제 운행속도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실제 운행속도로 촬영된 영상을 MJPEG을 통해 MJPEG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며, 필요시 상기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MJPEG을 통해 원래 영상으로 복원하여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영상을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할 경우에는, 스크린의 후면에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영상을 스크린의 후면에서 투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스크린의 후면에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영상을 스크린의 후면에서 투사할 경우에는,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을 하나 이상의 반사경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
  4. 삭제
KR1019990019322A 1999-05-27 1999-05-27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 KR10032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322A KR100327675B1 (ko) 1999-05-27 1999-05-27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322A KR100327675B1 (ko) 1999-05-27 1999-05-27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022A KR20000075022A (ko) 2000-12-15
KR100327675B1 true KR100327675B1 (ko) 2002-03-09

Family

ID=1958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322A KR100327675B1 (ko) 1999-05-27 1999-05-27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469B1 (ko) * 2004-08-31 2006-09-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어컴퓨터를 이용한 궤도차량의 틸팅 주행 시뮬레이션시스템 및 그 시뮬레이션 방법
KR100733600B1 (ko) * 2006-02-22 2007-06-29 경봉기술(주) 열차/전동차 모의운전연습기 성능진단 및 훈련평가시스템
KR100898417B1 (ko) * 2007-06-08 2009-06-19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 운행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928876B1 (ko) * 2008-05-14 2009-11-30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모의운전연습기 통합 교관 시스템
KR101087205B1 (ko) * 2010-05-28 2011-11-29 김효상 열차 운행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408325B1 (ko) * 2013-02-14 2014-06-17 (주) 와이즈스톤 열차 시뮬레이터 장치, 열차 시뮬레이터 제공방법 및 그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022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43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back with a virtual reality system
GB2120495A (en) Training apparatus
US54991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images for a virtual reality system
KR950034209A (ko) 기록 매체 재생 방법 및 장치
DE69131301T2 (de) Digitales Tonsystem für Kinofilm und Verfahren zur Wiedergabe mittels Zeitkode
KR100327675B1 (ko)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열차 시뮬레이터
JPS6149876B2 (ko)
KR970014289A (ko)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와 그 방법
US5917989A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editing and displaying motion-simulating moving pictures
MX9306621A (es) Un sistema para adquirir y reproducir una secuencia de imagenes de video animadas en tiempo real.
RU93048462A (ru) Система для восприятия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анимированных видеоизображений в реальном масштабе времени
JPS6398870A (ja) 画像信号記録装置
JP3170021B2 (ja) 運転訓練シミュレータ装置
JPH0850469A (ja) 高解像度大画面拡大表示装置
JPH0413175A (ja) 列車運転シミュレータ用模擬視界発生装置
JP4041316B2 (ja) 映像編集再生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411798B2 (ja) ボウリング場用表示装置
KR20000049326A (ko) 멀티미디어 강의 내용의 실시간 저장 및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50013461A (ko) 원격 교육용 강의영상 편집 시스템
JPS63139574A (ja) 動作練習装置
JP3344025B2 (ja) アミューズメント装置
JP2001013939A (ja) デジタル画像情報の制作表示方法
JPH08263504A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
GB2225506A (en) Simulator apparatus with video playback unit
JPH06225263A (ja) 静止画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