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709B1 -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709B1
KR100326709B1 KR1019990017109A KR19990017109A KR100326709B1 KR 100326709 B1 KR100326709 B1 KR 100326709B1 KR 1019990017109 A KR1019990017109 A KR 1019990017109A KR 19990017109 A KR19990017109 A KR 19990017109A KR 100326709 B1 KR100326709 B1 KR 10032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ignal
door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671A (ko
Inventor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1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709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도어 개폐 신호로 시동스위치 시동전에 모터의 밧데리 상태를 점검하여 불필요한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차의 도어 개폐상태에 따라 온,오프하는 도어스위치와; 상기 도어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신호출력부와, 상기 도어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의 밧데리 이상상태를 점검하는 밧데리 점검 유니트 구동부와; 전기차의 시동을 온,오프하는 시동스위치와; 상기 시동스위치의 온, 오프 신호 및 도어 신호출력부의 출력신호, 모터의 밧데리 이상신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신호 출력부와, 상기 시동 신호 출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리세트 신호를 출력하는 리세트부와; 상기 시동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밧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밧데리 전지의 이상 경보 및 각 부품점검신호 및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START CIRCUIT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도어 개폐 신호로 시동스위치 시동전에 모터의 밧데리 상태를 점검하여 불필요한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전체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BAT)와; 상기 밧데리(BAT)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에 시동을 걸어주는 시동스위치(IG)와; 상기 시동스위치(IG)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콘트롤 유니트의 릴레이(RY1)와; 상기 릴레이(RY1)의 동작에 따라 각 부품 점검신호 및 밧데리 연결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와; 상기 시동스위치(IG)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하는 밧데리 점검 유니트의 릴레이(RY2)와; 상기 릴레이(RY2)의 동작에 따라 밧데리 점검 및 밧데리 이상신호를 상기 모터콘트롤 유니트(MCU)에 출력하는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기 자동차의 운전은 운전자가 운전속에 승차하여 시동스위치(IG)를 온시키면 밧데리(BAT)의 전압은 퓨우즈를 거쳐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의 릴레이(RY1)와 밧데리 점검 유니트의 릴레이(RY2)를 통해서 상기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와, 밧데리 점검 유니트(BAT)각각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에서는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CONTACTOR)를 온하고, 각 부품을 점검하여 차량이 운전가능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에서는 전기자동차 구동용 전원인 밧데리(BAT)
(300V 내외/ 전지수 약 25개 내외) 각각의 전지상태(온도,전압...등)를 체크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전기차제어유니트(MCU)에 밧데리(BAT)이상신호(H=5V:FAULT,L=0V
:READY)를 실시간 전송한다.
상기 전기차제어유니트(MCU)는 상기 신호에 따라 접촉부를 온/오프 제어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온상태로 유지하여 차량의 운전상태는 계속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기자동차는 점화스위치(IG)를 온시키면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는 밧데리(BAT)의 전원을 퓨우즈,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의 릴레이(RY1)를 통해서 받아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가 각각의 밧데리(BAT)의 전지를 점검하여어느 하나의 전지라도 과전압, 저전압, 온도제한 등의 불균형이 발생되면 밧데리(BAT)이상신호를 전기차제어유니트(MCU)로 전송한다.
상기 전지차 제어 유니트(MCU)에서는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오프하고 차량의 운전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차의 주행상태에서는 밧데리 이상에 의한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의 오프는 당연하다고 할 수 있으나, 운전을 위한 정지상태에서 시동스위치
(IG)온 시 밧데리 이상일 경우 불필요하게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의 온/오프동작을 하게 되어 이상인 밧데리에 손상을 주며, 그 동작으로 인한 스위칭 전력손실을 초래하여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도어 열림시 밧데리 이상상태를 점검하여 시동스위치 온시 불필요한 밧데리 연결 온/오프스위치의 작동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도.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차의 도어 개폐상태에 따라 온,오프하는 도어스위치와; 상기 도어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신호출력부와, 상기 도어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의 밧데리 이상상태를 점검하는 밧데리 점검유니트 구동부와;
전기차의 시동을 온,오프하는 시동스위치와; 상기 시동스위치의 온, 오프 신호 및 도어 신호출력부의 출력신호, 모터의 밧데리 이상신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신호 출력부와, 상기 시동 신호 출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리세트신호를출력하는 리세트부와; 상기 시동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밧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밧데리 전지의 이상 경보 및 각 부품점검신호 및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전기차의 도어를 열면 밧데리 점검 유니트에 밧데리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는 모터의 밧데리 상태를 점검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이상신호를 경보함과 아울러, 시동스위치가 온이 되더라도 밧데리 연결 온, 오프 스위치가 스위칭 되지 않게 하여,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의 손상 및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도로서, 도어(DOOR)의 개폐상태에 따라 모터의 밧데리 이상상태를 점검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밧데리 이상시 경보하는 수단과, 시동(IG)스위치의 온, 오프 신호와 도어 개폐 신호 및 밧데리 전지의 이상신호에 따라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수단과, 리세트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밧데리 전지의 이상상태를 점검하는 수단은 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온,오프하는 도어스위치(D00R-SW)와, 상기 도어스위치(DOOR-SW)의 온,오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신호출력부(20)와; 상기 도어 신호출력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밧데리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밧데리 전원 공급부(21)와, 상기밧데리 전원 공급부(21)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밧데리의 전지 이상상태를 점검하는 밧데리 점검유니트(BCU)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신호출력부(20)는 도어스위치(DOOR-SW), 저항(R1-R3), 플립플롭(D-FF)으로 구성된다.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 구동부(22)는 저항(R4)(R5),트랜지스터(Q1),밧데리 점검 유니트릴레이(RY1)와 모터의 밧데리 이상을 점검하여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구성된다.
그리고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은 전기차의 시동(IG)을 온,오프하는 시동스위치(IG-SW)와; 상기 시동스위치(IG-SW)의 온, 오프 신호 및 도어스위치(DOOR-SW) 온, 오프 신호, 밧데리의 이상신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신호 출력부(23)와; 상기 시동 신호 출력부(23)의 출력신호에 따라 도어 신호출력부에 리세트신호를 출력하는 리세트부(24)와; 상기 시동 신호 출력부(2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밧데리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밧데리 전원 공급부(25)와, 상기 밧데리 전원 공급부(25)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각 부품점검신호 및 밧데리 연결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와; 밧데리 전지의 이상을 경보하는 경보부(27)로 구성된다.
상기 시동 신호 출력부(23)는 시동스위치(IG-SW)온, 오프 신호와 도어 신호출력부(20)로부터 도어 신호를 부정 논리곱 하는 낸드게이트(NAND), 상기 낸드게이트(NAND)의 출력신호와 밧데리신호를 배타적 논리합 하는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0R)로 구성된다.
상기 리세트부(24)는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출력신호를 완충하는 버퍼(BUF), 이 버퍼(BUF)의 신호 와 도어스위치(DOOR-SW)의 개폐신호를 논리하는 앤드게이트(AND)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 구동부(26)는 저항(R7)(R8),트랜지스터(Q2),전기차제어유니트릴레이(RY2), 전기차제어유니트(MCU)로 구성된다.
상기 경보부(27)는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의 이상신호에 의하여 구동하는 저항(R9-R11), 경보기(BZ),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 은 전기차의 모터구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차에 시동스위치(IG-SW)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DOOR)를 열거나 닫았을 경우, 상기 도어스위치(DOOR-SW)가 오프 나 온상태로 되어 밧데리 전압(B+)은 플립플롭(D-FF)의 클럭단자에 하이 또는 신호가 인가됨과 아울러 리세트부의 앤드게이트(AND)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립플롭(D-FF)의 출력단자에서는 전 상태 입력인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하이신호는 저항(R4)(R5)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 주게 되어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 릴레이(RY1)가 구동하여 상기 밧데리 전압을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BCD)에서는 모터의 밧데리 이상점검을 하여 점검결과에 따라 밧데리에 이상이 있으면 밧데리 이상신호인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상이 없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 밧데리의 이상상태를 점검한 상태에서 시동스위치(IG-SW)를 오프시킨 상태에서는 낸드게이트(NAND)의 타측 입력단자에는 밧데리 전압(B+)이 접지되므로 로우신호가 되어 인가되게 되고, 낸드게이트(NAND)의 일측입력단자에는 상기 플립플롭(D-FF)의 출력신호인 하이신호를 입력되게 되어 상기 낸드게이트(NAND)의 출력단자에는 하이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상기 낸드게이트(NAND)의 하이신호는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일측입력단자에는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부터 이상신호(FAULT)가 입력 여부(로우, 하이신호)에 관계없이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출력단자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 구동부(26)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어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에서는 정상적인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스위칭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로우신호는 리세트부(24)의 버퍼(BUF)를 통해서 앤드게이트(AND)의 타측단자에 입력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AND)의 출력단자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플립플롭(D-FF)을 리세트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가 열려 있거나 닫혀 있거나, 시동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는전기차가 주행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부터 이상신호(FAULT) 즉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이 하이신호는 경보부(27)의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켜 주게 되어 상기 밧데리의 전지에 이상이 있음을 경보해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시동스위치(IG-SW)를 온 시키고, 반면에 도어(D00R)를 닫게 되면, 플립플롭(D-FF)의 클럭단자에 하이신호가 인가됨과 아울러 리세트부의 앤드게이트
(AND)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립플롭(D-FF)의 출력단자에서는 전 상태 입력인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하이신호는 저항(R4)(R5)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 주게 되어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 릴레이(RY1)가 구동하여 상기 밧데리 전압을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BCD)에서는 모터의 밧데리 이상점검을 하여 점검결과에 따라 밧데리에 이상이 있으면 밧데리 이상신호인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상이 없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 밧데리의 이상상태를 점검한 상태에서 시동스위치(IG-SW)를 온시킨 상태에서는 낸드게이트(NAND)의 타측 입력단자에는 밧데리 전압(B+)이 접지되므로 하이신호가 되어 인가되게 되고, 낸드게이트(NAND)의 일측입력단자에는 상기 플립플롭(D-FF)의 출력신호인 하이신호를 입력되게 되어 상기 낸드게이트(NAND)의 출력단자에는 로우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상기 낸드게이트(NAND)의 로우신호는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일측입력단자에는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부터 이상신호(FAULT)가 입력 여부(로우, 하이신호)에 따라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출력단자에서는 하이,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시동스위치를 온상태에서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부터 이상신호(하이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출력단자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 구동부(26)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어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에서는 정상적인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스위칭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부터 이상신호(FAULT) 즉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이 하이신호는 경보부(27)의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켜 주게 되어 상기 밧데리의 전지에 이상이 있음을 경보해 주게 된다.
그리고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에서 출력되는 로우신호는 리세트부
(24)의 버퍼(BUF)를 통해서 앤드게이트(AND)의 타측단자에 입력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AND)의 출력단자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플립플롭(D-FF)을 리세트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부터 이상신호(FAULT)가 입력되지 않게 되면 즉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출력단자에는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이 하이신호는 저항(R7)(R8)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2)를턴온시키게 되어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를 구동시키게 되어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스위칭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는 리세트부(24)의 버퍼(BUF)를 통해서 앤드게이트(AND)의 타측단자에 입력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AND)의 출력단자에서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플립플롭(D-FF)을 리세트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가 닫혀 있고, 시동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는 밧데리 전지에 이상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되면 정상적인 주행이 가능하면 주행중에 운전자가 도어를 열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동스위치(IG-SW)를 온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열게 되면, 플립플롭(D-FF)의 클럭단자에 로우신호가 인가됨과 아울러 리세트부의 앤드게이트(AND)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립플롭(D-FF)의 출력단자에서는 전 상태 입력인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하이신호는 저항(R4)(R5)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 주게 되어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 릴레이(RY1)가 구동하여 상기 밧데리 전압을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BCD)에서는 모터의 밧데리 이상점검을 하여 점검결과에 따라 밧데리에 이상이 있으면 밧데리 이상신호인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상이 없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 밧데리의 이상상태를 점검한 상태에서 상기 시동스위치(IG-SW)를 온시킨 상태에서는 낸드게이트(NAND)의 타측 입력단자에는 밧데리 전압(B+)이 접지되므로 하이신호가 되어 인가되게 되고, 낸드게이트(NAND)의 일측입력단자에는 상기 플립플롭(D-FF)의 출력신호인 하이신호를 입력되게 되어 상기 낸드게이트(NA
ND)의 출력단자에는 로우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상기 낸드게이트(NAND)의 로우신호는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일측입력단자에는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부터 이상신호(FAULT)가 입력 여부(로우, 하이신호)에 따라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출력단자에서는 하이,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시동스위치를 온상태에서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부터 이상신호
(하이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출력단자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 구동부(26)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어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에서는 정상적인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스위칭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부터 이상신호(FAULT) 즉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이 하이신호는 경보부(27)의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켜 주게 되어 상기 밧데리의 전지에 이상이 있음을 경보해 주게 된다.
그리고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에서 출력되는 로우신호는 리세트부
(24)의 버퍼(BUF)를 통해서 앤드게이트(AND)의 타측단자에 입력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AND)의 출력단자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플립플롭(D-FF)을 리세트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밧데리 점검 유니트(BCU)로 부터 이상신호(FAULT)가 입력되지 않게 되면 즉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출력단자에는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이 하이신호는 저항(R7)(R8)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게 되어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를 구동시키게 되어 밧데리 연결 온/오프 스위치를 스위칭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는 리세트부(24)의 버퍼(BUF)를 통해서 앤드게이트(AND)의 타측단자에 입력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AND)의 출력단자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플립플롭(D-FF)을 리세트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가 닫혀 있고, 시동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는 밧데리 전지에 이상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되면 정상적인 주행이 가능하면 주행중에 운전자가 도어를 열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가 전기차의 도어를 열면 밧데리 점검 유니트에 밧데리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밧데리 점검 유니트는 모터의 밧데리 상태를 점검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이상신호를 출력 경보함과 아울러, 시동스위치가 온이 되더라도 밧데리 연결 온/오프스위치가 스위칭되지 않게 하여 줌으로써, 불필요한 밧데리 연결 온/오프스위치의 동작을 방지하게 되어 스위치 접점 동작으로 인한 스위치 손상 및 전력손실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의 도어 개폐상태에 따라 온, 오프하는 도어스위치(D00R-SW)와, 도어스위치(DOOR-SW)와 저항(R1-R3) 및 플립플롭(D-FF)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스위치(DOOR-SW)의 온, 오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신호출력부와, 상기 도어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밧데리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밧데리 전원 공급부와, 상기 밧데리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밧데리의 전지 이상상태를 점검하는 밧데리 점검유니트(BCU)로 구성되는 밧데리 점검유니트 구동부로 이루어져 상기 차량의 도어(DOOR) 개폐상태에 따라 모터의 밧데리 이상상태를 점검하는 수단과;
    상기 전기자동차의 시동(IG)을 온, 오프하는 시동스위치(IG-SW)와, 상기 시동스위치(IG-SW)의 온, 오프신호 및 도어스위치(DOOR-SW) 온, 오프 신호, 밧데리의 이상신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신호 출력부와, 상기 시동 신호 출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도어 신호출력부에 리세트신호를 출력하는 리세트부와, 상기 시동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밧데리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밧데리 전원 공급부와, 상기 밧데리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각 부품점검신호 및 밧데리 연결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MCU)로 구성되는 전기차 콘트롤 유니트 구동부로 이루어져 시동(IG)스위치의 온, 오프 신호와 도어 개폐 신호 및 밧데리 전지의 이상신호에 따라 밧데리 연결 온, 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수단과;
    밧데리 전지의 이상을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
  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신호 출력부는
    시동스위치(IG-SW)온, 오프 신호와 도어 신호출력부로부터 도어 신호를 부정 논리곱 하는 낸드게이트(NAND)와;
    상기 낸드게이트(NAND)의 출력신호와 밧데리신호를 배타적 논리합 하는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0R)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
  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부는 익스크루시브 오아게이트(EX-OR)의 출력신호를 완충하는 버퍼(BUF)와;
    상기 버퍼(BUF)의 신호와 도어스위치(DOOR-SW)의 개폐신호를 논리하는 앤드게이트(AND)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
KR1019990017109A 1999-05-13 1999-05-13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 KR10032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109A KR100326709B1 (ko) 1999-05-13 1999-05-13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109A KR100326709B1 (ko) 1999-05-13 1999-05-13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671A KR20000073671A (ko) 2000-12-05
KR100326709B1 true KR100326709B1 (ko) 2002-03-12

Family

ID=1958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109A KR100326709B1 (ko) 1999-05-13 1999-05-13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0625B (zh) * 2011-12-22 2014-02-19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安全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701A (ja) * 1997-04-18 1998-11-04 Yazaki Corp バッテリ電圧監視機能を有する車両のドア開閉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701A (ja) * 1997-04-18 1998-11-04 Yazaki Corp バッテリ電圧監視機能を有する車両のドア開閉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671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9843B2 (ja) 電気自動車の強電リレー診断装置
KR101307916B1 (ko) 자동차 도어록 구동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463039A (zh) 负载驱动装置
US20050264972A1 (en) Relay control device for a direct current electrical apparatus
JPH05244732A (ja) 太陽電池を有する車両の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保護装置
JP4253810B2 (ja) 電子点滅信号発生器
JPH10322930A (ja) 車両の電源供給方法及び車両用電源供給装置
JP7279302B2 (ja) 車両の起動システム
JP2002174162A (ja) 原動機始動用制御装置
KR100326709B1 (ko) 전기자동차의 스타트 회로
US6800960B2 (en) Short circuit protection system for a starter circuit
KR100643019B1 (ko) 자동차의 침수 사고 대처 장치
US20040263347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CN210489530U (zh) 一种电池继电器控制电路及车辆
JPH11299113A (ja) 充放電制御回路と充電式電源装置
US20150239410A1 (en) Electrical Bypass Circuit
KR100958743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0417849B1 (ko) 차량의 전원 고장 진단장치
KR100527923B1 (ko) 차량용 전원 차단시스템
JP2000349478A (ja) ファン制御装置
JPH07277029A (ja) 車両用定速走行装置
IT201900008463A1 (it) Sistema di motore elettrico, gruppo ventilatore per un veicolo e connettore elettrico
KR100476211B1 (ko) 차량의 자동 전원 차단방법
KR19980035510A (ko) 차량의 배터리 방전방지용 절전장치
JPH04190601A (ja) 電気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