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596B1 - 하상 미끄럼틀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하상 미끄럼틀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596B1
KR100326596B1 KR1019990009967A KR19990009967A KR100326596B1 KR 100326596 B1 KR100326596 B1 KR 100326596B1 KR 1019990009967 A KR1019990009967 A KR 1019990009967A KR 19990009967 A KR19990009967 A KR 19990009967A KR 100326596 B1 KR100326596 B1 KR 100326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riverbed
concrete
iii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139A (ko
Inventor
김혜주
Original Assignee
허 태 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 태 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 태 학
Priority to KR101999000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59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하천내의 유속이 빨라 하상 침식이 예상되는 하천구간에 하상경사를 완만해지도록 조정하고, 어류 및 수중생물이 하천의 상하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하상 침식이 예상되는 하천구간에 콘크리트로 기초를 시공하고 콘크리트가 굳기전에 콘크리트 기초에 나무 말뚝을 설치한 후, 설치된 나무 말뚝사이에 돌망태를 놓고 돌망태 위를 자연석으로 쌓은 다음, 둔치와 접하는 부분에 자연석을 고정하기 위하여 자연석과 자연석 사이에 버드나무가지를 꺾꽂이하여 하상미끄럼틀을 완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은 어류 및 수중생물이 하천의 상하류를 자유롭게 왕복할 수 있게 하며, 하상의 경사 및 유속을 조정함으로써 하상을 보호하고, 하천의 물이 마르는 갈수기시에 수위를 확보한다.

Description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Method for constructing a river-fabric}
본 발명은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류 및 수중생물이 하천의 상하류를 자유롭게 왕복할 수 있도록 하고, 하상의 경사 및 유속을 조정하여 적정 수심을 유지할 수 있는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상의 침식을 방지하고 갈수기시 하천의 최소 수심을 유지하기 위해 하천 횡단에 낙차공이나 보와 같은 횡단구조물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낙차공이나 보와 같은 횡단구조물은 콘크리트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유량이 적은 갈수기시에 하천의 최소 수심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기존의 낙차공이나 보와 같은 횡단구조물은 하천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 및 수중생물이 하천의 상하류로 이동을 하는 데 장애물이 되어 하천의 연속성이 파괴되어 하천및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유속이 빨라 하상 침식이 예상되는 하천구간에 하상 경사를 완만하게 해주며 하천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 및 수중생물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새로운 하천공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유속이 빨라 하상 침식이 예상되는 하천구간에 미끄럼틀 형태의 완만한 경사를 주어, 어류 및 수중생물이 하천의 상하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하상의 유속을 조정하여 적정 수심을 유지할 수 있는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의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 : 콘크리트 기초 20 : 나무말뚝
30 : 돌망태 40 : 자연석
50 : 버드나무가지 a : 홍수기 유량
b : 평균 유량 c : 갈수기 유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ⅰ) 하상의 침식이 예상되는 구간에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기울기 1/8 이상인 완만한 경사면으로 된 시공구간을 조성하는 단계;ⅱ) 상기 시공구간의 상,하류측에 각각 콘크리트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ⅲ) 상기 콘크리트 기초가 굳기 전에 콘크리트 기초에 나무말뚝을 일정 간격으로 박는 단계;ⅳ) 상기 시공구간의 하류부로부터 상류부까지 하상과 하안에 돌망태를 설치하는 단계;ⅴ) 상기 돌망태 위에 자연석을 쌓으면서 둔치까지 넓게 쌓는 단계;ⅵ) 상기 둔치 지역에 쌓은 자연석 사이에 버드나무가지를 꺾꽂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미끄럼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상미끄럼틀은 하상에 완만한 경사를 주어 어류 및 수중생물이 하천의 상하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의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을 보여주기 위한 횡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을 보여주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상미끄럼틀은 홍수기유량(a)과 평균유량(b) 및 갈수기유량 (c)시에 변화하는 유량에 따라 유속을 조정하고 유수의 흐름방향에 볼록한 형태로 하상미끄럼틀을 시공하여 유속을 늦추어 준다. 그리고, 하안과 둔치까지 자연석 (40)을 쌓아 하안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어류 및 수중생물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하상 미끄럼틀은 도 2a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상미끄럼틀을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구간의 시작과 끝지점, 경사의 시작과 끝지점을 측량하고, 하상(1)에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1/8 이상의 완만하게 하향 경사지는 시공구역을 조성한다. 이러한 시공구역에 토목공사 기초시방서에 따라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콘크리트 기초(10)를 시공한다. 콘크리트 기초 시공을 한 다음, 지름 10 - 15㎝정도의 미송을 길이 약 1.5 - 2m정도의 방부처리를 한 나무말뚝(20)을 콘크리트가 굳기전에 콘크리트 기초(10)에 25 - 35㎝ 간격으로 박아넣는다. 나무말뚝(20)을 콘크리트 기초(10)에 박은 다음 설치된 나무말뚝(2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시공구역의 하상(1)과 하안(2)에 돌망태(30)를 놓는다. 돌망태(30)는 철망으로 결속된 돌망태로 이 돌망태(30)를 채우는 재료는 돌망태를 빠져 나가지 않을 정도 크기의 돌을 사용한다.
다음 돌망태(30)위에 자연석(40)을 쌓는데, 이때의 자연석(4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수에 의한 유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서로 맞물리게 쌓고, 물이 넘쳐 하안(2)이 침식되지 않도록 둔치(3) 방향으로 1 - 2m정도 넓게 쌓는다. 즉, 자연석(40)은 하상(1)과 하안(2) 및 둔치(3)에 걸쳐서 쌓게 되는 것이다. 자연석(40)을 다 쌓은 다음 둔치 지역에 쌓여진 자연석(4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길이가 1 - 1.5m 정도 되는 버드나무가지(50)를 채취하여 둔치(3) 부위의 자연석(40) 사이에 25 - 35㎝ 간격으로 버드나무가지(50)를 꺾꽂이 한다.
이렇게 완성된 하상미끄럼틀은 하천의 상류에서 하류로 완만한 미끄럼틀 형태를 이루며, 유속을 조정하여 하상과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고 하상의 경사를 조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상미끄럼틀 시공공법은 돌망태가 침식을 방지하고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1/8 이상의 완만하게 경사지게 조성한 시공구역에 자연석을 고정시킴으로써, 유수의 흐름방향에 볼록한 하상미끄럼틀의 형태가 자연석을 서로 맞물리게 하며, 하안과 둔치에 놓여진 자연석이 하안의 침식을 방지하고, 완만한 경사로 최소 수심을 유지하여 어류 및 수중생물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여 하천의 연속성을 파괴하지 않고, 이에 따라 하천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Claims (3)

  1. ⅰ) 하상의 침식이 예상되는 구간에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기울기 1/8 이상인 완만한 경사면으로 된 시공구간을 조성하는 단계;
    ⅱ) 상기 시공구간의 상,하류측에 각각 콘크리트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
    ⅲ) 상기 콘크리트 기초가 굳기 전에 콘크리트 기초에 나무말뚝을 일정 간격으로 박는 단계;
    ⅳ) 상기 시공구간의 하류부로부터 상류부까지 하상과 하안에 돌망태를 설치하는 단계;
    ⅴ) 상기 돌망태 위에 자연석을 쌓으면서 둔치까지 넓게 쌓는 단계;
    ⅵ) 상기 둔치 지역에 쌓은 자연석 사이에 버드나무가지를 꺾꽂이하는 단계;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미끄럼틀 시공방법.
  2. 청구항2는 삭제 되었습니다.
  3. 청구항3는 삭제 되었습니다.
KR1019990009967A 1999-03-24 1999-03-24 하상 미끄럼틀 시공공법 KR10032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967A KR100326596B1 (ko) 1999-03-24 1999-03-24 하상 미끄럼틀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967A KR100326596B1 (ko) 1999-03-24 1999-03-24 하상 미끄럼틀 시공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139A KR20000061139A (ko) 2000-10-16
KR100326596B1 true KR100326596B1 (ko) 2002-03-12

Family

ID=1957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967A KR100326596B1 (ko) 1999-03-24 1999-03-24 하상 미끄럼틀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5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139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3193B2 (en) Self-anchoring fiber block system
RU2319806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биопозитивного крепления
CN108842720A (zh) 一种沟道谷坊及其施工方法
AU2002217504B2 (en) Method for soil erosion control works or shore protection works and structure for soil protection or shore protection
JP2003129437A (ja) 河川や渓流における流下物捕捉・減勢構造
JPH0782725A (ja) 透過型砂防堰堤
KR101053880B1 (ko) 토목섬유를 이용한 낙차공 또는 보의 개량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326596B1 (ko) 하상 미끄럼틀 시공공법
JPH10176316A (ja) 河川構造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JP2567342B2 (ja) 魚道を組み合わせた河川表流水取水工法
JP2001164539A (ja) 河床および護岸部材とその施行方法
KR101170789B1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CN208762955U (zh) 一种沟道谷坊
KR20040075806A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JPH1136262A (ja) 護岸際の植生方法
KR100451981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413124Y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100406877B1 (ko)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CN109930594A (zh) 一种生态桩及其组成的集成挡墙
RU2103440C1 (ru) Берего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RU2320810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крепления из габионных тюфяков в период паводков
KR20020006068A (ko) 트렌치를 이용한 하천의 식생호안 시공방법
JPS6088708A (ja) 護岸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