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339B1 - 삼중관과 삼중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삼중관과 삼중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339B1
KR100326339B1 KR1020000003007A KR20000003007A KR100326339B1 KR 100326339 B1 KR100326339 B1 KR 100326339B1 KR 1020000003007 A KR1020000003007 A KR 1020000003007A KR 20000003007 A KR20000003007 A KR 20000003007A KR 100326339 B1 KR100326339 B1 KR 10032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layer
wound
endothelial
trip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858A (ko
Inventor
김선홍
Original Assignee
김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홍 filed Critical 김선홍
Priority to KR102000000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339B1/ko
Priority to KR2020000001812U priority patent/KR200197230Y1/ko
Publication of KR2001007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PE와 재생원료를 이용하여 단면이 삼중으로 이루어지는 삼중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삼중관은 일정폭을 갖는 내피를 와인더 외측에 감아주되 내피의 2/3씩 맞물리게 하고, 내피 상부에는 내피와 동일폭의 두꺼운 중간층을 감아주되 2/3씩 맞물리게 하여 감아주며, 중간층의 상부에는 내피의 1/3 폭을 갖는 외피를 서로 맞물리게하여 감아 줌으로써 제조되어진다.

Description

삼중관과 삼중관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배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PE와 재생원료를이용하여 단면이 삼중으로 이루어지는 삼중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수관으로 사용되는 기존 파이프는 PVC관, 나선주름관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PVC관은 압출하여 생산하는 관계로 직경이 크거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생산이 어렵고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선주름관은 내압과 충격에 약하고 운송도중 중량에 의해 중간부위가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피와 내피가 PE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 사이의 중간층이 비교적 두꺼운 재활용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삼중관을 제조 하므로써 내압, 충격, 강도가 강한 배수관을 제공하는 한편 재활용재를 이용하여 가격을 낮춘 것이다.
도 1 은 기존의 삼중관 사시도이고, 도 2 는 그 단면도로써,
삼중관(1)은 단면이 외피(4), 내피(2), 중간층(3)으로 이루어지며, 외피(4)와 내피(2)는 PE를 사용하고 중간층(3)은 재활용재를 사용하되 외피(4), 중간층(3), 내피(2)가 일체로 형성되어 기존 주름관에 비하여 내압, 강도 및 충격에 견디는 힘이 크고, 중간층(3)의 두께가 두껍고 내부기공이 있어 보온효과가 뛰어나다.
이러한 삼중관(1)을 제조하는 장치는 도 3 과 같이 외피(4)와 내피(2)를 이루는 PE를 녹여서 노즐(11)(12)로 배출하는 압출기(10)와, 중간층(3)을 이루는 재활용재를 녹여서 노즐(13)로 배출하는 압출기(10')를 필요로 하고, 노즐(11)(12)(13)에서 압출되는 외피(4), 중간층(3), 내피(2)를 권회시키는 와인더(20)와, 와인더(20)외측에서 중간층(3) 및 외피(4)의 겹치는 부분을 눌러주는 롤러(30)(31)(32)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삼중관(1)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 4 에의거 살펴본다.
노즐(11)에서 배출된 내피(2)는 와인더(20)의 롤러를 타고 감겨지며 이때 (가)와 같이 일측부분이 서로 겹쳐지면서 감겨지도록 하고, 와인더(20)위에 내피(2)가 감겨지면 그 위에 노즐(13)에서 배출된 두꺼운 중간층(3)이 일측을 서로 겹쳐지게하여 (나)와 감겨지도록 하며, 중간층(3)에 대한 감기가 끝나면 (나)와 같이 롤러(30)를 이용하여 중간층(3)의 겹치는 부분을 내측으로 압착시켜 주어 (다)와 같이 중간층(3)의 외측을 어느정도 평편하게 잡아준다.
중간층(3)에 대한 롤러(30)압착이 끝나면 노즐(12)에서 배출된 외피(4)가 일측이 서로 겹쳐지게 중간층(3)위에 감아주고, 외피(4)의 감기가 끝나면 (라)와 같이 롤러(31)(32)를 외피(4)의 겹치는 부분에 대고 압착시켜 삼중관(1)의 최종 단면 형태가 (마)와 같이 형성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냉각을 거치도록 한다.
이러한 기존의 삼중관(1)은 내피(2)가 감겨지고 냉각과정을 거친후 중간층(3)이 감겨지므로 내피(2)안쪽으로 냉수가 흐를 때 내피(2)와 중간층(3)의 접합부분에 물이 침투하여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외피와 내피가 PE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 사이의 중간층이 비교적 두꺼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삼중관에 있어서, 내피와 중간층이 분리되지 않는 삼중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삼중관은 일정폭을 갖는 내피를 와인더 외측에 감아주되 내피의 2/3씩 맞물리게 하고, 내피 상부에는 내피와 동일폭의 두꺼운 중간층을 감아주되 2/3씩 맞물리게 하여 감아주며, 중간층의 상부에는 내피의 1/3 폭을 갖는 외피를 서로 맞물리게 하여 감아 줌으로써 제조되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피의 1/3 폭이 중간층 사이에 매입된 형태로 제조되어지므로 내피와 중간층이 일체로 형성되어 물의 침투에 의해 내피와 중간층이 분리되는 경우가 완전히 사라진다.
도 1 은 기존의 삼중관 사시도
도 2 는 기존의 삼중관 단면도
도 3 은 삼중관 제조장치 사시도
도 4 는 기존의 삼중관 제조 공정도
도 5 는 본 발명의 삼중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내피와 중간층을 감아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내피와 중간층위에 또다른 중간층을 감아준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삼중관 제조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삼중관 2 : 내피 3,3' : 중간층
4 : 외피 10,10' : 압출기 11,12,13,13' : 노즐
20 : 와인더
본 발명의 삼중관 제조장치는 도 3 에 도시된바와 같이 중간층(3')을 배출하는 노즐(13')을 하나 더 설치하여 중간층(3)만으로 원하는 두께가 나오지 않을 경우 중간층(3')을 감아주어 두께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삼중관 제조 과정을 도 6 내지 도 8 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노즐(11)에서 배출된 내피(2)는 와인더(20)의 롤러를 타고 감아지게 하되 그 폭의 2/3씩 겹쳐지면서 감겨지도록 한다.
와인더(20)위에 내피(2)가 2/3가 감겨지고 나면 그 위에 노즐(13)에서 배출된 중간층(3)이 감겨지게 하되 중간층(3)도 2/3씩 겹쳐지면서 감겨지도록 한다.
즉 내피(2)가 그 폭의 2/3씩 겹쳐지면서 감겨지게 하고 그위에 와인더(20)가 2회전 한 뒤부터 중간층(3)을 감되 중간층(3)도 그 폭의 2/3씩 겹쳐지면서 감겨지도록 하므로써 내피(2)의 1/3이 도면 도시와 같이 중간층(3)에 끼워 지도록 한다.
이같이 중간층(3)내부에 내피(2)가 끼워져 일체로 형성되므로 내피(2)의 틈새로 물이 스며드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내피(2)는 중간층(3)에서 절대 분리되는 경우가 없게 된다.
즉 삼중관(1)의 어느 단면 부분에서 보더라도 내피(2)가 3겹 감기고, 중간층(3)이 3겹 감겨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내측에서 보면 내피(2)가 2겹, 중간층(3)이 한겹, 다시 내피(2)가 한겹, 그위에 중간층(3)이 2겹 감겨서 이루어 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내피(2)와 중간층(3)만으로 그 두께가 나올 경우에는 중간층(3)외측에 외피(4)를 감아주어 삼중관(1)을 제작하면 되나, 중간층(3)의 두께가 나오지 않을 경우는 도 7 과 같이 중간층(3)외측에 노즐(13')에서 배출된 중간층(3')이 감겨지게 한다.
이때 중간층(3')은 2/3씩 맞물리며 감겨지게 하고 그 위치를 중간층(3)이 감겨진 후 감겨지게 하여 도 7 과 같이 중간층(3')이 따로 감겨져 중간층(3)(3')으로 두께를 맞추어 줄 수 있다.
여기서 중간층(3)을 상당히 두껍게 하면 두께 조절이 가능하나 중간층(3)이 너무 두꺼우면 냉각이 되지 않아 삼중관(1)이 형성되지 않고 뒤틀리게 되므로 본 발명과 같이 중간층(3)을 감아 준 후 다시 중간층(3')을 감아 주어야만 원하는 두께를 맞추어 줄 수 있다.
중간층(3')이 감겨진 후에는 중간층(3)의 1/3폭을 갖는 외피(4)를 감아서 삼중관(1)을 제조하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의 삼중관(1)은 내피(2)의 일부가 중간층(3)에 매입되는 형태로 제조되므로 내피(2)와 중간층(3)이 분리되는 경우가 사라지고, 중간층(3)(3')의 이중 권회로 삼중관(1)의 두께를 맞추어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삼중관에서 발생되는 내피와 중간층의 분리현상이 사라지게 되므로 견고하고 신뢰성 있으며 충분한 두께를 갖는 삼중관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2)

  1. 단면이 외피(4), 내피(2), 중간층(3)으로 이루어지며, 외피(4)와 내피(2)는 PE를 사용하고 중간층(3)은 재활용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삼중관(1)에 있어서,
    동일폭을 갖는 내피(2)와 중간층(3)을 2/3씩 겹치게 감아주어 내피(2)의 1/3부분이 중간층(3)사이에 매입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관.
  2. 노즐(11)에서 배출된 내피(2)는 와인더(20)의 롤러를 타고 감겨지게 하되 그 폭의 2/3씩 겹쳐지면서 감겨지도록 하고, 와인더(20)위에 내피(2)가 2/3이 감겨지고 나면 그 위에 내피(2)와 같은폭을 갖는 중간층(3)이 감겨지게 하되 2/3씩 겹쳐지면서 감겨지도록 하여 내피(2)의 1/3이 중간층(3)에 끼워지게 하며, 중간층(3)위 또다른 중간층(3')을 감겨지게 하고, 중간층(3')위에 외피(4)가 감겨져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관 제조방법.
KR1020000003007A 2000-01-21 2000-01-21 삼중관과 삼중관 제조방법 KR10032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007A KR100326339B1 (ko) 2000-01-21 2000-01-21 삼중관과 삼중관 제조방법
KR2020000001812U KR200197230Y1 (ko) 2000-01-21 2000-01-21 삼중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007A KR100326339B1 (ko) 2000-01-21 2000-01-21 삼중관과 삼중관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812U Division KR200197230Y1 (ko) 2000-01-21 2000-01-21 삼중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858A KR20010073858A (ko) 2001-08-03
KR100326339B1 true KR100326339B1 (ko) 2002-02-28

Family

ID=196405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812U KR200197230Y1 (ko) 2000-01-21 2000-01-21 삼중관
KR1020000003007A KR100326339B1 (ko) 2000-01-21 2000-01-21 삼중관과 삼중관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812U KR200197230Y1 (ko) 2000-01-21 2000-01-21 삼중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72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71A (ko) * 2000-07-14 2000-11-06 오청호 다중관과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71A (ko) * 2000-07-14 2000-11-06 오청호 다중관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858A (ko) 2001-08-03
KR200197230Y1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5935C1 (ru) Пластмассовая сливная труб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11555561B2 (en) Pipe with an outer wrap
US5806567A (en) Heat insulated hose
KR100326339B1 (ko) 삼중관과 삼중관 제조방법
CN109140059B (zh) 中空壁管材及其制造方法
KR20060081070A (ko) 원주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킨 사중 복층 하수관
CN103317730B (zh) 一种螺旋波纹管在线扩口连续缠绕热成形装置
KR100784856B1 (ko) 합성수지 보강 수도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689442B (zh) 中空滚压成型内肋增强缠绕波纹管及制造工艺
KR101094779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성형장치
JP3647857B1 (ja) 管継手の製造方法
KR200197251Y1 (ko) 대구경 삼중관
KR200197252Y1 (ko) 대구경 삼중관
KR100290302B1 (ko) 삼중관과삼중관제조장치및그방법
JP6084743B1 (ja) 樹脂金属複合管の連続製造方法
KR100365952B1 (ko) 삼중관과 그 제조방법
CN209991020U (zh) 异形带材及缠绕型内肋波纹管及其生产的专用装置
KR200341135Y1 (ko) 복수의 재질이 동시에 금형 내부에서 압착되어 배출되는삼중벽관용 금형
KR200211162Y1 (ko) 삼중관
KR100778774B1 (ko) 금속판재를 이용한 복합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724067B1 (ko) 3층 구조체의 일체형 프로파일을 갖는 고강도 합성수지관및 그 제조방법
CN220523488U (zh) 一种pe异型带缠绕管
KR101057634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JP6174918B2 (ja)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KR100573318B1 (ko) 적층 프로파일관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이중벽관, 그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