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274B1 -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274B1
KR100326274B1 KR1019990026371A KR19990026371A KR100326274B1 KR 100326274 B1 KR100326274 B1 KR 100326274B1 KR 1019990026371 A KR1019990026371 A KR 1019990026371A KR 19990026371 A KR19990026371 A KR 19990026371A KR 100326274 B1 KR100326274 B1 KR 100326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ftening point
lead
acid battery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8497A (ko
Inventor
김기성
김은철
황호순
신연호
Original Assignee
김경한
주식회사 빅솔
정몽용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한, 주식회사 빅솔, 정몽용,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경한
Priority to KR101999002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27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연축전지에서 양극판의 성장을 억제시켜 전기 쇼트를 방지하여 연축전지의 수명단축을 막고, 일반 HMA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환경이 깨끗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탄화물, 겔(Gel)화가 되지 않는 고내열성, 내황산성이 우수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분자량이 40,000∼80,000이고 연화점이 130∼170℃인 아모포스 폴리 알파 올레핀(Amorphous Poly Alpha Olefin) 60∼98 중량%, 석유수지내에 80% 이상의 수소를 첨가하여 분자구조상에서 2중 결합을 단일 결합으로 한 수지이며, 그 연화점이 120∼140℃가 되는 수첨수지 1∼40 중량%와 분자량이 500∼3,000이고 연화점이 130∼150℃인 PP WAX 1∼10 중량%, MI가 1∼8인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블록 공중합체 1∼10 중량%, 벤젠프로파노익산(Benzenpropanoic acid)계 1차 산화방지제 0.1∼1 중량%와 페놀 포스페이트 (Phenol phosphite)계 2차 산화방지제 0.1∼1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to control over the positive plate of lead-acid battery}
본 발명은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1-Propene, Polymer with Ethene),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Hydrogenated Tackifier), 폴리프로필렌 왁스(Polypropylene Wax),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산화방지제 등이 혼합되어 고내열성, 내황산성이 우수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연축전지는 2∼3년간 사용하면 전기적 쇼크나 극판의활물질 분리로 인해 수명을 다하게 된다.
특히, 택시와 같이 지속적으로 운행하는 경우에는 자동차 엔진룸의 온도가 80∼100℃까지 상승하여 연축전지의 전해액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충·방전이 이루어져 연축전지의 수명이 급속히 감소한다.
연축전지에서 수명저하의 주원인은 전조 내부의 양극판이 성장하여 음극판과 만나게 됨에 따른 전기 쇼트의 발생으로 수명을 다하게 된다.
이같은 양극판의 성장현상은 고온하에서는 더욱 급속히 진행된다.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극판 위에 핫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를 도포하여 전기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물성을 갖기 위해서는 황산 수용액인 전해액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해야 하고 100℃에서도 접착력을 발휘하고 응집력이 강해야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되어 있는 전조,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되어 있는 격리판, 납(Pb)과의 접착력이 우수해야 한다.
일반적인 핫멜트 접착제로 도포할 경우 전해액에 쉽게 침해되어 변색이 되고 용출이 되어 전해액이 오염되고 가스배출구를 막아 연축전지가 폭발하기도 한다.
그리고, 내열성과 접착력이 약하면 핫멜트 접착제가 녹고 박리되어 양극판의 성장을 억제할 수 없고, 전해액 표면을 떠다니다가 가스배출구를 막아 버리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연축전지에 관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축전지에서 음·양극판으로 이뤄진 극군(極群)의 상단 양쪽에 일정량을 도포하여 그 양극판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전기 쇼트를 방지하여 연축전지가 수명을 다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일반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환경이 깨끗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또한 핫멜트 접착제의 가열 안전성을 개선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을 해도 탄화물, 겔(Gel)화가 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인장력 측정용으로서 동일 크기의 폴리프로필렌판을 일단이 겹치도록 접착한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은 분자량 40,000∼80,000, 용융점도가 180℃에서 3,000∼20,000cps,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함량비가 폴리프로필렌이 80∼100%이고 연화점이 130∼17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 60∼98 중량%와 분자량이 400∼1,500이고 석유수지내에 80% 이상의 수소를 첨가하여 분자구조상에서 2중 결합을 단일 결합으로 한 수지이며, 그 연화점이 120∼140℃가 되는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1∼40 중량%와 분자량 500∼3,000, 녹는점 130∼150℃의 폴리프로필렌 왁스 1∼10 중량%와 MI가 1∼8이고 스티렌(Styrene) 함량이 10% 이상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블록 공중합체 1∼10 중량%와 벤젠프로파노익산(Benzenpropanoic acid)계 1차 산화방지제 0.1∼1 중량%와 페놀 포스페이트 (Phenol phosphite)계 2차 산화방지제 0.1∼1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이다.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은 함량이 5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내열성, 접착력이 저하되고,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80% 이하로 되면 내열 응집력이 감소하여 양극판의 성장을 억제하지 못한다.
또, 용융점도 3,000cps 이하면 내열성, 내열 응집력이 약하고 도포시 점도가 낮아 전조와 극판사이의 틈으로 흘러 도포 두께가 얇아지므로 양극판의 성장 억제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용융점도가 20,000cps 이상이면 가공온도 상승으로 핫멜트 접착제의 열화로 내황산성이 떨어지고 도포 시에 젖음 성(Wetting)의 저하로 전조와 극판과의 접착력이 저하된다.
또한, 연화점이 130℃ 이하면 내열성이 나빠지고 170℃ 이상이면 가공온도의 상승으로 내황산성이 나빠진다.
그리고,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의 분자내에 2중 결합이 있으면 황산과 반응하여 황변이 되고 부분적으로 용출이 되므로 순도가 좋은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사용하여야 한다.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는 탄소수가 4∼9의 지방족 탄화수소수지 중에서 고온, 고압하에서 수소를 첨가하여 분자내에 2중 결합을 단일 결합화한 수지로 첨가량이 40 중량% 이상이면 내한성이 감소하여 -15℃ 이하에서 깨지고 분자량이 적어 쉽게 열화가 되어 내황산성이 감소한다.
또한, 연화점이 100℃ 이하이면 접착력은 증가하나 내열 응집력이 약하게 되고, 140℃ 이상이면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과의 상용성이 감소하고 내한성에 문제가 있다.
탄소수가 9개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보다 5개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가 내열성은 감소하지만 상용성, 접착력에서 양호한 물성을 나타낸다.
폴리프로필렌 왁스는 분자량이 500 이하이면 내열성이 감소하고 내열 응집력이 매우 약해지며, 분자량이 3,000 이상이면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과의 상용성과 접착력도 감소한다.
녹는점이 110℃ 이하이면 내열성에 문제가 있고, 150℃ 이상이면 상용성이 감소하고 흐름성에 문제가 있다.
첨가량이 10 중량% 이상이면 접착력이 감소하고 내한성에 문제가 있으며, 핫멜트 접착제의 가사시간(Open time)이 짧아져 작업성에 문제가 있고 고화 후 수축율이 높아 도포 후 핫멜트 접착제에 금(Crack)이 생겨 양극판의 성장 억제에 치명적인 손상을 준다.
산화방지제는 넣지 않을 경우 핫멜트 접착제의 가열시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쉽게 탄화물이 발생하므로 노즐(Nozzle) 분사시 가공성에 문제가 생기고 내황산성이 약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1 중량% 이상이면 효과가 없고 오히려 넣지 않을 때 보다 열에 대한 안전성이 떨어지므로 1, 2차 2가지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야 열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해 진다.
위와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 핫멜트 접착제는 전해액(비중 1.2∼1.3)에 대해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며 내열 응집력, 열 안전성, 접착력, 작업성이 양호하고 고온하에서도 연축전지의 충·방전으로 인한 양극판의 성장을 극력 억제하여 연축전지를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택시와 같이 가혹한 운행을 하는 차량에 사용되는 연축전지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40℃인 폴리프로필렌 왁스 4 중량%,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25 중량%, 산화방지제 1 중량%를 넣고 150℃를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 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3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 중량%를 넣어 완전히 용융시키고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이 14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60 중량%를 넣어 용융시킨 후 1시간 혼합시키고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10 중량%, 연화점 140℃인 폴리프로필렌 왁스 4 중량%, 산화방지제 1 중량%를 넣고 150℃를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3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50 중량%, 분자량이 40,000이고 연화점이 15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30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10 중량%, 연화점 140℃인 폴리프로필렌 왁스 4 중량%, 산화방지제 1 중량%를 넣고 150℃를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3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80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4 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를 넣고 150℃로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3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50 중량%, 분자량이 40,000이고 연화점 15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40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4 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를 넣고 150℃로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3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90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20 중량%, 산화방지제 1 중량%, 연화점이 140℃인 폴리프로필렌 왁스 9 중량%를 넣고 150℃로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3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60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19 중량%, 산화방지제 1 중량%를 넣고 150℃로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3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50 중량%, 분자량이 40,000이고 연화점 150℃ 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20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30 중량%, 산화방지제 1 중량%, 연화점이 140℃인 폴리프로필렌 왁스 4 중량%를 넣고 150℃로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3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50 중량%, 분자량이 40,000이고 연화점 15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10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질소 분위기하에서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50 중량%, 분자량 40,000이고 연화점 15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44 중량%, 산화방지제 1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MI 3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중량%를 넣어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14 중량%, 산화방지제 1 중량%를 넣고 150℃로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3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40 중량%, 분자량이 40,000이고 연화점 15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40 중량%를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10℃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9.5 중량%,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A(C5 계)를 20 중량%,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B(C9 계) 20 중량%, 산화방지제 0.5 중량% 넣고 150℃를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60℃로 상승시키면서 MI 20인 EVA를 50 중량%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10℃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9.5 중량%,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A(C5 계)를 20 중량%, 연화점이 120℃인 수소 첨가되지 않은 점착부여수지(C5 계) 10 중량%, 산화방지제 0.5 중량% 넣고 150℃로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60℃로 상승시키면서 MI 20인 EVA를 50 중량%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5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40 중량%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10℃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4.5 중량%,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A(C5 계)를 35 중량%,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B(C9 계) 20 중량%, 산화방지제 0.5 중량% 넣고 150℃를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7인 스티렌-아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공중합 수지를 40 중량%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10℃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4.5 중량%,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C5 계)를 15 중량%, 연화점이 120℃인 수소 첨가되지 않은 점착부여수지(C5 계) 20 중량%, 산화방지제 0.5 중량% 넣고 150℃를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60 중량%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10℃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4.5 중량%,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C5 계)를 15 중량%, 산화방지제 0.5 중량% 넣고 150℃로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 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7인 스티렌-아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10 중량%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70 중량%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질소 분위기하에서 연화점이 110℃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4.5 중량%, 연화점이 130℃인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C5 계)를 10 중량%, 연화점이 120℃인 수소 첨가되지 않은 점착부여수지(C5 계) 10 중량%, 산화방지제 0.5 중량% 넣고 150℃로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시킨 후,온도를 170℃로 상승시키면서 MI 7인 스티렌-아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5 중량% 넣어 혼합 용융시키고 170℃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70,000이고 연화점 16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을 70 중량% 넣어 혼합 용융시킨 후 기포를 제거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접착제에 물성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1) 내황산성 실험은 황산과 물을 혼합하여 비중이 1.3으로 된 전해액을 만들어 제조된 접착제를 각 10g씩 넣어 80℃ 오븐에 10일간 방치한 후 전해액의 변색정도, 전해액의 오염, 접착제의 중량 변화를 측정한다.
2) 내열 흐름성 실험은 접착제를 두께 5mm, 직경 3cm 크기로 시편을 제작하여 경사각 70도의 스틸판 위에 붙이고, 붙인 시편을 130℃ 의 오븐에 넣어 72시간 방치한 후 흘러내린 정도를 측정한다.
3) 점도는 부룩필드 비스코메타(Brookfield Viscometer)를 이용하여 180℃에서 점도를 측정한다. (ASTM D 3236, JIS K 6862)
4) 연화점 측정은 Ring Ball 법으로 측정한다. (JIS K 6863)
5) 경도는 쇼아 A(SHORE A) TYPE으로 Durometer A로 20℃, 50℃, 80℃, 100℃에서 측정한다. (ASTM D 2240, JIS K 6833)
6) 폴리프로필렌과의 접착력은 두께 1mm, 가로 150mm, 세로 25mm 크기의 폴리프로필렌판에 각 접착제를 가로, 세로 25mm로 도포후 도 1과 같이 접착하여 인장 시험기로 인장속도 60mm/min으로 하여 인장력을 측정한다.
7) 내한 접착력은 두께 1mm, 가로 150mm, 세로 50mm 크기의 폴리프로필렌판에 접착제를 180℃에서 두께 1mm, 폭 10mm, 길이 100mm로 도포하여 비중 1.3의 황산 수용액에 넣은 다음에 -10℃의 항온조에 넣고 24시간 방치 후 그 상태에서 90도 각도로 구부려서 상태를 측정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를 보면 점도, 경도, 연화점, 폴리프로필렌과의 접착력은 표 1에, 내황산성, 내열 흐름성, 내한 접착력은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각 접착제의 점도, 연화점 경도, PP와의 접착력
표 2. 내황산성, 내열 흐름성, 내한 접착력
본 발명에 의한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폴리프로필렌 왁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산화방지제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연축전지에서 음·양극판으로 이뤄진 극군의 상단 양쪽에 일정량을 도포하여 그 양극판의 성장을 억제시킴으로써 전기 쇼트를 방지하여 수명을 다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높은 잇점이 있다.
또, 일반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환경이 깨끗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핫멜트 접착제의 가열 안전성을 개선했기 때문에 택시와 같이 장시간의 가혹한 운행에도 탄화물, 겔(Gel)화가 되지 않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분자량이 40,000∼80,000이고 연화점이 130∼170℃인 1-프로펜, 폴리머 위드 에텐(1-Propene, Polymer with Ethene) 60∼98 중량%, 석유수지내에 80% 이상의 수소를 첨가하여 분자구조상에서 2중 결합을 단일 결합으로 한 수지이며, 그 연화점이 120∼140℃가 되는 수소 첨가된 점착부여수지 1∼40 중량%와 분자량이 500∼3,000이고 연화점이 130∼150℃인 폴리프로필렌 왁스(Polypropylene Wax) 1∼10 중량%, MI가 1∼8인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1∼10 중량%, 벤젠프로파노익산(Benzenpropanoic acid)계 1차 산화방지제 0.1∼1 중량%와 페놀 포스페이트(Phenol phosphite)계 2차 산화방지제 0.1∼1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용융점도가 3,000∼15,000cps(at 180℃)이고 연화점이 140∼170℃, 경도가 쇼아 A(SHORE A) TYPE으로 20℃에서 60∼80, 50℃에서 30∼60, 100℃에서 10∼3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KR1019990026371A 1999-07-01 1999-07-01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KR10032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371A KR100326274B1 (ko) 1999-07-01 1999-07-01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371A KR100326274B1 (ko) 1999-07-01 1999-07-01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497A KR20010008497A (ko) 2001-02-05
KR100326274B1 true KR100326274B1 (ko) 2002-03-08

Family

ID=1959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371A KR100326274B1 (ko) 1999-07-01 1999-07-01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9530A (zh) * 2018-12-27 2019-04-26 广东邦达实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换热器缝隙密封的热熔胶及其生产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9530A (zh) * 2018-12-27 2019-04-26 广东邦达实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换热器缝隙密封的热熔胶及其生产方法
CN109679530B (zh) * 2018-12-27 2021-03-16 广东邦达实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换热器缝隙密封的热熔胶及其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497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8704B (zh) 绝缘带
EP2841519B1 (en) Electric instruments comprising a hot-melt adhesive
EP2256174A1 (en) Acrylic adhesive, acrylic adhesive layer, and acrylic adhesive tape or sheet
EP2489712B1 (en) Paint film-protecting sheet
EP2841518B1 (en) Adhesive sheet
JP7310610B2 (ja) 電池用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用接着性部材
EP2481784B1 (en) Laminate for nonaqueous battery
WO2015087954A1 (ja) シーラント
EP2401338B1 (en) Adhesive compound
TW201516123A (zh) 藥液處理用黏著劑層、藥液處理用黏著片材、表面保護片材、及玻璃基板
EP3964362B1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KR100326274B1 (ko) 연축전지의 양극판 성장 억제용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EP3183308B1 (en) Composition for the protection of an article against corrosion
JP2008274257A (ja) 難接着基材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WO2007063812A1 (ja) 粘着剤組成物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表面保護材
JP2006342329A (ja) 難接着基材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03213485A (ja) 金属メッキ用マスキングテープ
KR100297587B1 (ko) 가스배관 용접부 방식처리용 열수축 시트 또는 테입에 사용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KR20200068204A (ko)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수지,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수첨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수지 조성물
CN115537159B (zh) 耐候性防水卷材热熔压敏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S586759B2 (ja) 接着剤組成物
US20240059931A1 (en) Hot-melt composition
EP4249567A1 (en) Adhesive composition
US20150322305A1 (en) Auto-adhesive elastomer composition
JP2012233090A (ja) 反応型ホットメルトシーリング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