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188B1 -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188B1
KR100326188B1 KR1019990035565A KR19990035565A KR100326188B1 KR 100326188 B1 KR100326188 B1 KR 100326188B1 KR 1019990035565 A KR1019990035565 A KR 1019990035565A KR 19990035565 A KR19990035565 A KR 19990035565A KR 100326188 B1 KR100326188 B1 KR 100326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unit
mixing
primary air
m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550A (ko
Inventor
소후코우쯔토무
다나까유끼오
후까야타케시
오까모토히데오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2000001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8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x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기종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저렴한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연료가스와 연소용 1차공기를 미리 혼합하는 복수의 혼합부와, 각 버너부(12a,12b)의 전체연소와 부분연소를 전환자재하게 한 연소부(13)를 구비한다. 연소수(13)는 공통형상을 구비하는 복수의 혼합부 유니트(11a,11b)를 선택적으로 병렬 연결한다. 혼합부 유니트(11a, 11b)는, 공기공급량 조정공(調整孔)(18a,18b,18c)을 구비하는 연결부재(16)에 부착된다.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 또는 공기공급량 조정공(18a,18b,18c)에 버링부(burring 部)(34 또는 19)를 구비한다. 혼합부 유니트(11a,11b)에 공급공부(供給孔部)(29)를 구비하는 간막이(27)에 의해 구획된 예비혼합실(28)을 설치한다. 혼합부 유니트(11a,11b)는 복수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36)를 구비하며, 공기도입구(36,36) 사이에 연료가스 도입구(14)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연소장치{A combus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연료가스와 연소용 1차공기를 미리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예비혼합가스를 모두 1차연소시키는 복수의 버너를 구비하고, 이 버너 전체를 연소시키는 전체연소와 일부를 연소시키는 부분연소를 전환자재하게 한 전체1차연소형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가스와 송풍팬에 의해 강제적으로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를 미리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예비혼합가스로 하고, 이 예비혼합가스를 버너로 모두1차연소시키는 전체1차연소형 연소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전체1차연소형 연소장치에서는, 상기 버너를 복수로 구분하고, 구분된 버너 전부를 연소시키는 전체연소와 일부를 연소시키는 부분연소를 전환자재하게 한 것이 있다.
도 11은, 상기 종래의 전체1차연소형 연소장치를 급탕장치에 이용한 예이다. 도 11에 도시한 급탕장치는, 연소실(41) 하부에 전체1차연소형 연소장치(42)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방에 급수관(43)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연소장치(42)로 가열하여 뜨거운 물을 만들고, 얻어진 뜨거운 물을 급탕관(44)을 통해 부엌, 욕실 등에 공급하는 열교환기(45)를 구비한다.
전체1차연소형 연소장치(42)는, 연소부(46) 내부를 구획벽(47)으로 구분하여, 중앙에 혼합부(48a), 그 양측에 혼합부(48b,48b)를 형성함과 동시에, 혼합부(48a)에는 버너부로서의 연소플레이트(49a)를, 혼합부(48b)에는 연소플레이트(49b)를 설치하였다. 여기서, 혼합부(48a,48b)는, 가스관(50)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송풍팬(51)에 의해 강제적으로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를 혼합하여 예비혼합가스로 하고, 이 예비혼합가스를 각각 연소플레이트(49a,49b)에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소장치(42)에는, 혼합부(48a,48b) 유입구부분에 송풍팬(51)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스관(50)은 주가스밸브(52)의 하측에서 제1가스관(53)과 제2가스관(54)으로 분기(分岐)되고, 상기 제1가스관(53)은 제1전자밸브(55)를 통하여 송풍팬(51)의 공기흡입구(51a)내로 통하고, 상기 제2가스관(54)은 제2전자밸브(56)를 통하여 혼합부(48a) 유입구부분에 면하는 위치로 통해 있다.
따라서, 상기 연소장치(42)에 의하면, 주가스밸브(52)와 제1전자밸브(55)를 열고 제2전자밸브(56)를 닫은 상태에서는, 제1가스관(53)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가 송풍팬(51)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와 혼합부(48a,48b)에서 혼합되어 예비혼합가스로 되고, 이 예비혼합가스가 각 연소플레이트(49a,49b)에 공급되어 전체연소가 이루어진다.
또한, 주가스밸브(52)와 제2전자밸브(56)를 열고 제1전자밸브(55)를 닫은 상태에서는, 제2가스관(54)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가 송풍팬(51)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와 혼합부(48a)에서 혼합되어 예비혼합가스로 되고, 이 예비혼합가스가 연소플레이트(49a)에 공급되어 연소플레이트(49a)에 의해서만 부분연소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 때, 연소플레이트(49b)에는 혼합부(48b)를 통하여 송풍팬(51)에 의해 공기만이 공급된다.
상기 종래의 전체1차연소형 연소장치(42)에서는, 상기 연소부(46)는 알루미늄주조 등으로 만들어진 구획벽(47)에 의해 구분되는 혼합부(48a,48b)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복수의 혼합부를 일체로 형성하면, 연소장치의 기종에 따라, 상기 버너부의 수나 상기 버너부를 전체연소 또는 부분연소시킬 때의 화력 등의 상위점에 대응하여 기종마다 연소부를 각각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번잡함과 동시에 주조용 금형을 별개로 제조해야 하므로 코스트가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기종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저렴한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소장치를 이용한 급탕장치의 설명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요부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혼합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포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혼합부 유니트의 조립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변형예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또 다른 변형례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연소장치를 이용한 급탕장치의 설명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2 연소장치
11a,11b 혼합부 유니트
12a,12b 버너부
13 연소부
14 연소가스 도입부
15a,15b,36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
16 연결부재
18a,18b, 18c 공기공급량 조정공
19,34 버링부
20 송풍팬
27 간막이
28 예비혼합실
29 공급공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연소장치는, 연료가스와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를 미리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예비혼합가스로 하는 복수의 혼합부와, 각 혼합부에 설치된 버너부로 이루어지는 연소부를 구비하며, 이 연소부의 각 버너부를 전부 연소시키는 전체연소와 일부를 연소시키는 부분연소를 전환자재하게 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공통의 위치에 연료가스 도입구와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를 구비한 혼합부 유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부는 복수의 상기 혼합부 유니트를 병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서는, 연료가스와 연소용 1차공기를 혼합하여 예비혼합가스로 하는 혼합부를 유니트화하고, 공통 위치에 연료가스 도입구와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를 구비하는 혼합부 유니트로 하였기 때문에,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 또는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가 동일한 방향을 이루도록 하고 복수의 혼합부 유니트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연소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 따르면, 기종에 따른 상기 버너부의 수나 이 버너부를 전체연소 또는 부분연소시킬 때의 화력 등의 차이에 대해서도, 상기 혼합부 유니트의 조합방법만을 바꾸기 때문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 따르면, 상기 혼합부 유니트를 조합하여 상기 연소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복수의 혼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소부를기종마다 주조하는 경우와 같이, 기종마다 다른 금형을 제조할 필요가 없어 제조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 유니트는 공통의 높이 및 깊이를 구비하는 상자형상으로서,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에 따라 폭의 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 유니트는, 상기 형상으로 함으로써, 그 폭방향으로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여러 종류의 혼합부 유니트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소부는 상기 버너부의 수 또는 상기 버너부를 전체연소 또는 부분연소시킬 때의 화력에 따라 동종 또는 이종의 복수의 혼합부 유니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조합방법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연소장치의 기종에 따를 상위점에 더욱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복수의 상기 혼합부 유니트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이렇게 하면 각 혼합부 유니트는 상기 송풍팬과의 위치관계에 따라,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의 양이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전체1차연소에 대응하는 양이 되지 않는 것이 있다. 그래서, 상기 연소부를 형성하는 혼합부 유니트는, 이 혼합부 유니트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에 대응하는 양의 연소용 1차공기가 공급되도록 조정된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혼합부 유니트에서는, 상기 연소용 1차공기는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를 통하여 이 혼합부 유니트 내부로 도입되지만, 연소용 1차공기와 상기 연료가스와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소용 1차공기는 혼합부 유니트의중앙부를 향하여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는 상기 혼합부 유니트 내부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혼합부 유니트의 중앙부로 지향시키기 위해, 도입구 가장자리부에 입설되어 혼합부 유니트의 내부로 돌출하는 버링(burring)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동종의 상기 혼합부 유니트를 두 개이상 연결할 때, 이 혼합부 유니트가 상기와 같이 혼합부 유니트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에 대응하는 양의 연소용 1차공기가 공급되도록 조정된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동종이지만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만이 다른 혼합부 유니트가 연결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동종의 혼합부 유니트들 사이에서 연결위치를 틀리게 하면, 전술한 각 혼합부 유니트와 송풍팬과의 위치관계에 따라 각각의 혼합부 유니트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에 대응하는 양의 연소용 1차공기가 공급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연소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혼합부 유니트는, 연결부재상에 부착되어 병렬로 연결됨과 동시에, 이 연결부재는 부착되는 각 혼합부 유니트의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에 연통하고, 각 혼합부 유니트에 대하여 상기 혼합부 유니트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에 대응하는 양의 연소용 1차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량 조정공을 구비한다. 이렇게 하면, 각 혼합부 유니트는, 상기 연결부재의 공기공급량 조정공에 의해 상기 연소가스에 대응하는 양의 연소용 1차공기가 확보되므로, 연결위치의 착오를 염려할 필요없어 복수의 혼합부 유니트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부 유니트는 같은 종류라면 상기 연소용 1차공기도입구를 포함하여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할 때에는, 상기 연소용 1차공기는 상기 연결부재의 공기공급량 조정공을 통하여 이 혼합부 유니트 내부로 도입되지만, 이 경우에도, 상기 연소용 1차공기와 상기 연료가스와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연소용 1차공기가 이 혼합부 유니트의 중앙부를 향하여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공기공급량 조정공으로부터 상기 혼합부 유니트의 내부로 도입되는 연소용 1차공기를 혼합부 유니트의 중앙부로 지향시키기 위해, 이 공기공급량 조정공 가장자리부에 입설되어 혼합부 유니트의 내부로 돌출하는 버링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혼합부 유니트는, 상기 버너부의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와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혼합부 유니트내의 상기 버너부의 마주보는 쪽을 구획하여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를 예비적으로 혼합하는 예비혼합실을 구획하는 간막이를 구비하며, 이 간막이는 상기 예비혼합실에서 혼합된 연료가스 및 연소용 공기를 상기 버너부측으로 공급하는 공급공부를 구비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가스와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는, 먼저 상기 예비혼합실에서 혼합되고, 이어 상기 공급공부로부터 상기 혼합부 유니트내의 상기 버너부측으로 진입하여 혼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가스와 상기 연소용 공기를 보다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가스와 상기 연소용 1차공기를 보다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 상기 혼합부 유니트는, 상기 간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예비혼합실로 교체하고, 상기 버너부의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와, 간격을 두고 병렬로 복수개 설치한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는 공급되는 가스가 두 개의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무개구부로 유입하도록 간격을 두고 병렬로 복수개 설치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면, 간격을 두고 병렬로 복수개 설치된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의 흐름에 따라, 두 개의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무개구부의 상기 혼합부 유니트 내부쪽에 주위의 공간보다도 부압(負壓)이 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로부터 공급되는 1차공기의 일부가 상기 부압이 되는 공간에 인입되어, 소용돌이를 만든다. 또한,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는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무개구부의 상기 혼합부 유니트 내부쪽으로 유입되도록 간격을 두고 병렬로 복수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도 또한 상기 부합이 되는 공간에 인입된다. 그 결과, 상기 부압이 되는 공간에 인입된 가스가 상기 소용돌이를 만들고 있는 1차공기의 흐름에 말려들어, 효율적으로 혼합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소장치를 이용하는 급탕장치의 설명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혼합판의 평면도, 도 4는 도2에 도시한 분포판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혼합부 유니트의 조립도, 도 8은 도 1의 변형예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급탕장치는, 콘덴싱보일러형이고, 하우징(1) 상부에 구비된 연소장치(2)와, 연소장치(2) 하방에 접속되는 연소실(3)과, 연소실(3) 내에 구비되며, 연소장치(2)에 의해 가열되는 열교환기(4)로 이루어진다.
열교환기(4)는, 수평방향으로 복수열, 수직방향으로 여러 단을 S자 형상으로 형성한 통수관(通水管)(5)을 구비하며, 연소실(3) 상방의 연소장치(2)에 가까운 쪽에서 연소배기의 현열을 주로 흡수하여 급수통(5)으로 유통되는 물을 가열하는 주열교환기(4a)와, 연소실(3) 하방의 연소장치(2)로부터 먼 쪽에서 연소배기의 잠열을 주로 흡수하여 통수관(5)으로 유통되는 물을 가열하는 부열교환기(4b)로 이루어진다. 통수관(5)은 부열교환기(4b)쪽으로 급수관(6)과 접속되고, 주열교환기(4a)쪽으로 급탕관(7)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수관(5)의 주열교환기(4a) 및 부열교환기(4b)를 구성하는 부분에는, 상기 현열 및 잠열을 흡수하기 위해, 다수의 핀(8a,8b)이 부착되어 있다.
열교환기(4)는, 급수관(6)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통수관(5) 내로 유통시켜, 부열교환기(4b), 주열교환기(4a)에서 가열하고, 가열에 의해 얻어진 뜨거운 물을 급탕관(7)으로부터 부엌, 욕실 등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4)에서는, 연소배기의 잠열까지도 흡수하기 때문에, 급수관(5)내로 유통되는 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배기는, 그 잠열이 흡수된 결과, 함유하는 수증기가 결로하여 드레인을 발생시키므로, 연소실(3) 하부에는 드레인(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소실(3)의 배면측에는, 상기 연소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장치(2)는, 병렬로 연결된 세 개의 혼합부 유니트(11a)(중앙), 혼합부 유니트(11b)(좌우), 혼합부 유니트(11a,11b)의 저면에 설치된 연소플레이트(12a,12b)로 이루어지는 연소부(13)를 구비한다. 혼합부 유니트(11a,11b)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 연료가스 도입구(14), 천정면에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를 구비하고 있다. 혼합부 유니트(11a,11b)는, 연소플레이트(12a,12b)와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를 연결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높이의 치수와, 도면의 표리방향과 일치하는 깊이의 치수가 공통이며, 연료가스 도입구(14)가 병설되어 있는 방향의 폭이 다른 점 이외에는 모두 동일한 공통형상으로 되어 있고, 연료가스 도입구(14)가 설치되어 있는 면을 동일방향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혼합부 유니트(11a)에는 네 개의 연료가스 도입구(14)가 설치되어 있고, 혼합부 유니트(11b)에는 여섯 개의 연료가스 도입구(14)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부(13)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된 혼합부 유니트(11a)와 그 양측에 배치된 혼합부 유니트(11b, 11b)는, 혼합부 유니트(11a,11b)의 천정면에 연결부재(16)가 부착되어 있고, 연소실(3) 상방에 연접된 연소용 공기공급실(17) 내에 수용되어 있다. 연결부재(16)는, 혼합부 유니트(11a)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에 연통하는 공기공급량조정공(18b,18c)을 구비하며, 각 공기공급량 조정공(18a,18b,18c) 가장자리부에는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부로 돌출하도록 입설된 버링부(9)가 구비되어 있다.
연소용 공기공급실(17)의 측방에는 송풍팬(20)이 접속되어 있고, 연소용 공기공급실(17)로부터, 공기공급량 조정공(18a,18b,18c),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를 통하여, 혼합부 유니트(11b,11b)내에 연소용 1차공기를 송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소용 공기공급실(17)의 배면쪽에는 가스관(21)이 배설되어 있고, 매니폴드(22)를 통하여 혼합부 유니트(11b,11b)의 연료가스 도입구(14)에 접속되어 있다. 매니폴드(22)에는, 혼합부 유니트(11b,11a,11b)에 대응하여, 전자밸브(23a,23b,23c)가 설치되며, 개폐에 의해 각 혼합부 유니트(11a,11b)에 대한 연료가스의 공급 또는 폐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 도 2에 도시된 혼합부 유니트(11b)를 예로서, 혼합부 유니트(11a,11b)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혼합부 유니트(11b)는, 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염구(炎口)(24)를 구비하는 세라믹 등으로 된 연소플레이트(12b)가 저면에 부착되어 연소부(13)를 형성하고 있고, 연소플레이트(12b)로부터 반대편 위치에, 연료가스 도입구(14)와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는, 천정면의 연료가스 도입구(14) 쪽으로 치우친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연소용 공기공급실(17)의 연료가스 도입구(14)에 대향하는 벽면(17a)의 배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관(21)에 연통하는 매니폴드(22)가 설치되어 있다. 매니폴드(22)는, 연소용 공기공급실(17) 벽면(17a)을 관통하는 가스공급부(25)를 구비하고, 가스공급부(25)의 선단에 설치된 노즐(26)이 연료가스 도입구(14)에 삽입되어, 혼합부 유니트(11b) 내부에 연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14) 및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은, 간막이(27)에 의해 구획되고, 연료가스 도입구(14)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로부터 도입되는 연소용 1차공기가 예비적으로 혼합되는 예비혼합실(28)로 되어 있다. 간막이(27)에는, 예비혼합실(28)에서 혼합된 연료가스 및 연소용 1차공기를 혼합부 유니트(11b) 내의 연소플레이트(12b) 쪽으로 유도하는 공급공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혼합부 유니트(11b)의 연소플레이트(12b) 쪽에는, 상기 예비혼합실(28)에서 혼합된 연료가스 및 연소용 1차공기를 더욱 균일하게 혼합하여 예비혼합가스로 하고, 이 예비혼합가스를 연소플레이트(12b)에 공급하기 위해, 혼합판(30)과 분포판(31)이 설치되어 있다.
혼합판(30)은, 연소플레이트(12b) 쪽에서 본 평면도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서, 그 중앙에 연료가스 및 연소용 1차공기가 통과하는 슬릿형상의 통과공(通過孔)(32)을 구비하며, 예비혼합실(28)에서 혼합된 연료가스 및 연소용 1차공기가 혼합판(30)에 충돌하여 충분히 혼합되어 예비혼합가스로 된 후, 통과공(32)으로부터 분포판(31) 쪽으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분포판(31)은, 연소플레이트(12b) 쪽에서 본 평면도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서 그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다수의 소공(小孔)(33)을 구비하며, 혼합판(30)에 의해충분히 혼합된 상기 예비혼합가스가 소공(33)에 의해 균일하게 분포되어, 연소플레이트(12b)에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급탕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급탕장치에는, 부엌 또는 욕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꼭지(도시하지 않음)를 열면, 급수관(6)으로부터 통수관(5), 급탕관(7)으로 급수가 개시되고, 이것을 도시하지 않은 유수센서에서 검지함으로써, 연소장치(2)의 연소운전이 개시된다. 상기 연소운전이 개시되면, 송풍팬(20)으로부터 연소용 공기공급실(17)에 연소용 1차공기가 보내지고, 이 연소용 1차공기는 공기공급량 조정공(18a,18b,18c),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를 통하여,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에 도입된다. 동시에, 가스관(21)에 설치된 주가스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열리고, 가스관(21)으로부터 매니폴드(22)에 연료가스가 보내지며, 이 연료가스가 가스공급부(25)와, 연료가스 도입구(14)에 삽입된 노즐(26)을 통하여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부에 공급된다.
상기 연료가스 및 연소용 1차공기는,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부에서, 먼저 예비혼합실(28)로 유도되어 예비적으로 혼합된 후, 간막이판(27)에 설치된 공급공부(29)으로부터,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의 연소플레이트(12a,12b) 쪽으로 공급된다. 연료가스 및 연소용 1차공기는, 공급공부(29)를 벗어나면 이어 혼합판(30)에 충돌하고, 혼합판(30) 보다 간막이판(27)쪽 공간에서 충분히 혼합되어 예비혼합가스로 된 후, 혼합판(30)에 설치된 통과공(32)으로부터 분포판(31) 쪽으로 유도된다. 분포판(31)에는, 그 전체에 소공(33)이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혼합판(30)에 의해 충분히 혼합된 상기 예비혼합가스는, 소공(33)에 의해 균일하게 분포시켜진 상태에서 연소플레이트(12a,12b) 쪽으로 공급되고, 염구(24)로부터 연소실(3) 쪽으로 분출한다. 그리고, 연소플레이트(12a,12b)의 연소실(3) 측에 설치된 점화플러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점화되고, 전체1차연소시킨다.
여기서, 연소장치(2)는, 매니폴드(22)로부터 혼합부 유니트(11a,11b)에의 연료가스의 공급 또는 폐지를 전자밸브(23a,23b, 23c)로 제어하고, 연소플레이트(12a,12b)의 전체연소와 부분연소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밸브(23b)만을 열었을 때는 연소플레이트(12a)에 의해서만 부분연소가 이루어지고, 전자밸브(23a) 또는 전자밸브(23c) 만을 열었을 때는 전자밸브(23a) 또는 전자밸브(23c) 어느 한쪽에 대응하는 하나의 연소플레이트(12b)에 의해서만 부분연소가 이루어진다. 또한, 전자밸브(23b)와 전자밸브(23a) 또는 전자밸브(23c)의 어느 쪽이든 한쪽만을 열었을 때는, 연소플레이트(12a)와, 전자밸브(23a) 또는 전자밸브(23c)든 한쪽에 대응하는 한 개의 연소플레이트(12b)에 의한 부분연소가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전자밸브(23a,23b,23c) 모두를 열었을 때는, 연소플레이트(12a)와 두 개의 연소플레이트(12b) 모두에 의한 전체연소가 이루어진다.
그 결과, 급수관(6)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통수관(5)을 통과하는 동안에 주열교환기(4a) 및 부열교환기(4b)에서, 부분연소 또는 전체연소에 대응하는 열량으로 가열되어 뜨거운 물이 되어 급탕관(7)으로부터 뜨거운 물을 배출한다.
그런데, 상기 송풍팬(20)으로부터 연소용 1차공기를 보낼 때, 혼합부유니트(11a,11b)는 송풍팬(20)과의 위치관계에 따라, 연소용 1차공기의 공급량이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전체1차연소에 대응하는 양이 되지 않는 것이 있고, 이것은 도 1에 도시한 급탕장치와 같이 송풍팬(20)이 연소용 공기공급실(17)의 측방에 접속되어 있을 때, 특히 현저하다. 그래서, 이어 상기 혼합부 유니트(11a,11b)와 송풍팬(20)의 위치관계에 따른 연소용 1차공기의 공급량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동일한 혼합부 유니트(11b) 세 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연소용 공기공급실(17)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를 설치하는 전부 동일한 혼합부 유니트(11b) 세 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연소용 공기공급실(17)에 수용되어 있을 때에는, 송풍팬(20)으로부터 보내진 연소용 1차공기는, 연소용 공기공급실(17)의 안쪽(송풍팬(20)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혼합부 유니트(11b) 만큼 다량으로 공급되어 에어리치(air rich)로 되고, 연소용 공기공급실(17) 바로 앞(송풍팬(20)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혼합부 유니트(11b) 만큼 적게 되어 가스리치(gas rich)로 된다.
이것은, 송풍팬(20)으로부터 흡출되는 연소용 1차공기가, 연소용 공기공급실(17) 바로 앞에서는 유속이 크기 때문에 흐름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에 있는 혼합부 유니트(11b)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에 유입되기 어렵고, 또한 연소용 공기공급실(17) 안쪽에는 연소용 공기공급실(17)에 의해 진행하는 쪽이 저지되기 때문에 혼합부 유니트(11b)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에 유입하지 않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그래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혼합부 유니트(11b)의 위치에 따라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용 공기공급실(17)의 안쪽부터 바로 앞에 혼합부 유니트(11b1,11b2,11b3)를 배치할 때, 중앙에 위치하는 혼합부 유니트(11b2)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2)를 기준으로 하여, 안쪽에 위치하는 혼합부 유니트(11b1)에서는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1)를 작게, 앞쪽에 위치하는 혼합부 유니트(11b3)에서는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3)를 크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혼합부 유니트(11b)의 위치에 따르지 않고, 각 혼합부 유니트(11b)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량에 대응하는 양의 연소용 1차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혼합부 유니트(11a)를 배치하고, 그 양측에 혼합부 유니트(11b,11b)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혼합부 유니트(11b)의 내부, 연소용 공기공급실(17)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혼합부 유니트(11b1), 바로 앞에 위치하는 것을 혼합부 유니트(11b3)로 하여, 각각,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1,15b3)를 설치한다. 그리고, 혼합부 유니트(11a)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는,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2)에 대하여, 혼합부 유니트(11a)와 혼합부 유니트(11b)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비와 동일한 비가 되는 크기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연소용 1차공기는,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에서 연료가스와혼합되기 때문에, 혼합부 유니트(11a,11b)의 중앙부를 향하여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혼합부 유니트(11a,11b)와 송풍팬(20)과의 위치관계에 의해서는, 도입되는 연소용 1차공기가 혼합부 유니트(11a,11b)의 중앙부에 지향되지 않고, 도 6에 파선으로 화살표시한 바와 같이, 송풍팬(20) 측으로부터 연소용 공기공급실(17)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도입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도 1에 도시된 급탕장치와 같이 송풍팬(20)이 연소용 공기공급실(17) 측방에 접속되어 있을 때 특히 현저하며,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에서 염구(24)로부터 분출하는 예비혼합가스가 도 6에 파선의 불꽃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에어리치 또는 가스리치로 되어, 연소배기중의 일산화탄소농도가 높이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 연소용 1차공기가 혼합부 유니트(11a,11b)의 중앙부를 향하여 도입되도록 하기 위해, 혼합부 유니트(11a,11b)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 가장자리부에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부에 돌출하는 버링부(34)를 입설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6에 실선으로 화살표시한 바와 같이, 도입되는 연소용 1차공기가 혼합부 유니트(11a,11b) 중앙부로 지향되도록 되고, 염구(24)로부터 분출하는 예비혼합가스가 균일화되어 연소배기중의 일산화탄소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버링부(34)는, 도입되는 연소용 1차공기가 혼합부 유니트(11a,11b)의 중앙부를 지향하도록 하기 위해, 혼합부 유니트(11a,11b)의 내부로 돌출하는 부분의 높이를 4㎜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소배기중의 일산화탄소농도는, 상기 버링부(34)에 의한 효과에 더해져,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부에 간막이(27)로 구획된 예비혼합실(28)을 설치함으로써,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의 크기가 다른 혼합부 유니트(11b)가 복수인 경우, 각 혼합부 유니트(11b)는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의 크기이외에는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복수의 혼합부 유니트(11b)를 연결하는 순서를 틀리면, 예를 들면 도 6에 있어서 혼합부 유니트(11b1)와 혼합부 유니트(11b3)가 반대 위치로 연결되면, 각 혼합부 유니트(11b)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량에 대응하는 양의 연소용 1차공기의 공급을 받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종 사이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를 구비하는 혼합부 유니트(11a,11b)를 연결부재(16)에 부착한다. 연결부재(16)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혼합부 유니트(11a,11b)에 부착된 상태에서,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에 연통하는 공기공급량 조정공(18a,18b,18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공급량 조정공(18a,18b,18c)은, 각 혼합부 유니트(11a,11b)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량에 대응하는 연소용 1차공기량에 적합한 크기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연소용 공기공급실(17)의 안쪽에 위치하는 혼합부 유니트(11b)에 대응하는 공기공급량조정공(18b)은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1)와 동일한 크기이고, 연소용 공기공급실(17)의 바로 앞쪽에 위치하는 혼합부 유니트(11b)에 대응하는 공기공급량 조정공(18c)은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3)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또한, 중앙의 혼합부 유니트(11a)에 대응하는 공기공급량 조정공(18a)은,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2)에 대하여, 혼합부 유니트(11a)와 혼합부 유니트(11b)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비와 동일한 비가 되는 크기로 설정된다.
따라서, 동종사이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를 구비하는 혼합부 유니트(11a,11b)에 연결부재(16)를 부착함으로써, 각 혼합부 유니트(11a,11b)는 공급되는 연료가스량에 대응하는 량의 연소용 1차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16)를 이용할 때에는, 상기 연소용 1차공기는 공기공급량조정공(18a,18b,18c)을 통하여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부에 도입되므로, 연소용 1차공기가 혼합부 유니트(11a,11b) 중앙부를 지향하도록 하기 위해, 공기공급량조정공(18a,18b,18c) 가장자리부에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부로 돌출하는 버링부(19)를 입설한다. 상기 버링부(19)는, 도 7에 도시된 버링부(34)와 마찬가지로, 도입되는 연소용 1차공기가 혼합부 유니트(11a,11b)의 중앙부를 지향하도록 하기 위해,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부로 돌출하는 부분의 높이를 4㎜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연소장치(2)에는, 혼합부 유니트(11a,11b)에 연결부재(16)를 부착하여 병렬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6)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20)과의 위치관계에 따라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의 크기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a,15b)에 버링부(34)를 구비하게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연소장치(2)에서는, 혼합부 유니트(11a,11b) 내부에 간막이(27)로 구획된 예비혼합실(28)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지만, 도 9에 혼합부 유니트(11b)를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간막이(27)로 교체하여 연료가스 도입구(14)의 노즐(26)과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와 격리함과 동시에,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를 차폐하는 판형상의 차폐부재(35)를 설치하고, 차폐부재(35)에 슬릿형상의 공기 흡출구(36)를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여도 된다. 이 때, 연료가스 도입구(14)의 노즐(26)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 공기흡출구(36,36) 사이의 무개구부(35a)에 면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차폐부재(35)를 설치하면,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로부터 공급되는 1차공기는 도 10(b)에 실선으로 화살표시한 바와 같이, 공기흡출구(36)로부터 노즐(26) 쪽으로 분출하여, 그 결과, 공기 흡출구(36,36)사이의 무개구부(35a)의 연소플레이트(12b) 쪽으로 주위 공간보다 부압이 된 공간(이하, 부압부로 생략기재함)(37)이 형성된다. 그렇게 하면, 상기 실선으로 화살표시한 1차공기의 일부가 부압부(37)로 인입되어, 부압부(37)에 공기흐름의 소용돌이를 형성한다. 또한, 노즐(26)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도 도 10(b)에 화살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압부(37)에 인입된다. 그 결과, 상기 부압부(37)에 인입된 연료가스가 상기 공기흐름의 소용돌이에 말려들어, 혼합이 촉진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상기 부압부(37)에서 1차공기와 혼합된연료가스는, 차폐부재(35)와 혼합판(30)과의 사이의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혼합되어 예비혼합가스로 된 후, 혼합판(30)의 통과공(32)으로부터 분포판(31)쪽으로 유도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공기흡출구(36)를 슬릿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공기흡출구(36)는 무개구부(35a)의 연소플레이트(12b) 쪽에 부합부(37)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타원형, 원형, 사각형 등등,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상기 차폐부재(35)를 설치하여 차폐부재(35)에 공기흡출구(36)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하도록 되어 있지만, 혼합부 유니트(11b)에 설치된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 자체를 분할하여,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15b)가 설치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연소장치(2)에서는, 하나의 혼합부 유니트(11a)와 두 개의 혼합부 유니트(11b)를 조합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동종 또는 이종의 복수의 혼합부 유니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이어, 연료가스 공급량의 비가 1 : 1.5인 혼합부 유니트(A)와 혼합부 유니트(B)의 여러 가지 조합에 의한 연소장치의 화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혼합부 유니트(A)와 혼합부 유니트(B)를 하나씩 조합한 경우에는, 혼합부 유니트(A)만의 부분연소에서는 가스관(21)에 설치한 비례제어밸브(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개도조정에 의해 4000∼9500㎉/h의 인풋(input)이 얻어지고, 혼합부 유니트(B)만의 부분연소에서는 상기 비례제어밸브에 의한 개도조정에 의해 6800∼16150㎉/h의 인풋이 얻어진다. 또한, 혼합부 유니트(A)와 혼합부 유니트(B)에 의한 전체연소에서는 10800∼25300㎉/h의 인풋이 얻어져, 상기 전체연소의 화력은 열효율 95%로서 16호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호수는, 급탕기에 있어서 1분동안 몇 리터 물의 온도를 25℃ 상승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16호는 1분간에 16리터 물의 온도를 25℃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 하나의 혼합부 유니트(A)와, 두 개의 혼합부 유니트(B)를 조합한 경우에는, 혼합부 유니트(A)만의 부분연소에서는 4000∼8700㎉/h의 인풋이 얻어지고, 하나의 혼합부 유니트(B)만의 부분연소에서는 6000∼13000㎉/h의 인풋이 얻어진다. 또한, 혼합부 유니트(A)와 하나의 혼합부 유니트(B)의 부분연소에서는 10000∼21700㎉/h의 인풋이 얻어지고, 혼합부 유니트(A)와 두 개의 혼합부 유니트(B)에 의한 전체연소에서는 18000∼38000㎉/h의 인풋이 얻어져, 상기 전체연소의 화력은 열효율 95%로서 24호에 해당한다.
이어, 하나의 혼합부 유니트(A)와, 세 개의 혼합부 유니트(B)를 조합한 경우에는, 혼합부 유니트(A)만의 부분연소에서는 4000∼8700㎉/h의 인풋이 얻어지고, 하나의 혼합부 유니트(B)만의 부분연소에서는 6000∼13000㎉/h의 인풋이 얻어진다. 또한, 혼합부 유니트(A)와 하나의 혼합부 유니트(B)의 부분연소에서는 10000∼21700㎉/h의 인풋이 얻어지고, 혼합부 유니트(A)와 두 개의 혼합부 유니트(B)의 부분연소에서는 18000∼34700㎉/h의 인풋이 얻어진다. 더욱이, 혼합부 유니트(A)와 세 개의 혼합부 유니트(B)에 의한 전체연소에서는 30000∼51000㎉/h의 인풋이 얻어져, 상기 전체연소의 화력은 열효율 95%로서 32호에 해당한다.
상기 혼합부 유니트의 조합과, 그 부분연소 또는 전체연소의 화력(인풋)을 다음의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1)
혼합부 유니트의 조합
A-B A-B-B A-B-B-B
연소전환 A만 4000∼9500 4000∼8700 4000∼8700
B만 6800∼16150 6000∼13000 6000∼13000
A+B 10800∼25300 10000∼21700 10000∼21700
A+B+B - 18000∼38000 18000∼34700
A+B+B+B - - 30000∼51000
대응호수 16호 24호 32호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종 또는 이종의 복수의 혼합부 유니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체연소 또는 부분연소에 의해 여러 가지 화력이 얻어지는 연소장치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Claims (9)

  1. 연료가스와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를 미리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예비혼합가스로 하는 복수의 혼합부와, 각 혼합부에 설치된 버너부로 이루어진 연소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소부의 각 버너부를 전부연소시키는 전체연소와 일부를 연소시키는 부분연소를 전환자재하게 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 유니트와 공통 위치에 연료가스 도입구와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를 구비하는 혼합부 유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부는 복수의 혼합부 유니트를 병렬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부 유니트는 공통의 높이 및 깊이를 구비한 상자형상으로서,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에 따라 폭의 길이가 다른 복수 종류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부 유니트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에 대응하는 양의 연소용 1차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는, 상기 도입구 가장자리부에 입설되어 상기 혼합부 유니트의 내부로 돌출하는 버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를 구성하는 동종 또는 이종의 복수의 혼합부 유니트는 연결부재가 부착되어 병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는 부착되는 혼합부 유니트의 상기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에 연통하여, 각 혼합부 유니트에 대하여 상기 혼합부 유니트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량에 대응하는 양의 연소용 1차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량 조정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6)는 상기 공기공급량 조정공의 가장자리부에 입설되어 상기 혼합부 유니트의 내부로 돌출하는 버링부(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8. 제1항, 제5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 유니트는 상기 버너부의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와 연료용 1차공기 도입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혼합부 유니트내의 상기 버너부의 마주보는 쪽을 구획하여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상기 연료용 1차공기 도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1차공기를 예비적으로 혼합하는 예비혼합실을 구획하는 간막이를 구비하며, 상기 간막이는 상기 예비혼합실에서 혼합된 연료가스 및 연소용 공기를 상기 버너부측에 공급하는 공급공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9. 제1항, 제5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 유니트는, 상기 버너부의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와, 간격을 두고 병렬로 복수개 설치된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설치하고, 차폐부재에는 복수의 공기흡출구를 설치하여 상기 연료가스 도입구를 공급되는 가스가 두 개의 연소용 1차공기 도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흡출구 사이의 무개구부로 유입하도록 간격을 두고 병렬로 복수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KR1019990035565A 1998-08-27 1999-08-26 연소장치 KR100326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241620 1998-08-27
JP24162098 1998-08-27
JP1998-247890 1998-09-02
JP24789098A JP3447962B2 (ja) 1998-08-27 1998-09-02 燃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50A KR20000017550A (ko) 2000-03-25
KR100326188B1 true KR100326188B1 (ko) 2002-02-27

Family

ID=2653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565A KR100326188B1 (ko) 1998-08-27 1999-08-26 연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47962B2 (ko)
KR (1) KR100326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77B1 (ko) * 2005-10-21 2007-06-15 중앙아이엔티 주식회사 가스혼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032B1 (ko) 2008-09-26 2010-08-17 (주)귀뚜라미 콘덴싱 가스 보일러
JP5368386B2 (ja) * 2010-07-06 2013-12-18 リンナイ株式会社 全一次燃焼式バーナ
US8827693B2 (en) 2011-10-17 2014-09-09 Rinnai Corporation Totally aerated combustion burner
US10281173B2 (en) * 2012-06-28 2019-05-07 Purpose Co., Ltd. Burner, combustion apparatus, method for combustion, method for controlling combustion, recording medium, and water heater
JP6043521B2 (ja) * 2012-06-28 2016-12-14 パーパス株式会社 燃焼装置、燃焼方法および給湯装置
JP6571445B2 (ja) * 2015-08-11 2019-09-04 パーパス株式会社 予混合装置および熱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2031A (ja) * 1982-04-16 1983-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制御装置
JPH07280221A (ja) * 1994-04-14 1995-10-27 Hitachi Chem Co Ltd バーナ及び該バーナを用いた燃焼装置
JPH0914607A (ja) * 1995-06-28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2031A (ja) * 1982-04-16 1983-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制御装置
JPH07280221A (ja) * 1994-04-14 1995-10-27 Hitachi Chem Co Ltd バーナ及び該バーナを用いた燃焼装置
JPH0914607A (ja) * 1995-06-28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77B1 (ko) * 2005-10-21 2007-06-15 중앙아이엔티 주식회사 가스혼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50A (ko) 2000-03-25
JP3447962B2 (ja) 2003-09-16
JP2000146127A (ja) 200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6555B1 (en) A gas burning apparatus with an atmospheric burner
JP3814604B2 (ja) 多段制御を具現するガス燃焼バーナ
KR100326188B1 (ko) 연소장치
KR100353432B1 (ko) 혼합부 유닛
JP2016536553A (ja) リッチリーン燃焼装置
US5799621A (en) Boiler assembly
CN114396621A (zh) 火排、燃烧器及燃气热水器
CN114396620A (zh) 燃烧器及燃气热水器
CN110553258B (zh) 一种燃烧器、应用该燃烧器的燃气热水器以及控制方法
JPH0820057B2 (ja) 先混合式ガスバーナ
KR100965277B1 (ko) 공해물질 저감 및 보염 특성을 갖는 과농-희박연소 버너
JPH0252910A (ja) 給湯機
JP4459112B2 (ja) バー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媒体加熱装置
CN211119966U (zh) 可提供分段燃烧的燃气热水设备
CN115325539A (zh) 一种可分段燃烧的完全预混燃烧器及燃气热水设备
JPS63251712A (ja) ガス燃焼装置
JPH074622A (ja) バーナ装置
KR20210055202A (ko) 가스 퍼니스
KR100652882B1 (ko) 가스연소버너의 염공부 구조
JPH01155106A (ja) 石油燃焼器
JP2002039515A (ja) ガスバーナとそのガスバーナを使用する燃焼装置
JPH0217773B2 (ko)
JPH04108122U (ja) ガスバーナ
JPH0835626A (ja) 複合燃焼器
KR20060017073A (ko) 가스연소버너의 버너부 격막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