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999B1 - 벽부착형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벽부착형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999B1
KR100325999B1 KR1019990021382A KR19990021382A KR100325999B1 KR 100325999 B1 KR100325999 B1 KR 100325999B1 KR 1019990021382 A KR1019990021382 A KR 1019990021382A KR 19990021382 A KR19990021382 A KR 19990021382A KR 100325999 B1 KR100325999 B1 KR 10032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motor
switching unit
triac
hoo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891A (ko
Inventor
이성호
조영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99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며 저부의 유입구와 상부영역의 배출구를 갖는 후드덕트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후드덕트내에 설치되는 후드팬을 구비한 벽부착형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후드팬을 구동하기 위한 후드모터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후드모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후드팬을 구동하기 위한 후드모터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후드모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외부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압충전부와; 상기 전압충전부의 출력전압이 소정 이상일 때 턴온되어, 상기 제1스위칭부에 턴온신호를 제공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후드모터의 속도를 선형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으며, 마이컴의 오동작이나 고장 등의 경우에도 후드써모스탯의 턴온시 후드모터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벽부착형 전자렌지{WALL MOUNTED TYPE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벽부착형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모터의 속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벽부착형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벽부착형 전자렌지는, 가스렌지의 상부 벽면에 설치되며, 가스렌지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습기 및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후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벽부착형 전자렌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3)와, 본체(53)를 둘러싸는 케이싱(56)을 포함하며, 케이싱(56)과 본체(53)와의 사이에 습기 및 연기의 배출을 위한 통로인 후드덕트(6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56)의 하부면에는 후드덕트(65)내로 습기 및 연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58)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56)의 상부면에는 배출구(5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59)에는 배기관(61)이 접속되며, 배기관(61)은 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통된 배기통로(67)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구(59)에 인접한 본체(53)의 상부영역에는 후드팬(63)이 설치되어 유입구(58)를 통해 후드덕트(65)내로 유입된 습기 및 연기를 배출구(59)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후드팬(63)은 조작패널에 마련된 선택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작동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후드덕트(65)의 유입구(58) 혹은 그 내부에 공기의 온도나 연기 감지등에 따라 후드팬(63)에의 전원을 단속하는 후드센서(57)를 장착하여 후드팬(63)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후드센서(57)는 일반적으로 바이메탈로 구성된다.
도 8은 종래의 벽부착형 전자렌지의 후드구동부의 회로도이다. 후드모터(95)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상용교류 전원라인(51,52)을 상호 직렬연결하는 전원라인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후드모터(95)가 설치된 전원라인에는 후드모터(95)로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후드팬스위치(72)와, 후드모터(95)의 구동속도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선택하기 위한 속도선택스위치(7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속도선택스위치(73)는 후드모터(95)의 속도를 고속 또는 저속으로 턴온시키기 위한 고속접점(73a)과 저속접점(73b)을 가지고 있으며, 속도선택스위치(73)는 통상시에 저속접점(73b)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후드팬스위치(72)와 병렬연결된 전원라인에는, 가스렌지(100)로부터의 열기 또는 가스를 감지하여 그 감지여부에 따라 턴온되는 후드센서(57)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음식물의 조리중 음식물로부터의 열기와 연기 등을 배출시키려면, 후드팬을 구동시키는 선택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버튼을 일회 가압하면 마이컴은 후드팬스위치(72)를 턴온시키며, 이 때, 속도선택스위치는 통상시에 저속접점(73b)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후드모터(95)가 저속으로 구동하게 된다. 선택버튼을 이회 가압하면 마이컴은 속도선택스위치(73)를 고속접점(73a)에 접속시켜 후드모터(95)를 고속으로 구동시키며, 한번 더 가압하면 마이컴은 후드팬스위치를 턴오프시켜 후드모터(95)를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음식물의 조리 도중, 사용자가 선택버튼을 조작하지 아니하더라도, 후드센서(57)에 의해 열기나 연기가 감지되면, 후드센서(57)가 턴온되어 후드모터(95)가 저속으로 구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후드모터(95)는 후드모터(95)의 속도를 저속과 고속의 두 레벨로만 조절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열기나 연기의 정도에 따라, 후드모터(95)를 저속과 고속의 중간 정도의 속도로 구동시키길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즉, 열기나 연기의 정도에 따라 후드모터(95)의 구동속도를 적응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코일의 권수를 증가시켜 후드모터(95) 자체의 용량을 크게 하여 후드모터(95)의 회전속도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나, 코일의 권수를 증가시킬 경우, 후드모터(95)의 크기가 커지며, 단계를 증가하는 만큼 속도선택스위치(73)의 접점수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단가가 상승하며 조립작업이 번거로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써모스탯을 마이컴에 연결하고 써모스탯의 턴온시 마이컴에 의해 후드모터를 턴온시키고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써모스탯이 마이컴에 직접 연결되어 제어되는 경우, 마이컴이 고장나거나 오동작하면, 배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후드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모터의 속도를 다양화하여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써모스탯이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마이컴이 고장나거나 오동작하더라도 후드모터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 벽부착형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벽부착형 전자렌지의 설치시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벽부착형 전자렌지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 후드모터의 후드구동부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C 후드모터의 후드구동부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 후드모터의 후드구동부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C 후드모터의 후드구동부 회로도,
도 7은 도 4 및 도 7에 따른 벽부착형 전자렌지의 제어블럭도,
도 8은 종래의 벽부착형 전자렌지의 후드구동부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정류부 5 : 전원공급부
7 : 평활부 10, 30 : 후드모터
12, 32 : 가변저항 13, 23, 33, 43 : 후드써모스탯
15, 25, 35, 45 : 스위치부 16, 26, 36, 46 : 캐패시터
17, 27, 37, 47 : 다이액 18, 28, 38, 48 : 트라이액
19, 39 : 전압충전부 20, 40 : 마이컴
22, 42 : 포토트라이액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며 저부의 유입구와 상부영역의 배출구를 갖는 후드덕트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후드덕트내에 설치되는 후드팬을 구비한 벽부착형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후드팬을 구동하기 위한 후드모터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후드모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후드팬을 구동하기 위한 후드모터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후드모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외부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압충전부와; 상기 전압충전부의 출력전압이 소정 이상일 때 턴온되어, 상기 제1스위칭부에 턴온신호를 제공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칭부는 트라이액이고, 상기 제2스위칭부는 다이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드모터는 DC모터이며, 상기 트라이액과 후드모터 사이에는 상기 트라이액으로부터의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류를 평활하여 상기 DC 후드모터에 제공하는 평활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DC용 후드모터에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과 병렬연결되고 상기 후드덕트내에 설치되며, 열기 또는 연기의 감지시 턴온되는 써모스탯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며 저부의 유입구와 상부영역의 배출구를 갖는 후드덕트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후드덕트내에 설치되는 후드팬을 구비한 벽부착형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의 게이트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칭부로 턴온신호를 제공하는 제2스위칭부와;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칭부의 턴온신호 발생주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의 전원 단속주기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칭부는 트라이액이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포토트라이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드모터는 DC모터이며, 상기 트라이액과 후드모터 사이에는 상기 트라이액으로부터의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류를 평활하여 상기 DC 후드모터에 제공하는 평활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DC용 후드모터에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드덕트내에 설치되어 열기 또는 연기를 감지에 따라 턴온되는 써모스탯과, 상기 트라이액과 병렬연결된 캐패시터와, 상기 트라이액의 케이트단에 연결되며 상기 써모스탯의 턴온시 상기 캐패시터의 출력전압이 소정 이상이면 턴온되어 상기 트라이액에 턴온신호를 제공하는 다이액을 더 포함함으로써, 기계적으로후드모터의 작동이 제어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써모스탯의 턴온시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포토트라이액의 점멸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벽부착형 전자렌지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계식으로 제어되는 AC 후드모터의 후드구동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모터(10)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5)와, AC모터로 형성된 후드모터(10)와, 후드모터(10)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칭부(15)를 포함한다.
스위칭부(15)는, 전원공급부(5)와 후드모터(10) 사이의 전원라인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트라이액(18)과, 트라이액(18)으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압충전부(19)와, 전압충전부(19)의 충전전압이 일정 이상이 되면 트라이액으로 턴온신호를 공급하는 다이액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압충전부(19)는, 트라이액(18)의 전단으로부터 분기되어 트라이액(18)으로 후단으로 연결된 바이패스전원라인(11) 상에 설치된 캐패시터(16)와, 외부의 조작노브(9)와 연결되어 조작노브(9)의 조절에 따라 캐패시터와 함께 후드모터(10)로 공급되는 전류의 시정수를 조절하는 가변저항을 가진다.
한편, 다이액은 일측 단자가 캐패시터(16)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는 트라이액(18)의 게이트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캐패시터(16)에 35∼45V의 전압이충전되면 턴온되어, 트라이액(18)의 게이트단으로 턴온신호를 공급하여 트라이액(18)의 턴온시키게 된다.
이러한 바이패스전원라인(11)의 가변저항(12)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전원라인에는 후드덕트내의 열기 또는 연기감지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후드써모스탯(13)과 저항(14)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변저항(12)의 저항값은 통상시에 최대치로 설정되어 있으며, 저항값이 최대인 경우에는 후드모터(10)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후드모터(10)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스렌지의 사용중, 후드써모스탯(13)에 의해 후드덕트내의 열기 또는 연기가 감지되면, 후드써모스탯(13)이 턴온되고, 후드모터(10)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 때, 사용자가 외부의 조작노브(9)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변저항(12)의 저항값을 조절하면, 저항값에 따라 시정수가 변하여 단위시간당 캐패시터(16)에 충전되는 전압값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캐패시터(16)의 충전전압이 35∼45V에 도달하면 다이액(17)은 트라이액(18)의 게이트단에 턴온 신호가 제공되므로, 가변저항값이 변화하면 결과적으로 트라이액(18)의 턴온시간이 조절되게 된다. 이에 따라, 후드모터(10)로 공급되는 전류의 듀티비가 조절되어 후드모터(10)의 속도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드써모스탯(13)에 의해 후드모터(10)가 턴온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조작노브(9)를 통해 속도조절부의 저항값을 조절하면, 후드모터(10)로의 전류공급이 조절되어 후드모터(10)를 작동시키거나 속도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AC 후드모터(10)의 후드구동회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와, AC 후드모터(10)와, 전원공급부(5)로부터 후드모터(1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25)와, 스위칭부(25)의 온오프를 단속하는 마이컴(20)을 가지고 있다.
스위칭부(25)는, 전원공급부(5)와 후드모터(10)를 연결하는 전원라인상에 설치된 트라이액(28)과, 마이컴(20)으로부터의 신호를 트라이액(28)으로 전달하는 포토트라이액(22)을 포함하며, 트라이액(28)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바이패스전원라인(21)상에는 캐패시터(26)와, 저항(24) 및 후드써모스탯(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캐패시터(26)의 후단에는 일측 단자는 캐패시터(26)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는 트라이액(28)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트라이액(28)을 턴온시키는 다이액(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다이액(27)은 마이컴(20)이 고장이나 오류등으로 작동하지 아니할 경우, 기계식으로 작동하여 트라이액(28)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트라이액(28)을 턴온시키게 된다.
이러한 후드구동회로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와 조작노브(9), 후드써모스탯(23,43)으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라 포토트라이액(22,42)의 점멸주기를 조절한다. 포토트라이액(22,42)의 점멸주기가 변화하면, 트라이액(28,48)으로의 턴온 및 턴오프시간이 조절되며, 결과적으로 후드모터(10)로 입력되는 전류량이 조절되어 후드모터(10)의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스렌지의 사용중 후드써모스탯(23)으로 열기나 연기가 감지되면, 후드써모스탯(23)이 턴온되어 후드모터(10)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마이컴(20)에서는 후드써모스탯(23)의 턴온을 감지하고, 외부의 조작노브(9)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포토트라이액(22)으로 출력하는 신호의 주기를 조절하게 된다. 사용자가 고속측으로 조작노브(9)를 조작하면, 마이컴(20)은 포토트라이액(22)으로 보내는 신호의 주기를 짧게 하고, 이에 따라, 트라이액(28)의 듀티주기가 커져 후드모터(10)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증대되고, 후드모터(10)의 속도가 증속되게 된다.
한편, 마이컴(20)의 고장이나 오동작으로 인하여 조작노브(9)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후드써모스탯(23)이 턴온되면,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기계식과 마찬가지로, 캐패시터(26)에 전압이 충전되고, 전압이 일정 이상 충전되면 다이액(27)으로 전압이 공급되며, 다이액(27)은 트라이액(28)을 턴온시켜 후드모터(1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때, 트라이액(28)의 듀티주기는 캐패시터(26) 용량 또는 저항(24) 값에 따라 미리 결정되며, 후드모터(10)는 미리 결정된 트라이액(28)의 듀티주기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컴(20)이 고장이나 오동작하는 경우에도, 후드써모스탯(23)이 턴온 여부에 따라 후드모터(10)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후드모터(30)를 DC 모터로 사용한 경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구동회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와, DC 후드모터(30)를 가지며, 전원공급부(5)와 후드모터(30) 사이에는 전원공급부(5)로부터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3)와,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는 평활부(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5)와 정류부(3) 사이의 전원라인에는 후드모터(3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칭부(35)는, 전원공급부(5)와 후드모터(10) 사이의 전원라인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트라이액(38)과, 트라이액(38)으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전압충전부(39)와, 전압충전부(39)의 충전전압이 일정 이상이 되면 트라이액(38)으로 턴온신호를 공급하는 다이액(37)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압충전부(39)는, 트라이액(38)의 전단으로부터 분기되어 트라이액(38)으로 후단으로 연결된 바이패스전원라인(31) 상에 설치된 캐패시터(36)와, 외부의 조작노브(9)와 연결되어 조작노브(9)의 조절에 따라 캐패시터(36)와 함께 후드모터(30)로 공급되는 전류의 시정수를 조절하는 가변저항(34)을 가진다.
한편, 다이액(37)은 일측 단자가 캐패시터(36)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는 트라이액(38)의 게이트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캐패시터(36)에 35∼45V의 전압이 충전되면 턴온되어, 트라이액(38)의 게이트단으로 턴온신호를 공급하여 트라이액(38)을 턴온시키게 된다.
이러한 바이패스전원라인(31)의 가변저항(32)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전원라인에는 후드덕트내의 열기 또는 연기감지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후드써모스탯(33)과 저항(34)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DC 후드모터(30)용 후드구동회로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후드써모스탯(33)의 턴온에 의해 캐패시터(36)로 전원이 공급되면, 다이액(37)으로부터의 전원공급에 의해 트라이액(38)이 턴온된다. 이 때, 가변저항(32)의 저항값에 따라 단위시간당 캐패시터(36)에 충전되는 전압값이 변화하여 트라이액(38)에 의한 듀티주기가 조절되고, 트라이액(38)을 통과한 전류는 정류부(3)와 평활부(7)로 공급되어 정류 및 평활되어 DC 전원이 후드모터(30)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DC 후드모터(30)의 속도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드써모스탯(33)에 의해 후드모터(30)가 턴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노브(9)를 통해 가변저항(32)의 저항값을 조절하면, 후드모터(30) 공급되는 전류량이 조절되어 후드모터(30)를 작동 및 속도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후드모터(30)를 DC 모터로 사용한 경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구동회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와, DC 후드모터(30)를 가지며, 전원공급부(5)와 후드모터(30) 사이에는 전원공급부(5)로부터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3)와,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는 평활부(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5)와 정류부(3) 사이에는 전원공급부(5)로부터 후드모터(3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부(45)와, 스위칭부(45)의 온오프를 단속하는 마이컴(40)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스위칭부(45)는, 도 4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와 후드모터(30)를 연결하는 전원라인상에 설치된 트라이액(48)과, 마이컴(40)으로부터의 신호를 트라이액(48)으로 전달하는 포토트라이액(42)을 포함하며, 트라이액(48)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바이패스전원라인(41)상에는 캐패시터(46)와, 저항(44) 및 후드써모스탯(4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캐패시터(46)의 후단에는 일측 단자는 캐패시터(46)에 연결되고 타측 단자는 트라이액(48)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트라이액(48)을 턴온시키는 다이액(47)이 설치되어 있다. 이다이액(47)은 마이컴(40)이 고장이나 오류 등으로 작동하지 아니할 경우, 트라이액(48)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트라이액(48)을 턴온시키게 된다.
이러한 후드구동회로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와 조작노브(9), 후드써모스탯(43)으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라 포토트라이액(42)의 점멸주기를 조절하고, 포토트라이액(42)의 점멸주기에 따라 트라이액(48)으로의 턴온 및 턴오프시간이 조절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후드구동회로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전자식 후드구동회로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다만, 후드모터(30)로 입력되는 전류가 정류부(3)와 평활부(7)를 통과하며 정류 및 평활되어 직류전원으로 입력되는 점만이 상이할 뿐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AC모터로 형성된 후드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트라이액을 이용하여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후드모터의 속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후드모터를 전자식으로 제어하는 경우, 마이컴이 고장나거나 오동작하는 경우에도 후드모터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AC모터로 형성된 후드모터의 제어회로에 정류부(3)와 평활부(7)를 부가함으로써, DC모터를 후드모터로 사용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본원발명에서는, 종래의 후드구동회로와는 달리 별도의 릴레이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후드모터로 입력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을 메인 전원라인과 병렬로 배치하여 저용량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라이액을 사용하여 후드모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후드모터의 속도를 선형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컴의 오동작이나 고장 등의 경우에도 후드써모스탯의 턴온시 후드모터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별도의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저용량의 저항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0)

  1.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며 저부의 유입구와 상부영역의 배출구를 갖는 후드덕트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후드덕트내에 설치되는 후드팬을 구비한 벽부착형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후드팬을 구동하기 위한 후드모터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후드모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외부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압충전부와;
    상기 전압충전부의 출력전압이 소정 이상일 때 턴온되어, 상기 제1스위칭부에 턴온신호를 제공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는 트라이액이고, 상기 제2스위칭부는 다이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충전부는 캐패시터와 가변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에 따라 그 시정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모터는 DC모터이며, 상기 트라이액과 후드모터 사이에는 상기 트라이액으로부터의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류를 평활하여 상기 DC 후드모터에 제공하는 평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과 병렬연결되고 상기 후드덕트내에 설치되며, 열기 또는 연기의 감지시 턴온되는 써모스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
  6.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며 저부의 유입구와 상부영역의 배출구를 갖는 후드덕트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후드덕트내에 설치되는 후드팬을 구비한 벽부착형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후드팬을 구동하기 위한 후드모터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후드모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1스위칭부의 게이트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칭부로 턴온신호를 제공하는 제2스위칭부와;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칭부의 턴온신호 발생주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의 전원 단속주기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는 트라이액이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포토트라이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모터는 DC모터이며, 상기 트라이액과 후드모터 사이에는 상기 트라이액으로부터의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류를 평활하여 상기 DC 후드모터에 제공하는 평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덕트내에 설치되어 열기 또는 연기를 감지에 따라 턴온되는 써모스탯과, 상기 트라이액과 병렬연결된 캐패시터와, 상기 트라이액의 케이트단에 연결되며 상기 써모스탯의 턴온시 상기 캐패시터의 출력전압이 소정 이상이면 턴온되어 상기 트라이액에 턴온신호를 제공하는 다이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써모스탯의 턴온시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포토트라이액의 점멸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전자렌지.
KR1019990021382A 1999-06-09 1999-06-09 벽부착형 전자렌지 KR10032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382A KR100325999B1 (ko) 1999-06-09 1999-06-09 벽부착형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382A KR100325999B1 (ko) 1999-06-09 1999-06-09 벽부착형 전자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891A KR20010001891A (ko) 2001-01-05
KR100325999B1 true KR100325999B1 (ko) 2002-03-07

Family

ID=1959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382A KR100325999B1 (ko) 1999-06-09 1999-06-09 벽부착형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750B1 (ko) 2007-05-17 2009-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 신호의 무손실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7546A (en) * 1983-03-01 1985-03-26 Fortune William S Control circuit responsive to a component's varying resistance
JPH0391616A (ja) * 1989-09-05 1991-04-17 Toshiba Corp システム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H06193924A (ja) * 1992-12-22 1994-07-15 Matsushita Seiko Co Ltd ファンの制御装置
JPH0960888A (ja) * 1995-08-28 1997-03-04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H11148655A (ja) * 1997-11-06 1999-06-02 Samsung Electron Co Ltd 壁掛け型電子レンジ及びその出力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7546A (en) * 1983-03-01 1985-03-26 Fortune William S Control circuit responsive to a component's varying resistance
JPH0391616A (ja) * 1989-09-05 1991-04-17 Toshiba Corp システム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H06193924A (ja) * 1992-12-22 1994-07-15 Matsushita Seiko Co Ltd ファンの制御装置
JPH0960888A (ja) * 1995-08-28 1997-03-04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H11148655A (ja) * 1997-11-06 1999-06-02 Samsung Electron Co Ltd 壁掛け型電子レンジ及びその出力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891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1504B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od motor therefor
KR100381414B1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및 그 후드모터 속도제어방법
KR100284087B1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100286027B1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890003250A (ko) 순간 동작모드를 가진 조리 기구용 전력 제어시스템
KR100306657B1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100325999B1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EP1457740B1 (en) Method of operating a domestic oven and cooking oven having a cooling fan
US6304046B1 (en) Driving control circuit of a hood motor
KR100365919B1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및 그 후드팬 속도제어방법
US6888117B2 (en) Combination hood and microwave oven
WO2004019726A1 (en) Hair dryer with improved heating power control and circuits therefor
KR100312896B1 (ko) 전자렌지 및 그 모드선택 제어방법
KR100681578B1 (ko) 전자렌지의 팬모터 제어회로
JP4448265B2 (ja) 浴室用空気加熱機のヒータ通電制御装置
KR100284089B1 (ko) 벽부착형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JPH0313600Y2 (ko)
KR100210075B1 (ko) 전자렌지의 히터제어장치
KR20010037406A (ko) 오버 더 레인지의 배기팬제어장치
KR20000012614U (ko) 전자레인지의 후드팬제어회로
JPH0533259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20020045241A (ko) 공기조화기의 표시부 전원제어장치
JPH06101843A (ja) 加熱調理器
JPS59109721A (ja) 電気レ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