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263B1 - 입력조정이가능한압전소자구동회로및그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입력조정이가능한압전소자구동회로및그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263B1
KR100325263B1 KR1019980056719A KR19980056719A KR100325263B1 KR 100325263 B1 KR100325263 B1 KR 100325263B1 KR 1019980056719 A KR1019980056719 A KR 1019980056719A KR 19980056719 A KR19980056719 A KR 19980056719A KR 100325263 B1 KR100325263 B1 KR 100325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voltage
pct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964A (ko
Inventor
홍순길
Original Assignee
손동준
(주)동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준, (주)동일기연 filed Critical 손동준
Priority to KR101998005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263B1/ko
Priority to TW088103929A priority patent/TW428360B/zh
Priority to DE19918607A priority patent/DE19918607A1/de
Priority to JP11219793A priority patent/JP2000188880A/ja
Priority to US09/557,901 priority patent/US6331748B1/en
Publication of KR2000004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02Circuitry or processes for opera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rive circuits
    • H10N30/804Circuitry or processes for opera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rive circuits for piezoelectric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7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7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specially adapted components in the load circuit, e.g. feed-back transformers, piezoelectric transformers; using specially adapted load circuit configu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control circuits for the switch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입력조정(Input line-regulation)이 가능한 압전소자 구동회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칭소자의 개수를 줄이고 DC-DC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전압이 넓게 변화해도 PCT구동회로가 필요로하는 일정한 전압을 얻을 수 있는 압전소자 구동회로를 제공하기 위해,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른 최대출력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압전소자 구동회로로서, 램프, 램프를 기동하는 압전소자. 압전소자를 구동하는 PCT구동수단, 출력전압을 정류하는 배전압정류기, 디밍전압과 출력전류를 가산하여 오차신호를 출력하는 증폭수단, 배전압정류기의 입력신호와 PCT구동수단의 입력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위상검파수단 및 위상검파수단에서의 출력신호와 증폭수단에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PCT구동수단에 공급되는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입력전압이 Vmin에서 Vmax까지 변화하더라도 기본주파수 성분의 전폭은 항상 일정하게 얻을 수 있는 변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온도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스위칭소자의 부품개수를 감소시켜 인버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입력조정이 가능한 압전소자 구동회로 및 그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압전소자 구동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C-DC컨버터를 사용하지 않는 압전소자 구동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액정디스플레이(LCD)를 채용한 노트북 컴퓨터의 소형화 및 박형화의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됨에 따라 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백라이트(Back light)인버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가 매우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백라이트용 DC-AC인버터에 사용되어 지는 마그네틱 트랜스 (Magnetic transformer)는 소형화 및 고효율화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수년전부터 PCT(PIEZO-CERAMIC TRANSFORMER)를 이용한 인버터가 연구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구동회로가 복잡한 문제와 입력전압의 가변범위가 넓은 응용회로에서 PCT구동회로에 가해지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기 위한 또 하나의 DC-DC 컨버터가 필요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지금까지 실용화되고 있는 PCT인버터의 일반적인 형태로는
1. 벅 또는 부스트(BUCK or BOOST) DC-DC컨버터 + 푸시풀 인버터
2. DC-DC컨버터 + 싱글엔드(SINGLE-ENDED) 준공진형 인버터
3. DC-DC컨버터 + 하프브리지 인버터
4. DC-DC컨버터 + 플라이백 싱글 엔드 준 공진형 인버터
등과 같은 것이 있으나 모두 2단 인버터로 동작되고 있어 각 단마다 별도의 스위칭소자와 제어회로를 사용해야 하므로 회로가 매우 복잡해진다.
도 6은 하프브리지 인버터를 채용한 종래의 압전소자 구동회로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전압이 Vmax에서 Vmin까지 변할 때 A점에서 일정한 전압을 만들어 PCT구동용 스위칭소자인 트랜지스터 Q1, Q2에 공급을 하고 제어기2에서는 트랜지스터Q1, Q2의 ON/OFF시간의 비율을 항상 일정하게 제어하여 PCT입력단자인 B점을 일정한 전압으로 구동하여 램프를 동작시키고 있다.
이러한 회로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반도체회사에서는 여러 제어회로를 하나의 칩속에 집적화하여 1단의 DC-AC 인버터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 역시 여러 스위칭소자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위칭소자의 개수를 줄이고 DC-DC컨버터를 사용하지 않는 압전소자 구동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전압이 넓게 변화해도 PCT구동회로가 필요로 하는 일정한 전압을 얻을 수 있는 압전소자 구동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버터의 부수적기능으로 출력전류를 가변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의 밝기를 가변시키는 새로운 제광(DIMMING)개념과 PCT가 주변의 온도 및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공진주파수와 회로의 동작주파수가 왜곡되어 자동적으로 공진주파수를 추적하는 압전소자 구동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소자 구동회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T구동부의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력전압에 따른 B점의 파형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형을 푸리에급수로 전개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PCT이 주파수에 대한 입출력승압비의 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압전소자 구동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
1…배전압정류기, 2…가산증폭기, 3…듀티비제어기 ,
4…위상검파기, 5…VCO, 6…톱니파발생기,
7…PWM변조기, 8…PCT구동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압전소자 구동회로는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른 최대출력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압전소자 구동회로로서, 램프,상기 램프를 기동하는 압전소자,상기 압전소자를 구동하는 PCT구동수단, 출력전압을 정류하는 배전압정류기, 디밍전압과 출력전류를 가산하여 오차신호를 출력하는 증폭수단,상기 배전압정류기의 입력신호와 상기 PCT구동수단의 입력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위상검파수단 및 상기 위상검파수단에서의 출력신호와 상기 증폭수단에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PCT구동수단에 공급되는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입력전압이 Vmin에서 Vmax까지 변화하더라도 기본주파수 성분의 진폭을 항상 일정하게 얻을 수 있는 변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압전소자 구동회로의 제어방법으로서, 임의의 입력전압 Vx에서 최대출력전류 Iomax를 생성하는 Dx (여기서, Dx는 임의의 전압 Vx에서 한주기에 대한 스위치 도통시간의 비를 의미한다)를 결정하고,상기 디밍을 위해 상기 Dx의 값을 좁혀서 원하는 밝기 만큼의 전류를 흐르게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원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내며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소자 구동회로의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출력전압을 정류하는 배전압정류기, (2)는 디밍전압과 출력전류를 가산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가산증폭기, (3)은 가산증폭기(2)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듀티비를 제어하는 듀티비제어기, (4)는 후에 기술하는 PCT구동부(8)과 배전압정류기(1)의 출력신호의 상대적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파기이다.
(5)는 전압제어발진기(VCO :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로서, 위상검파기(4)의 출력신호에서 제어전압으로 발진주파수를 변화시킨다. (6)은 VCO(5)에서 출력된 전압 또는 전류를 시간에 비례하는 톱니파를 형성하는 톱니파발생기이고, (7)은 PWM(Pulse Width Modulation)변조기로서, 듀티비제어기(3)의 출력과 톱니파발생기의 출력에 따라 주기적인 펄스폭으로 변화시켜 출력한다. (8)은 PCT구동부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 따라 후술한다.
(9)는 압전세라믹트랜스(PCT : PIEZO-CERAMIC TRANSFORMER)이고, (10)은 램프이다.
다음에, 도 2에 따라 PCT구동부(8)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PCT구동부(8)은 인버터, 2개의 트랜지스터 Q1, Q2및 LC필터로 이루어진다.
도 2의 기본구조는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과 유사하지만, 트랜지스터 Q1, Q2의 온, 오프 제어방법이 전혀 상이하다. 또, 도 6의 구조에 있어서는 구동트랜스를 사용해야 하지만, 도 2의 구조에서는 구동트랜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도 6의 구조에서는 A점에서 입력전압을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전압을 공급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는 A점에 변화하는 입력전압이 그대로 공급되어도 B점에서 항상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회로가 구성되는 것이다.
즉, 도 2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Q1, Q2가 온, 오프하는 동작상태는 매 한 주기마다 트랜지스터 Q1이 온하면 나머지 주기는 반드시 트랜지스터 Q2가 온되는, 즉 입력전압의 변화에 대해 온, 오프 시간이 서로 다르게 조정되도록 해야 한다.
B점에서 파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입력전압이 높을 때에는 트랜지스터 Q1의 온시간이 짧고,입력전압이 낮을 때에는 반대로 트랜지스터 Q1의 온시간을 길게 제어하여 아래와 같은 이론을 추출할 수 있다. 도 3의 파형을 도 4를 참조하여 푸리에급수로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bK= 0 [ ∵f(t)는 우함수(EVEN FUNCTION)]
식 1에서
이 때, A는 Vmin전압에서 Vmax전압까지 변화를 한다. 만일, Vmin전압에서 트랜지스터Q1의 온시간, 펄스폭과 펄스주기와의 비인 듀티비D를 D1(D1, max≤50%)가 되게 조절을 하고, 입력전압이 Vmax전압까지 변화할 때 이 D값에 해당하는 전압파형을 푸리에급수전개를 하였을 때 기본파성분의 크기가 같아지도록 D값을 제어하면, 입력전압V에 관계없이 항상 같은 기본파 주파수 성분, 즉 a11=a12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입력전압이 Vmin과 Vmax범위내로 변할 때 항상 일정한 진폭의 기본파 주파수 성분을 얻을 수 있어 입력조정(Input line-regulaiton)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전개하면 아래와 같다.
일반적으로로 표시된다.
여기서, a11=a1x가 되도록 Dx를 구하면,
상기 식 3은 임의의 입력전압 VX에서 Vmin과 D1로 얻어지는 기본주파수 성분의 진폭과 같은 진폭을 얻을 수 있는 듀티비를 계산하는 일반해다.
하기의 표 1은 입력전압에 대한 펄스폭의 비로서, 상술한 일반해로 구한 몇가지의 해를 나타낸 것이다.
Vx 듀 티 비( Dx )
8V 50% 28% 16. 9%
10V 29. 5% 21. 2% 13. 3%
12V 23. 2% 17. 2% 10. 9%
14V 19. 3% 14. 6% 9. 4%
16V 16. 6% 12. 6% 8. 2%
18V 14. 6% 11. 1% 7. 2%
20V 13. 0% 10% 6. 5%
a1(rms) 3. 6V 2. 78V 1. 82V
(Dx : 임의의 전압Vx에서 한주기T에 대한 스위치 도통시간DT의 비)
즉, 도 2에서 B점파형을 8V, 50%, 10V, 29. 5%, … 20V, 13%가 되도록 PWM변조기(7)에서 도통시간 비를 제어하고 PCT구동부(8)내의 LC필터로 기본주파수 성분만 통과시키면, C점에는 항상 a1=3. 6Vrms가 되는 정현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정현파 전압으로 램프(10)의 부하에 원하는 전류Iomax를 흐르게 하는 PCT구동부(8)을 설계하여 초단의 DC-DC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넓은 범위의 입력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DC-AC인버터를 설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디밍(dimming)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회로는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른 최대출력전류Iomax를 내기 위해 듀티비를 조정하게 한다. 임의의 전압Vx에서 최대출력전류Iomax를 낼 수 있는 Dx가 결정되면, 본 발명에서는 디밍을 위해 다시 이 Dx값을 좁혀서 원하는 밝기만큼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다.
즉, 도 1에 있어서, 듀티비제어기(3)의 출력신호가 PWM변조기(7)에서 DX를 좁혀주는 방향으로 배전압정류기(1)과 가산증폭기(2)를 설계한다.
다음에, PCT의 최적주파수를 찾는 방법에 대해 도 5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fo는 PCT공진주파수이고, fr은 동작주파수이다.
일반적으로, PCT의 최대승압비는 회로의 동작주파수(fr)가 PCT의 공진주파수(fo)와 일치할 때 얻어진다. 그러나, fo=fr이 되게 회로를 동작시키면 VCO와 PCT의 온도특성 및 외부환경 등이 요인에 의해 VCO의 동작주파수가 fo보다 조금 낮은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PCT자체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인버터는 동작주파수가 PCT공진주파수보다 항상 조금 높은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T 입력전압 파형과 출력파형의 위상을 비교하는 위상검파기(4)를 마련하여 온도나 외부환경에 의해 PCT공진주파수가 어긋나도 항상fr>fo가 되는 회로동작주파수로 동작하게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전소자 구동회로에 의하면, 온도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스위칭소자의 부품개수를 감소시켜 인버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5)

  1.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른 최대출력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압전소자 구동회로로서,
    램프,
    상기 램프를 기동하는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를 구동하는 PCT구동수단,
    출력전압을 정류하는 배전압정류기,
    디밍전압과 출력전류를 가산하여 오차신호를 출력하는 증폭수단,
    상기 배전압정류기의 입력신호와 상기 PCT구동수단의 입력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위상검파수단 및
    상기 위상검파수단에서의 출력신호와 상기 증폭수단에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PCT구동수단에 공급되는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입력전압이 Vmin에서 Vmax까지 변화하더라도 기본주파수 성분의 진폭을 항상 일정하게 얻을 수 있는 변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구동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T구동수단은 인버터, 2개의 트랜지스터 및 LC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구동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검파수단은 동작주파수fr>PCT공진주파수fo의 관계가 만족하도록 위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구동회로.
  4. 램프, 상기 램프를 기동하는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를 구동하는 PCT구동부, 출력전압을 정류하는 배전압정류기, 디밍전압과 출력전류를 가산하여 오차신호를 가산 증폭기, 상기 가산 증폭기에서의 출력신호에 의해 듀티비를 제어하는 듀티비 제어기, 상기 배전압정류기의 입력신호와 상기 PCT구동수단의 입력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위상검파기 및 상기 위상검파기에서의 출력신호와 상기 듀티비 제어기에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PCT구동부에 공급되는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PWM 변조기를 구비하는 압전소자 구동회로에서의 디밍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듀티비 제어기로 임의의 입력전압 Vx에서 최대출력전류 Iomax를 생성하는 Dx (여기서, Dx는 임의의 전압 Vx에서 한주기에 대한 스위치 도통시간의 비를 의미한다)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디밍을 위해 상기 배전압 정류기와 상기 가산증폭기로 상기 Dx의 값을 좁혀서 상기 램프에서 원하는 밝기 만큼의 전류를 흐르게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압전소자 구동회로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x를 결정하는 스템은 임의의 입력전압 Vx에서 Vmin 과 D1로 얻어지는 기본주파수 성분의 진폭과 같은 진폭으로 하기 위해 하기의 식
    로 상기 Dx를 결정하는 압전소자 구동회로의 제어 방법.
KR1019980056719A 1998-12-21 1998-12-21 입력조정이가능한압전소자구동회로및그의제어방법 KR100325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719A KR100325263B1 (ko) 1998-12-21 1998-12-21 입력조정이가능한압전소자구동회로및그의제어방법
TW088103929A TW428360B (en) 1998-12-21 1999-03-15 Driving circuit of a piezo-eramic transformer capable of controlling an input voltage and a dimming control method thereof
DE19918607A DE19918607A1 (de) 1998-12-21 1999-04-23 Ansteuerschaltung eines piezokeramischen Umformers zur Steuerung einer Eingangsspannung und zugehöriges Dämpfungssteuerverfahren
JP11219793A JP2000188880A (ja) 1998-12-21 1999-08-03 圧電素子駆動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US09/557,901 US6331748B1 (en) 1998-12-21 2000-04-21 Driving circuit of a piezo-ceramic transformer capable of controlling an input voltage and a dimming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719A KR100325263B1 (ko) 1998-12-21 1998-12-21 입력조정이가능한압전소자구동회로및그의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964A KR20000040964A (ko) 2000-07-15
KR100325263B1 true KR100325263B1 (ko) 2002-06-26

Family

ID=1956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719A KR100325263B1 (ko) 1998-12-21 1998-12-21 입력조정이가능한압전소자구동회로및그의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188880A (ko)
KR (1) KR100325263B1 (ko)
DE (1) DE19918607A1 (ko)
TW (1) TW4283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3866A (ja) * 2005-08-05 2007-02-15 Tamura Seisakusho Co Ltd インバータ回路
KR100665328B1 (ko) 2005-12-15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 초음파 진동자의 구동 장치
DE102006021559A1 (de) * 2006-05-08 2008-11-13 Universität Paderborn Speisenanordnung für eine Ultraschallvorrichtung
WO2015140610A1 (en) * 2014-03-20 2015-09-24 Ariel-University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hase of a signal
DE102015112410A1 (de) 2015-07-29 2017-02-02 Epcos Ag Verfahren zur Frequenzregelung eines piezoelektrischen Transformators sowie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piezoelektrischen Transformator
CN106253741B (zh) * 2015-12-29 2018-06-12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压电陶瓷驱动装置
CN112170105B (zh) * 2020-09-18 2022-06-10 深圳市轴心压电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压电陶瓷阀驱动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964A (ko) 2000-07-15
TW428360B (en) 2001-04-01
JP2000188880A (ja) 2000-07-04
DE19918607A1 (de) 200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8198B1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piezoelectric transformer
US59235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piezoelectric transformer
KR100322513B1 (ko) 압전 트랜스포머를 위한 제어 회로 및 방법
KR100881500B1 (ko) 직류-교류 변환 장치, 및 교류 전력 공급 방법
US6013969A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inverter
US7012578B2 (en) Light emission control device, backlight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liquid crystal monitor and liquid crystal television
KR19980079925A (ko) 인버터 및 그 구동 방법
US6331748B1 (en) Driving circuit of a piezo-ceramic transformer capable of controlling an input voltage and a dimm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25263B1 (ko) 입력조정이가능한압전소자구동회로및그의제어방법
US7256530B2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drive circuit and cold cathode tube lighting apparatus
US6229720B1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inverter
US7557522B2 (en) Preheat control device for modulating voltage of gas-discharge lamp
JP2817670B2 (ja) 広入力圧電トランスインバータ
US8035608B2 (en) Inverter circuit of driving a lamp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9990072992A (ko) 압전트랜스포머의구동방법및그구동회로
KR100395094B1 (ko) Lcd패널용 백라이트 인버터의 비동기식 구동회로
JPH1126181A (ja) 冷陰極管点灯装置
JP3269460B2 (ja) 圧電トランス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
KR100326462B1 (ko) 입력 라인 레귤레이션이 가능한 전력 증폭기 및피더블유엠 변조기를 포함한 자려 발진 회로
JP2000091093A (ja) 冷陰極管点灯装置
JP2003033046A (ja) 圧電トランスの制御回路
JPH0956175A (ja) 圧電トランスを含む電源回路装置
JP3322218B2 (ja) 圧電トランス駆動装置及び方法
KR100393710B1 (ko) 냉음극관용 인버터
JP2003189637A (ja) 圧電トランス駆動回路および冷陰極管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