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147B1 -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 Google Patents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147B1
KR100325147B1 KR1019990062087A KR19990062087A KR100325147B1 KR 100325147 B1 KR100325147 B1 KR 100325147B1 KR 1019990062087 A KR1019990062087 A KR 1019990062087A KR 19990062087 A KR19990062087 A KR 19990062087A KR 100325147 B1 KR100325147 B1 KR 10032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leveling valve
outlet
le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3974A (ko
Inventor
유진성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1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6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하나의 레벨링 밸브로 좌,우측 에어 스프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유지비도 저감시켜 사용자들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레벨링 밸브를 제공할 목적으로;
컴프레셔에서 생성된 에어압이 에어탱크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으면서 레벨링 밸브의 작동에 따라 좌, 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계통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밸브는 에어의 입, 출구가 형성된 제1 본체와; 차고에 따라 상,하 회전하면서 그 회전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입, 출구와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에어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유입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밸브판과;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어 좌,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에 유압을 공급하는 공급구가 상기 밸브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본체와 결합되는 제2 본체와; 상기 밸브판의 일측 힌지축단에 장착되는 차고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LEVELING VALVE FOR AIR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레벨링 밸브로 좌,우측 에어 스프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압력손실을 막고, 정확한 롤 제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서스펜션용 에어 스프링은 공기의 탄성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고, 노면으로부터의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며, 또한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불규칙한 진동을 감쇄시켜 안전한 운행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에어 스프링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래의 에어 계통을 살펴보면, 도 8에서와 같이, 컴프레셔(100)에서 생성된 에어압이 에어탱크(102)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우측용 별도로 배치된 레벨링 밸브(104)(106)의 작동에 따라 좌, 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108)(110)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에 적용되는 레벨링 밸브(104)(106)는, 도 9에서와 같이, 일측이 차고 레버(112)를 통하여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되고, 이 차고 레버(112)는 밸브 바디(114)의 내측에서 밸브 작동 플러그(116)와 연결되며, 이 밸브 작동 플러그(116)는 상측에 흡기 밸브 푸시(118)와 하측에 배기 밸브 푸시(120)가 구성된다.
상기 흡기 밸브 푸시(118)에 대응하여 에어탱크(102)와 연결되는 흡입구(122)를 개폐하는 흡입 밸브(124)가 스프링(126)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배기 밸브 푸시(120)에 대응하여 외부와 연결되는 배기구(128)를 개폐하는 배기 밸브(130)가 스프링(132)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바디(114)의 상측에는 상기 흡,배기구(122,128)와 연결되며, 에어 스프링(118 또는 120)과 연통되는 공급구(134)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의 레벨링 밸브(104)(106)는 차체 하중의 변화에 의해 가변되는전,후 차고에 따라 차고 레버(112)가 레벨링 밸브 내의 흡, 배기밸브(124,130)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전,후측 에어 스프링에 압축 공기를 공급 방출하여 안정된 차고를 유지하도록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레벨링 밸브를 적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좌,우측 륜의 에어 스프링을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는 바, 2개의 레벨링 밸브를 보유토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가인 레벨링 밸브를 2개씩 적용하는 경우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함을 물론 장기간 사용으로 레벨링 밸브의 교체시 2개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바, 정비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레벨링 밸브로 좌,우측 에어 스프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유지비도 저감시켜 사용자들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레벨링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벨링 밸브가 적용되는 리어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벨링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벨링 밸브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 A 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 B 선 단면도.
도 6은 에어 스프링으로 에어가 공급될 때의 작동도.
도 7은 에어 스프링에서 에어가 배출될 때의 작동도.
도 8은 종래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계통도.
도 9는 종래 레벨링 밸브의 단면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프레셔에서 생성된 에어압이 에어탱크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으면서 레벨링 밸브의 작동에 따라 좌, 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계통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밸브는 에어의 입, 출구가 형성된 제1 본체와; 차고에 따라 상,하 회전하면서 그 회전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입, 출구와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에어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유입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밸브판과;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어 좌,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에 유압을 공급하는 공급구가 상기 밸브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본체와 결합되는 제2 본체와; 상기 밸브판의 일측 힌지축단에 장착되는 차고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벨링 밸브가 적용되는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계통도로서, 컴프레셔(2)에서 생성된 에어압이 에어탱크(4)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벨링 밸브(6)의 작동에 따라 좌, 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8)(10)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레벨링 밸브(6)로 좌,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8)(10)를 제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레벨링 밸브(6)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제1,2 본체(12)(14)와, 상기 제1, 2 본체(12)(14)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판(16)과, 상기 밸브판(16)작동시키는 차고 레버(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 본체(12)는 일측이 개구되는 원형 공간부(20)의 중간부에 세워지는 칸막이(22)는 그 일면이 제1 본체(12)의 조립면 보다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형성되며, 이 칸막이(22)의 상, 하측에 에어 입구(24) 및 출구(26)가 형성되고, 이 에어 입구(24) 및 출구(26)는 칸막이(22)의 조립면까지 연장되어 그 단부에는시일(28)(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22)의 조립면에는 밸브판(16)이 조립되는데, 이 밸브판(16)의 일측 힌지축(32)은 상기 칸막이(22)에 형성된 힌지홈(34)에 삽입되고, 그 반대측 힌지축(36)은 제2 본체(14)를 관통하는 형태로 조립되어진다.
또한, 일측 상,하부에 호형의 장공(38)(40)이 형성되어 상측 장공(38)은 밸브판(16)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에어 입구(24)와 연통되고, 하측 장공(40)은 밸브판(16)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출구(26)와 연통된다.
물론, 상기 장공(38)(40)이 대칭적으로 반대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밸브판(16)의 회전방향이 반대 방향이 된다.
그리고 제2 본체(14)는 조립면측으로 개구되는 원형 공간부(42)에는 축중심부에 이를 관통하는 상기 밸브판(16)의 일측 힌지축(36)을 지지하여 주는 힌지부(44)가 형성되고, 원형 공간부(42)의 양측에는 에어 스프링(8)(10)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 공급구(46)(4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2 본체(12)(14) 및 밸브판(16)은 도 3과 같은 상채로 조립되어 고정볼트(50)의 체결로 하나의 조립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본체(14)를 관통한 힌지축(36) 단부에는 차고 레버(18)가 고정되며, 상기 차고 레버(18)의 단부는 미도시한 차체에 힌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차체에 적용된 상태에서 차체의 변위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4 에서와 같이, 상하 장공(38)(40)이 입구(24) 및 출구(26)와는 연통되지 않음으로써, 에어는 입구(24)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체의 변위로 차고 레버(18)가 상측으로 회동하면 밸브판(16)이 도면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상측 장공(38)이 입구(24)와 연통되면서 에어가 제2 본체(14)의 원형 공간부(42)로 유입되어 에어 스프링 공급구(46)(48)를 통해 에어 스프링으로 에어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차고 레버(18)가 하측으로 회동하면 밸브판(16)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7에서와 같이 하측 장공(40)이 출구(26)와 연통된다.
그러면 상기 원통 공간부(42)와 에어 스프링 측으로 공급되었던 에어가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에어 스프링(8)(10)에 에어를 공급 하거나 배출시켜 차고가 일정하도록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하나의 레벨링 밸브(6)로서 좌,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8)(10)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레벨링 밸브로서 좌,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의 에어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유지비도 저감시켜 사용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컴프레셔에서 생성된 에어압이 에어탱크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으면서 레벨링 밸브의 작동에 따라 좌, 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계통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밸브는 에어의 입, 출구가 형성된 제1 본체와;
    차고에 따라 상,하 회전하면서 그 회전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입, 출구와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에어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유입된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밸브판과;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어 좌,우측 휠의 에어 스프링에 유압을 공급하는 공급구가 상기 밸브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본체와 결합되는 제2 본체와;
    상기 밸브판의 일측 힌지축단에 장착되는 차고 레버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본체는 일측이 개구되는 원형 공간부의 중간부에 세워지는 칸막이의 상, 하측에 에어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고, 이 에어 입구 및 출구가 칸막이의 조립면까지 연장되어 그 단부에 시일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밸브판은 일측 힌지축이 제1, 2 본체에 힌지 고정되며, 일측 상,하부에 호형의 장공이 형성되어 상측 장공은 회전 각도에 따라 에어 입구와 연통되고, 하측 장공은 회전 각도에 따라 에어 출구와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제2 본체는 일측으로 개구되는 원형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의 원형 공간부의 양 측벽에는 에어 스프링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 공급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KR1019990062087A 1999-12-24 1999-12-24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KR10032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087A KR100325147B1 (ko) 1999-12-24 1999-12-24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087A KR100325147B1 (ko) 1999-12-24 1999-12-24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974A KR20010063974A (ko) 2001-07-09
KR100325147B1 true KR100325147B1 (ko) 2002-02-21

Family

ID=1962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087A KR100325147B1 (ko) 1999-12-24 1999-12-24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3741A (zh) * 2021-03-04 2021-06-22 蒉亮 一种用于污水处理的高效净化曝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974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973A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hydraulic shock absorber
US7028996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height control valve therefor
US5336058A (en) Scroll-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CA2846009C (en) Air suspension height control valve with dual ride height positions
KR19980072349A (ko) 자동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KR100325147B1 (ko)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US4886092A (en) Leveling valve
AU5259800A (en) Device in a valve
KR20010036383A (ko) 레벨링 밸브 조작장치
US20010013442A1 (en) Steering damper
KR100565374B1 (ko)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JPH0624246Y2 (ja) ト−シヨンバ−式スタビライザ装置
US2916284A (en) Air suspension leveling valve
KR100320512B1 (ko) 레벨링 밸브
JP2001289337A (ja) 多方弁
JP3846823B2 (ja) ハイドロチルト装置のマニュアルバルブ構造
JPH074969Y2 (ja)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KR100565375B1 (ko) 레벨링 밸브의 조작장치
KR100423302B1 (ko) 이중특성 곡선을 갖는 에어서스펜션
JPH0138359Y2 (ko)
KR100482077B1 (ko)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의 레벨링 밸브
JPH0611388Y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50060887A (ko) 레벨링 밸브의 조작장치
JPH0220512Y2 (ko)
JPS6116118A (ja) 車両用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