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927B1 - 정역푸시버튼스위치 - Google Patents

정역푸시버튼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927B1
KR100323927B1 KR1019980008708A KR19980008708A KR100323927B1 KR 100323927 B1 KR100323927 B1 KR 100323927B1 KR 1019980008708 A KR1019980008708 A KR 1019980008708A KR 19980008708 A KR19980008708 A KR 19980008708A KR 100323927 B1 KR100323927 B1 KR 10032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button
reverse
contact portion
switch
fix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285A (ko
Inventor
토시오 모리야
Original Assignee
가스가 덴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스가 덴키(주) filed Critical 가스가 덴키(주)
Publication of KR1998008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6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two operating members, one for opening and one for closing the same set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herein the switch has means for limiting the number of operating members that can concurrently be in the actuated position
    • H01H13/7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herein the switch has means for limiting the number of operating members that can concurrently be in the actuated position each contact se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only upon actuation of another of the oper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구조가 개선된 형태이며, 본체의 현수부를 2군데 설치하며, 고정면이 자기적으로 흡착 가능하고 고정 가능하며 버튼의 누름 잘못에 의한 오동작을 제거한 3점식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터로크 기구에 의하여 서로 접하는 정전 조작부 및 역전 조작부와, 상기 정전 조작부와 역전 조작부를 연결하는 중심선상에 있어서, 중앙 위치의 직각 방향으로 시프트 조작부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하 리프트를 작동하는 유압장치의 전자 솔레노이드를 조작하는 정역(正逆) 푸시버튼 스위치(開閉器)에 있어서 정역 스위칭 푸시버튼의 누름 잘못에 의한 오동작을 없애기 위해 시프트 푸시버튼을 설치하여 3점식으로 하고, 또한 배선작업의 조작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적 인터로크(interlock)를 부착한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는, 기계적 인터로크에 의해 한쪽 푸시버튼을 누른 때에는, 다른쪽 푸시버튼이 눌려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정역 푸시버튼의 각 1 점과또 한점의 푸시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가 실현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는 배선작업시에 본체를 임시고정하여 배선을 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의 현수 링을 나사, 못 등의 후크부에 거는 방법의 것밖에 없었고, 조작, 작업성이 좋은 것이 요망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는 옥외에서 사용할 때, 전선을 삽입하는 부싱의 방수구조에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7에서 도면부호 1은 펜던트 스위치의 스위치 유닛을 수납하는 커버이고, 2는 펜던트 스위치의 스위치 유닛의 면을 덮는 케이스이며, 3은 부싱(5)을 측면에서 나사못 등으로 가압하는 부싱가압부재이고, 부싱 가압부재(3)의 일부에 구멍이 있는 현수부(4)를 두고 있다.
이 구조라면, 물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루트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싱(5)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는 경우와, 부싱 가압부재(3)과 커버(1)의 간극으로 이동되는 경우와, 부싱 가압부재(3)와 케이스(2)의 간극으로 이동되는 경우, 및 부싱 가압부재(3)와, 부싱(5)의 간극으로 이동되는 경우의 4가지가 있으며, 방수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안전성이 높은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의 2점 정역 푸시버튼에 추가적으로 시프트 푸시버튼을 갖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유닛 케이스내에 인터로크판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정역 푸시버튼 사이의 직각으로 바이어스된 위치에 시프트 푸시버튼을 배치하는 구조로 하여, 안전성 및 푸시버튼 조작성이 우수한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를 얻는 것이다. 또한, 배선 작업을 할 때에 본체를 임시고정하고 작업을 하기 위해, 종래의 본체를 하나의 현수 방법으로 임시고정한 구조에 더하여, 현수부를 추가하고, 또한 자석에 의한 임시 고정부를 설치하여 배선작업성의 개선을 도모한다. 또한, 전선 삽입부의 부싱 가압부재를 생략하고, 방수구조를 간략화하여 방수성능의 개선을 도모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케이스 커버내에 정역 푸시버튼을 갖는 스위치 유닛을 내장한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접점 기구부를 갖는 스위치 유닛의 유닛 커버 및 유닛 베이스와, 상기 유닛 베이스의 수납 홈 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대향 배치한 가동 터미널부를 갖는 정역의 푸시버튼와, 상기 정역 푸시버튼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한 인터로크판과, 상기 인터로크판의 회전 방향에 직각으로 바이어스된 위치에 배치된 가동 터미널부를 갖는 시프트 푸시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정역 푸시버튼의 가동 접점부에 대향 배치된 고정 접점부로 하고, 상기 시프트 푸시버튼의 가동 접점부에 대향 배치한 한쪽 고정 접점부와 상기 정역의 공통 고정 접점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다른쪽 고정 접점부를 독립의 접점부로 한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전선 삽입부의 반대측 단부에 현수 링의 유지 홈을 설치하고, 상기 유지 홈의 개방 단부에 삽입부를 설치하며, 상기 삽입부에 고무 패킹과 일체의 패킹 뚜껑을 삽입한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커버 뒷면에 케이스 형상의 벽을 설치하고, 상기 벽 내에 홈 및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홈 및 챔버내에 삽입한 자석과 요크로 자석체를 구성하고, 상기 자석체의 요크를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한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작용]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정역 푸시버튼과 시프트 푸시버튼의 배치 구조로서, 인터로크 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정역 푸시버튼의 인터로크판에 직각으로 바이어스된 위치에 시프트 푸시버튼을 배치한 구조로 하였으므로, 정역 푸시버튼의 고정 접점부의 한쪽을 공통 접점부로 하고, 상기 공통 접점부와 시프트 푸시버튼의 한쪽 고정 접점부를 건너서 연결선으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구조가 얻어지며, 정역 푸시버튼 및 시프트 푸시버튼의 고정 접점부로부터의 외부 배선 작업이 용이하고, 정역 푸시버튼과 시프트 푸시버튼의 동시 가압 조작성이 개선된다.
방수구조는, 전선 삽입부의 고무 부싱과 케이스의 요철 감합 및 케이스 커버로 협지하는 고무 패킹으로 얻어지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부싱 가압부재의 부품을 생략하여 방수성이 향상된다.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임시고정 구조로서, 케이스의 전선 삽입부의 반대측 단부에 현수링을 끼우는 유지홈과 삽입부를 설치하고, 삽입부에 고무 패킹의 패킹 뚜껑을 삽입하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방수성을 손상하지 않고, 현수링의 유지 구조가 얻어지며, 또한 자석체에 의한 임시고정 구조를 설치했으므로, 방수성의 향상과 배선작업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실시예
도 1, 도 8에 있어서, 도면부호 11은 정전()조작부이고, 12는 역전()조작부이며, 13은 시프트 조작부이고, 오동작 방지를 위해 시프트 조작부(13)는 정전 조작부(11) 또는 역전 조작부(12)와 동시에 눌려진다. 14는 고무 시프트이고 정전 조작부(11), 역전 조작부(12) 및 시프트 조작부(13)가 일체로 형성되며, 15는 케이스이고, 55는 커버, 53은 스위치 유닛이며 케이스(15)와 커버(55)내에 고무 시프트(14)를 거쳐 고정되어 있다. 고무 시프트(14)의 정전 조작부(11), 역전 조작부(12) 및 시프트 조작부(13)는 케이스(15)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스위치 유닛(53)의 각 푸시버튼부가 배치되며, 고무 시프트(14)가 스위치 유닛(53)과 케이스(15)에 협지되어 방수 구조로 되어 있다. 41은 고무 부싱이며 전선 삽입부를 구성하고, 고무 시프트(14)의 단부 반원주부의 돌출부(38a)가 케이스 (15)의 오목부(38)에 압입되며, 고무 부싱(41)의 단부 반원주 평탄부의 돌출부(39)가 고무 패킹(43b)을 거쳐서 커버(55)가 케이스(15)에 고정되어 방수구조로 되어 있다. 40은 벽부이고 오목부(38)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벽부(40)에 고무부싱(41)에 삽입되는 외부전선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고정된다.
도 2, 도 3, 도 4, 도 5, 도 18에 기초하여 스위치 유닛(53)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19는 유닛 베이스이고, 52는 유닛 커버이며, 16은 정전 푸시버튼이고 유닛커버(52)의 구멍(52a)으로부터 돌출하며 유닛커버(52)에 의해 뽑힘 방지되어 있고, 21은 가동 터미널부이며 정전 푸시버튼(16)에 일체로 형성되고 유닛 베이스(19)의 수납 홈(16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며, 26은 가동 접점부이고가동 터미널부(21)의 창(21a)내에 스프링(21b)과 함께 유지되며, 21c는 복귀 스프링이고 정전 푸시버튼(16)의 하면과 유닛 베이스(19)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항상, 정전 푸시버튼(16)을 상방으로 가압하고, 17은 역전 푸시버튼이며 유닛 커버(52)의 구멍(52b)로부터 돌출하고, 22는 가동 터미널부이고 역전 푸시버튼(17)과 일체로 형성되어 유닛 베이스(19)의 수납 홈(17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27은 가동 접점부이며 가동 터미널부(22)의 창(22a)내에 스프링(22b)과 함께 유지되고, 22c는 복귀 스프링이며 역전 푸시버튼(17)의 하면과 유닛 베이스(19)의 상면에 설치되어 항상, 역전 푸시버튼(17)을 상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20은 인터로크 판이며 유닛 베이스(19)의 수납홈(20a)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고, 수납홈(20a)은 정전 푸시버튼(16)의 수납홈(16a)과 역전 푸시버튼(17)의 수납홈(17a) 사이에 연접하여 설치되며, 인터로크판(20)의 좌우 상부에 정전 푸시버튼(16)과 역전 푸시버튼(17)이 배치되고, 정전 푸시버튼(16)과 역전 푸시버튼(17)의 어느 하나가 한쪽을 가압했을 때 다른쪽은 가압될 수 없도록 인터로크 구조로 되어 있다.
18은 시프트 푸시버튼이며 유닛 커버(52)의 구멍(52c)으로부터 돌출하고, 18a는 수납홈이며 유닛 베이스(19)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홈(18a)의 형성 위치는 정역 푸시버튼(16, 17)의 인터로크판(20)의 회전 방향에 직각으로 바이어스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프트 푸시버튼(18)이 수납홈(18a)에 수납되고, 23은 가동 터미널부이며 시프트 푸시버튼(18)과 일체로 형성되고, 23c는 복귀 스프링이고 시프트 푸시버튼(18)의 하면과 유닛 베이스(19)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며, 항상 시프트 푸시버튼(18)을 상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정역 푸시버튼(16, 17) 및 시프트 푸시버튼(18)의 배치 구성은, 정전 푸시버튼(16)과 시프트 푸시버튼(18) 및 역전 푸시버튼(17)과 시프트 푸시버튼(18)의 동시 가압이 쉬운 배치로 하기 위해 정전 푸시버튼(16)-시프트 푸시버튼(18)-역전 푸시버튼(17)을 연결하는 형상이 "ㄱ" 자의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 도 4, 도 18에 기초하여 고정 접점부의 구성을 설명하면, 28, 29는 정전 푸시버튼(16)의 고정 접점부이고 가동 접점부(26)에 대향하여 유닛 베이스(19)에 고정되며, 30, 31은 역전 푸시버튼(17)의 고정 접점부이고 가동 접점부(27)에 대향하여 유닛 베이스(19)에 고정되며, 35, 36은 시프트 푸시버튼(18)의 고정 접점부이고 가동 접점부(32)에 대향하여 유닛 베이스(19)에 고정되고 있다.
도 6, 도 7, 도 18에 기초하여 정전 푸시버튼(16), 역전 푸시버튼(17), 및 시프트 푸시버튼(18)의 접점 배치 구성을 설명하면, 정전 푸시버튼(16)의 고정 접점부(28)와 역전 푸시버튼(17)의 고정 접점부(30)는 공통 고정 접점판(29a)으로 구성되고, 정전 푸시버튼(16)의 고정 접점부(29)와 역전 푸시버튼(17)의 고정 접점부(31)는 독립의 고정 접점부로 하고 있다. 공통 고정 접점판(29a)과 시프트 푸시버튼(18)의 고정 접점부(36)는 연결 접속체(35a)로 접속되고, 시프트 푸시버튼(18)의 고정 접점부(36)는 독립 접점부의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고정 접점부의 구조는, 도 6에 도시하듯이 공통 고정 접점판(29a)이 상부측에 배치되고, 연결 접속체(29a)가 종으로 배치되며 공통 고정 접점판(29a)과 시프트 푸시버튼(18)의 고정 접점부(35)를 접속한 구성으로 한 것이어서, 배선 조립의 작업성이개선되고 있다.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정전 동작에서는, 정전 조작부(11)와 시프트 조작부(13)를 동시에 누르고, 정전 푸시버튼(16)과 시프트 푸시버튼(18)이 가압된다. 정전 푸시버튼(16)이 가압되면 가동 접점부(26)가 고정 접점부(28, 29)에 회로를 폐쇄하고, 이때 역전 푸시버튼(17)은 인터로크판(20)의 인터로크 작용으로 회로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시프트 푸시버튼(18)이 가압되면, 가동접점부(32)가 고정 접점부(35, 36)에 회로폐쇄된다. 역전 동작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역전 푸시버튼(17)과 시프트 푸시버튼(18)이 가압되면, 역전 푸시버튼(17)과 정전 푸시버튼(16)의 인터로크를 취하여 역전 푸시버튼(17)과 시프트 푸시버튼(18)의 접점부의 회로폐쇄 동작을 한다.
도 4, 도 13, 도 18에 기초하여 스위치 유닛(53)의 고정 접점부(29, 31, 35, 36)를 압입에 의해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고정접점부(35)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13에 도시하듯이 35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접점부로서 고정 접점(35a)을 갖고, 35b는 엠보스에 의해 설치된 탭 구멍이며, 35c는 둥근 구멍으로서 탭 구멍(35b)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도 4에 도시하듯이 34는 돌기부로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고정 접점부(35)를 유닛 베이스(19)에 압입할 때 돌기부(34)가 둥근 구멍(35a)에 감합되어 고정 조립이 가능하다. 종래의 "ㄷ"자 형상 고정 접점부는 압입으로 조립되어 왔지만, 본원에서는 압입하지 않고 유닛 베이스(19)의 돌기부(34)를 고정 접점부(35)의 둥근 구멍(35c)에 끼워넣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개선되었다.
외부 전선 삽입부의 고무 부싱(41)의 방수구조의 개선 내용을 도 8에 의해 설명하면, 고무 부싱(41)의 단부 반원주부의 돌출부(38A)를 케이스(15)의 오목부(38)에 압입하고, 고무 부싱(41)의 단부 반원 평탄부를 고무 패킹(43b)을 거쳐 케이스(15)와 커버(55)로 강고하게 협지하였으므로, 고무 부싱(41)의 단부 외주의 전주(全周)가 방수구조로 되며, 물이 외부로부터 들어가는 루트는 도 8의 화살표로 도시하듯이, 고무 부싱(41)의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와, 고무 부싱(41)과 케이스(15)의 간극으로 이동되는 경우와, 고무 부싱(41)과 커버(55)의 간극으로 이동되는 경우의 세가지로 감소될 수 있다.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임시고정 구조로서 현수 링(42)을 2개소에 부착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1개소는 도 8에 도시하듯이 전선 삽입부의 고무 부싱(41) 근방의 커버(55)의 단부에 커버(55)와 일체로 현수부(37)를 설치하고, 현수부(37)의 구멍(37a)에 현수링(42)을 끼워 임시고정할 수 있다. 다른 1개소의 임시 고정 구조는, 고무부싱(41)의 반대측 단부의 케이스(15)와 커버(55)에 설치된 것이므로, 도 10, 도 11,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42a는 유지홈으로서 케이스(15)의 단부 격부에 설치되어 현수링(42)이 끼워져 유지될 수 있고, 유지홈(42a)의 개방 단부에 삽입부(12b, 12b)가 형성되며, 43a, 43a는 패킹 뚜껑으로서 고무 패킹(43b)에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부(12b, 12b)에 끼워지고 있다. 현수링(42)을 사용하는 경우는, 패킹 뚜껑(43a, 43a)을 절제하여 현수링(42)을 케이스(15)의 유지 홈(42a)에 끼워넣고, 케이스(15)와 커버(55)를 결합하여 현수링(42)을 유지한다. 현수링(42)을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는, 패킹 뚜껑(43a, 43a)을 절제할 것인지 아닌지로 구별할 수있게 되어 있다.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임시고정 구조로서 자석에 의한 구조를 설명하면, 도 8, 도 9, 도 14, 도 15, 도 16에 있어서, 도면부호 44는 케이스 형상의 벽으로서 커버(55)의 뒷면의 양단측에 2개소에 형성되고, 벽(44)내에는 홈(45, 45)을 갖는 챔버(46)가 형성되며, 챔버(46)내에 자석체가 삽입 유지되고, 47, 47은 돌출 부로서 커버(55)의 양단측의 2개소의 홈(45, 45)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48은 자석으로서 요크(54, 54)사이에 끼워지고 자력으로 일체화하여 자석체를 형성하며, 자석체는 챔버(46)내에 커버(55)의 내측으로부터 떨어져 들어가고, 고무제의 뚜껑(49)을 챔버(46)내에 압입하여 유닛 커버(52)의 유지 부재(49a)로 가압 고정되며, 자석체의 요크(54, 54)는 홈(45, 45)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외부로 관통한 홈(45, 45)으로부터 커버(55)의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선 삽입하는 고무 부싱(41)의 반대측 단부의 자석체의 고정은, 챔버(46)내에 삽입된 자석체를 고무 패킹(43b)을 거쳐 케이스(15)와 커버(55)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자석(48)에 의한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를 자성 금속체(50)에 흡착 고정한 상태를 설명하면, 흡착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도 15에 도시하듯이, 자석(48)의 요크(54, 54)가 커버(55)의 돌출부(47)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강한 흡착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자성체 이외의 기판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하듯이, 자석(48)의 요크(54, 54)가 돌출부(47)와 동일면의 상태로 되고, 자석 이외의 나사 등으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스위치 유닛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스위치 유닛의 기구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스위치 유닛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스위치 유닛의 B-B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스위치 유닛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내부 접속도.
도 8은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저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우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에 현수링을 부착한 부분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에 현수링을 부착한 부분 정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a 고정 접점의 사시도.
도 14는 자석과 요크를 일체화한 사시도.
도 15는 자성 금속체에 자석체가 흡착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비자성체의 기판에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를 고정했을 때의 자석체의설명도.
도 17은 종래의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고무 부싱부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8은 스위치 유닛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커버 2: 케이스
11: 정전 조작부 12: 역전 조작부
13: 시프트 조작부 16: 정전 푸시버튼
17: 역전 푸시버튼 18: 시프트 푸시버튼
26: 가동 접점부 28: 고정 접점부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기계적 인터로크 기구에 더하여, 오동작 방지를 위해 정전 푸시버튼과 역전 푸시버튼의 가압시에 동시에 가압하는 시프트 버튼을 설치하고, 정역 푸시버튼 사이에 배치한 인터로크판의 회전 동작 방향에 직각으로 바이어스된 위치에 시프트 푸시버튼을 배치하였으므로, 정역 푸시버튼의 고정 접점부의 한쪽을 공통 접점부로 하고, 공통 접점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시프트 푸시버튼의 고정 접점부를 배치하며, 공통 접점부와 시프트 푸시버튼의 한쪽 고정 접점부를 연결하여 접속체로 접속하는 구조로 할 수 있고, 안전성이 향상되며, 외부배선의 작업성이 개선된다.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의 전선 배선시의 임시 고정 구조로서, 현수 링의 유지부를 케이스 커버의 상하 2개소에 설치하고, 또한 자석에 의한 고정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작업성이 양호한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가 얻어진다.
전선 삽입부의 고무 부싱의 케이스와는 요철 감합에 의한 압입으로 하고, 고무 부싱의 커버측은 고무 패킹을 거쳐 케이스 커버를 강고하게 결합 고정하였으므로, 방수성이 우수한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가 얻어진다.

Claims (3)

  1. 케이스 커버내에 정역 푸시버튼을 갖는 스위치 유닛을 내장한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접점 기구부를 갖는 스위치 유닛의 유닛 커버 및 유닛 베이스와, 상기 유닛 베이스의 수납 홈 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대향 배치한 가동 터미널부를 갖는 정역의 푸시버튼와, 상기 정역 푸시버튼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한 인터로크판과, 상기 인터로크판의 회전 방향에 직각으로 바이어스된 위치에 배치된 가동 터미널부를 갖는 시프트 푸시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정역 푸시버튼의 가동 접점부에 대향 배치된 고정 접점부의 한쪽을 공통 접점부로 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고정 접점부를 독립 접점부로 하고, 상기 시프트 푸시버튼의 가동 접점부에 대향 배치한 한쪽 고정 접점부와 상기 정역의 공통 고정 접점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다른쪽 고정 접점부를 독립의 접점부의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전선 삽입부의 반대측 단부에 현수 링의 유지홈을 설치하고, 상기 유지홈의 개방 단부에 삽입부를 설치하며, 상기 삽입부에 고무 패킹과 일체의 패킹 뚜껑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 푸시 버튼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 뒷면에 케이스 형상의 벽을 설치하고, 상기 벽 내에홈 및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홈 및 챔버내에 삽입한 자석과 요크로 자석체를 구성하고, 상기 자석체의 요크를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 푸시버튼 스위치.
KR1019980008708A 1997-03-18 1998-03-16 정역푸시버튼스위치 KR100323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84444 1997-03-18
JP08444497A JP3625606B2 (ja) 1997-03-18 1997-03-18 正逆押釦開閉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285A KR19980080285A (ko) 1998-11-25
KR100323927B1 true KR100323927B1 (ko) 2002-08-21

Family

ID=1383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708A KR100323927B1 (ko) 1997-03-18 1998-03-16 정역푸시버튼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625606B2 (ko)
KR (1) KR100323927B1 (ko)
CN (1) CN1094246C (ko)
SG (1) SG63829A1 (ko)
TW (1) TW4039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037B1 (ko) 2012-06-29 2020-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는 입력 이벤트를 핸들링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89059B1 (ko) * 2020-11-30 2022-04-20 정명호 케이지 박스 상부에서 케이지를 수동으로 상승하거나 하강시키는 작업시에 사용하는 건설용 리프트 마스트 작업용 스위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5214A (en) * 1981-08-14 1983-05-24 Square D Company Interlock pushbutton assembly
US4514601A (en) * 1983-11-08 1985-04-30 Square D Company Multispeed interlocked push button switch mechanism
US4614846A (en) * 1985-05-06 1986-09-30 Beckman Industrial Corporation Interlocked push button switch assembly
JPH0441553Y2 (ko) * 1987-05-07 1992-09-30
DE69118314T2 (de) * 1990-10-30 1996-10-24 Teikoku Tsushin Kogyo Kk Tastschalter und T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61340A (ja) 1998-09-29
CN1193804A (zh) 1998-09-23
CN1094246C (zh) 2002-11-13
SG63829A1 (en) 1999-03-30
KR19980080285A (ko) 1998-11-25
TW403924B (en) 2000-09-01
JP3625606B2 (ja) 200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3142B1 (en) Solenoid for solenoid-operated valve
JP3915094B2 (ja) 端子箱付電磁弁
EP2018296B1 (en) Stop lamp switch
GB2228369A (en) Contactors
KR20030015131A (ko) 전자밸브
EP1033733B1 (en) Forward/reverse circuit for dpdt type switch
KR100323927B1 (ko) 정역푸시버튼스위치
JP2001297658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13041715A (ja) スイッチ
KR101125078B1 (ko) 스위치
KR100384341B1 (ko) 전자기계식 컨택터
KR100507361B1 (ko) 전자접촉기
CN112735885A (zh) 一种防水隔离磁力按键
JP2589610Y2 (ja) 電磁接触器の相互鎖錠装置
KR20170000324U (ko)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JP3720942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5216549A (ja) 配線器具
KR101800730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JP2002237234A (ja) 正逆押釦開閉器
CN116453881B (zh) 开关装置
CN218351360U (zh) 开关
JP3091309B2 (ja) モジュラジャック
JPH10134674A (ja) 防滴形押釦スイッチ
JPH10289634A (ja) コネクタ一体型スイッチ付マグネットキャッチ
JP2826209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