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790B1 - 모선접속부 - Google Patents

모선접속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790B1
KR100322790B1 KR1019940004661A KR19940004661A KR100322790B1 KR 100322790 B1 KR100322790 B1 KR 100322790B1 KR 1019940004661 A KR1019940004661 A KR 1019940004661A KR 19940004661 A KR19940004661 A KR 19940004661A KR 100322790 B1 KR100322790 B1 KR 100322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bus bar
connection part
divided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969A (ko
Inventor
사토겐이치
기노시타스스무
요시다데쓰오
노노시타다다시
마사키노부오
미야가와마스루
소노베히로시
고지마료이치
가세다다시
하세가와나오야고쇼와덴센덴란가부시키가이사
Original Assignee
무라다 가오루
쇼와덴센덴란 가부시키가이샤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776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691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07776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5505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7763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69117A/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 가오루, 쇼와덴센덴란 가부시키가이샤,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무라다 가오루
Publication of KR94002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도선 접속부를 구성하는 부싱을 조립가능한 분할구조로 하고, 이 부싱을 조립한 경우 내부에 모선의 연결부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부싱을 분할한 상태에서 수용부가 형성되어야 할 위치에 모선의 연결부를 배치하고 그후에 부싱을 조립하면, 수용부에 모선의 연결부를 수용한 모선 접속부가 없어진다.

Description

모선접속부
본 발명은 판사이 모선의 T형 분기 접속부등을 적용하는 모선 접속부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GIS등의 기구에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T형 접속부나 열판 큐비클(cubicle)의 모선 접속부, 인입 인출 케인블 접속부등으로서는 경제성이나 콤팩트성 또는 취급의 편리성 때문에 T형 구조의 부싱과 케이블 형상의 모선과의 조합구조가 널리 채용된다.
제 13도에는 종래의 이 종류의 모선 접속부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면에 있어서 이 모선 접속부(1)는 에폭시 수지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싱을구비하고 부싱(2)의 내부에 케이블의 모선(3)의 도체를 슬리이브 형상의 내부전극을 사용하여 전기접속한 구조의 연결부(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5)에는 도체 인출봉(6)이 접속되어 기구의 내부회로등과 전기접속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모선 접속부를 복수 나란하게 배치하고, 모선 접속부 사이를 상호 모선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 종래 다음과 같은 접속방법이 채용되고 있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2개의 모선 접속부(7A) 및 (7B)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모선(3)을 사용하여 전기접속된다. 즉, 이 모선(3)은 미리 그 양단에서 도체(4)를 노출시키는 단말 처리가 행해지고 있고, 모선(3)을 한쪽의 모선 접속부(7A)에 화살표(8)로 나타내도록 직선적으로 삽입하여 끼워 넣은 후에 양쪽의 모선 접속부(7A),(7B)에 이 모선(3)의 양단말을 삽입하도록 하고 있었다.
또 그 외의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화살표(9)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모선 접속부(7A)에 모선(3)의 한쪽끝 단쪽을 끼워넣은 후 이 모선(3)을 반대방향으로 구부려, 모선(3)의 다른 끝단을 다른쪽의 모선 접속부(7B)에 삽입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었다.
이들 방법은 어떤 것도 모선(3)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용이하게 절곡할 수가 없으므로 채용된 접속공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속방법에서는 모선 접속부에 모선(3)을 끼워 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접속작업에 커다란 공수와 시간이 필요한 것 외에 모선 접속부 사이의 접속순위를 미리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고, 작업이 번잡하게 되어 버리는 결점이 있다.
예를들면, 상기와 같은 모선 접속부가 길이방향에 3개 이상 배열되고, 이들의 사이를 차례차례로 모선(3)을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한 경우 임의의 장소로부터 모선의 끼워넣는 작업을 개시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접속작업이 완성후에도 임의의 모선 접속부를 해체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모선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양쪽의 모선 접속부도 동시에 해체하지 아니하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모선을 다수열 설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제 15도는 다수열 모선의 판사이 접속부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기의 A판(10A)과 B판(10B)과의 사이에 다 수열 모선에 의하여 전기 접속하는 경우 종래의 모선 접속부에서는 다수의 모선(3)이 단순하게 평행하게 재치되는 것이 된다.
이 예에서는 U상, V상, W상의 3상용의 부싱(2) 각각 각상과도 3조의 모선(3)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판사이 접속은 각상의 모선(3)이 접근하고, 부싱(2)의 조립작업등도 또한 번잡하게 되고, 예를들면, 그 일부의 점검이나 수리작업도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선에 의하여 접속작업을 간단하고, 작업성이 좋게 할 수가 있는 것 외에 그 자체를 해체하기 좋은 구조의 모선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발명은 다수열 설치하는 모선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접속작업을 간단하고, 작업성 좋게 할 수가 있는 것외에 적은 공간에 설치하는 일이 가능한 구조의 모선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모선 접속부는 한쌍의 모선을 서로 접속하여 형성한 연결부를 구비하고, 부싱이 모선의 길이방향에 따라 조립가능한 분할구조를 가지며, 이 부싱을 조립하면 내부에 연결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발명에 의하면, 모선의 연결부가 형성된 것 외에 이 연결부를 모선 접속부의 설치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또는 모선 접속부의 설치위치에서 연결부를 형성하여 연결부를 수용부에 수용해야 할 내부에 배치하여 부싱을 조립함으로써 모선을 서로 접속할 수가 있다. 따라서, 모선의 접속작업을 간단하고 작업성 좋게 할 수가 있으며 임의의 위치로부터 접속작업을 할 수가 있고, 더구나 필요에 따라 그 모선 접속부만을 해체하여 보관, 관리나 사고복구등을 실행할 수가 있다.
또, 제 2 발명의 모선 접속부는 부싱이 모선의 길이방향에 따른 분할면을 통하여 분할되는 분할편을 가지며 가이드부에서 분할편을 분할면에 따라 부싱에 끼워 삽입하여 부싱에 모선의 연결부의 수용부를 형성하고 스톱퍼에서 이 분할편을 부싱의 정위치에 고정한다.
따라서, 제 2 발명에 의하면 부싱에 연결부를 배치하여 분할편을 가이드부에서 안내한채 끼워 삽입하고 스톱퍼에서 고정하는 것으로 모선을 서로 접속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동일하게 모선의 접속작업을 간단하고 작업성 좋게 할 수가 있으며 또, 임의의 위치에서부터 접속작업을 하고 필요에 따라 그 모선 접속부만을 해체하면 된다.
또, 제 3 발명의 모선 접속부는 다수열 설치되는 각 1쌍의 모선을 서로접속하여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부싱이 조립가능한 복수의 분할편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들 분할편의 조립으로 부싱의 내부에 각 연결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3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모선 연결부를 각 수용부에 각각 수용하여 분할편을 조립함으로써 1개의 부싱에서 다수열의 모선을 일괄하여 접속할 수가 있다. 따라서 다수열 모선의 접속작업을 간단하고, 작업성 좋게 할 수가 있는 것 외에 다수열 모선을 적은공간에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점검이나 수리작업에 필요한 작업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의 실시예에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모선 접속부의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그 종단면도, (b)는 그 A-A선에 따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모선 접속부는 좌우 1쌍의 모선(3)을 서로 전기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모선 접속부의 내부 모선의 연결부(16)는 부싱(11)에 의하여 포위되어 있고, 이 부싱(11)은 (b)도에 나타낸 분할면(10)을 경계에 모선(3)의 길이방향에 따라 2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모선(3)은 케이블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끝단부로 부터 도체(4)가 노출하여 있다. 도체(4)는 부싱(11)의 내부에서 내부전극(12)상에 걸려져 전기접속되어 있다. 이 내부전극(12)의 상단에는 이 실시예에서는 도체(4)의 하반부의 둘레면이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도체(4)의 상반부의 둘레면에는 반분할 슬리이브(13)가 접속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반분할 슬리이브(13)에는 볼트 삽입구멍(13A)이 설치되고, 이 삽입구멍(13A)에 삽입된 볼트(14)가 내부전극(12)의 볼트나사 맞춤구멍(12A)에 나사맞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반분할 슬리이브(13)와 내부전극(12)이 도체(4),(4)를 끼워 이들 도체(4),(4)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 부싱(11)의 분할된 상반부의 내측에는 전기적 보호를 위한 가이드 전극(15)이 설치되어 있다.
모선(3)의 끝단부에는 부싱(11)과의 사이에 생기는 간격을 매입하기 위하여 절연 스페이서(17)가 끼워넣어져 있다. 이 절연 스페이서(17)는 절연성의 고무등으로 구성된다. 또 이 절연 스페이서(17)의 끝단부와 모선(3) 주위면과의 사이에 기밀의 유지를 위하여 시일부(18)가 설치되고, 이 시일부(8)는 모선(3)의 외피를 강하게 파지하도록 끼워맞춤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부싱(11)의 양단에는 그 분할면(10)에서 동일하게 분할되어 있는 원추형상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분할되어 있는 원추형상부(11A)에는 고정고리(20)가 끼워넣어져 있다.
또한 2개 분할된 부싱(11)의 분할면(10) 위치에는 도면 (b)에 나타낸 바와같이 탄성 절연체 예를들면 절연고무(21)가 끼워놓여져 있다. 이 절연고무(21)는 제 1 도 (b)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싱(11)을 조립할 때 분할면(10)의 부분에서 일정이상의 압력을 서로 미치고, 정밀성을 높여 전기절연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채택하므로써 부싱(11)의 분할이 가능하게 된다. 또모선(3),(3)의 연결부(16)는 도체(4),(4), 내부전극(12), 반분할 슬리이브(13), 볼트(14)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 구성의 본 발명의 모선 접속부는 모선(3)을 전기접속한 경우 미리 부싱(11)의 상반부와 반분할 슬리이브(13)을 제거하여 둔다. 이것에 의하여 모선(3)은 길이방향의 이동을 따르지 않고, 평행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바로 내부전극(12)의 정해진 개소의 상단위치에 도체(4)를 세트할 수가 있다. 그때 반분할 슬리이브(13)를 볼트(14)를 사용하여 내부전극(12)에 도체(4),(4)를 끼워놓은 채 고정하고, 부싱(11)의 상반부를 하반부에 일체화하면, 접속작업이 완료한다. 따라서 이와같이 접속작업은 종래보다도 충분히 간결화되고, 작업성도 향상된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낼 고정고리(2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부싱의 측면도이다.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싱(11)은 상하로 2분할되고 단순하게 밴드(23)를 사용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밴드(23)를 사용한 경우 반듯이 부싱(11)의 분할면이 정확하게 위치맞춤할 수 있는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부싱(11)의 양단부에 원추형상부(11A)를 형성하고 이것에 끼워맞춤하는 고정고리(20)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부싱(11)의 분할된 상하부분이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이 고정고리(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싱(11)을 일체화하기 위한 예를들면, 볼트 그외의 위치결정 고정수단을 생략할 수 있다.
또 부싱(11)은 2이상으로 분할 가능한 구성이면 좋고, 그외에도 각종의 상태가 고려될 수 있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모선 접속부의 부싱분할방법의 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들면, 제 3 도 (a)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싱(11)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하로 단순히 2분할되고, 이 분할면(10)에 판형상의 절연고무를 끼워넣는다.
또 제 3 도 (b)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싱(11)을 상하로 2분할하고, 이 분할면(10A),(10B)을 파형상으로 하고, 동일하게 절연고무를 끼워넣는다. 제 3도 (C)의 예에서는 부싱(11)에 분할면(10C)이 모선의 중심축을 통하지 않은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분할면 사이에 절연고무를 끼워넣는다. 또 제 3 도(D)의 예에서는 부싱(11)이 3개의 분할면(D)에 의하여 3분할되어 있다. 특히 대형부싱의 경우에는 이와같이 2이상의 분할면에 의하여 부싱(11)을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도 (e)의 실시예예서는 2분할된 부싱(11)이 나타나 있으나, 이 분할면(10E)은 약간 방사형상으로 만곡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분할형태에서도 부싱(11)의 상부가 개방되고 모선의 연결부를 상하로부터 평행이동시키면서 부 싱(11)내에 수용할 수가 있다. 동도면(f)의 경우도 동일하게 제 3 도 (e)에 나타낸 바와같이 실시예와 마치 상하가 역으로된 분할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부싱(11)의 경우 상반분을 제거하면 모선의 연결부의 수용부가 넓게 개방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모선의 연결부 자체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반분할 슬리이브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 슬리이브를 사용한 접속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도 (g)의 실시예는 단면이 마치 부채형으로 되도록 분할면(10G)을 형성한 부싱(11)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작용은 제 3 도 (e), 제 3 도 (f)와 동일하다.
이상 실시예에서는 부싱(11)의 단면은 모두 원형이었지만 제 3 도 (h)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싱(11)의 단면을 사각형으로 하여도 지장은 없다. 이 실시예의 부싱(11)의 분할면(10H)은 직선적이지만, 그 분할면은 제 3 도 (a)-(g)에 나타낸 바와같이 굴곡이어도 좋고, 또 적당하게 경사하여 있어도 지장은 없다.
제 4 도에는 분할된 부싱을 고정하고, 일체화하기 위한 고정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4 도 (a) - 제 4 도 (f)은 어떤것도 부싱의 단면쪽에서 본 고정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제 4 도 (a)의 실시예에서는 부싱(11)이 제 3 도 (a)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2분할되어 있다. 이 경우 상하 분할된 부싱(11)을 고정 일체화하기 위하여 띠형상의 새들(22A)을 사용하고, 이 양단을 볼트(22B)에 의하여 도시하지 아니한 고정대등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볼트(22B)를 체결함으로서 부싱(11)의 분할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먼저 설명한 탄성 절연체를 끼워 부착한다.
제 4 도 (b)는 부싱(11)의 상반분의 양쪽면에 리브(2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23A)를 열쇠형의 고정부재(23B)에 의하여 누르고, 볼트(22B)에 의하여 체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4 도 (C)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부싱(11)의 부할된 상하의 분할면 근처 측면에 각각 리브(23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하의 리브(23A),(23A)에 볼트(22B)가 관통되고, 양 리브를 체결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제 4 도 (d)의 실시예에서는 부싱(11)은 그 상반분의 측면에 리브(23A)가 설치되고, 하반분이 상반분보다도 커다란 반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싱(11)의 상반분의 리브(23A)를 관통하는 볼트(22B)가 하반분의 위쪽면에 나사 맞춤하고, 이것에 의하여 부싱(11)이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제 4 도 (e)의 실시예에서는 제 4 도 (a)의 실시예의 새들(22A)을 2분할 하고, 각 새들(22A) 반부를 볼트(24)에 의하여 체결되고, 부싱(11)의 체결력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볼트(22B)의 체결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제 4 도 (f)의 실시예에서는 부싱(11)의 하반분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리브(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새들(22A)은 C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서 2분할되어 있다. 볼트(24)는 이 새들(22A)을 체결하고,부싱(11)의 분할면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분할된 부싱의 분할면에 끼워넣어진 탄성 절연체가 적정한 압력을 가한 채, 부싱을 일체적으로 조립하고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 1 도의 실시예에서는 모선 접속부를 T분기형의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예를들면, Y분기나 L형의 분기 또는 직선 접속부등에 대하여도 동일한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모선의 구조는 종래의 통상의 전력 케이블과 동일한 구성의 것으로도 좋고, 단면이 고리가 아닌 편평한 것이라도 지장은 없다. 또 내부전극이나 반분할 슬리이브의 형상이나 길이, 그 외 양자를 연결하는 구성등도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경하여도 지장은 없다. 또 부싱을 분할한 분할면에 끼워넣은 탄성 절연체는 절연고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들면, 절연성의 플라스틱등에 있어서도 지장은 없다.
제 5도는 다른 발명에 관한 모선 접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제 5 도에 있어서 부싱(31)은 모선(3)의 연결부(16)를 수용하여 모선(3)과 기기를 전기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기기의 벽면등에 부착된다. 부싱(31)은 (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미리 분할면(32)에 의하여 부싱본체(31A)와 분할편(31B)로 분할되어 있다. 이 분할면(32)은 모선(3)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또 부싱본체(31A)의 중앙에는 분할면(32)과 일체적으로 모선(3)의 연결부(16)를 수용하기 위하여 절삭가공하여 형성한 수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모선(3)의 연결부(16)는 기기쪽 부싱(11C)를 통하여 도시하지 아니한 기기의 내부회로에 전기접속되어 있다.
부싱본체(31A)의 외주면상에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새들(34)이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 새들(34)은 단면이 거의 C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부싱본체(31A)의 분할위치를 개구하도록 개구부(35)를 형성하고 있다. 새들(34)의 양쪽에는 가이드부(34A),(34A)가 설치되어 있다.
힌편 분할편(31B)에는 그 원호면 부분에 띠형상의 스톱퍼(36)가 고정되어있다. 이 스톱퍼(36)는 새들(34)의 개구부(25)의 폭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선정되어 있다.
따라서 분할편(31B)을 스톱퍼(36)와 동시에 부싱본체(31A)의 분할면(32)을 따라가면서 화설표(38)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동도면 (b)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톱퍼(36)가 가이드부(34A),(34A)의 안쪽에 눌러넣어지고, 최종적으로 정 위치에 있어서 분할편(31B)이 부싱본체(31A)에 일체적으로 끼워 넣어진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분할면(32)은 거의 방사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부싱(31)을 분할구성으로 하면, 먼저 부싱(31)의 부싱본체(31A)에 의하여 분할편(31B)을 분리하여 두고, 개구부(35)로부터 모선(3)의 연결부(16)를 내려서 넣고, 그후 분할편(31B)을 분할면(32)에 따라 부싱본체(31A)에 슬라이드로 끼워넣게 하면 부싱(31)의 내부에 모선(3)의 연결부(16)를 수용하는 수용부(33) 공간이 형성되고, 부싱(31)의 조립이 완료한다.
이와같은 분할구조의 부싱(31)의 조립작업은 매우 간편하게 되고, 작업성도 크게 향상한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관한 모선 접속부의 다른 실시예에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부싱(31)의 부싱본체(31A) 및 분할편(31B)은 제 5 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부싱본체(31A)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새들(34)에는 개구부(35)의 양쪽에 가이드편(34B)과, 절결부(34c)가 서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분할편(3IB)에 고정된 스톱퍼(36)에는 그 양쪽에 현가편(36A)과, 절결부(34C)가 교호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새들(34)의 개구부(35)는 분할편(31B)을 끼워넣기 시키기 위한 충분한 개구폭으로 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모선 접속부에 있어서 스톱퍼(36)의 현가편(36A)을 새들(34)의 절결부(34c)에 위치맞춤시키고, 분할편(31B)을 개구부(35)로부터 부싱본체(31A)에 끼워넣어지면, 그 후는 분할편(31B)을 부싱본체(31A)에 대하여 약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연결부(16)을 수용부(33) 공간에 수용하여 부싱(31)을 조립할 수가 있다.
따라서 분할편(31B)을 전길이에 걸쳐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의 공간이 없는 장소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부싱(31)의 조립을 할 수 있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관한 모선 접속부의 다른 실시예에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7 도 (a)는 동 접속부의 분해 사시도, 제 7 도 (b)는 동 접속부의 조립후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새들(37)은 단면 C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쪽에 절곡부(37A),(37A)가 설치되어 있다. 또 부싱(31)은 부싱본체(31A)와 분할편(31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새들(37)은 본 실시예에서는 스톱퍼로서 사용되고, 조립된 부싱(31)에 끼워맞춤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모선 접속부에 있어서 제 5 도에 나타낸 모선(3)의 연결부(16)를 부싱본체(31A)의 수용부(33) 공간에 수용하고, 분할편(31B)을 개구부(35)를 통하여 부싱본체(31A)의 정위치에 세트하고, 새들(37)을 화살표(38)방향으로부터 슬라이드 끼워맞춤시키면, 새들(37)의 절곡부(37A),(37A)는 부싱본체(31A)의 측면의 끝단부(31D)에 걸어맞춤하고, 부싱(31)의 분할면(32)에 분할편(31B)을 확실하게 밀착시키어 부싱(31)을 조립할 수가 있다. 이 경우 공구가 없이 부싱(31)의 조립작업이 가능하다.
제 8 도는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모선 접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이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부싱본체(31A)를 둘러 싸는 새들(39)의 끝단에 길이방향에 따라 리브(39A),(39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분할편(316)에 고정되어 있는 새들(40)의 끝단부에도 리브(40A),(40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편(31B)를 부싱본체(31A)의 정위치에 끼워넣은 경우 리브(39A),(39A)에 다른 리브(40A),(40A)가 걸쳐 있으므로 이들 리브(39A),(40A)를 ㄷ자형상의 스톱퍼(41),(41)에 의하여 끼워 지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7 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분할편(31B)을 분할 편(32)에 따라 슬라이드 끼워 삽입시키고, 스톱퍼(41),(41)를 그 반대쪽으로부터 리브(39A),(40A)상에 슬라이드 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부싱(31)이 조립작업을 간단하고 작업성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5 도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부싱(31)의 절연성을 높게 하기 위하여 적당한 고무등에 의한 절연재를 부싱본체(31A)와 분할편(31B)과의 사이에 끼워넣도록 구성하여도 지장이 없다. 또 스톱퍼나 새들은 부싱의 길이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 설치하지 않아도 그 일부만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지장은 없다.
제 9 도는 다른 발명에 관한 모선 접속부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동도면 (a)는 동 모선 접속부의 분해사시도, 동도면 (b)은 동 모선 접속부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모선 접속부는 다수열 설치되는 모선을 일괄하여 접속하는 구성을 가지며, 부싱(5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부싱(51)은 수평방향의 분할면(52A),(52B),(52C)을 통하여 4분할되고, 분할편(51A),(51B),(51C) 및 (51D)로 구성되어 있다. 최상부에 배치된 분할편(51A)은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분할편(51B),(51C),(51D)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할편(51A)의 하면과 분할편(51B)의 상면(분할면 52A)에는 모선(3A)의 연결부(16A)를 수용하는 수용부(53A)가 절삭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분할편(51B)의 하면과 분할편(51C)의 상면(분할면 52B)에는 모선(3B)의 연결부(16B)를 수용하는 수용부(52B)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분할편(51C)의 하면과 분할편(51D)의 상면(분할면 52C)에는 모선(3C)의 연결부(16C)를 수용하는 수용부(53C)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분할편(51D)의 하면으로 부터 기기쪽의 통형상 부정(11C)이 돌출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모선 접속부에 있어서 분할편(51A),(51B),(51C), (51D)의 각 수용부(53A),(53B),(53C)에 모선 (3A),(3B),(3C)의 연결부(16A), (16B),(16C)를 각각 수용하고, 이들 분할편(51A∼51D)을 상하방향으로 겹치도록 하면, 동도면 (b)에 나타낸 바와같이 다수열의 모선(3A∼3C)을 일괄하여 접속한 부싱(51)을 조립할 수가 있다. 따라서 모선의 연결부(16A∼16C)를 미리 전기접속 가공하여 형성하고, 또는 부싱(51)의 배치위치에서 접속가공하여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다수열 모선에 있어서도 모선의 접속순위등을 고려하지 않고 접속작업을 간단하고 작업성 좋게 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분할편(51A∼51D)을 적층시킬 때 분할면(51A∼51C)에 전기 절연성을 높게 하기 위하여 고무등의 탄성 절연체를 끼워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0 도 (a),(b)는 제 9 도의 실시예의 모선 접속부를 사용하여 모선을 판상에 다수열 설치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이 도면으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개의 모선 접속부는 1상분의 모선(3A∼3C)을 수직방향으로 겹치게 하여 설치 접속한 것으로 A판(10A)과 B판(10B)에는 각 3대의 부싱(51)을 설치하면 좋다. 따라서 모선을 다수열 설치하는 경우에도 그 열설치 공간을 크게 감소할 수가 있다.
또 1상분의 필요 열수가 증감한 경우에는 분할편(51B)과 동일형상의 분할편을 증감시켜 부싱(51)을 조립한다.
제 11 도는 다수열 설치용의 모선 접속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이 모선 접속부는 동도면 (a),(b)에 나타낸 바와같이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의 부싱(5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부싱(51)은 종방향으로 4분할된 분할편(51A),(51B),(51C),(51D)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분할편(51A∼51D)의 각 분할면 위치에는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선(3A∼3C)의 각 연결부(도시않됨)는 이들 수용부에 수납되고, 이 상태에서 각 분할편(51A∼5D)이 조합되어 부싱을 조립할 수 있다.
이 모선 접속부는 수평방향에 충분한 공간이 있지만 수직(상하)방향의 열설치 공간이 적은 경우에도 모선을 다수열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분할편(51A∼51D)을 조합시켜 1개의 부싱(51)에서 3조의 모선을 접속설치하므로 동도면 (C)에 나타낸 바와같이 종래와 같이 1개의 모선에 1개의 부싱을 설치하여도 판(10A),(10B)상에서의 수평방향의 설치공간이 적게 되어 버린다.
제 12 도는 또 다수열 설치용의 모선 접속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모선 접속부의 부싱(51)은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2분할된 분할편(51A),(51B)으로 구성된다. 각 분할편(51A),(51B)의 대향면(분할면)(52)에는 모선의 연결부를 수용하는 수용부(53A),(52B),(53C)가 병렬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모선 접속부는 각 수용부(53A∼53C)에 3조의 모선의 각 연결부(도시않됨)를 각각 수용하고, 분할편(51B)에 분할편(51A)을 중첩시킴으로서 부싱(51)을 조립할 수가 있다.
상기 제 9 도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싱(51)의 분할수는 접속하기 위한 모선의 상수에 따라서 자유롭게 변경하여도 지장이 없고, 또 이들을 일체화하기 위한 구성은 벨트나 밴드형상의 것을 사용하고, 또는 볼트나 너트등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지장은 없다. 또 그 분할면은 직선으로도 좋고, 곡선이어도 좋다. 또 상기 분할면은 접속되기 위한 모선의 수와 동일할 필요는 없고, 예를들면 각각 1개의 분할면에 복수의 모선의 수용부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지장은 없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모선 접속부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종단면도, (b)는 그 A-A선에 따른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고정고리의 작용, 효과의 설명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모선 접속부의 부싱 분해방법의 각종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관한 부싱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각종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5 도는 다른 발명에 관한 모선 접속부의 1실시예를 나타내며, (a)는 분해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제 6 도는 다른 발명에 관한 모선 접속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제 7 도는 다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a)는 분해사시도, (b)는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 8 도는 다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태내며, (a)는 모선 접속부의 사시도,(b)는 스톱퍼의 사시도이다.
제 9 도는 다른 발명에 관한 다수열 설치용 모선 접속부의 1실시예 나타내며, (a)는 분해사시도, (b)는 조립후의 사시도이다.
제 10 도는 제 9 도의 실시예의 모선 접속부를 사용하여 모선을 판 사이에 다수열 설치한 예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제 1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다수열 설치용 모선 접속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그 측면도, (c)는 그 변형예를 사용하여 모선을 다 수열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12 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다수열 설치용 모선 접속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 13 도는 종래의 모선 접속부의 사시도이다.
제 14도는 종래의 모선 접속부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15 도는 종래의 모선 접속부를 사용하여 판사이에 다수열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A,7B : 모선 접속부 2,11,31 : 부싱
3 : 모선 4 : 도체
5 : 연결부 6 : 도체 인출봉
10,10C,10e,32,52A,52B,52C : 분할면
10A : A판 10B : B판
11A : 원추형상부 12 : 내부전극
13 : 슬리이브 13A : 삽입구멍
14,22B : 볼트 15 : 가이드 전극
16 : 연결부 17 : 스페이스
18 : 시일부 20 : 고정고리
21 : 절연고무(탄성 절연체) 22A,39 : 새들
23 : 밴드 23A,23B,25 : 리브
31A : 부싱본체 31B,51A,51B,51C,51D : 분할편
33 : 수용부 34A : 가이드부
34C : 절결부 35 : 개구부
36 : 스톱퍼 37A : 절곡부

Claims (7)

  1. 한쌍의 모선(3)을 서로 접속하여 형성한 연결부(16)를 가지는 모선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모선(3)의 길이방향에 따라 분할가능한 부싱(11)과, 상기 부싱(11)의 조립으로 그 부싱(11)내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16)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접속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6)는 상기 모선(3)의 각 도체(4)를 걸어멈춤시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내부전극(12)과, 그 내부전극(12)과 함께 상기 각 도체(3)를 협지하여 연결하는 반분할 슬리이브(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접속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11)은 분할면(10)을 포함하는 끝단부에 원추형상부(11A)가 형성되고, 그 분할되어 있는 원추형상부(11A)에 끼워맞춤하여 상기 부싱(11)을 조립하는 고정고리(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접속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부싱(11)의 분할면(10)에 끼워넣어진 탄성 절연체(21)와 상기 조립된 부싱(11)을 가압한 채 일체화하는 새들(22A)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접속부.
  5. 한쌍의 모선(3)을 서로 접속하여 형성한 연결(16)를 가지는 모선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모선(3)의 길이방향에 따라 분할면(32)을 통하여, 분할되는 분할편(31B)을 가지는 부싱(31)과, 상기 부싱(31)에 상기 분할편(31B)을 상기 분할면(32)에 따라 끼워 삽입시키기 위해 안내하는 가이드부(34A)를 가지는 새들(34)과, 그 끼워삽입되는 분할편(31B)을 상기 부싱(31)의 정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부(34A)에 끼워지는 스톱퍼(36)와, 그 부싱(31)에 상기 분할편(31B)의 고정으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16)의 수용부(3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접속부.
  6. 다수열 설치되는 한쌍의 모선을 서로 접속하여 형성한 복수의 연결부(16A∼16C)를 가지는 모선 접속부에 있어서,
    조립가능한 복수의 분할편(51A∼51D)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싱(51)과, 상기 복수의 분할편(51A∼51D)의 조립으로 상기 부싱(51)에 형성되어 상기 각 연결부(16A∼16C)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53A∼53C)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접속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편(51A∼51D)을 분할하는 분 할면(52A∼52C)에 상기 각 수용부(53A∼53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 접속부.
KR1019940004661A 1993-03-11 1994-03-10 모선접속부 KR100322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77761 1993-03-11
JP93-77763 1993-03-11
JP93-77762 1993-03-11
JP7776293A JPH06269116A (ja) 1993-03-11 1993-03-11 母線接続部
JP07776193A JP3550569B2 (ja) 1993-03-11 1993-03-11 母線接続部
JP7776393A JPH06269117A (ja) 1993-03-11 1993-03-11 母線接続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969A KR940022969A (ko) 1994-10-22
KR100322790B1 true KR100322790B1 (ko) 2002-06-20

Family

ID=2730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661A KR100322790B1 (ko) 1993-03-11 1994-03-10 모선접속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615309A1 (ko)
KR (1) KR100322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6400B2 (ja) * 2000-01-20 2009-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絶縁ガス封入閉鎖配電盤間の母線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4742B1 (fr) * 1983-09-06 1987-03-04 OREGA ELECTRONIQUE &amp; MECANIQUE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faisceau de fils électriques, et procédé de réalisation
DE3508727A1 (de) * 1985-03-12 1986-09-18 Kabel- Und Lackdrahtfabriken Gmbh, 6800 Mannheim Winkel- oder t-foermige garnit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15309A1 (en) 1994-09-14
KR940022969A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5124B2 (ja) 電気装置
US6176719B1 (en) Bolte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for multiple electrical conductors
JPS6327832B2 (ko)
US11056861B2 (en) Conductor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0905020B1 (ko) 스위치기어의 모선연결장치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KR950010180A (ko) 부재전도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장치
JP4231001B2 (ja)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US5594212A (en) Coupling device for electrical trunking
EP0666615B1 (de) Kabelabzweigmuffe für Hausanschlüsse
US6079677A (en) Adjustable bracket assembly for a building entrance box
KR100322790B1 (ko) 모선접속부
KR20060049003A (ko) 3상 변류기 및 이러한 3상 변류기가 구비된 발전소
US10084248B2 (en) Freely translatable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having protection against damage from foreign bodies
KR960702200A (ko) 예비버스식 강성 도관 배전 시스템의 선로 방향 전환 장치(Device for changing the run direction of a pre-bussed rigid conduit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KR20090013203U (ko) 차단기 직결형 영상변류기
CN210537158U (zh) 密封装置
US5942725A (en) Self-grounding protector module for building entrance protector box
KR100585859B1 (ko) 가스절연배전반 및 그의 콘택트결합체
EP0114243B1 (de) Kabelverteiler, bzw. -abzweiger für Breitbandkommunikationskabel
JP3550569B2 (ja) 母線接続部
JP4295323B2 (ja) 多相のスイッチング装置用の導電レールを固定する装置
EA000360B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 корпусом
US2421480A (en) Joint for sectionalized electric distribution systems
EP4191809A1 (en) Cable module, gas-insulated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module
WO1999027551A1 (en) Limit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