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363B1 - 내구적습윤성이있는부직포 - Google Patents

내구적습윤성이있는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363B1
KR100322363B1 KR1019960701883A KR19960701883A KR100322363B1 KR 100322363 B1 KR100322363 B1 KR 100322363B1 KR 1019960701883 A KR1019960701883 A KR 1019960701883A KR 19960701883 A KR19960701883 A KR 19960701883A KR 100322363 B1 KR100322363 B1 KR 100322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olyolefin
hydrophilic additive
integer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스 스타인 에버하트
랜디 에밀 마이로비츠
Original Assignee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4698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2236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로날드 디. 맥크레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Melt-blown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1Spun-bonded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6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s,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Ⅰ)
식 중,
x는 1 내지 15의 정수이고,
R은 탄소 원자수 18 이하의 알칸 또는 알켄이고,
A, B 및 C는 임의의 순서 또는 반복 체계로 배열된 1 이상의 정수이고,
z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의 친수성 첨가제를 혼합한 폴리올레핀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 이루어지고, 형성된 섬유는 섬유화 이전에 친수성 첨가제가 공급된 폴리올레핀인, 내구적 습윤성이 있는 부직포를 제공한다. 이 부직포는 놀라운 내구적 습윤성을 갖춘 것으로 밝혀졌다.

Description

내구적 습윤성이 있는 부직포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형성 와이어" 상으로 운반되고 접착되어 구조적 일체성을 갖출 수 있거나 다른 구조물, 예를 들면 슬라이버, 스테이플 및 토우에 사용되는 것처럼 필라멘트로서 압출될 수 있는 열가소성 중합체 필라멘트를 압출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개선된 부직포 또는 부직웹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중합체를 사용하여 다양한 유형물뿐 아니라 섬유 및 직물을 형성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었다. 폴리올레핀 종류는 소수성 물질이 되는 경향이 있고 그 자체로는 비교적 물에 젖지 않아서 이들 물질로부터 제조된 섬유 또는 직물은 습윤성을 요하는 용도에 완전히 적합하지는 않게 된다. 이러한 용도는 기저귀, 여성 위생 용품, 실금 용품 및 붕대 등 대개 친수성 특성을 보이는 재료를 사용하는 흡수 용품이다. 그러나, 폴리올레핀은 그의 소수성 특성에도 불구하고 낮은 가격 때문에 가장 보편적인 열가소성 섬유 형성 중합체로 남아 있다. 그 결과, 이들로부터 제조한 폴리올레핀 섬유 및 직물이 친수성이고 습윤성이 있게하려는 시도가 다수 있었다.
다른 용도뿐 아니라 상기한 용도에서도, 제품, 예를 들면 기저귀는 폐기되기전에 여러 번의 액체 인설트(insult)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폴리올레핀에 일단 부여된 습윤성이 내구적인 것이 중요하다. 1회 또는 2회의 적심 후에 습윤성이 현저히 감소되거나 심지어 완전히 소실된 습윤성 폴리올레핀은 여러 번의 인설트를 받는 용도에는 활용성이 매우 제한될 것이다. 따라서. 내구적 습윤성은 3 회 이상의 사전 적심 후에도 젖게 되는 능력으로 규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적 습윤성이 있으며 비교적 제작이 간편한, 즉 통상을 넘는 섬유의 후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폴리올레핀 직물 및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구적인 습윤성이 있는 폴리올레핀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일반석
식 중,
x는 1 내지 15의 정수이고,
R은 탄소 원자수 18이하의 알칸 또는 알켄이고,
A, B 및 C는 1 이상의 정수이며 임의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고,
z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의 친수성 첨가제를 혼합한 폴리올레핀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 이루어지고, 형성된 섬유는 섬유화 이전에 친수성 첨가제가 공급된 폴리올레핀인, 내구적 습윤성이 있는 부직포에 의해 구현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에서, "부직포 또는 부직웹"이라는 용어는 편성 또는 제직에서와 같은 규칙적 방식이 아니면서 교차된 개별 필라멘트, 섬유 또는 실의 조직을 갖는 웹을 뜻한다. 부직포 또는 부직웹은 예를 들면 멜트블로잉법, 스펀본딩법, 및 접착 카디드 웹법과 같은 여러 방법으로 형성되어 왔다.
본 명세서에서, "멜트블로운 섬유"라는 용어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다수의 미세한, 대개는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실 또는 필라멘트로서 고속의 기체 (예, 공기) 스트림 중으로 압출시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 필라멘트가 가늘어져서 직경이 마이크로섬유 직경으로까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 섬유를 뜻한다. 그 다음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의 기체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 상에 축적되어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부틴(Butin)의 미국 특허 제3,849,24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펀본디드 섬유"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아펠(Appel) 등의 미국 특허 제4,340,563호 및 도쉬너(Dorschner) 등의 미국 특허 제3,693,618호에서와 같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방사금구의 다수의 미세한, 통상은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서 압출시킨 다음 압출된 필라멘트의 직경이 급속히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형성 또는 "방사된(spun)" 직경이 작은 섬유를 말한다. 스펀본딩의 "접착(bonding)" 단계는 대개 방사된 부직포를 가열된 캘린더의 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서 열에 의해 이루어진다. 캘린더 롤에 의해 다양한 문양을 부직포에 부가할수 있지만 접착의 주목적은 부직포의 일체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가열 접착에서 접착면적은 대개 약 15%이나, 목적하는 웹 성질에 따라 폭넓게 달라질 수 있다. 접착은 또한 니들링, 수압엉킴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도 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가열 캘린더 접착이 바람직하다. 스펀본딩법은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단독중합체, 예를 들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및 교차 공중합체와 같은 공중합체, 삼원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달리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중합체"라는 용어는 그 물질의 가능한 모든 기하 배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배열에는 이소택틱, 신디오택틱 및 랜덤 대칭구조가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폴리올레핀은 당업계에서 섬유화뿐 아니라 유형 물품의 제조용으로도 공지되어 있다. 섬유화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은 모두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적절한 폴리올레핀의 예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부타디엔, 펜텐, 헥센, 헵텐 및 옥텐 등을 포함한 1 종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등이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은 분지쇄형 또는 직쇄형일 수 있으며, 고밀도 또는 저밀도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소수성인 경향이 있어서 물에 대한 습윤성을 요하는 일부 용도에는 별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습윤성은 일단 폴리올레핀에 부여되면 내구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내구적인 습윤성이 바람직한 이유는 이들 폴리올레핀 부직포로 제조된 제품, 예를 들면 기저귀가 폐기되기 전에 여러 번의 액체 인설트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내구적으로 습윤성인 부직포가 활용될 수 있는 다른 제품으로는 여성 위생 용품, 성인 실금 용품, 상처 드레싱, 붕대 및 와이퍼가 있다. 와이퍼는 산업용 또는 주방용 또는 욕실용 와이프와 같은 가정용일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습윤 첨가제를 폴리올레핀에 가하여 내구적으로 습윤성인 폴리올레핀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내부 습윤 첨가제는 배합물의 최대 10 중량%의 양으로 폴레올레핀에 첨가되어 2중 스크루 압출기 중에서 배합될 수 있다. 이들 성분의 혼합에 효과적인 것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혼합물은 후속적으로 순폴리올레핀과 배합되고 압출, 섬유화될 수 있다. 수집되어 웹을 형성한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이어서 일반적으로는 열에 의해 접착되어 부직포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부직포는 예상밖의 내구적인 습윤성이 있어 반복된 물세탁에도 이 성질이 잘 소실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내부 습윤 첨가제는 하기 일반식을 가지는 것이다:
식 중,
x는 1 내지 15의 정수이고,
R은 탄소 원자수 18 이하의 알칸 또는 알켄이고,
A, B 및 C는 1 이상의 정수이며 임의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고,
z는 1 이상의 정수이다.
내부 습윤 첨가제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A, B, C 및 z가 1인 상기 일반식, 즉
으로 나타내어진다.
실제에 있어서, 이러한 첨가제 시료는 x, A, B, C 및 z의 바람직한 값과는 약간 틀린 값을 갖지만 바람직한 값 정도로 평균되는 분포를 보이는 분자들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들 분자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이가 지방산 에스테르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이가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프로필렌과 함께 사용될 때 특히 내구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시판되는 내부 습윤 첨가제의 특정한 예는 미국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 소재 PPG Industries, Inc.사 계열의 미국 일리노이주 거니 소재 PPG Mazer, Inc.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DO-400이다.
본 발명의 섬유 및 직물 내에 존재하는 내부 습윤 첨가제는 가열시 "활성화"된다. 어떤 특정한 이론에 얽매이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이 활성화는 가열에 의해 첨가제의 표면하부에서 표면으로의 이동이 증가된 결과인 것으로 여겨진다. 스펀본드 부직포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통상적으로 가열 캘린더링 처리되므로 본 발명의 부직포에 통상적인 스펀본드 부직포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 형성에 사용되는 것이상의 추가적인 가공 단계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가열 캘린더링 이외의 접착방법을 사용한다면 활성화를 위해 가열 단계가 필요할 것이고, 그러한 방법은 가열 캘린더링과 동등하게 될 것이다.
폴리올레핀에 습윤성을 부여하는 다른 방법은, 물론 일부 용도에는 충분하겠지만 일반적으로 내구적인 습윤성이 결핍된다는 문제를 가진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에 대한 전형적인 코팅 조작으로는 물세탁에 의해 섬유에서 쉽게 제거되는 표면적인 코팅을 얻게 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뛰어난 내구적 습윤성을 예증하는 것들이다 (실시예 2, 3, 5 및 6은 비교를 위해 포함된 것으로, 본 발명의 것이 아님).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성분들을 30 또는 60 mm 2중 스크루 압출기 내에서 배합시킴으로씨 제조하였다. 당업자에게 중합체를 배합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2중 스크루 압출기 내에서 폴리프로필렌을 10% 수준의 각 첨가제와 혼합함으로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중합체 혼합물을 이어서 각 실시예에 언급된 첨가제 백분율에 도달하도록 순폴리프로필렌과 건식 배합하였다.
부직포는 243℃ (470℉)에서 약 0.7 g/홀/분의 속도로 방사하였다. 부직포는 한센 및 페닝스(Hansen & Pennings)의 미국 특허 제3,855,046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접착 면적이 15%인 확장 한센 페닝스 문양을 사용하여 문양 롤 온도 129℃ (265℉)에서 가열 캘린더링에 의해 접착시켰다. 접착된 부직포의 최종 기본 중량은 약 33,9 g/㎡ (1 osy)였다.
실시예에 사용된 첨가제는 PPG Mazer, Inc.사에서 구입할 수 있다. 사용된폴리올레핀은 용융 유속이 35 g/10분인 Exxon Chemical Company의 PD3445 폴리프로필렌이다. 실시예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상기한 방법에 의해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부직포를 제조한 섬유는 평균 분자량이 400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디올레에이트 에스테르 (DO-400)를 1 중량% 함유하였다. 가열 접착시키자 부직포는 습윤성이 되었다. 물세탁에 대한 이 재료의 습윤성의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해, 2.5 cm ×15 cm (1 인치 ×6 인치)의 부직포 띠를 500 ml의 증류슈 중에서 1 분 동안 온화하게 흔들어주고, 꺼내어 대기건조시켰다. 시료가 비습윤성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습윤성은 부직포 위에 물 5 방울 (각각 약 100 μl)을 부드럽게 가하여 결정하였다. 고도 습윤성인 재료는 모든 방울에 의해 즉시 젖었다. 보통 습윤성인 재료는 5 개의 물방울 중 4 개를 1 분 이내에 흡수하였다. 비습윤성 재료는 5개의 물방울이 부직포의 표면 상에서 5분 이상 그대로 남아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졌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부직포를 제조한 섬유는 캐스터 오일의 에톡실화 에스테르 (CO-8)를 1 중량% 함유하였다. 가열 접착시키자 부직포는 습윤성이 되었다. 이 부직포를 500 ml의 증류슈 중에서 1 분 동안 온화하게 흔들어주고, 꺼내어 대기 건조시켰다. 시료가 비습윤성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습윤성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부직포를 제조한 섬유는 소여(Sawyer)의 미국 특허 제4,578,41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에스테르와 에톡실화 노닐페놀의 50/50 배합물 (GMO/NP-12)을 1 중량% 함유하였다. 가열 접착시키자 부직포는 습윤성이 되었다. 이 부직포를 500 ml의 증류슈 중에서 1 분 동안 온화하게 흔들어주고, 꺼내어 대기 건조시켰다. 시료가 비습윤성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습윤성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부직포를 제조한 섬유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디올레에이트 에스테르 (DO-400)를 5 중량% 함유하였다. 가열 접착시키자 부직포는 습윤성이 되었다. 이 부직포를 500 ml의 증류슈 중에서 1 분 동안 온화하게 흔들어주고, 꺼내어 대기 건조시켰다. 시료가 비습윤성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습윤성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부직포를 제조한 섬유는 소여(Sawyer)의 미국 특허 제4,578,41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글리세를 모노올레에이트 에스테르와 에톡실화 노닐페놀의 50/50 배합물 (GMO/NP-12)을 5 중량%함유하였다. 가열 접착시키자 부직포는 습윤성이 되었다. 이 부직포를 500 ml의 증류슈 중에서 1 분 동안 온화하게 흔들어주고, 꺼내어 대기 건조시켰다. 시료가 비습윤성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습윤성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부직포를 제조한 섬유는 MAYPEG 400-MI, 모노라우레이트를 3 중량% 함유하였다. 가열 접착시키자 부직포는 습윤성이 되었다. 이 부직포를 500 ml의 증류슈 중에서 1 분 동안 온화하게 흔들어주고, 꺼내어 대기 건조시켰다. 시료가 비습윤성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습윤성을 결정하였다.
표 1
* W는 부직포가 실시예 1에 기재된 시험방법에 의할 때 고도 또는 보통 습윤성임을 뜻하고, NW는 부직포가 상기 시험방법에 규정된 바에 의하면 젖지 않음을 뜻한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놀라운 내구적 습윤성을 명백히 보여준다. 1 중량% 수준에서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는 첨가제 농도가 5%인 실시예 5의 부직포보다 상당히 더 내구적인 습윤성을 보였다. 역시 본 발명의 부직포인 실시예 4는 습윤 첨가제 농도가 5 중량%였으며, 4번째 세탁 후에도 내구적인 습윤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9)

  1. 하기 일반식의 친수성 첨가제를 1 종 이상 혼합한 폴리올레핀으로부터 형성된 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는 섬유화 이전에 상기 폴리올레핀에 상기 1 종 이상의 친수성 첨가제를 공급하여 형성된 것인, 내구적 습윤성이 있는 부직포.
    식 중,
    x는 1 내지 15의 정수이고,
    R은 탄소 원자수 18 이하의 알칸 및 탄소 원자수 18 이하의 알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A, B 및 C는 임의의 순서로 배열된 1 이상의 정수이고,
    z는 1 이상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첨가제의 일반식에서 x가 7 내지 11이고, A, B, C 및 z가 1인 부직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부직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첨가제가 0.1 중량%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부직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첨가제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부직포.
  6. 제1항에 있어서, 기저귀, 여성 위생 용품, 성인 실금 용품, 상처 드레싱, 붕대 및 와이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흡수 용품 중에 존재하는 것인 부직포.
  7. 성분 중 하나가 하기 일반식의 친수성 첨가제 5 중량%를 혼합한 폴리올레핀으로부터 형성된 것인 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는 섬유화 이전에 상기 폴리올레핀에 상기 친수성 첨가제를 공급하여 형성된 것인, 내구적 습윤성이 있는 부직포.
    식 중,
    x는 7 내지 11의 정수이고,
    R은 탄소 원자수 18 이하의 알칸이다.
  8. (a) 폴리올레핀을 하기 일반식의 친수성 첨가제 1 종 이상과 철저히 혼합함으로써 배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식 중,
    x는 1 내지 15의 정수이고,
    R은 탄소 원자수 18 이하의 알칸 및 탄소 원자수 18 이하의 알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A, B 및 C는 임의의 순서로 배열된 1 이상의 정수이고,
    z는 1 이상의 정수이다.
    (b) 상기 배합물을 용융시키는 단계;
    (c) 다수의 미세 모세관을 통해 압출시킴으로써 상기 배합물을 섬유화시키는 단계;
    (d) 상기 섬유화된 배합물을 수집 표면에 축적시켜 무작위적으로 분산된 웹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섬유화된 배합물 웹을 가열 접착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내구적 습윤성이 있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A, B, C 및 z가 1인 방법.
KR1019960701883A 1993-10-13 1994-10-12 내구적습윤성이있는부직포 KR100322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135823 1993-10-13
US08/135,823 US5439734A (en) 1993-10-13 1993-10-13 Nonwoven fabrics having durable wettability
PCT/US1994/011732 WO1995010648A1 (en) 1993-10-13 1994-10-12 Nonwoven fabrics having durable wett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2363B1 true KR100322363B1 (ko) 2002-06-20

Family

ID=2246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883A KR100322363B1 (ko) 1993-10-13 1994-10-12 내구적습윤성이있는부직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439734A (ko)
EP (1) EP0723607B2 (ko)
JP (1) JP3947562B2 (ko)
KR (1) KR100322363B1 (ko)
AU (1) AU685864B2 (ko)
CA (1) CA2116608C (ko)
DE (1) DE69424060T3 (ko)
FR (1) FR2711150B1 (ko)
GB (1) GB2282817B (ko)
TW (1) TW253908B (ko)
WO (1) WO1995010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9926A (en) * 1995-06-07 1998-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ne denier fibers and fabrics made therefrom
CA2236340C (en) 1995-11-30 2005-07-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perfine microfiber nonwoven web
PE20000627A1 (es) 1998-05-30 2000-07-26 Kimberly Clark Co Material absorbente
US6444367B1 (en) * 1999-01-08 2002-09-03 Ahlstrom Mount Holly Springs, Llc Durable hydrophilic nonwoven mat for rechargable alkaline batteries
US6239047B1 (en) * 1999-02-19 2001-05-29 Polymer Group, Inc. Wettable soft polyolefin fibers and fabric
US6353149B1 (en) 1999-04-08 2002-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 blooming surfactants for use in fluid transport webs
US6706946B1 (en) 1999-05-14 2004-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hydrophobic topsheet and improved liquid handling performance
US6635801B1 (en) 1999-05-14 2003-10-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bining low viscosity liquid handling and high viscosity liquid handling
US7033340B1 (en) 1999-05-14 2006-04-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reduced impact on surface tension of acquired liquid
US6762339B1 (en) 1999-05-21 2004-07-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ydrophilic polypropylene fiber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US6613704B1 (en) * 1999-10-13 2003-09-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inuous filament composite nonwoven webs
DE10015554A1 (de) * 2000-03-30 2001-10-11 Cognis Deutschland Gmbh Hydrophilieadditiv
AU2001251443A1 (en) * 2000-04-07 2001-10-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Textured, microapertured webs and absorbent articles using such webs
US7063917B2 (en) * 2001-02-21 2006-06-20 Ahlstrom Mount Holly Springs, Llc Laminated battery separator material
US20020193829A1 (en) * 2001-03-26 2002-12-19 Tyco Healthcare Group Lp Oil coated sutures
AU2002247401B2 (en) * 2001-03-26 2008-01-10 Covidien Lp Polyolefin sutures having improved processing and handling characteristics
DE10123863A1 (de) * 2001-05-16 2002-11-21 Cognis Deutschland Gmbh Hydrophilieadditiv II
ATE342031T1 (de) * 2001-07-26 2006-11-15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 artikel mit elastischen oberen schichten
DE10206111A1 (de) * 2002-02-13 2003-08-21 Cognis Deutschland Gmbh Weichmachende Ausrüstung von polyolefinhaltigen Gegenständen
ATE418947T1 (de) 2002-11-08 2009-01-15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r wegwerfartikel mit schmutzverdeckender deckschicht
DE60209613T2 (de) * 2002-11-08 2006-10-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Absorbierender Wegwerfartikel mit verbesserter oberer Schicht
DE10307867A1 (de) * 2003-02-25 2004-09-16 Corovin Gmbh Mischung zur Herstellung permanent hydrophiler Polyolefinmaterialien
ATE473718T1 (de) 2003-10-02 2010-07-15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r artikel mit elastomerischem material
US20050159067A1 (en) * 2003-11-07 2005-07-21 Mitsui Chemicals, Inc. Hydrophilic nonwoven fabric
US20050215965A1 (en) * 2004-03-29 2005-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drophilic nonwovens with low retention capacity comprising cross-linked hydrophilic polymers
US20050245158A1 (en) * 2004-04-30 2005-1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component fibers and nonwoven fabrics and surge management layers containing multicomponent fibers
US20050245157A1 (en) * 2004-04-30 2005-1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abrics comprising strata with differing levels or combinations of additives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20060068673A1 (en) * 2004-09-28 2006-03-30 Frank Goene Synthetic nonwoven wiping fabric
BRPI0610488A2 (pt) 2005-05-30 2016-11-16 Basf Ag composição polimérica, e, processo para produzir a mesma
EP1889589B1 (en) * 2005-06-08 2012-06-13 Kao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BRPI1006184A2 (pt) 2009-03-27 2015-09-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mposição termoplástica, artigos, lençol cirúrgico, avental cirúrgico, material para contato com ferimento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a composição"
JP5188481B2 (ja) * 2009-09-17 2013-04-24 三井化学株式会社 繊維、不織布及びその用途
US20120322329A1 (en) 2010-03-15 2012-12-20 Mitsui Chemicals, Inc Fiber, nonwoven fabric and application thereof
JP5759160B2 (ja) * 2010-12-15 2015-08-05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内添型親水化剤およびその用途
WO2015143361A1 (en) * 2014-03-21 2015-09-24 Basf Se Method of increasing the surface energy of a non-woven fabric
WO2015143352A1 (en) * 2014-03-21 2015-09-24 Basf Se Method of influencing the surface energy of a non-woven fabric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4742A (ja) * 1990-12-17 1992-11-05 Kimberly Clark Corp ポリオレフィン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9241A (en) * 1968-12-23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by melt blowing
DE1950669C3 (de) * 1969-10-08 1982-05-13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Vliesherstellung
US3933525A (en) * 1972-12-21 1976-01-20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manufacturing process
US3870567A (en) * 1972-12-21 1975-03-11 Grace W R & Co Battery separator manufacturing process
US3918995A (en) * 1972-12-21 1975-11-11 Grace W R & Co Battery separator and manufacturing process
US3847676A (en) * 1972-12-21 1974-11-12 Grace W R & Co Battery separator manufacturing process
US3973068A (en) * 1975-10-28 1976-08-03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nonwoven web having high intensity and low intensity bonds and a lubricant on the surfaces of the synthetic filaments comprising said
US4340563A (en) * 1980-05-05 1982-07-2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nonwoven webs
US4486552A (en) * 1983-02-28 1984-12-04 The Dow Chemical Company Fog-resistant olefin polymer films
CA1261526A (en) * 1984-02-17 1989-09-26 Lawrence H. Sawyer Wettable olefin polymer fibers
US4578414A (en) * 1984-02-17 1986-03-25 The Dow Chemical Company Wettable olefin polymer fibers
US4808188A (en) * 1987-09-16 1989-02-28 Ledford W Troy Polyester fibers, yarns and fabrics with enhanced hydrophilicit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with borohydride anions and lithium cations
US5126219A (en) * 1987-12-21 1992-06-30 Entek Manufacturing Inc. Microporous filaments and fiber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5093197A (en) * 1987-12-21 1992-03-03 Entek Manufacturing Inc. Microporous filaments and fibers
US5120888A (en) * 1988-04-14 1992-06-09 Kimberly-Clark Corporation Surface-segregatable, melt-extrud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
US4857251A (en) * 1988-04-14 1989-08-15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nonwoven web from a surface-segregat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
US4923914A (en) * 1988-04-14 1990-05-08 Kimberly-Clark Corporation Surface-segregatable, melt-extrud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
JPH0253950A (ja) * 1988-08-12 1990-02-22 Kuraray Co Ltd 親水性不織布の製法
JP2613798B2 (ja) * 1988-12-08 1997-05-28 チッソ株式会社 耐久親水性繊維
US4933229A (en) * 1989-04-21 1990-06-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wet-strength polyolefin blown microfiber web
US5079080A (en) * 1989-05-26 1992-01-07 Bix Fiberfilm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superabsorbent composite web from fiberforming thermoplastic polymer and supersorbing polymer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US5033172A (en) * 1989-06-01 1991-07-23 Hercules Incorporated Rewettable polyolefin fiber and corresponding nonwovens
US5149576A (en) * 1990-11-26 1992-09-22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laminiferous structure
US5145727A (en) * 1990-11-26 1992-09-08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US5244951A (en) * 1991-05-02 1993-09-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rably hydrophilic, thermoplastic fi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4742A (ja) * 1990-12-17 1992-11-05 Kimberly Clark Corp ポリオレフィン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4060T3 (de) 2005-06-16
FR2711150B1 (fr) 1997-01-10
CA2116608A1 (en) 1995-04-14
DE69424060T2 (de) 2001-01-11
WO1995010648A1 (en) 1995-04-20
FR2711150A1 (fr) 1995-04-21
AU8018394A (en) 1995-05-04
TW253908B (ko) 1995-08-11
CA2116608C (en) 2003-10-28
GB2282817A (en) 1995-04-19
EP0723607A1 (en) 1996-07-31
GB2282817B (en) 1997-07-09
DE69424060D1 (de) 2000-05-25
EP0723607B1 (en) 2000-04-19
GB9420573D0 (en) 1994-11-30
JP3947562B2 (ja) 2007-07-25
JPH09503829A (ja) 1997-04-15
AU685864B2 (en) 1998-01-29
EP0723607B2 (en) 2005-02-02
US5439734A (en) 1995-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363B1 (ko) 내구적습윤성이있는부직포
US4070218A (en) Method of producing a soft, nonwoven web
US5540953A (en) Process of preparing fabric comprising hydrophobic polyolefin fibers
US5616408A (en) Meltblown polyethylene fabrics and processes of making same
KR20010022086A (ko) 유체 취급성이 개선된 동시성형 물질 및 제조 방법
JPH035305B2 (ko)
US6239047B1 (en) Wettable soft polyolefin fibers and fabric
KR100361596B1 (ko) 이소택틱및아택틱폴리올레핀의블렌드로부터제조된부직포
KR100477954B1 (ko) 재역류방지성이 우수한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KR20110076154A (ko) 위생용품용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부직포,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H02221448A (ja) 保水性不織布
JP3032075B2 (ja) 親水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
JPS6392723A (ja) 湿潤性複合繊維およびその不織布
JP3487424B2 (ja) 親水性ポリエステル繊維、親水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40585B2 (ja) 親水性ポリオレフィン複合繊維
MXPA05006208A (es) Materiales poliolefinicos hidrofilos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JPH0418121A (ja) 熱融着性繊維
JPH02251649A (ja) 吸水性不織布
KR20010019669A (ko) 내구 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섬유
KR100873850B1 (ko) 재역류방지성이 우수한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WO2022157609A1 (en) Hydrophobic cellulosic fiber
GB2053302A (en) Spun Non-Wovens
KR20170074403A (ko) 전이 안정성이 우수한 친수성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S59200653A (ja) 衛生用品のフェーシ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