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351B1 - 조직배양법에 의한 섬오갈피나무 묘종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조직배양법에 의한 섬오갈피나무 묘종의 생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351B1
KR100322351B1 KR1019990038626A KR19990038626A KR100322351B1 KR 100322351 B1 KR100322351 B1 KR 100322351B1 KR 1019990038626 A KR1019990038626 A KR 1019990038626A KR 19990038626 A KR19990038626 A KR 19990038626A KR 100322351 B1 KR100322351 B1 KR 100322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matic
medium
embryos
seedlings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127A (ko
Inventor
성광수
Original Assignee
성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광수 filed Critical 성광수
Priority to KR101999003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351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5Methods for micropropagation; Vegetative plant propagation using cell or tissue culture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3/00Processes for modifying phenotypes, e.g. symbiosis with bacteria
    • A01H3/04Processes for modifying phenotypes, e.g. symbiosis with bacteria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2Culture media for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8Methods for regeneration to complet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13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four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25Culture media for plant cell or plant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4Plant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오갈피나무(Acanthopanax koreanumNAKAI)의 번식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a) 섬오갈피나무의 미숙 종자를 준비하고 살균하는 단계; (b) 상기 멸균된 미숙 종자를 발육배지에서 생장시켜 배를 발육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배를 체세포배발생 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를 유도 및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체세포배를 증식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의 양을 증폭하는 단계; (e) 증폭된 체세포배를 생장배지에서 생육시켜 발아된 배를 얻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에서 얻은 발아된 배를 토양에서 순화시켜 섬오갈피나무의 묘종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유전적으로 우량한 특성을 가지며 개체간에 그 특성이 균일한 섬오갈피나무의 묘종을 단기간내에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직배양법에 의한 섬오갈피나무 묘종의 생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seedlings of Acanthopanax koreanum NAKAI by tissue culture}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식물조직배양기술에 의해 섬오가피 나무를 번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세포배의 발생 및 증식기술을 이용하여 저가로 유전적으로 균일한 섬오가피 나무 묘종을 단시간내에 얻을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래기술>
상업적으로 가치가 있는 식물을 증식하여 재배하기 위해서는 유성번식방법으로 수분과 수정의 과정을 거쳐서 성숙된 종자를 파종하여 실생묘를 얻는 방법이 있고, 종자를 이용하지않는 무성번식방법은 몸체의 일부를 나누어 심는 삽목법, 접목법, 포기나누기법 등이 이용되어왔다. 그러나 종자에 의한 번식법은 우선 종자를 채취하고 정선해야하는 번거러움이 따르고, 두 번째로 식물의 생리적 특성에 따라 휴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간을 기다리거나 화학적 처리를 해야만 발아가 가능한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본 연구에 사용된 오갈피나무종류는 휴면의 기간이 길고 휴면파괴에 적절한 화학적 물질이 없어서 발아에 2년의 기간이 소요된다. 이렇게 어렵게 얻어진 실생묘라고 하더라도 그 형질은 개화상태에서 타가수정을 거친 경우라면 종자를 채취한 모수의 형질을 전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보다 열성을 지니게 된다. 더구나 종자가 채취되는 나무는 주로 종자가 많이 결실되어 생장이나 다른 실제적으로 유리한 형질을 지닐 가능성은 적어진다.
무성번식에 의한 번식방법은 모체의 형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증식이 가능한 방법이지만 방법이 번거롭고 증식할 수 있는 재료와 수량이 한정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삽목에 이용될 수 있는 재료는 당년에 자란 새 가지를 대부분이용하고 또한 노령의 나무는 그나마 이용이 불가능하므로 실제적으로 한나무에서 얻을수있는 수는 그리 많지않다.
비교적 근래에 와서 식물을 무성번식 하는데 조직배양의 기술을 이용하고 있고 이는 특정의 시설내에서 단 시간내에 동질의 재료를 대량으로 번식가능하게 하고 있다. 더구나 체세포배 발생과 증식기술은 체세포를 대량으로 증식시키고 그 세포로부터 모체와 동일한 유전형질을 지닌 배를 대량으로 생산하게 되어 인공종자의 형태로 묘종생산의 공업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실제적으로 임업에서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침엽수 종에서는 체세포배의 생산으로 종묘를 만드는 과정이 상업적으로 가능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오갈피나무류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서, 우리나라를 위시하여 일본, 중국, 필리핀, 그리고 러시아에 걸쳐서 40여종이 분포하는 아시아 특산의 식물이다. 이 식물이 가지는 약리작용으로는 인체의 면역력을 증대시키고 혈당을 감소하며 항균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몸을 보하고 통증를 감소하는데 이용되어 왔다.
특히 섬오갈피나무(Acanthopanax koreanumNAKAI)는 일본 및 우리나라의 제주도의 해발 500m 이하 해변 산기슭에만 자생하는 식물로 희귀성이 매우 높다. 최근의 연구는 이 식물에서 추출되는 성분들이 진통소염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섬오갈피나무는 실생법 및 삽목법으로 증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번식이 느리고 나무 자체가 희귀하기 때문에 극히 소량으로 밖에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섬오갈피나무를 증식시키기 위한 연구가 여러번 시도되었고, 이런 연구는 주로 종자에 의한 번식방법 및 삽목에 의한 증식방법에 집중되었다.
이중 종자에 의한 증식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개발이 어렵다. 오갈피나무류의 종자는 특이한 휴면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후 발육이라고 하는 형태로 종자가 외형적으로 완숙한 단계에 있지만 그 내부에 있는 배는 성장을 멈추고 있다가 종자가 떨어지고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부터 생장을 시작하는 형태를 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종자의 휴면타파를 위해서 이용되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섬오갈피나무 종자의 휴면을 타파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종자의 휴면기간은 개화 결실한 후 2년이 소요되며, 그 기간동안의 보관방법도 어려워서 정선 후 땅속에 매립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나아가 이렇게 얻어진 발아 가능한 종자도 암, 수 교잡에 의한 것이므로 우량한 개체에서 채취된 종자라 할지라도 유전적인 다양성을 가지고 여러나무에서 채취된 종자를 모아서 파종하므로 열성의 인자들이 포함되어진다. 즉 우량한 개체의 유전적인 형질을 지닌 우량한 종자를 균일하게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두 개의 우량한 개체로부터 교잡에 의한 종자를 얻었더라도 2년이 경과하여야만 묘목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육종의 기간이 길어져서 이 또한 우량의 묘목을 얻는데 방해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삽목에 의한 증식법은 일반적으로 당년에 자란 가지를 이용하여 적정의 길이로 나누어 발근시켜 묘목을 만드는 방법인데 오갈피나무는 관목류에 속하여 기본적으로 년간 생장량이 작아 당년에 자란 가지의 량이 적어서 생산할 묘목의 수가 극히 제한된다.
비교적 근래에 발달한 조직배양기술은 종자에 의한 증식방법, 삽목에 의한 증식방법에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이 될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체세포배 발생 및 증식에 의한 증식(번식)은 종묘생산의 공업화를 가능하게 하여 균일한 형질을 지닌 종묘를 생산할 수 있는 인공종자생산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일반적인 종자에서 배(胚, embryo)는 개화를 하고 암꽃과 수꽃(혹은 암술과 수술)간의 수분이 일어나고 수정과정으로 암수 접합자의 교잡에 의하여 생겨나는 것임에 반하여, 조직배양기술에서의 체세포배란 인공적인 배지상에서 위와 같은 수정과정 없이 일반적인 기관(잎, 줄기,칼루스,어린뿌리 등)의 세포로부터 모체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배의 형태를 만든 것을 말한다.
체세포배를 이용한 오갈피나무의 번식방법으로는, 본 발명의 섬오갈피나무와는 다른 종류인 가시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nticosusMax.)에 대해 시도한 예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1999-2463호에는 가시오갈피나무의 어린 뿌리 조직(다른 부위의 조직은 체세포배를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을 MS 배지에서 특정의 식물생장 조절물질을 첨가하여 체세포배를 유기하고, 체세포배를 단일화시켜 식물체를 재분화시킨 후 이를 토양에 이식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가시오갈피나무와 섬오갈피나무는 형태학적으로 또는 식물생리학적으로 전혀 상이하여 위 가시오갈피나무에 적용된 방법을 섬오갈피나무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시오갈피나무는 시베리아가 원산지로서 국내에서도 고산지대에서만 자라며 종자를 형성하지 못하는 반면, 섬오갈피나무는 우리나라에서 기후가 온화한 제주도에서만 생육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가시오갈피나무에 적용이 시도되었던 어린 뿌리조직을 이용한 체세포배 유기를 섬오갈피나무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섬오갈피나무를 단기간에 증식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광범위한 연구를 행하였고,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규일한 섬오갈피나무 묘종을 단기간에 다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미숙종자로부터 체세포배가 발생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a)는 미숙종자로부터 한개의 배가 발생되고 배축을 따라서 증식하는 모양을 보여주고, (b)는 미숙종자 안에서 여러 개의 체세포배가 발생하는 초기 모양을 보여주며, (c)는 체세포배가 형성된 모양을 보여준다.
도 2는 체세포배의 발육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a)는 체세포배가 분리된 모양을 보여주고, (b)는 생장 1주일 후의 모습으로서 자엽과 뿌리부분이 발달되기 시작한 모양을 보여주고 있으며, (c)는 생장 2주일 후의 모습으로서 자엽이 본격적으로 전개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d)는 생장 4주일 후에 본엽과 여러개의 뿌리가 발달되어 묘의 모양을 갖추게 된 것을 보여준다. 도 2의 사진에 표시한 막대는 1mm의 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음 단계:
(a) 섬오갈피나무의 미숙 종자를 준비하고 살균하는 단계;
(b) 상기 멸균된 미숙 종자를 발육배지에서 생장시켜 배를 발육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배를 체세포배발생 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를 유도 및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체세포배를 증식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의 양을 증폭하는 단계;
(e) 증폭된 체세포배를 생장배지에서 생육시켜 발아된 배를 얻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에서 얻은 발아된 배를 토양에서 순화시켜 섬오갈피나무의 묘종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오갈피나무의 묘종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유전적으로 우량한 개체의 미숙종자로부터 그 유전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며 또 개체간에 유전적 특성이 균일한 섬오갈피나무의 묘종을 단기간에 다량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숙종자는 자연적 혹은 인공적인 수분과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개화후 2주~11주가 되었을때 채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생존율의 측면에서 볼때 개화후 3주~7주, 특히 약 4주~5주째에 채취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미숙 종자는 먼저 표면을 살균한 후, 외피를 제거하고 종피, 내피 및 배가 남겨진 종실을 사용한다. 종자의 표면살균방법은 당업계에 주지된 많은 방법중 하나, 예를 들어 에탄올 및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에 차례로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표면처리된 미숙 종자는 적절한 배지(이하 "발육배지"라 칭함)에서 발육시켜 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발육배지는 식물생장조절제로서 0.5~1.5mg/l의 IAA(indoel-3-acetic acid) 또는 0.1~5.0mg/l의 BA(Benzyl adenine; 6-Benzylaminopurine ("BAP")로 명명됨)을 함유하는 MS(Murashige-Skoog) 배지가 유리하게 이용된다.
발육배지에서 길이가 약 2~4mm가 되도록 생육한 배는 싸이토카이닌이 첨가된 체세포발생배지, 예를 들어 BA, 2ip(6-Dimethyl allyl aminopurine) 또는 제아틴(Zeatin)이 0.1 ~ 2.0mg/l의 양으로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 발생을 유도하는데 이용된다.
이렇게 해서 발생된 체세포는 그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증식배지, 예를 들면 BA, NA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식물생장조절제로 함유하는 고체배지 또는 액체배지에서 배양할 수 있다. 이때 식물생장조절제의 양은 각각 0.5~1.0mg/l의 범위내에서 선정될 수 있으며, 특히 BA : NAA = 10 : 1 (무게비)의 비율을 갖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증식된 체세포배는 적절한 배지, 예를 들어 식물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한전배지에서 배양하여 배를 발아시킬 수 있으며, 또는 그 자체의 증식배양의 규묘를 크게 하여 배양물로부터 소망하는 2차 대사산물을 얻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의 채취
미숙 종자의 채취시기에 따른 생존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화 10일 후 부터 10일 간격으로 미숙한 종자를 채취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조건 : 배지는 MS기본배지에 생장조절물질로 BA를 1.0 mg/l의 농도로 첨가하고 7g/l의 한천을 넣고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한 후 직경 100 mm 페트리디쉬에 분주한 배지를 만들어 사용했다. 식물시료는 개화 후 각 해당일이 경과하여 채취된 미숙 종자를 표면 멸균한 후 치상했다. 표면 멸균의 조건은 하기 실시예 2에 나타내었다. 배양실의 온도는 25도로 일정하게 조절하고 4000룩스의 형광등을 16시간광/8시간암/일의 상태로 조절한곳에서 생육시켰다. 치상 후 8주가 경과한 후 육안과 생물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존한 개체와 사멸한 개체을 분리하여 생존율을 조사했다. 단 배양과정 중 외부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것은 치상 한 수에서 재외하고 계산했다.
각 시기별 미숙 종자의 생존율은 표1과 같다.
미숙종자 채취일(개화후 경과일) 치상한 수 생존한 수 생존율
10 100 0 0.0
20 100 45 45
30 100 69 69
40 100 36 36
50 100 25 25
60 100 10 10
70 100 8 8
80 96 0 0
위의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개화 후 30일되는 시기가 생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개화 후 10일에는 완전한 수정이 일어나지 않았거나 종자가 너무 미숙한 단계이므로 생존하는 종자가 없었다. 개화후 40일이 지나면서 생존율이 감소하기 시작해서 60일이 경과하면 10%이하로 감소했다. 이는 종자의 휴면이 시작되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실시예 2 :표면 멸균
외부자연조건에서 생육하던 실험재료들을 조직배양재료로 바꾸기 위해서는 멸균상태로 만들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표면멸균과정은 먼저 채취된 미숙종자를 외피가 있는 상태로 70%EtOH에 1분간 침지 후 13%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에 1분간 침지한다. 그 후 멸균수로 3회 세척하여 재료로 이용했다.
실시예 3 :종자의 적출
섬오갈피나무의 미숙 종자는 후에 성숙했을 때 검은색으로 변화될 부분인 과육부분이 있고 그다음 종자의 외피, 내피, 배유부분이 배를 차례로 싸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실험에 이용하는 재료는 가장 외부를 싸고있는 과육부분 만을 제거한 상태로 이용했다. 과육을 제거하는 방법은 30배 정도의 확대 현미경하에서 과육을 반으로 절개한 후 직경 0.1-0.2 mm 정도의 종자를 적출한다. 과육이 있는 상태로 배양을 시도했지만 전부 생존하지 못해 과육이 있는 상태로 배양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미숙 종자의 치상
생장조절물질에 따른 미숙 종자의 생존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적출된 미숙종자를 오옥신으로 IAA(Indole-3-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NAA(1-Naphthalene acetic acid)를 각각 0.2-2.0 mg/l의 농도로, 그리고 싸이토카이닌으로 BA 또는 키네틴(Kinetin)이 각각 0.5-2.0 mg/l 농도로 첨가된 MS 배지상에 치상했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BA가 1.0mg/l의 농도로 첨가된 배지상에서 75%의 생존율을 보여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났다.
구체적인 실험조건은 다음과 같다.
배지는 MS기본배지에 표 2에 나타낸 양의 각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고 7g/l의 한천을 넣고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한 후 직경 100 mm 페트리디쉬에 분주한 배지를 만들어 사용했다. 식물시료는 개화 후 각 30일이 경과하여 채취된 미숙 종자를 표면 멸균한 후 치상했다. 배양실의 온도는 25℃로 일정하게 조절하고 4000룩스의 형광등을 16시간광/8시간암/일의 상태로 조절한 곳에서 생육시켰다. 치상후 8주가 경과한 후 육안과 생물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존한 개체와 사멸한 개체을 분리하여 생존율을 조사했다. 단 배양과정 중 외부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것은 치상 한 수에서 재외하고 계산했다.
생장조절물질 농도(mg/l) 치상한 미숙종자의 수 발육한종자의 수 생존율(%)
IAA 0.2 100 0 0.0
0.5 98 2 2.0
1.0 100 3 3.0
2.0 98 0 0.0
IBA 0.2 100 0 0.0
0.5 100 0 0.0
1.0 100 0 0.0
2.0 97 0 0.0
NAA 0.2 100 0 0.0
0.5 100 1 1.0
1.0 100 0 0.0
2.0 91 0 0.0
BA 0.2 100 1 1.0
0.5 100 5 5.0
1.0 100 75 75.0
2.0 100 28 28.0
KINETIN 0.2 97 0 0.0
0.5 100 0 0.0
1.0 100 0 0.0
2.0 98 3 3.1
한편, 치상된 미숙 종자는 치상 후 6-8주 후에 종자 밖으로 작은 배가 밀려나와 생육을 시작한다.
실시예 5:체세포 배의 발생
길이가 2-4mm 정도 생육한 배를 제아틴이 0.5 mg/l 농도로 첨가된 MS 배지에 옮겨 체세포 발생을 유도하면 한 개의 배로부터 5-30개 정도의 체세포배가 발생한다. 체세포배가 발생하는 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a)는 미숙종자로부터 한개의 배가 발생되고 배축을 따라서 증식하는 모양을 보여주고, (b)는 미숙종자 안에서 여러 개의 체세포배가 발생하는 초기 모양을 보여주며, (c)는 체세포배가 형성된 모양을 보여준다.
실시예 6 :체세포배의 대량증식을 위한 액체 배양
체세포배를 대량으로 단시간 내에 증식하기 위하여, 250ml 용량의 삼각후라스크에 MS배지에 싸이토카이닌으로 BAP 0.5-1.0mg/l, 그리고 오옥신으로 NAA가 0.1-0.5mg/l 농도로 첨가된 액체 배지에 실시예 5에서 얻은 체세포배를 200-400개 정도의 양으로 넣고 100 rpm으로 진탕배양하여 10주 후 얻어진 체세포의 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제적인 실험조건은 다음과 같다.
MS 기본배지에 표 3에 나타낸 양의 각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고 고형화 재료인 한천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로 250ml 용량의 삼각 후라스크에 분주하고 쿠킹호일로 입구를 봉하고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한 후 사용했다. 식물시료는 고체배지상에서 발생된 일정한 크기의 체세포배를 선별하여 액체배지에 넣고 진탕배양기에서 100 rpm으로 회전하면서 배양했다. 배양실의 온도는 25℃로 일정하게 조절하고 4000 룩스의 형광등을 16시간광/8시간암/일의 상태로 조절한 곳에서 생육시켰다. 배양이 시작된 후 8주가 경과한 다음 육안과 생물현미경을 이용하여 체세포배의 수를조사했다. 각 처리군별로 10개의 후라스크를 준비했고 표 3에 나타낸 수는 그들의 평균수치이다. 단 배양과정 중 외부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것은 치상 수에서 재외하고 계산했다.
생장조절물질(mg/l) 최초배양시 체세포배의 수(개) 생산된 체세포배의 수(개) 증식율(%)
BA NAA
0.5 0 320 1250 390
1.0 0 340 2470 726
0.5 0.1 300 8350 2783
1.0 0.1 290 9440 3255
0.5 0.5 310 7710 2487
1.0 0.5 280 6690 2389
0.5 1.0 310 2330 752
1.0 1.0 330 1280 388
실시예 7 :체세포배의 발육
액체배지에서 대량으로 증식된 체세포는 MS배지에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지않은 상태의 한천배지를 직경 100mm X 높이 20mm의 배양접시에 분주하고 그 위에 100-300개정도씩 치상하면 4주후 길이 20-25mm정도의 발아된 배를 얻을 수 있다. 발아되는 경시적 변화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a)는 체세포배가 분리된 모양을 보여주고, (b)는 생장 1주일 후의 모습으로서 자엽과 뿌리부분이 발달되기 시작한 모양을 보여주고 있으며, (c)는 생장 2주일 후의 모습으로서 자엽이 본격적으로 전개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d)는 생장 4주일 후에 본엽과 여러개의 뿌리가 발달되어 묘의 모양을 갖추게 된 것을 보여준다. 도 2의 사진에 표시한 막대는 1mm의 크기를 나타낸다.
실시예 8 :묘종의 생산
인공상토(퍼라이트 1 : 버미큐라이트 1)의 수분을 60-70% 정도로 조정한 후프라스틱 용기에 담고 성숙한 배를 심은 후, 탈수를 방지하는 투명비닐을 그 위에 씌워 20-25℃를 유지하여 2주 정도가 지나면 발근하고 활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세포배 발생과 증식을 통한 종묘의 생산방법은 우량한 개체료부터 균일한 종묘를 단기간내 대량 얻을수 있게한다. 일반적인 종자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전처리를거처서 2년후에 가능한 종묘의 생산이 본 방법에 의하면 개화후 2주후의 종자를 이용하여 2개월후 종묘를 얻을수 있다. 종자의 숫자는 한정되는데 반하여 거의 무한정 균일한 종자를 얻을수 있다. 이러한 체세포배의 대량증식 기술을 이용하여 장기적으로 인종종자의 생산이 가능하고 섬오갈피나무에서 추출할수 있는 유용이차대사산물의 공업적생산에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9)

  1. 다음 단계:
    (a)개화 후 2주가 경과되고 11주 이내에 채취된섬오갈피나무(Acanthopanax koreanumNAKAI)의 미숙 종자를 준비하고 살균하는 단계;
    (b)상기 살균된 미숙 종자의 외피를 제거하고 종피, 내피 및 배는 남겨지도록 처리한 종실을, 식물생장조절제로서 0.5∼1.5㎎/ℓ의 IAA(indoel-3-acetic acid) 또는 0.1∼5.0㎎/ℓ의 BA(Benzyl adenine)을 함유하는 MS(Murashige-Skoog)발육배지에서 생장시켜 배를 발육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배를,식물생장조절제로서 BA(Benzyl adenine), 2ip(6-Dimethyl allyl aminopurine) 또는 제아틴(Zeatin)을 0.1∼2.0㎎/ℓ의 양으로 함유하는 MS(Murashige-Skoog)체세포배발생 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를 유도 및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체세포배를 BA, NAA(1-Naphthalene acet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식물생장조절제를 0.5∼1.0㎎/ℓ의 양으로 함유하는 고체배지 또는 액체배지의 증식배지에서 배양하여 체세포배의 양을 증폭하는 단계;
    (e)증폭된 체세포배를,생장조절물질이 없는 MS 생장배지에서 생육시켜 발아된 배를 얻는 단계; 및
    (f)상기 단계(e)에서 얻은 발아된 배를 토양에서 유지 및 순화시켜 섬오갈피나무의 묘종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오갈피나무(Acanthopanax koreanumNAKAI)의 묘종을 생산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d)의 증식배지는BA : NAA = 10 : 1 (무게비)의 비율을 갖는 식물생장조절제를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38626A 1999-09-10 1999-09-10 조직배양법에 의한 섬오갈피나무 묘종의 생산방법 KR100322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626A KR100322351B1 (ko) 1999-09-10 1999-09-10 조직배양법에 의한 섬오갈피나무 묘종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626A KR100322351B1 (ko) 1999-09-10 1999-09-10 조직배양법에 의한 섬오갈피나무 묘종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127A KR20010025127A (ko) 2001-04-06
KR100322351B1 true KR100322351B1 (ko) 2002-02-07

Family

ID=1961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626A KR100322351B1 (ko) 1999-09-10 1999-09-10 조직배양법에 의한 섬오갈피나무 묘종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340A (ko) * 2002-01-11 2002-04-18 김이엽 지리산오갈피나무의 배발생세포 배양으로부터 체세포배발생 및 묘목의 대량생산 방법
KR20040033824A (ko) * 2002-10-16 2004-04-28 (주)파낙시아 생물공학적 기술을 통한 블랙베리의 대량생산방법
KR101328740B1 (ko) * 2011-07-07 2013-11-11 영농조합법인후레쉬제주 탐라오가피 연한 줄기의 재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4625A (ja) * 1990-08-10 1992-03-26 Nitto Denko Corp 木本植物の組織培養方法
JPH0690630A (ja) * 1991-10-31 1994-04-05 Ryokuei Bio Kk エゾウコギの大量増殖法
KR19990002463A (ko) * 1997-06-20 1999-01-15 유창연 체세포배를 이용한 가시오갈피의 번식 방법
KR19990037867A (ko) * 1999-02-06 1999-05-25 유청기 가시오갈피배발생세포로부터생식용유식물체의제조방법및그추출물의용도
KR19990064391A (ko) * 1998-10-14 1999-08-05 최용의 생물공학적인 기술에 의한 가시오갈피 묘목의 대량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4625A (ja) * 1990-08-10 1992-03-26 Nitto Denko Corp 木本植物の組織培養方法
JPH0690630A (ja) * 1991-10-31 1994-04-05 Ryokuei Bio Kk エゾウコギの大量増殖法
KR19990002463A (ko) * 1997-06-20 1999-01-15 유창연 체세포배를 이용한 가시오갈피의 번식 방법
KR19990064391A (ko) * 1998-10-14 1999-08-05 최용의 생물공학적인 기술에 의한 가시오갈피 묘목의 대량 생산방법
KR19990037867A (ko) * 1999-02-06 1999-05-25 유청기 가시오갈피배발생세포로부터생식용유식물체의제조방법및그추출물의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127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342B1 (ko) 체세포배 발생을 이용한 백합나무의 번식방법
CN109757373A (zh) 一种荆半夏组织培养快速繁殖方法
CN101983557B (zh) 檀香种胚苗茎段的离体快速繁殖方法
US5501972A (en) Method of producing embryogenic callus of Norway spruce (Picea abies and regenerating plantlets therefrom
CN101810144B (zh) 瓜叶菊的快速繁殖方法
Patil et al. In vitro micropropagation of Lilium candidum bulb by application of multiple hormone concentrations using plant tissue culture technique
CN100381044C (zh) 北五味子体细胞胚发生和植株再生方法
Fennell et al. Micropropagation of the river lily, Crinum variabile (Amaryllidaceae)
Pandey et al. Micropropagation of Terminalia arjuna Roxb. from cotyledonary nodes
Krishnan et al. Rapid propagation through shoot tip culture of Trichopus zeylanicus Gaertn., a rare ethnomedicinal plant
BR102013007727B1 (pt) Método de produção de semente sintética de cana-deaçúcar, de armazenamento de semente sintética de cana-de-açúcar, de produção de mudas de cana-deaçúcar e semente sintética de cana-de-açúcar
KR100322351B1 (ko) 조직배양법에 의한 섬오갈피나무 묘종의 생산방법
CN101595843A (zh) 苦参组织培养与快速繁殖方法
CN105230493B (zh) 一种白术种苗的繁殖方法及其应用
KR101106953B1 (ko) 체세포배 발생을 이용한 소나무의 번식방법
KR100257991B1 (ko) 체세포 배를 이용한 가시오갈피의 번식방법
JPS6258934A (ja) 組織培養によるナガイモの大量増殖法
Zhai et al. Shoot multiplica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Caragana fruticosa (Pall.) Besser
KR100294656B1 (ko) 배양기 내에서 직접배발생을 통한 가시오갈피 묘목의 미세 번식방법
KR100302206B1 (ko) 민두릅나무의 기내 대량생산방법 및 포지 이식방법
KR100533793B1 (ko)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섬오갈피의 부정근의 대량생산방법및 섬오갈피나무 묘목의 대량생산방법
KR100775080B1 (ko) 노랑무늬붓꽃의 생장점 배양을 통한 체세포배 형성과식물체 대량생산방법
Niranjan et al. In vitro response of encapsulated somatic embryos of Lagerstroemia indica L.
CN105010133B (zh) 光皮桦植物组织培养方法及其培养基
KR20000058703A (ko) 체세포배발생에 의한 오갈피나무 묘목의 대량생산방법 및대량배양을 통한 약용 및 식용원료의 생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