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320B1 - 유동성이고발포성이며경화성인페놀레졸수지혼합물의연속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성이고발포성이며경화성인페놀레졸수지혼합물의연속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320B1
KR100322320B1 KR1019940024046A KR19940024046A KR100322320B1 KR 100322320 B1 KR100322320 B1 KR 100322320B1 KR 1019940024046 A KR1019940024046 A KR 1019940024046A KR 19940024046 A KR19940024046 A KR 19940024046A KR 100322320 B1 KR100322320 B1 KR 10032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able
continuous production
flowable
resin mixture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588A (ko
Inventor
랄프미르겔
안토아네베릭케
Original Assignee
게르하르트 빌헬름
바켈리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하르트 빌헬름, 바켈리테 아게 filed Critical 게르하르트 빌헬름
Publication of KR95000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1/00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1/04Phenop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reinforcement
    • B29K2301/10Thermosetting re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수지 배치의 혼합이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 의해 수행되는, 경화성이고 발포성인 페놀레졸 수지 혼합물로부터 조형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Description

유동성이고 발포성이며 경화성인 페놀레졸 수지 혼합물의 연속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경화성이고 발포성인 페놀레졸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놀레졸 수지를 절연 발포체로 가공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 성분들을 서로 혼합한다:
기본 성분:
페놀레졸: 알칼리성 촉매를 사용한 페놀과 포름알데하이드의 중축합 생성물.
점도 범위: 2000 내지 120,000mPa·s(20℃).
기포 조절제: 특정 독립 기포 구조를 달성하기 위한 계면활성 화합물.
발포제: 저비등 탄화수소, H-FCHC, H-FHC 또는 산의 작용하에서 기체로 분해되는 화합물.
경화제: 무기 또는 유기 산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고체 산 또는 산 무수물.
첨가제:
충전제: 분말상 또는 섬유상 물질, 예를 들면, 황산바륨 또는 유리 섬유.
개질제: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방화제, 가소제, 착색 안료, 촉진제.
발포성 페놀레졸 수지 혼합물은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없지만 특정 조치가 취해지는 경우와 고체 성분(예: 충전제, 개질제 또는 고체 경화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유입 혼합 공간을 갖는 혼합실(일정 용적의 탱크) 속에서 영구 장착된 고속 혼합 부재(예: 800 내지 1500rpm의 터빈 교반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이들 성분들을 균질화시킨다. 이들 성분들은 비교적 저압으로 계량 펌프를 통해 혼합실로 옮기고 원칙적으로 정상압하에서 혼합을 수행한다. 페놀레졸 수지 발포체의 경우에는 고속 혼합에 의해 열이 시스템내로 도입되어, 생성되는 발포성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극단의 경우에는 발포제를 증발시킴으로써 벨트 채널로의 진입 전에 이미 예비 발포되어 발포체의 구조를 파괴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효과는 원료 성분과 계량 및 혼합 단위를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서 단기간은 억제될 수 있다.
고압 혼합실은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적합하다. 이들의 혼합 작용은이들 성분들을 고압하에서 제트를 통해 소형 혼합실(용적: 2 내지 10㎤)로 공급하여 혼합실로부터 발포성이고 경화성인 균질 혼합물을 생성시키는 것에 기초한다. 그러나, 발포성 레졸 수지 혼합물의 연속 제조용으로 이러한 고압 혼합기를 사용하는 것은 발포제의 손실이 많고 레졸 발포체의 공극 구조가 불균일하기 때문에 부적합하다고 판명되었다.
더욱이, 발포체 혼합물이 고체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위의 두가지 혼합 시스템 모두 부적합하다. 고체를 액체 시스템에 혼합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균질한 수지/고체 혼합물의 제조용으로 예비 혼합기의 사용, 최종 혼합기로의 공급, 여기에서 남아 있는 액체 성분을 계량하거나 또는 고체 성분과 액체 화합물의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계량 펌프를 통해 다운스트림 금형 단위를 갖는 혼합 장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추가의 처리 작동 이외에, 이러한 방법은 고체가 페이스트를 형성시키는 제제와 반응하지 않는 경우만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기술한 단점이 없는, 발포성이고 경화성인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수지 뱃치의 혼합이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이고 경화성인 레졸 수지 혼합물로부터 조형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수지 혼합물은 균질한 조도(調度: homogeneous consistency)를 갖고 용이하게 발포된다.
이축 스크류 압출기의 출구는 필요한 경우, 가열될 수 있는 슬롯 다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발포와 경화 동안 발포제의 성형은 바람직하게는 트윈 벨트 프레스 속에서 수행한다.
위에서 기술한 성분으로부터의 발포성이고 경화성인 균질 혼합물의 연속 제조가 지금까지는 이를 수행하기가 불가능했지만,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의 잇점이 있다:
충전제를 포함하지 않는 독립 기포 발포체의 제조용 혼합물과 충전제를 포함하는 연속 기포 발포체 제조용 혼합물 둘 다 동일한 기계 속에서 추가의 처리 작동없이 제조될 수 있다. 충전제 함량은 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300중량% 이하일 수 있다. 통상의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고함량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발포성 혼합물은 제조할 수 없는데, 이는 점도가 150,000mpa.s(20℃) 이상으로 상승되기 때문이다. 발포제와 같은 저점성 물질을 수지 및 고체와 같은 고점성 물질과 가공하여 1회 작동에서 균질 혼합물을 제공하기에 압출기 스크류는 1분당 200 내지 400회전인 것이 충분하다.
200 내지 400rpm에서 저속 혼합에 의해 발포체의 기포 구조에 역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 함유 기포는 교반되지 않는다.
조기 발포의 결과에 따른 열의 현저한 도입은 관찰되지 않는다.
이축 스크류 압출기는 자가 세정성이므로 세정 목적의 용매(예: 알콜 또는 아세톤)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낸 다음의 성분을 유동성이고 발포성이며 경화성인 페놀레졸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이축 스크류 압출기[제조원: 베르너 운트 플라이더러 (Werner & Pfleiderer)로 부터의 콘티누오(Continuo) 모델]로 펌프를 통해 연속 공급한다. 생성된 혼합물은 다음의 데이터를 갖는 연속 작동 트윈 벨트 프레스 속으로 도입시킨다:
트윈 벨트 프레스의 길이: 20m
상부와 하부 벨트 사이의 거리: 50mm
트윈 벨트의 폭 : 1.2m
트윈 벨트 프레스의 온도 : 50 내지 60℃
혼합물은 시트 프레스의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 사이에서 발포 및 경화시킨다. 벨트 프레스로부터 생성되는 발포된 레졸 시트의 생밀도(fresh density)를 측정한다. 제시된 다른 특성은 시트를 콘디셔닝한 후 측정한다.
실시예 1에서의 레졸 발포체는 90%를 초과하는 독립 기포 구조와 양호한 절연 특성을 갖는 발포체이며 실시예 2 및 3에서는 DIN 4102에 따르는 B-1 또는 A-2 등급의 저가연성 발포체이다.
표에서, 용어는 다음의 의미를 갖는다:
디나폴 레졸(DYNAPOR Resol) 1153 * 점도 3500mPa/s(20℃)
디나폴 레졸 9700/83l4 * 점도 9000mPa/s(20℃)
디나폴 경화제 7153 노볼락+페놀설폰산+H2SO4
디나폴 경화제 7156 쿠멘설폰산/톨루엔설폰산/H2SO4
60/l4/8/H2O
디나폴 경화제 VW 420 쿠멘설폰산 + 폴리글리콜
* 발포 수지
도 1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이축 스크류 압출기[제조원: 베르너 운트 플라이더러(Werner & Pfleiderer)의 콘티누오(Continuo) 모델]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a: 스크류 (screw)
b: 반죽부(kneading section)
c: 출구 플레이트(outlet plate)

Claims (3)

  1. 경화성이고 발포성인 페놀레졸 수지 혼합물로부터 조형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지 뱃치의 혼합이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형품의 성형이 트윈 벨트 프레스 내에서 수행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이축 스크류 압출기의 출구가 슬롯다이로서 구성되는 방법.
KR1019940024046A 1993-09-25 1994-09-24 유동성이고발포성이며경화성인페놀레졸수지혼합물의연속제조방법 KR100322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32698A DE4332698A1 (de) 1993-09-25 1993-09-25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fließ-, schäum- und härtfähigen Phenolresolharz-Mischungen
DEP4332698.6 1993-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588A KR950008588A (ko) 1995-04-19
KR100322320B1 true KR100322320B1 (ko) 2002-05-13

Family

ID=649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046A KR100322320B1 (ko) 1993-09-25 1994-09-24 유동성이고발포성이며경화성인페놀레졸수지혼합물의연속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645229B1 (ko)
JP (1) JP3842306B2 (ko)
KR (1) KR100322320B1 (ko)
CA (1) CA2132796A1 (ko)
DE (2) DE4332698A1 (ko)
ES (1) ES2109571T3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68A (ja) * 1990-11-27 1993-01-14 Mitsui Toatsu Chem Inc フエノール系樹脂パイプの押出成型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8167A1 (en) * 1982-11-01 1984-05-16 ISOMO, naamloze vennotschap Proces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phenolic foam layers and installation applying said process
GB8404860D0 (en) * 1984-02-24 1984-03-28 Bp Chem Int Ltd Preparation of phenolic fo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68A (ja) * 1990-11-27 1993-01-14 Mitsui Toatsu Chem Inc フエノール系樹脂パイプの押出成型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45229A1 (de) 1995-03-29
DE59404571D1 (de) 1997-12-18
EP0645229B1 (de) 1997-11-12
ES2109571T3 (es) 1998-01-16
KR950008588A (ko) 1995-04-19
JP3842306B2 (ja) 2006-11-08
DE4332698A1 (de) 1995-03-30
CA2132796A1 (en) 1995-03-26
JPH07148820A (ja) 199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0494B (zh) 一种酚醛树脂组合物及其制备的发泡材料
DE9411804U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olymer-Schaumstoffblöcken
CN106397704B (zh) 一种三聚氰胺泡沫海绵的生产工艺
CN100434471C (zh) 一种纳米材料改性增韧蜜胺泡沫塑料及其生产方法
DE60108607T2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Strukturelemente aus holzfaser- oder holzmehlhaltigen geschäumten Plastikkompositen
CN105482357B (zh) 一种酚醛树脂组合物及其制备的发泡材料和成型材料
JPS62146933A (ja) 成形微孔性エラストマ−を製造する改良方法
KR100322320B1 (ko) 유동성이고발포성이며경화성인페놀레졸수지혼합물의연속제조방법
US5250224A (en) Foamed products containing endothermic blowing agents and processes
RU2339514C2 (ru) Непрерывны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плошных, полых и открытых профилей (варианты)
US4448738A (en) Process for producing foamed plastic articles
CN105462161A (zh) 一种酚醛树脂组合物及其制备的发泡材料和成型材料
JP2845641B2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応用
CN105175664B (zh) 酚醛树脂型表面活性剂的制备方法及制备的酚醛泡沫塑料
KR101408965B1 (ko) 유연성이 보강된 페놀 발포폼의 제조방법
US2808379A (en) Process for foaming resins using furan adduct foaming agents and foamable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JP7221083B2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US5306736A (en) Endothermic blowing agents for surface migration of components in foamed products,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SU971842A1 (ru) Композици дл получени пенопласта
US4000096A (en) Measuring and mixing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oamed resins and installation and conglomerates obtained by using them
JP2003183475A (ja) フェノール樹脂リサイクル組成物
CN114984892B (zh) 一种本体法生产石墨可发泡聚苯乙烯装置
JPS61141511A (ja) 無機・有機複合発泡断熱材の製造方法
SU798129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фенольногопЕНОплАСТА
JPS6372738A (ja) 発泡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