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606B1 - 중간캘린더링이설치된제지기계의건조기부 - Google Patents

중간캘린더링이설치된제지기계의건조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606B1
KR100321606B1 KR1019970707109A KR19970707109A KR100321606B1 KR 100321606 B1 KR100321606 B1 KR 100321606B1 KR 1019970707109 A KR1019970707109 A KR 1019970707109A KR 19970707109 A KR19970707109 A KR 19970707109A KR 100321606 B1 KR100321606 B1 KR 100321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ying
nip
calenderin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709A (ko
Inventor
안티 쿠하살로
주하 카이호비르타
알란 리에데스
Original Assignee
발메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메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발메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1998070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4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21G1/006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with extended nips

Landscapes

  • Pap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지기계의 건조기부에 관한 것이고, 이 건조기부에는 중간 캘린더링의 하나 또는 다수의 닙(NK;NKP)이 설치되고, 다수의 연속 와이어 그룹(R)들이 존재한다. 건조기부는 주로 또는 전적으로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춘 그룹(R1…Rv)로 구성되고, 가열된 건조 실린더(20,20a)들은 상부열에 배치되며 역회전 흡입실린더 (30,30a)들 또는 역회전 흡입로울(30aa)들은 하부열에 배치된다.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춘 그룹(R1…Rv)들은 상기 건조실린더(20,20a)들 및 역회전 흡입실린더들 또는 로울들 위로 곡선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건조와이어(21)를 포함하고 그래서 역회전 흡입실린더(30,30a,30aa)들은 건조와이어(21)의 루프 내부에 존재한다.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춘 그룹(Rn) 내부에 또는 최종건조실린더(20a)와 관련하여 자유공간이 배치됐고, 캘린더로울(10;10P)이 조립되며, 이는 최종 언급된 건조실린더(20a)와 함께 캘린더링 닙(NK;NKP)을 형성하고, 이 닙을 통해 건조될 종이웨브(W)가 통과되며, 따라서 건조기부 내부에서 캘린더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다섯실시예가 기술됐다.

Description

중간 캘린더링이 설치된 제지기계의 건조기부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다수의 중간 캘린더링 닙들이 설치되고 다수의 연속와이어 그룹들이 존재하는 제지기계의 건조기부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같이, 제지기계의 건조기부(dryer section)에서, 싱글와이어연신(single-wire draw) 또는 트윈와이어연신(twin-wire draw) 또는 동일한 와이어의 여러 조합이 사용됐다. 싱글와이어연신에서, 소위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정상그룹(normal group)들이 사용됐고, 건조실린더들은 상부열에 위치되고 역회전 흡입 실린더들 또는 로울들은 하부열에 사용되며, 이 경우 건조기부는 바닥을 향해, 예컨데 조악품(broke)을 제거하기 위해 개방된다.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소위 도치된 그룹들에서, 건조실린더들은 하부열에 배치되고 역회전 흡입 실린더들 또는 로울들을 상부열에 배치되며, 이 경우 도치된 그룹들은 바닥을 향해 폐쇄되는 것이 결점이고, 예컨데 조악품의 제거는 중력에 의해 발생되도록 배치될 수 없기 때문에 문제들과 관련된다.
초기에 건조기부에서, 소위 브레이커 스택(breaker stack)(중간 캘린더)들은 매우 자주 사용됐고, 이 스택들은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들 사이에 보통 위치됐다. 이들 브레이커 스택들은 일부 이동성(runnability) 때문에, 그리고 브레이커 스택과 이에 선행되는 그리고 후속의 와이어그룹들 사이에 비교적 길게 비지지된웨브의 연신을 대개 사용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기계방향으로 건조기부의 길이가 증가하므로 주로 포기됐고, 이 비지지 연신은 펄럼임 및 웨브파손이 일어나기 쉬었으며 또한 웨브의 쓰레딩(threading)에서 문제가 됐다.
최근에 건조기부 내부에 위치된 몇몇 브레이커 스택들이 제시됐고, 이 스택들은 가열된 건조실린더와 특정 캘린더로울사이에 형성됐다. 이와같은 종래기술에대해, 예로서 미국특허 제 5,127,168호, 공개된 독일 특허출원 제 4,407,405호(Al), 및 상표명 "히드라 닙(HYDRA NIP)"으로 블랙 클로손 케네디 인코포레이티드(Black Clawson-Kennedy Inc.)에 의해 판매된 프레스부가 참고됐다. 본 출원인은 후자의 프레스부에 대한 특허 또는 특허출원의 수를 알지 못한다.
종래기술에 대하여 미쯔비시 헤비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의 일본 특허출원 제 56,040호(1992년) (공개출원 제222,691호(1993년))가 더욱 참고됐다.
도 5에서 상기 미국특허 제 5,127,168호의 배치가 예시됐고 중간 캘린더링의 제 1닙은 다중 실린더 건조기에서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제 1그룹의 제 1실린더와 관련하여 형성됐고, 제지기계의 프레스부의 물수용펠트(water-receiving felt)는 중간 캘린더링은 이와같은 제 1닙을 통과한다. 중간 캘린더링의 제 2닙은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제 2그룹의 제 1하부실린더와 중간 캘린더링의 닙이 사용되는 그룹 간극에서 웨브는 매우 긴 비지지 연신을 갖고, 상기 그룹간극은 건조기부를 기계방향으로 상당히 길게 만든다는 것이다. 미국 특허는 싱글와이연신 및 웨브의 폐쇄된 연신을 갖춘 그룹들이 적용되는 근대적인 건조기부에서 중간 캘린더링을 실행하기 위한 어떤 해결책도 제시하지 못했다.
상기 독일특허출원 제 4,407,405호의 도 1에서 중간 캘린더링의 배치가 예시됐고 중간 캘린더링의 닙은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도치된 그룹의 최종 건조실린더와 관련하여 조립됐다. 독일특허출원에 따른 중간 캘린더링의 배치는 중간 캘린더링이 적용된 그룹 간극들이 기계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공간이 형성되어 건조기부의 길이가 기계방향으로 증가되는 결점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독일 특허출원에서, 중간 캘린더링의 배치는 싱글와이어를 갖춘 도치된 그룹과 관련하여 그리고 그와같은 도치된 그룹과 싱글와이어연신만을 갖춘 정상그룹사이의 간극에 적용되는 것이 기술됐고, 상기 독일특허출원은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독점적인 그룹들 또는 상기 그룹들과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들의 다양한 조합들 또는 상기 그룹들과 소위 하이브리드그룹들의 조합들이 사용되는 건조기부에서 중간 캘린더링을 위한 어떤 해결책도 제시하지 않는다.
특히 제지기계의 현대화와 관련하여, 예컨데 제지기계의 운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또한 건조기부의 건조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에 언급한 종래기술의 중간 캘린더링의 배치들은 미국특허 제 5,127,168호에 기술된 것을 제외하고 제지기계의 현대화를 위해 적당하지 않고, 이는 종래배치들이 건조기부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및/또는 건조용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 캘린더링 그 자체가 다수의 명백하고 공지된 장점을 포함하고, 건조기부 내부에서 발생하는 중간 캘린더링을 위해 특이한 적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건조기부 내부에, 특히 폐쇄된 싱글와이어연신이적용되는 건조기부에,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소위 정상그룹들이 독점적으로 사용되도록 그리고 상기 기술되고 주로 조악품제거에 관련된 문제들을 포함하는 도치된 그룹들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중간 캘린더링의 특이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잠재적인 최종그룹을 제외하고 건조기부의 전체길이에 대해 웨브가 건조와이어로 항상 지지되도록, 그리고 웨브의 파손 및 웨브의 횡방향, 특히 건조기부의 건조단부에서 그리고 특히 60%이상의 건조고체함량에서의 수축이 실질적으로 배제되도록, 웨브의 지지 및 폐쇄연신을 대부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건조기부 내부에 조립된 중간 캘린더링의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점들이 예컨데 상기 미국특허 제 5,127,168호에 더욱 상세히 기술됐고, 건조기부에서 발생되는 중간 캘린더링의 공지된 장점들을 얻는 것이다, 이들 장점들 중 종이의 개선된 인쇄품질, 종이의 감소된 비균일측면, 및 중간 캘린더링에도 불구하고 건조효율의 개선 또는 적어도 불변을 얻는 것이 간략히 언급되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간 캘린더린의 예컨데 기계의 운전속도가 증가될 때 현존하는 기계에 또는 건조기부의 현대화와 관련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특히 제지기계의 현대화에 아주 적당한 중간 캘린더링이 설치된 건조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간 캘린더링에도 불구하고 건조용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불가결한 또다른 목적은 기계스택이 완전히 생략될 수 있는 제지기계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이 경우 현대화에서 건조기부는 상기 기계스택에 의해 이미 점유된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고, 이에의해 다른 것들 중에서 건조용량은 증가될 수 있고 또는 새로운 구조의 경우에 제지기계 공장의 길이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됐고 이후 나타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건조기부는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으로 주로 또는 전적으로 구성되고, 가열된 건조실린더들은 상부열에 배치되고 역회전 흡입실린더들 또는 등가물의 역회전 흡입로울들은 하부열에 배치되며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들은 상기 역회전 흡입실린더들이 건조와이어 루프(loop) 내부에 존재하도록 상기 건조실린더들과 역회전 흡입 실린더들 또는 로울들 위로 곡선경로 (meandering path)를 따라 이동하는 건조와이어를 포함하며, 그리고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상기 그룹내부에 또는 최종 건조실린더와 관련하여 자유공간이 배치됐고, 캘린더로울이 조립되며, 최종 언급된 건조실린더와 함께 캘린더링 닙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이 닙을 통해 건조될 종이웨브가 통과되며, 따라서 건조기부 내부에서 캘린더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건조기부는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춘 그룹들에 설치된 초기 부분을 포함하고, 다음에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하나 또는 다수의 그룹이 존재하며 한 그룹이 바람직하고, 이 그룹에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가열된 건조실린더의 2열이 존재하며, 그 사이에서 웨브가 자유로운비지지연신을 갖고,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은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를 포함하며, 그리고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에 선행하여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정상그룹에서 최종 가열된 건조실린더의 후측 반쪽(½)에 건조되는 웨브의 캘린더링용 닙이 위치되고, 이 닙은 평탄면 캘린더링 로울파 함께 또는 이 로울과 최종 언급된 건조실린더로 형성되며, 이 캘린더링 닙을 통해 건조될 종이웨브가 통과되고, 따라서 건조기부 내부에서 캘린더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건조기부가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으로 구성되거나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적어도 한 그룹으로서 최종그룹이 바람직한 한 그룹을 포함하며, 선행그룹들은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들이고,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에 비수평 건조실린더 또는 실린더들의 위치에 캘린더링 로울이 조립됐고, 이는 반대 열에 위치된 대향 건조실린더와 캘린더링 닙을 형성하도록 조립되며, 그리고 생략된 건조실린더 열의 건조와이어는 상기 캘린더 로울위로 이동하고 상기 캘린더 닙에서 캘린더됐고 그리고/또는 캘린더되는 종이웨브를 지지하도록 상기 열의 선행건조실린더로부터 다음의 건조실린더로 안내로울에 의해 통과되는 것이 주요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건조기부가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 또는 그룹들을 포함하고, 가열된 건조실린더들은 상부열에 배치되고 역회전 흡입실린더들 또는 등가물의 역회전 흡입로울들은 하부열에 배치되며,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 또는 그룹들은 건조와이어를 포함하고, 이 건조와이어는 상기 역회전흡입실린더들이 건조와이어의 루프 내부에 존재하도록 상기 건조실린더들 및 역회전 흡입실린더들 또는 로울들 위로 곡선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상기 그룹 또는 그룹들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역회전 흡입실린더들의 위치에 또는 두 개의 연속건조실린더들 상방에, 캘린더로울들이 두 개의 연속한 건조실린더들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캘린더로울이 최종 언급된 건조실린더들과 두개의 연속 캘린더링 닙들을 형성하는 것이 주요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는,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건조기부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위 하이브리드 그룹들을 포함하고, 건조기부의 최종건조그릅으로서 바람직하며, 이 하이브리드 그룹에서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부분과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부분이 사용되고, 하이브리드 그룹에서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부분 또는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부분 다음의 최종 또는 제 1하부 건조실린더에 캘린더링 닙이 배치됐고 이 닙은 캘린더로울과 상기 하부건조실린더 사이에 형성된 것이 주요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는 중간 캘린더링 닙이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두 개의 정상그룹사이에 배치됐고, 이 그룹에서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건조실린더들은 상부열에 배치되고 역회전 흡입 실린더들 또는 등가물의 역회전 흡입로울들은 하부열에 배치되며, 선행그룹에서 최종역회전 흡입실린더 또는 등가물의 로울 다음에 캘린더링 로울이 조립되고, 이 상방에 건조실린더 또는 등가물의 캘린더 로울이 존재하며, 이 캘린더로울은 제 1언급된 캘린더로울과 캘린더링 닙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이 닙 다음에 종이웨브는 상기 와이어가 최종그룹의 최종역회전 흡입실린더 또는 등가물의 역회전 흡입로울위로 이동될 때 다음 그룹의 건조와이어로 보내진다.
비록 본 발명에서 서로 상이해 보이는 상기에 한정된 제 6실시예가 기술됐을지라도, 중간 캘린더링이 건조기부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건조기부의 건조용량을 낮추지 않으면서 그리고 동시에 제지기계의 이동성이 양호하게 존재하도록 웨브의 연신을 유지하면서 건조기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 이들 실시예의 공통 특징이고 장점이다.
본 발명에서 중간 캘린더링의 법으로서 압력 슈(press shoe), 일련의 슈들에 의해, 또는 프레스벨트에 의해 제공된 확장 닙들 중 공지된 확장닙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닙들은 제지의 캘린더링에서 자체가 공지됐다. 이와같은 점에서, 예로서 유럽특허공보 제 0,370,185호(B1) 및 제 0,141,614호(A1) 뿐만아니라 공개된 독일특허출원 제 43,22,876호(A1)가 참고됐다. 본 발명에 따라 중간 캘린더링의 닙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확장 닙 로울들의 상세한 구조에 관하여, 예로서 본 출원인의 다음 특허 : 핀랜드 특허 제 70,952호, 유럽특허 제 0,345,500호, 및 유럽특허 제 0,527,881호가 참고됐다.
확장닙 캘린더링이 사용될 때, 또한 적절한 캘린더링 효과이외에 닙 압력의 프로파일이 기계방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특이한 특징들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적용될 때, 중간 캘린더링의 장점들이 얻어지고, 이 장점들은 그 자체가 널리 공지됐으며, 이들 장점은 제지의 양면들 평탄도, 감소된 비균일측면과 같은 제지의 개선된 품질특성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증가된 건조효율에 관련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로 상술될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상세한 것에 결코 엄격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브레이커 스택이 최종 건조실린더와 관련하여 건조기부의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최종 정규그룹에 위치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A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고, 중간 캘린더링의 닙이 싱글와이어 연신 내부에 위치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2는 브레이커 스택이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두 개의 연속그룹사이에 위치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A는 확장닙이 중간 캘린더링의 닙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다른점에서 비슷한 중간 캘린더링의 배열을 보여준다.
도 2B는 중간 캘린더링의 닙이 캘린더링 효과를 증진시키는 증기박스와 같은 웨브 가열장치보다 앞서는 도 2에 도시된 중간 캘린더링 배열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실시예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4는 브레이커 스택이 건조기부에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최종그룹의 끝에 위치되고, 이 그룹은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한 그룹이 더욱 이어지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5A는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은 실시예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6은 브레이커 스택이 본 발명에 따라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내부에 일치되고, 이 그룹이 건조기부의 최종 건조그룹을 구성하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8A는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은 중간 캘린더링 배열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8B는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고, 도 8A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은 중간 캘린더링 배열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보여준다.
맨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도 1-도 3을 참고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건조그룹들, 바람직하기는 전적으로 싱글와이어그룹(sigle-wire group)으로 구성되는 건조기부(dryer section)의 최종 끝, 즉 건조기 끝을 보여준다. 건조될 종이웨브(W)는 싱글와이어 연신(draw)(RV-1)을 갖춘 선행그룹으로부터 싱글와이어연신(Rv)을 갖춘 최종그룹으로 보내진다.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춘 그룹들은 상측열에 증기 가열된 평탄면(smoothed face)(20')의 건조실린더(20,20a)들 및 하측열에 위치되는 역회전 흡입실린더(30)들 또는 로울들을 포함한다. 역회전 흡입실린더(30)들 또는 등가물은 자체의 축저널을 통해 진공원과 연통되고 천공되고 홈이 형성된 맨틀(31)이 설치되며, 이를 통해 실린더(30)의 내부에 존재하는 진공이 건조와이어(21)를 통해 웨브(W)에 작용하여 웨브에 작용되고 원심력 및 송풍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힘의 효과에 대항하여 웨브(W)를 건조와이어(21)와 계속 접촉되게 한다. 이와같은 방식에서, 웨브의 평면방향으로, 특히 횡방향으로 일어나는 웨브(W)의 파단 및 과도한 수축은 웨브(W)를 건조기부의 전체길이에 대해 건조와이어(21)와 신뢰성 있게 계속 유지시킴으로써 방지된다.
번호가 대개 4-10인,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춘 그룹들사이에서 웨브의 폐쇄연신(closed draw)이 실행됐다. 웨브(W)는 선행그룹(RV-1)의 최종 건조실린더(20)로부터 최종그룹(Rv)의 건조와이어(21)로 도달된다. 건조실린더(20)는 구동장치(25)와 나이프(doctor)(23)가 설치되고, 이들은 건조실린더(20)의 평탄면(20')을 깨끗이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최종 건조실린더(20a)와 관련하여, 건조될 웨브(W)의 중간 캘린더용 닙(NK)이 배치됐고, 이 닙(NK)은 건조실린더(20a)의 평탄면(20')과 캘린더로울(10) 사이에 형성됐으며, 이 캘린더로울은 연질코팅(soft coating)(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실시예의 변형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건조실린더(20a)는 통상 가열되거나 비가열된 캘린더로울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캘린더로울은 도 1에서 괄호로 된 도면부호 (10A)로 표시됐다. 캘린더로울(10)의 직경(Dk)은 건조실린더 직경(Do)의 대략 반(½)이 바람직하다. 캘린더링 닙(NK)후에 웨브(W)는 안내로울(19)로 그리고 더욱더 릴업(reel-up)과 같은 최종 다듬질장치(finishing device)로 자유연신(free draw)(Wout)으로 이동된다. 중간 캘린더 닙(NK) 또는 닙들 때문에, 제지기계는 별도의 기계 스택(machine stack), 예컨데 소위 연질 캘린더를 항상 필요로하지 않는다.
도 1A는 중간 캘린더링의 배치를 보여주고, 여기에서 중간 캘린더링의 닙(NK)은 싱글와이어 연신(Rn)을 갖춘 그룹 내부에 놓인다. 중간 캘린더링의 닙(NK)을 형성하기 위해, 건조와이어(21)용 안내로울(22AA)은 하나 또는 다수의 건조실린더(20a) 상방에 조립되고, 이 안내로울에 의해 건조와이어(21)는 건조실린더(20a)와 종이웨브(W)로부터 이격되어 직선이동(straight run)(21',21")으로 통과된다. 건조와이어 직선이동(21',21") 내부에 그리고 안내로울(22AA) 바로 아래에 캘린더 로울(10)이 배치됐고, 이의 평탄면(10')은 상기 캘린더로울 하측에 위치된 건조실린더(20a)와 함께 중간 캘린더링의 상기 닙(NK)을 형성한다. 다른 관점에서, 구조 및 작동은 도 1과 관련하여 상기에 기술된 것들과 비슷하다.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캘린더링 닙(NK) 대신에 또는 캘린더링 닙 이외에 도 2에 따른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Rn, Rn-1)들 사이에 캘린더링 닙(NK)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에서 싱글와이어연신(Rn-1)을 갖춘 선행그룹의 최종 건조실린더(20a)와 관련하여 건조와이어(21)는 안내로울(22a)에 의해 안내되고, 그리고 다음그룹(Rn)의 안내로울(22b)이 위치되어서 건조실린더(20a)의 후반 상측 ¼은 중간캘린더로울(10)이 상기 ¼에 위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자유롭게 유지되며, 이 캘린더로울(10)은 건조실린더(20a)와 함께 캘린더링 닙(NK)을 형성한다. 이와같은 방식에서, 중간 캘린더링 닙(NK)은 웨브(W)가 캘린더링 닙(NK)전후에 항상 폐쇄연신을 갖도록, 그리고 건조기부의 전체길이가 전혀 증가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점에서, 건조기부의 구조는 도 1 또는 도 1A와 관련하여 상기에 기술된 것과 비슷하다.
도 2A는 도 2에 도시된 중간 캘린더링 배치의 변형을 보여주고, 여기에서 캘린더로울(10)은 확장된 닙 로울(10P)로 대체됐고, 이 확장된 닙 로울은 건조실린더(20a)와 함께 확장 캘린더링 닙(NKP)을 형성한다.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확장 닙 로울(10P)은 유연한 호스 맨틀(10P')을 갖고, 이 맨틀은 양측면이 폐쇄된 수직단부를 갖는다. 호스맨틀 내부에, 유압으로 장전(load)되는 활주 슈(glide shoe) 또는 일련의 활주 슈(27)들이 존재하고, 이 슈들은 건조실린더 (20a)와 함께 확장 캘린더링 닙(NKP)을 형성한다. 웨브(W)의 진행방향으로 확장 캘린더링 닙(NKP)의 길이는 대개 100-300mm 정도이다. 확장 닙 로울(10P), 예컨데 본 출원인의 상표 Sym-Belt™ 로 판매된 확장 닙 로울이 사용될 때, 이 로울은 사전에 주로 제지기계의 프레스부(press section)에 적용됐다. 도 2A에서 그룹(Rn-1,Rn)에 있는 건조와이어(21)의 안내로울(22ap,22b)들은 비교적 큰 직경의 확장 닙 로울 (10P)에 대한 그리고 건조실린더(20a)와 관련하여 그리고 건조실린더 상방에 연결시키기 위한 공간이 존재하도록 위치된다. 확장닙 로울(10P)의 직경은 예컨데 건조실린더(20,20a)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이다. 확장 닙 로울이 사용될 때, 특히 효율적인 캘린더링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확장 닙(NKP)이 사용될 때, 일련의 활주 슈(27)들에 의해 캘린더링 구역의 닙 압력 프로파일(profile)을 횡방향으로 그리고기계방향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B는 도 2에 도시된 중간 캘린더링 배치의 변형을 보여주고, 여기에서 건조실린더(20a) 상방에, 캘린더링 닙(NK)전에 특별한 장치(28)가 조립됐고, 이에의해 다음 닙(NK)에서의 캘린더링 효과가 개선된다. 건조실린더(20a) 상방에 이 장치(28)용 공간이 제공되게 하기 위해, 건조와이어(21)의 안내로울(22ap)은 이 목적에 적당한 위치에 놓인다. 이 장치(28)는 예컨데 증기 공급박스, 적외선 히터, 또는 등가물이고, 이에의해 웨브(W)의 온도가 자유로운 상부면(free upper face)측에서 상승되며, 이에의해 캘린더링 효과는 장치(28) 다음의 닙(NK)에서 직접 향상된다. 더욱이 장치(28)와 관련하여, 물안개 분무장치 또는 등가물이 존재할 수 있고, 이에의해 캘린더링 효과가 닙(NK)에서 향상된다. 필요한 경우 장치(28)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이는 화살표 S로 표시됐다. 조정(S)에 의해 웨브(W) 상방에서 장치(28)의 비접촉(contact-free)처리간극(29)의 확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열처리간극의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가열장치(28) 또는 등가물의 또다른 가열장치는 닙(NK)에서 캘린더링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캘린더 로울(10)의 면과 관련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열장치(28) 또는 등가물에 의해 닙(NK)에서 횡방향 온도, 수분, 및/또는 선형하중 프로파일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웨브(W)에 소정의 횡방향 프로파일을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도 2B는 또한 역회전 흡입실린더(30) 바로밑에 배치된 가열 및/또는 프로파일링장치 (28')를 보여주고, 이 장치는 장치(28)의 효과와 관련하여 반대 면으로부터 비접촉 처리간극(29')을 통해 웨브(W)를 처리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브레이커 스택 실시예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3에서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춘 그룹(Rn-1,Rn)들이 도 2에 도시된 방식으로 배치됐고, 특정 캘린더링 벨트(11)는 안내로울(12)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 캘린더로울(10)둘레로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됐으며, 그래서 캘린더링 벨트(11)는 캘린더링 닙(NK)을 통해 이동한다. 캘린더 로울(10) 및/또는 안내로울(12)은 구동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그래서 필요한 경우 캘린더링 닙(NK)에서 캘린더링 효과는 웨브(W)와 자체가 공지된 캘린더링 벨트(11)의 외면사이의 속도차이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캘린더링 효과는 또한 상이한 압축성의 캘린더링 밴드 또는 벨트(11)들을 사용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캘린더링 벨트(11)가 이 실시예에만 도시됐을지라도 건조기부 내부에 있는 브레이커 스택의 다른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캘린더링 벨트(11)의 특징은 종이를 향하여 위치된 평탄면을 갖는다는 것이다. 캘린더링 벨트(11)의 면을 따르는 종이의 경향은 닙(NK)에서 실린더 또는 캘린더로울의 면을 따른 경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건조기부에 싱글와이어연신을 갖추고, 이중 그룹(Rv)만이 보이는 최종그룹은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춘 한 그룹 또는 예외적인 경우로 여러그룹(R2W)들이 수반된다. 잘 알려진 바와같이, 트윈와이어그룹(R2W)은 2열의 증기가열 건조실린더(20A,20B)를 포함한다. 그룹(R2W)에는 상부와이어(21A)와 하부와이어(21B)가 존재한다. 상부와이어(21A)는 안내로울(22A)들에 의해 그리고 건조실린더(20A)들 사이의 간극에 위치된 안내로울(24A)들에 의해 안내된다. 마찬가지로 하부와이어(21B)는 안내로울(22B)들에 의해 그리고 건조실린더(20B)들 사이의 간극에 위치된 안내로울(24B)들에 의해 안내된다. 그룹(R2W)에서, 실린더(20A,20B)들의 열사이에서 웨브(W)는 자유로운 비지지 연신(WP)을 갖는다. 그룹(R2W)이 건조기부의 최종 끝에 위치될 때, 특히 더 두꺼운 등급(thicker grade)을 갖는 웨브(W)는 자유연신(Wp)과 상기 연신에서 발생되는 웨브(W)의 펄럭임(fluttering)을 견디도록 충분히 강하다.
도 4에 따라,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춘 그룹(R2W)에 선행하여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춘 그룹(Rv)은 상부열에 위치된 건조실린더(20)들이 설치되고 하부열에 위치된 소직경의 역회전 흡입로울(30aa)들이 설치된다. 그룹(Rv)에 있는 최종 건조실린더(20a)와 관련하여, 건조될 웨브(W)의 중간 캘린더링용 닙(NK)이 존재하고, 이 닙(NK)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조립되며, 이는 건조실린더(20a)의 후반 하측 ¼에 위치된다. 캘린더링 닙(NK)후에, 웨브(W)는 캘린더 로울(10)의 평탄면(10')을 따르고 트윈와이어연신을 갖춘 그룹(R2W)의 하부와이어(21B)로 캘린더로울(10)에서 이송되며, 이 하부와이어는 가까이에 있는 안내로울(22B)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 작은 이송구역(transfer sector)(TS)에서 캘린더로울의 후방 하측 ½과 접촉된다. 웨브의 이동(run)을 보장하기 위해, 흡입박스(26)가 사용된다. 이후 웨브(W)는 그룹(R2W)에 있는,제 1하부 실린더(20B)의 가열면(20')위로 이송되고자유 연신(Wp)으로서 제 1상부실린더(20A)로 더욱 이송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은 실시예의 변형을 보여주고, 여기에서 중간 캘린더링의 닙(NK)은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춘 최종그룹(Rv)에 있는 최종 상부실린더(20a)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부근에 위치되어서 캘린더링 닙(NK) 다음에 웨브(W)는 하향 수직의 제 1자유연신(Wp1)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닙(NK) 대신에 또는 닙 이외에 캘린더링 닙(NK)이 사용되고 이는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춘 그룹(R2W)의 제 1하부실린더(20B)와 관련하여 조립되고 캘린더로울(10")과 함께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특히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더 두꺼운 종이등급에 가장 적당하고, 이는 자유연신(Wp1,Wp)을 견디며, 이중 제 1연신(Wp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캘린더링 닙(NK) 다음에 이미 직접 위치된다.
도 5A는 도5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v)에 있는 마지막 건조 실린더(20a)와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에 있는 처음 건조 실린더(20b)가 서로 중간 캘린더링하는 닙(NK)을 형성한다. 건조 실린더(20a)및/또는 건조실린더(20b)의 위치에서는 건조실린더 대신에 캘린더 로울(10)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중간 캘린더링의 배치는 구조가 매우 콤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간 캘린더링하는 닙(NK)과 관련한웨브(W)의 개방연신(open draw)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6, 7, 8 및 8A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중간 캘린더링하는 닙(NK)을 트윈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내부에 위치되는데 이것은 건조기부에서 마지막 그룹을 구성한다. 도 6, 7, 8 및 8A도에 도시된 건조기부는 바람직하게는 트윈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은 건조기부에 있는 그룹의 수가 일반적으로 2....8인, 바닥을 향하여 싱글 와이어 연신 개방부를 갖는 다수의 정상 그룹(R, ....RV)보다 앞에 있는 건조기부이다. 도 8B에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변형이 도시되어 있는데 중간 캘린더링 하는 두 개의 닙(NK1, NK2)은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 및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사이에 배치되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읜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에는 제4하부실린더(20B)가 빠져 있고 중간 캘린더링하는 닙(NK)으로 대체되었다. 캘린더링 닙 (NK)은 그룹(R2W)에 있는 제3상부 실린더(20Aa)와 캘린더로울(10) 사이에 형성된다. 웨브(W)는 상부실린더(20Aa)의 평탄면 상에 있는 캘린더링 닙(NK)으로 들어가는데 여기에서부터 웨브(W)가 캘린더 로울(10)의 평탄면(10')상으로 이송되는 반면에 하부 와이어(21B)는 하부 와이어(21B)의 안내로울(24B1, 24B2)의 주행부분상의 아래로부터 웨브(W)를 지지한다. 캘린더 로울(10)이후에는 웨브(W)가 다음 상부 실린더(20A)상으로 수직의 자유 연신(Wp2)을 갖는다. 안내로울(24B2)다음에는 건조 와이어(21B)가 다음 안내로울(24B3)상으로 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주행부를 갖는데이것은 정상위치로서 즉, 높이방향으로 그리고 인접한 하부 실린더(20B)와 관련하여 하부 와이어(21B)의 다른 안내로울(24B)에 상응하는 위치이다. 중간 캘린더의 작동은 웨브가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배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즉, 중간 캘린더 앞에 자유 공간이 위치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데 이것은 도7에도 적용가능하다.
도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2변형은 캘린더링 닙(MK)이 제5하부실린더(20Bb)와 관련하여 형성된 것을 제외한 다른 점에서 도6과 거의 유사하다. 그룹(R2W)에서는 제4상부 건조실린더(20A)가 빠져 있으며 하부실린더(20Bb)와 함께 캘린더링 닙(NK)을 형성하는 캘린더 로울(10)로 대체되었다. 상부 와이어(21A)는 안내로울(24A1,24A3)사이로 안내되어 정상 위치에 있는 반면에 웨브(W)가 자유연신(Wp)으로서 캘린더 로울(10)상에 도달하여 그 위에서 로울(10)이 상부와이어(21A)에 의해 프레스 되어 유지되도록 안내로울(24A2) 및 캘린더 로울(10)에 의해 안내되며 그 후 상부 와이어(21A)는 로울(10) 및 안내로울(24A3)상의 웨브(W)와 분리되고 웨브(W)는 캘린더링 닙(NK)을 통하여 그리고 하부와이어(21B)아래의 하부실린더(20Bb)의 평탄면(20')상으로 더 통과된다. 다른 점에서는 구성이 도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도8은 도6에 도시된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3변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8에서 기계적인 회전구동기어(15)가 설치된 캘린더 로울(10)은 그 상부에 위치된 두 개의연속적인 건조실린더(20A)와 함께 두 개의 캘린더링 닙(NK1,NK2)을 형성한다. 제1닙(NK1)이후에는 종이웨브(W)가 캘린더 로울(10)면을 따른다. 캘린더 로울(10)의 하부외주상에는 웨브(W)가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의 하부와이어(21B)에 의해 지지되고 그 후 웨브(W)는 하부와이어(21B)와 분리되어 캘린더 로울(10)에 의해 형성된 제2캘린더링 닙(NK2)으로 캘린더 로울(10)의 평탄면(10')을 따른다. 도8에서는 특히 바람직하고 콤팩트한 공간이용의 중간 캘린더링의 배치 및 효율적인 중간 캘린더링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두 개의 연속적인 캘린더링 닙(NK1,NK2)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도 8A에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이 도시되어 있는데 두 개의 연속적인 캘린더링 닙(NK1,NK2)와 관련하여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캘린더 로울 건조실린더(20A1,20A2)와 관련하여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캘린더 로울(10)이 상부 건조실린더(20A,20A1,20A2)의 수준위에 장착되게 사용된다. 건조실린더(21A1)에서 안내로울(24AA)로 직선 주행부(21A')로서 그리고 거기에서 마지막 건조실린더(20A2)상으로 하향 경사진 주행부(21A")로서 캘린더 로울(10)상에 위치된 로울(24AA)에 의해 상부와이어(21A)를 통과 하므로서 캘린더 로울(10)을 위해 공간이 만들어진다. 웨브(W)가 캘린더링 닙(NK1,NK2)사이로 통과하는 것을 고려할 때 두 개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8A에 도시되었다. 제1실시예에서 웨브(W)는 제1닙(NK1)으로 통과된다. 그경우에 하부와이어(21B)는 안내로울(24B1)에서 다음 안내로울(24B2)상으로 수평주행부(21B')로서 통과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웨브(W)는 하부실린더(20B')상으로 자유 연신(W'p)로서 그리고 거기에서 더 제2닙(NK2)으로 제2자유 연신(W'p)로서 통과된다.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속적인 캘린더링 닙(NK1,NK2)은 건조실린더(20,20a)의 열 상부에 위치된 캘린더 로울(10)을 사용하므로서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선행그룹(Rn-1)에 있는 마지막 건조실린더(20a) 및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다음그룹(Rn)에 있는 제1건조실린더(20a)와 관련하여 배치되었다. 도8B에서, 또다른 것이 점선 및 괄호안의 참고번호로 도시되었는데 여기에서는 중간 캘린더링의 두 개의 연속적인 닙(NK1,NK2)이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n-1) 및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사이에 사용되었다. 그 경우에, 웨브(W)는 제1닙(NK1)으로부터 캘린더 로울(10)의 평탄면(10')상의 제2닙(NK2)으로 또는 자유간극(Wp) 및 트윈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이 적용될 경우 이것은 안내로울(24A)을 갖는 상부와이어 및 안내로울(24B)을 갖는 하부와이어(21B)뿐만 아니 하부건조실린더 (20B,20B1)를 포함한다.
도9는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두 개의 캘린더링 닙(NK1,NK2)이 사용되고 그 닙이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n)에 있는 연속적인 상부건조실린더(20)와 함께 하나의 캘린더 로울(10)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성을 갖는다. 도9에서는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n)에 있는 하나의 하부구역흡입실린더(30)가 빠져있고 그 위치에 건조와이어(21)의 캘린더 로울 (10)과 안내로울(22aA)이 장착되어 있다. 도9에 도시된 중간 캘린더링의 배치는 건조와이어(21)가 안내로울(22aA)에 의해 그룹(Rn)에 있는 건조실린더(20)와 분리되어 웨브(W)가 제1캘린더링 닙(NK1)으로 실린더(20)의 평탄면(20')을 따르고 그후 웨브(W)가 캘린더 로울(10)의 평탄면(10')을 따르도록 작동된다. 캘린더 로울(10)상에는 웨브(W)가 안내로울(22S)에 의해 안내되는 지지와이어(21S)에 의해 하부에서 지지된다. 지지와이어(22S)가 웨브(W)와 분리되었을 때 웨브(W)는 제 2캘린더링 닙(NK2)을 향하여 캘린더 로울(10)의 면(10')상으로 통과되고 그후 웨브(W)는 후 건조실린더(20)의 평탄면(20')을 지나 안내로울(22aA) 다음의 건조 와이어(21) 아래로 들어간다. 지지와이어(21S)는 항상 필수불가결한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지지와이어(21S)와 안내로울(22S)이 도 9에 점선으로 도시되었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 캘린더링 닙(NK)은 건조방향으로 마지막 그룹(RH)에 설치되는데 그 그룹은 소위 하이브리드 그룹으로 불리는 것으로서 싱글 와이어연신 및 트윈 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을 포함한다. 그룹(RH)에서는 앞에 트윈 와이어연신을 갖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는 상부 건조 실린더(20AH)의 열 및 하부 건조실린더(20BH)의 열이 있다. 상부와이어(21H)는 안내로울(24A)에 의해 안내될 때 상부실린더(20AH) 위로 먼저전체그룹(RH)을 통하여 주행하고 그후 와이어는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가하면서 상부실린더(20) 및 하부구역 흡입실린더(30) 또는 로울 위로 주행한다.
도 10에서 그룹(RH)에 있는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에 있는 마지막 하부 실린더(20bH)와 관련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 캘린더링의 닙(NK)이 설치되는데 이것은 평탄면(10') 캘린더 로울(10)과 관련하여 형성된다. 캘린더 로울(10)에는 그 자체의 구동부(15)가 설치되고 그 중앙에는 제지기 공간의 마루 수준(T-T)약간 아래에 위치된다. 웨브(W)는 하부실린더(20bH)의 평탄면(20')상의 중간 캘린더링의 닙(NK)로 들어가서 닙(NK) 뒤의 실린더(20bH)의 면상을 지나 상부실린더 (20AH) 상으로 마지막 자유연신(WPL)으로서 이송된다. 다른점에 있어서는 상기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다. 도 10에서 하이브리드 그룹이 트윈와이어 연신을 먼저 갖는 부분과 그 후에만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처음에는 싱글 와이어연신을 갖는 부분과 나중에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이 있는 하이브리드 그룹에 있는 중간 캘린더링의 대응 닙(NK)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기한 앞의 다섯 실시예와 동일하게 장점이 있지는 않고 예비적으로 예상되는 바람직한 정도로 주어졌다. 도 11에서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두 그룹(Rn,Rn-1) 사이에는 별도의 건조실린더(20aa) 또는 대응 캘린더 로울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연질 면 또는 경질 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추가적인 실린더(20aa) 또는 로울은 싱글와이어 연신에있는 상부 실린더(20)의 위치수준보다 높은 치수(Ha)로 설치되어 있다. 추가적인 실린더(20aa) 또는 로울의 전의 하부 사분의 일(¼)과 관련하여 중간 캘린더링의 닙(NK)이 배치되고 거기로 웨브(W)가 선행그룹(Rn-1) 및 캘린더 로울(10)의 건조와이어(21)의 지지체 상으로 통과된다. 로울(10) 다음에는 건조와이어(21)이 안내로울(22aa)에 의해 안내되어 더 주행한다. 캘린더링되는 웨브(W)는 캘린더 로울(10)의 평탄면(10')상의 캘린더링 닙(NK)으로 통과되고 닙(NK) 다음에는 웨브(W)가 로울(10)의 평탄면(10')을 지나고 그 면으로부터 다음 그룹(Rn)에 있는 앞의 하부구역 흡입 실린더(30)상으로 하향 경사져 거의 수직인 연신(Wp4)으로 통과된다. 실린더(20aa)는 가열되는 실린더인 것을 가져서는 안되는데 이는 웨브(W)가 실린더위로 주행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 캘린더링의 닙(NK)에서 실린더와 단지 접촉하기 때문이다. 여분의 실린더(20aa) 대신에 보다 작은 직경의 캘린더 로울도 사용할 수 있음이 더 강조되어야 한다.
도 11에서는 캘린더링 벨트(11a)가 캘린더 로울(10) 위로 통과되는 것이 임의로 도시되어 있는데 그 벨트는 구동(15) 안내로울(12a)에 의해 안내된다. 캘린더링 벨트(11a)에 의해 웨브(W)의 간극(Wp4)을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것은 제 1 역회전 흡입 실린더(30)와 접촉하는 캘린더링 벨트(11a)를 통과시키므로서 개방된다. 캘린더링 벨트(11a)는 개방간극(Wp4)의 폐쇄를 허용하는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1-11에서 중간 캘린더링의 닙(NK) 또는 닙(NK,NK',NK1,NK2)들의 캘린더 로울(10)은 경질 코팅물(10') 또는 연질 코팅물이 제공된 캘린더 로울 일 수 있다. 캘린더링 닙(NK)또는 닙들에서 닙 압력의 횡방향 프로파일은 예를들면 로울(10) 또는 반대쪽 건조실린더(20a;23Aa;20Bb;20bH,20aa) 및/또는 유도 가열장치로 캘린더 로울(10)의 횡방향온도 프로파일을 조정하므로서 또는 예를들면 출원인의 Sym ZS로 울인 구역에서 조정가능한 캘린더 로울을 사용하므로서 캘린더로부터 공지된 기술에 의해 알려진 방법으로 프로파일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중간 캘린더링의 연장 닙(NKP)이 공간 또는 다른 상황의 이용을 고려할 때 적당한, 도 3-11에 도시된 캘린더링 닙(NK)의 위치에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캘린더링 효과, 공간 및 다른 실제적인 상황의 이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필요성을 고려하여 도 2B에 도시된 것 이외의 위치에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캘린더링 효과를 강화하는 열처리장치(28) 및 증기박스 또는 적외선 히터와 같은 동등한 프로파일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도 2B에서는 처리장치 (28')가 참고로 이루어졌는데 그 효과는 처리간극(29')을 통하여 웨브(W)의 하면, 즉 장치(28)의 효과면에 반대인 면으로 가해진다.
캘린더 로울(10;10P)의 표면물질은 적용위치에 따라 캘린더 로울(10)의 면이 웨브(W)를 거부하거나 웨브(W)에 점착을 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상기한 중간 캘린더링의 다수의 닙(NK)은 상기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때 같은 건조기부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린더링 닙(NK;NKP)의위치 및 배치의 다른 조합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중간 캘린더링 닙(NK)이 사용되는데 이것은 건조기부의 건조단부에, 바람직하게는 웨브(W)의 건조 고형물 함량이 Ka>60%인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캘린더링 닙(NK;NKP)에 있는 선형하중은 캘린더링 닙(NK;NKP)의 위치, 캘린더링 닙(NK;NKP)을 통하여 통과하는 웨브(W)의 두께 및 고형물 함량 및 제조되는 종이등급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캘린더링 닙(NK)에 있는 선형하중은 0-300KN/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8KN/m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잘 알려진 바와같이 압축이외에 상승온도가 캘린더링의 "다림질효과"를 촉진한다. 이것은 캘린더링 로울(10)과 함께 중간 캘린더링의 닙(NK;NP)을 형성하는 건조실린더(20a;20Aa;20Bb;20bH;20aa)에서, 관련된 건조실린더의 정상적인 증기가열에 의해 생성되는 표면온도 T=60-250℃의 수준이 사용되는 이유이다. 필요한 경우, 캘린더링 닙(NK;NKP)이 위치되는 것과 관련한 건조실린더에는 온도의 개별적인 조절이 제공되는데 이 조절은 필요할 경우 캘린더링 닙 압력의 횡방향 프로파일의 조절을 고려하여 프로파일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선형하중이 중간 캘린더링의 닙(NK;NKP) 또는 닙(NK,NK';NK1,NK2)들에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캐스트-아이런맨틀(cast-iron mantle)을 갖는 일반적인건조실린더(20a;20Aa,20Bb;20bH;20aa)가 적합한다. 물론 건조실린더(20a;20Aa; 20Bb;20bH;20aa)로서 특수강화건조실린더 또는 적절한 가열캘린더 로울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캘린더링 닙에서 NK를 형성하는 로울/실린더 모두에 닙(NK;NKP)에 있는 선형하중의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온도프로파일의 조절 및 또는 가열이 제공될 수 있다. 캘린더 로울(10)의 저널축은 자체가 알려져 있는 파워유니트에 연결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고 이 수단에 의해 캘린더링 닙(NK;NKP)의 닙 압력하중이 생성된다.
구동부에 캘린더링 닙(NK;NKP)의 설치는 건조기부의 길이를 증가시키지는 않지만 건조기부의 건조성능은 약간 증가되거나 최소한 캘린더링 닙(NK;NKP) 또는 닙들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변화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 본 발명 전실시예의 기본적인 특징 및 효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지기의 현대화에 사용하기에 적당한데 그 경우에 약간의 수정작업으로 건조기부의 적절한 위치에 중간 캘린더링의 하나 또는 수개의 닙(NK;NKP)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어떤 경우에는 본 발명이 적용될 때 기계 스택, 예를들면 연질 캘린더를 완전히 없앨수 있는데 그 경우에는 건조기부의 기어가 기계 스택에의해 점유된 공간과 함께 증가될 수 있고, 따라서 예를들면 제지지의 주행속도가 현대화와 관련하여 증가될 때 건조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연질 코팅물(10')이 제공된 캘린더 로울(10)은 소위 연질 캘린더 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위치에 설치되도록 사용된다. 그러한 경우에, 캘린더 로울(10)의 코팅물(10')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80-95 Shore D, 또다 바람직하게는 88-92 Shore D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하기에는 특허청구범위가 제공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설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사상의 범위내에 있는 변형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에서 실시예로서만 기술된 것과 다를 수 있다.

Claims (28)

  1. 중간 캘린더링하는 하나 또는 수개의 닙(NK;NKP)이 제공되어 있으며 수개의 연속적인 와이어 그룹(R)이 있는 제지기의 건조기부에 있어서,
    건조부가 기본적으로 또는 단지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들(R1-RV)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서 가열된 건조실린더(20,20a)는 상부열에 위치되고 역회전 흡입 실린더(30,30a) 또는 동들의 역회전 흡입로울(30aa)은 하부열에 위치되며 싱글 와이어 연산을 갖는 그룹(R1-RV)은 상기 건조실린더(20,20a) 및 역회전 흡입 실린더 또는 로울위의 곡선 경로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역회전 흡입 실린더 (30,30a,30aa)가 건조 와이어(21)의 루프 내부에 유지되도록 하는 건조와이어(21)를 포함하며,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n)의 내부의 비-횡식(non-lateral) 건조실린더(20a) 또는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n)의 마지막 건조실린더(20a)와 관련해서는 마지막 건조실린더(20a)와 함께 캘린더링 닙(NK;NKP)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캘린더 로울(10;10P)이 장착되고 자유 공간이 배치되고 그 닙을 통하여 건조될 종이 웨브(W)가 통과되어 건조기부 내부에서 캘린더링 되고, 및
    종이 웨브(W)는, 웨브가 캘린더 로울 로부터 분리된 후 캘린더링 닙(NK;NKP)에서만 캘린더 로울과 접촉하도록 배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계의 건조기부(도1,1A 2,2A,2B 및 3).
  2. 제 1항에 있어서, 캘린더링 닙(NK;NKP)이 상기 실린더(20a)의 다음상부 사분의 일(¼) 지역의 건조기부에 있는,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마지막 그룹(RV)의 마지막 건조 실린더(20a)와 관련하여 배치되며 캘린더링 닙(NK;NKP) 다음에는 상기 닙에서 캘린더링 된 웨브(W)가 릴업과 같은 마무리장치로 통과(Wou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1).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캘린더링 닙(NK;NKP) 또는 닙(NK,NK2)들이 캘린더링 닙(NK;NKP;NK1,NK2)의 앞에서 마지막 및/또는 처음 건조실린더(20a)와 떨어지게 안내로울(22a, 22ap)로 선행그룹(Rn-1) 또는 다음그룹(Rn)의 건조와이어 (21)를 안내하므로서 선행그룹의 마지막 건조 실린더(20a) 및/또는 다음그룹의 처음 건조실린더와 관련하여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두 개의 연속적인 그룹(Rn-1, Rn)사이에 배치되어 캘린더링 닙(NK;NKP) 또는 닙(NK1,NK2)들이 연속적인 그룹(Rn-1, Rn)의 건조와이어(21)사이에 공간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2, 2A 및 2B).
  4. 제 1항에 있어서, 중간 캘린더링의 닙(NK)은 건조되어 캘린더링 되는 종이 웨브(W)와 떨어지게 건조와이어 (21)를 안내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진 웨브(W)와 관련하여 건조실린더(20a)와 함께 중간 캘린더링의 닙(NK)을 형성하는 캘린더 로울(10)을 제공하므로서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n)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1A).
  5. 제 1항, 제 2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캘린더 로울(10)의 실린더면(10')의 표면물질이 캘린더링 닙(NK)의 다음에서 종이 웨브(W)가 건조 실린더 (20a) 또는 이에 상응하는 캘린더 로울(10A)을 지나도륵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6. 하나 또는 수개의 중간 캘린더링 닙(NK)이 제공되어 있으며, 수개의 연속적인 와이어 그룹이 있는 제지기의 건조기부에 있어서, 건조기부가 단지 트윈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으로만 이루어지거나 최소한 하나의 그룹, 바람직하게는 마지막 그룹으로서 트윈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을 포함하는 반면에 앞의 그룹(R1-RV)은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이고,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의 비평행 건조실린더 또는 실린더들들(20A, 20B)의 위치에는 반대쪽 열에 위치된 반대쪽 건조실린더(20A;20B)와 함께 캘린더링 닙(NK)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캘린더링 로울 (10)이 제공되며, 빠진 건조 실린더(20A/20B)열의 건조와이어 (21A/21b)는 앞의 건조실린더로부터 캘린더 로울(10)위로 주행하여 캘린더링 되었고 그리고/또는 상기 캘린더링 닙(NK)에서 캘린더링 되는 종이 웨브(W)를 지지하기 위한 다음 건조실린더로 안내로울에 의해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6,7,8A 및 8B)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 로울(10)이 그 근처에 위치된 두 개의 건조 실린더(20Aa; 20A1; 20A2; 20a;20b)와 함께 두개의 캘린더링 닙(NK1,NK2)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그 닙들 사이로 종이 웨브가 캘린더 로울(10)의 평탄면 (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또는 자유 연신(W'p;W'p)으로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8,8A 및 8B).
  8. 제 6항에 있어서, 캘린더 로울이 반대쪽 상부 또는 하부 실린더(20A)와 함께 캘린더링 닙(NK)을 형성하도록 하부 또는 상부 건조 실린더(20b)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캘린더 로울(10)이후에 종이 웨브(W)가 건조 와이어(21A,21B)들 사이로 이어지는 상부 또는 하부 건조실린더(20A)를 향하여 자유 연신(WP2) 또는 폐쇄 연신으로서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6).
  9. 제 6항에 있어서, 종이 웨브(W)가 캘린더 로울(10)의 평탄면(10')상의 캘린더링 닙(NK)을 지나고, 캘린더링 닙(NK)이후에 종이 웨브(W)가 하부 또는 상부 와이어 (21B) 아래의 하부 또는 상부 건조 실린더(20Bb)의 면 위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7).
  10. 하나 또는 수개의 중간 캘린더링 닙(NK)이 제공되어 있으며, 수개의 연속적인 와이어 그룹(R)이 있는 제지기의 건조기부에 있어서, 건조기부가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n) 또는 그룹(R1-RV)들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가열 건조 실린더(20)는 상부열에 그리고 역회전 흡입 실린더(30) 또는 이에 상응하는 역회전 흡입로울은 하부열에 위치되며,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n)또는 그룹(R1-RV)들은 건조실린더(20)과 역회전 흡입실린더 또는 로울 위의 곡선경로를 따라 주행하여 역회전 흡입실린더(30)가 건조와이어(21)의 루프내에 유지되도록 하는 건조와이어(21)를 포함하고,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n)또는 그룹(R1-RV)들에서 하나 또는 수개의 역회전 흡입실린더(30)또는 두 개의 연속적인 건조실린더(20a)위의 위치에는 캘린더 로울(10)이 두 개의 연속적인 건조실린더(20'20a)사이에 배치되어 캘린더 로울(10)이 마지막 건조실린더(20)과 함께 두 개의 연속적인 캘린더링 닙(NK1,NK2)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9).
  11. 제10항에 있어서, 캘린더 로울(10)아래에는 지지와이어(21S)가 안내 로울 (22S)에 의해 안내되어 통과되므로서 지지와이어(21S)가 제1캘린더링 닙으로부터 캘린더 로울(10) 평탄면(10')상의 제2캘린더링 닙(NK2)으로 아래로부터 주행하는 종이 웨브(W)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9).
  12. 하나 또는 수개의 중간 캘린더링 닙(NK)이 제공되어 있으며 수개의 연속적인 와이어 그룹(R,RH)이 있는 제지기의 건조기부에 있어서, 건조기부가 바람직하게는 마지막 건조 그룹으로서 하나 또는 수개의 소위 하이브리드 그룹(RH)을 포함하며, 하이브리드 그룹(RH)에는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 및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이 사용되고, 하이브리드그룹(RH)의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 또는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다음의 마지막 또는 처음 하부 건조 실린더(20bH)상에는 캘린더 로울(10)과 하부건조실린더(20bH)사이에 형성된 캘린더링 닙(NK)이 배치되는 것,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룹(RH)은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과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며, 그 그룹에서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의 건조 와이어(21BH,21H)중 하나는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과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을 통하여 주행하며, 캘린더링 닙(NK)은 하부 건조 실린더에 반대방향에 캘린더링 로울(10)을 위치시킴으로서, 하이브리드 그룹(RH)이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과 시작할 때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의 마지막 하부 건조 실린더(20bH)와 관련하여 또는 하이브리드 그룹이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과 시작할 때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의 제 1 하부 건조 실린더와 관련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그룹(RH)에서 웨브(W)의 주행방향으로 먼저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이 있고 다음에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부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14. 하나 또는 수개의 중간 캘린더링 닙(NK)이 제공되어 있으며, 수개의 연속적인 와이어 그룹(Rn)이 있는 건조기부에 있어서, 중간 캘린더링 닙(NK)이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두 개의 정상 그룹(R1-RV)들 사이에 배치되고 그 그룹에서 건조실린더(20)는 상부열에 위치되며 역회전 흡입실린더(30) 또는 이에 상응하는 역회전 흡입로울은 하부열에 위치되고 전의 그룹(Rn-1)의 역회전 흡입실린더(30) 또는 이에 상응하는 로울 다음에는 캘린더 로울(10)이 설치되는데 그 위에는 첫 번째 캘린더로울(10)과 함께 캘린더링 닙(NK)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건조실린더(20aa)또는 이에 상응하는 캘린더링로울이 있으며, 그 닙 다음에는 건조와이어(21)가 다음그룹(Rn)의 마지막 흡입실린더(30) 또는 이에 상응하는 역회전 흡입로울위로 주행할 때 종이 웨브(W)가 다음 그룹(Rn)의 건조 와이어(21)상으로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11).
  15.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캘린더링 벨트(11;11a)의 루프가 캘린더링 닙(NK)을 통하여 주행하도록 배치되고 그 벨트는 안내로울(12)또는 안내로울들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3 및 도11).
  16.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캘린더링 닙(NK)의 캘린더로울로서 경질 또는 연질 코팅물(10')이 제공된 캘린더링 로울이 사용되며, 백업로울로서 정상의 또는 특수강화물이 제공된 건조실린더(20a,20Aa,20Bb;20aa,20bH)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17.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기부내부의 캘린더링 닙(NK)또는 닙들에 사용되는 선형하중이 제조될 종이등급, 캘린더링될 웨브(W)의 건조 고형물 함량 또는 다른 상황을 고려하여 0-300KN/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18.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기부 내부의 캘린더링 닙 (NK;NKP)또는 닙들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건조실린더(20a;20Aa,20Bb;20aa;20bH)의 표면 온도(T)가 T=60-250℃로 설정 또는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19.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실린더 (20a,20Aa,20Bb;20aa;20bH)와 함께 캘린더링 닙(NK)을 형성하는 캘린더 로울(10)의 연질코팅물(10')의 경도가 건조기부 내부에 소위 연질 캘린더링 닙(NK)이라 불리는것의 형성을 고려하여 80-95 Shore D의 범위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20.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상적인 캘린더 로울(10A)이 중간 캘린더링 닙(NK;NK)을 형성하는 캘린더 로울(10;10P)의 백업 로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건조기부.
  21.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장 닙(NKP)이 하나 또는 수개의 중간 캘린더링 닙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2A).
  22. 제 21항에 있어서, 확장 닙(NKP)이 상응 하는 위치에 위치된 건조 실린더 (20a)또는 캘린더 로울과 유연한 호스맨틀(10P'), 유압하중 활주 슈 또는 호스맨틀 (10P')의 내부에 설치된 일련의 활주 슈(27)에 제공된 호스로울(10P)사이에 형성되며 그 수단들에 의해 닙 압력이 확장 닙(NKP)의 캘린더링 구역에 생성되고 상기 호스맨틀(10P') 루프의 수직단부들 모두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23. 제 21항에 있어서, 확장 닙(NKP)에서 선형하중의 프로파일이 일련의 상기 활주 슈(27)의 유압하중을 조절하므로서 기계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24.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캘린더링 닙(NK;NKP) 앞의, 웨브(W)의 자유면 근처에 그리고/또는 물 안개 분무하기위한, 증기 공급박스, 적외선 가열기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장치와 같이 이어지는 캘린더링 닙에 캘린더링 효과를 강하게 하는 장치(28;2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도2B).
  25. 제 24항에 있어서, 캘린더링 닙(NK,NKP)의 가로방향 습기 온도 및/또는 선형 하중 프로파일(들)이 캘린더링 효과를 강하게 하는 상기 장치(28;28') 및/또는 이에 상응하는 분리 가열 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26. 제 1 항에 있어서,
    싱글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품(RV)이 제공된 초기부분이후 트윈-와이어 연신을 지닌 적어도 하나의 그룹(R2W)을 포함하며, 그 그룹에는 두 개의 가열 건조 실린더(20A,20B)의 열(row)이 있고 그 사이에는 웹이 자유로운 비지지 연신(Wp)을 가지며,
    그리고 건조될 웹(W)의 캘린더링을 위한 닙(NK)은 트윈-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에 선행하는 싱글-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의 마지막 가열건조실린더(20a)의 뒤의 반쪽에 배열되며, 상기 캘린더링 닙(NK)은 상기 건조 실린더의 회전 중심의 수평면 근처에 꼭 맞게 설치된 캘린더링 롤(10)의 평탄면과 함께 상기 건조 실린더(20a)에 의해 형성되며,
    캘린더링 닙(NK)을 통하여 건조되며 통과하는 종이 웹(W)이 하향 경사진 연신로서의 트윈 와이어 연신을 갖는 그룹(R2W)의 제1하부 건조 실린더(20B)로 자유연신(Wp1)으로서 통과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27.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기부내부의 캘린더링 닙(NK)또는 닙들에 사용되는 선형하중이 제조될 종이등급 캘린더링될 웨브(W)의 건조 고형물 함랑 또는 다른 상황을 고려하여 0-80KN/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28.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실린더 (20a;20Aa;20Bb;20aa;20bH)와 함께 캘린더링 닙(NK)을 형성하는 캘린더 로울(10)의 연질코팅물(10')의 경도가 건조기부 내부에 소위 연결 캘린더링 닙(NK)이라 불리는 것의 형성을 고려하여 88-92 Shore D의 범위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부.
KR1019970707109A 1996-02-28 1997-02-11 중간캘린더링이설치된제지기계의건조기부 KR100321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60925A FI104434B (fi) 1996-02-28 1996-02-28 Välikalanteroinnilla varustetut paperikoneen kuivatusosat
FI960925 1996-02-28
PCT/FI1997/000084 WO1997032080A1 (en) 1996-02-28 1997-02-11 Dryer sections provided with intermediate calendering in a paper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709A KR19980703709A (ko) 1998-12-05
KR100321606B1 true KR100321606B1 (ko) 2002-12-02

Family

ID=854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109A KR100321606B1 (ko) 1996-02-28 1997-02-11 중간캘린더링이설치된제지기계의건조기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94679A (ko)
EP (2) EP0824618B1 (ko)
JP (1) JPH11504401A (ko)
KR (1) KR100321606B1 (ko)
AT (1) ATE220434T1 (ko)
CA (1) CA2217678A1 (ko)
DE (2) DE824618T1 (ko)
FI (1) FI104434B (ko)
WO (1) WO1997032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587A (en) * 1996-02-28 1999-06-22 Valmet Corporation Dryer sections with intermediate calendering in a paper machine
US6065222A (en) * 1996-02-28 2000-05-23 Valmet Corporation Dryer sections with intermediate calendering in a paper machine
FI104100B1 (fi) 1998-06-10 1999-11-15 Valmet Corp Integroitu paperikone
FI104001B1 (fi) 1998-06-26 1999-10-29 Valmet Corp Kuivatusosa
DE69922041T2 (de) 1998-08-04 2005-10-13 Metso Paper,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papier oder pappebahnen
US6332953B1 (en) 1998-10-02 2001-12-25 International Paper Company Paper product having enhanced printing properties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FI991096A (fi) 1999-05-12 2000-11-13 Valmet Corp Menetelmä paperin, erityisesti hienopaperin, valmistamiseksi ja paperi konelinja erityisesti hienopaperin valmistamista varten
FI105118B (fi) 1999-05-12 2000-06-15 Valmet Corp Menetelmä paperi- tai kartonkirainan valmistamiseksi ja paperi- tai kartonkikone
SE517618C2 (sv) * 1999-10-27 2002-06-25 Stora Kopparbergs Bergslags Ab Anordning och metod i samband med tillverkning av papper eller kartong
FI108241B (fi) * 2000-08-10 2001-12-14 Metso Paper Inc Menetelmä päällystetyn kuiturainan valmistamiseksi, parannettu paperi- tai kartonkikone ja päällystetty paperi tai kartonki
US6946186B2 (en) * 2002-08-24 2005-09-20 International Paper Co. Uncoated facestock for adhesive-backed labels
DE10348842A1 (de) * 2003-10-21 2005-05-25 Voith Paper Patent Gmbh Vorrichtung zur Entwässerung einer Faserstoffbahn
US8176650B2 (en) * 2005-12-13 2012-05-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warming up or cooling down a through-air dryer
DE102008024082A1 (de) * 2008-05-17 2009-11-19 Andritz Küsters Gmbh Kalander
EP2549013B1 (en) 2011-07-21 2018-01-31 Valmet Technologies, Inc. Process and arrangement for producing a fiber web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7168A (en) * 1989-07-20 1992-07-07 Pulp And Paper Research Institute Of Canada Method for manufacture of smooth and glossy papers and apparatus
EP0672783A2 (de) * 1994-03-05 1995-09-20 Voith Sulzer Papiermaschinen GmbH Trockenparti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24284A (ko) *
US1951710A (en) * 1931-11-12 1934-03-20 Burgess Cellulose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fibrous sheets
FI54515C (fi) * 1974-05-23 1978-12-11 Valmet Oy Apparatur i en pappersmaskin foer foerbaettrande slaetheten och glansen av papperets eller kartongens yta
SE8101773L (sv) * 1980-03-27 1981-09-28 Int Paper Co Apparat for presstorkning
FI70952C (fi) * 1982-10-14 1986-10-27 Valmet Oy Anordning med laong presszon vid pressbehandling av fiberbana
GB8328354D0 (en) * 1983-10-24 1983-11-23 Black Clawson Int Surface treatment of paper and paperboard
SE461154B (sv) * 1988-05-25 1990-01-15 Valmet Paper Machinery Inc Press med laangt nyp foer pappers- eller kartongmaskiner
DE3920204A1 (de) * 1988-10-31 1990-05-10 Escher Wyss Gmbh Verfahren zum glaetten einer papier- oder kartonbahn
SE464922B (sv) * 1990-05-08 1991-07-01 Valmet Paper Machinery Inc Pressvals
JPH056040A (ja) * 1991-06-27 1993-01-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I89524C (fi) * 1992-05-15 1993-10-11 Yhtyneet Paperitehtaat Oy Foerfarande foer behandling av en pappersbana i torkpartiet av en pappersmaskin
DE4322876A1 (de) * 1993-07-09 1993-11-18 Voith Gmbh J M Vorrichtung zum Glätten einer Papierbahn oder Kartonbahn
FI103820B1 (fi) * 1993-11-30 1999-09-30 Valmet Paper Machinery Inc Menetelmät paperirainan kuivatuksessa sekä paperikoneen kuivatusosat
DE19507374C2 (de) * 1995-03-03 1997-01-09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Trockenpartie
US5749157A (en) * 1995-12-22 1998-05-12 Voith Sulzer Papiermaschinen Gmbh Dryer section for a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 paper web
DE19604675C2 (de) * 1996-02-09 2001-04-26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Faserstoffbah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7168A (en) * 1989-07-20 1992-07-07 Pulp And Paper Research Institute Of Canada Method for manufacture of smooth and glossy papers and apparatus
EP0672783A2 (de) * 1994-03-05 1995-09-20 Voith Sulzer Papiermaschinen GmbH Trockenpart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3839D1 (de) 2002-08-14
FI960925A0 (fi) 1996-02-28
KR19980703709A (ko) 1998-12-05
US5894679A (en) 1999-04-20
CA2217678A1 (en) 1997-09-04
EP0824618B1 (en) 2002-07-10
DE69713839T2 (de) 2002-11-21
JPH11504401A (ja) 1999-04-20
EP1195464A3 (en) 2002-07-10
EP1195464A2 (en) 2002-04-10
EP0824618A1 (en) 1998-02-25
ATE220434T1 (de) 2002-07-15
FI960925A (fi) 1997-08-29
FI104434B (fi) 2000-01-31
DE824618T1 (de) 1998-05-28
WO1997032080A1 (en) 199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7286B1 (en) Apparatus for drying a web
KR100321606B1 (ko) 중간캘린더링이설치된제지기계의건조기부
US5775001A (en) Dryer sections of a paper machine
US4483083A (en) Drying and runnability for high speed paper machines
US5575084A (en)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or cooling a paper web
EP2063021B1 (en) Belt assembly and paper- or board making machine comprising the belt assembly
US4972608A (en) Multi-cylinder dryer for a paper machine with supported draw of web
JP3271118B2 (ja) 製紙機械のドライヤ
CN101374998B (zh) 用于纤维幅材机如造纸机或纸板机的干燥部中的方法及装置
EP1012383B1 (en) Method for control of the curl of paper in the dryer section of a paper machine and paper or board machine
PL170720B1 (pl) Urzadzenie do suszenia wstegi z jednorzedowa suszaca sekcja PL PL PL PL PL
US6061927A (en) Method for controlling curl of paper in a dryer section of a paper machine
US5555638A (en) Method for contact drying a paper web and a dryer section of a paper machine
US6193840B1 (en) Method for producing surface-treated paper
US6065222A (en) Dryer sections with intermediate calendering in a paper machine
US5913587A (en) Dryer sections with intermediate calendering in a paper machine
US20050016703A1 (en) Smoothing device
US6280576B1 (en) After-dryer in a paper machine
US6070340A (en) Cylinder group provided with single-wire draw in the dryer section of a paper machine and dryer section that included such cylinder groups
GB1600518A (en) Web drying apparatus and methods
CA2186407A1 (en) Transfer from the press to the drying section of a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paper
JP2717830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