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400B1 - 경화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경화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400B1
KR100321400B1 KR1019997006024A KR19997006024A KR100321400B1 KR 100321400 B1 KR100321400 B1 KR 100321400B1 KR 1019997006024 A KR1019997006024 A KR 1019997006024A KR 19997006024 A KR19997006024 A KR 19997006024A KR 100321400 B1 KR100321400 B1 KR 10032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hardening
tubes
coin tube
proc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9846A (ko
Inventor
이시다다케시
야마기시료지
나카지마겐지
Original Assignee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오까다 마사하루
Publication of KR2000006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with change-giv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02Sorting coins by means of graded aper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일정폭내에 수많은 코인튜브를 수용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경화처리장치이다.
투입경화의 정위를 판별함과 동시에 정화의 종류를 선별하는 경화선별수단(3)과 선별된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함과 동시에 수용된 정화를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선택하여 지불하는 경화지불수단(39)를 장치본체(2)내에 설치한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화지불수단(39)는 일정한 폭(L)내에 한층더 많은 종류의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하는 경화수용수단(3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경화처리장치{COIN PROCESSING DEVICE}
자동판매기, 환전기, 서비스기기 등에는 종래부터 투입경화를 돈의 종류별로 선별수용함과 동시에 이 선별수용된 경화를 거스름돈으로서 지불하는 경화처리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경화처리장치(1)을 도시한 개념사시도이다.
이 경화처리장치(1)은 크게 나누면 다음의 2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 첫번째는 투입경화의 정위(正僞)와 정화를 돈의 종류별로 선별함과 동시에 정화의 종류를 선별하는 경화선별수단(3)이다. 또한, 이 경화선별수단(3)은 경화처리장치(1)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단면이 대략 コ자형상인 장치본체(2)의 상부에 착탈자유롭게 장착된다.
두번째는 선별된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함과 동시에 수용된 정화를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선택해서 지불하는 경화지불수단(9)이다. 이경화지불수단(9)는 장치본체(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일부를 제외하고 서로 직경이 다른 세워마련된 4개의 코인튜브(5), (6), (7), (8)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4개의 코인튜브(5), (6), (7), (8)은 장치본체(2)내에 착탈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이고, 이 중의 코인튜브(5), (6), (7)은 장치본체(2)내에 장착되었을 때 경화선별수단(3)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코인튜브(8)은 특히 사용빈도가 높은 경화를 미리 수용해 두는 보조튜브이고, 이 코인튜브(8)과 코인튜브(6)의 직경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 (10)은 경화지불수단(9)내에 수용된 경화를 돈의 종류마다 강제적으로 지불하는 등의 지시를 부여하는 제어스위치군(인벤토리(inventory) 스위치군)이고, 이 제어스위치군(10)은 장치본체(2)의 상부우측에 형성된 스위치박스(11)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화처리장치(1)에 의하면, 경화는 최초에 경화투입구(12)를 거쳐서 경화선별수단(3)내로 들어가고, 그곳에서 경화의 정위와 정화의 종류별 선별이 실행되고, 이 중 정화는 돈의 종류별로 경화지불수단(9)를 구성하는 각 코인튜브(5), (6), (7)내에 선별수용된다.
그리고, 거스름돈의 돈의 종류가 특정되면 각 코인튜브(5), (6), (7), (8)내에 수용된 경화가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서 선택되어 지불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경화처리장치(1)은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내의 한정된 공간내에 장착하기 때문에, 미리 그 전체의 사이즈는 엄밀하게 규정되어 있고, 특히 장치본체(2)와 경화지불수단(9)를 구성하는 각 코인튜브(5), (6), (7), (8)의확대단면 사시도로 도시한 도 4와 같이 장치본체(2)의 폭L은 엄밀하게 규정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경화처리장치(1)은 사용되는 경화수 및 직경이 각각 다른 나라마다 사용함에 있어서는 특히 경화지불수단(9)를 구성하는 코인튜브의 수를 각국의 사용경화의 수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 병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경화지불수단(9)를 구성하고 서로 병설된 각 코인튜브(5), (6), (7), (8)은 도 4의 상면도인 도 5와 같이 각 코인튜브(5), (6), (7), (8)의 각 축중심a, b, c, d를 연결하는 선A가 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하나의 직경이 다른 코인튜브(11)을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B가 직선을 형성하도록 병설하면, 코인튜브(5), (6), (7), (8), (11)의 전체폭L1이 장치본체(2)의 폭L보다 크게 되어(L1>L) 코인튜브(5), (6), (7), (8), (11)을 장치본체(2)내에 장착할 수 없다는 난점이 있었다.
또한, 도 4∼도 6에서 (12)는 장치본체(2)의 내부로서 코인튜브(5), (6), (7), (8)의 배면측에 배설된 제어보드이고, 이 제어보드에는 상술한 경화선별수단(3)이나 경화지불수단(9)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예를 들면 경화 배분레버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 플랜저 등)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부품 이외에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지불수단(9)를 구성하는 각 코인튜브(5), (6), (7), (8), (11)내에 수용된 경화의 유무를 검출하는 엠프티(empty) 센서(20), (21), (22), (23), (24)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이 엠프티센서(20), (21), (22), (23), (24)는 인덕턴스의 변화를 검지해서 각 코인튜브(5), (6), (7), (8), (11)내에 수용된 경화의 유무를 검출하는 전자코일식 근접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 각 엠프티센서(20), (21), (22), (23), (24)와 대응하는 각 코인튜브(5), (6), (7), (8), (11)의 내주벽 사이의 거리D1, D2, D3, D4, D5는 각각 다르므로, 감도 무조정인 상태에서는 각 엠프티센서(20), (21), (22), (23), (24)와 대응하는 각 코인튜브내에 수용된 경화의 유무검출감도에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것을 보정하기 위해 미리 각 엠프티센서(20), (21), (22), (23), (24)에 의한 경화의 유무검출감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감도조정을 실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폭내에 수많은 코인튜브를 수용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경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환전기, 서비스기기 등에 사용되고 투입경화를 돈의 종류(金種)별로 선별수용함과 동시에 선별수용된 경화를 거스름돈으로서 지불하는 경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별된 정화(正貨)를 돈의 종류별로 일시 수용하는 경화수용수단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의 개념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의 개념단면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경화처리장치에 코인튜브의 수를 1개 증대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단면도.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투입경화의 정위를 판별함과 동시에 정화의 종류를 선별하는 경화선별수단과 선별된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함과 동시에 수용된 정화를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서 선택해서 지불하는 경화지불수단을 장치본체내에 설치한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화지불수단은 일정한 폭내에 한층더 많은 종류의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하는 경화수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경화지불수단을 구성하는 코인튜브의 사용수를 증대시킨 경우에도 상기 코인튜브의 전체폭 확대를 가급적 억제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일정폭의 장치본체내에 수많은 코인튜브를 수용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일정폭의 장치본체내에 수많은 코인튜브를 수용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경화의 수 및 직경이 다른 각국 통화에 대응한 코인튜브를 장치본체내에 설치하는 경우, 장치본체의 사이즈를 변경시키지 않고 동일한 규모의 장치본체내에 각국 대응의 여러개의 코인튜브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경화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30)의 단면도로서, 도 5, 도 6과 동일한 부분을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이 제1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30)에서는 병설된 5개의 각 코인튜브(5),(6), (7), (8), (11)을 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상면에서 보아 각 코인튜브(5), (6), (7), (8), (11)의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C가 교대로 우에서 좌로 절곡된 선 즉 지그재그형으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고, 특히 도면좌측에 설치된 코인튜브(5)의 축중심a에서 이 코인튜브(5)에 인접해서 좌단에 설치된 최대직경의 코인튜브(11)의 축중심e를 연결하는 선은 크게 시계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면에서 보아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C가 지그재그형으로 되도록 병설된 여러개의 각 코인튜브(5), (6), (7), (8), (11)은 일정한 폭L내에 한층더 많은 종류의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하는 경화수용수단(34)를 구성한다. 또, 이 경화수용수단(34)는 경화선별수단(3)에 의해 선별된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함과 동시에 수용된 정화를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서 선택해서 지불하는 경화지불수단(39)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이 제1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30)에서는 경화지불수단(39)는 상면에서 보아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C가 지그재그형으로 되도록 병설된 각 코인튜브(5), (6), (7), (8), (11)로 이루어지는 경화수용수단(34)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각 코인튜브(5), (6), (7), (8), (11)은 서로 인접하는 코인튜브 사이의 폭이 각각 좁아지고, 코인튜브(5), (6), (7), (8), (11)의 전체폭L2를 도 6에 도시한 종래의 코인튜브(5), (6), (7), (8), (11)의 전체폭L1에 비해 좁게 형성하고(L2<L1), 그 결과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C를 지그재그형으로 한 각 코인튜브(5), (6), (7), (8), (11)의 전체폭L2를 장치본체(2)의 폭L 이하로 설정하고(L2≤L), 5개의 코인튜브(5), (6),(7), (8), (11)을 장치본체(2)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제1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30)에서는 경화지불수단(39)는 경화수용수단(34)를 구비하고 있고, 이 경화수용수단(34)는 상면에서 보아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C가 지그재그형으로 되도록 병설된 각 코인튜브(5), (6), (7), (8), (11)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코인튜브의 수를 종래의 4개에서 도 1에 도시한 5개로 증대시킨 경우에도 코인튜브(5), (6), (7), (8), (11)의 전체폭L2의 확대를 가급적 억제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일정폭L의 장치본체(2)내에 5개의 코인튜브(5), (6), (7), (8), (11)을 수용설치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30)에서는 일정폭L의 장치본체(2)내에 5개의 코인튜브(5), (6), (7), (8), (11)을 수용설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사용하는 코인튜브의 수를 5개 이상으로 증대시킨 경우에도 경화수용수단(34)에 의해 장치본체(2)내에 장착되는 코인튜브의 전체폭L2의 확대를 가급적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일정폭L의 장치본체(2)내에 수많은 코인튜브를 수용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경화처리장치(30)에서는 사용경화의 수 및 직경이 다른 각국 통화에 대응한 코인튜브를 장치본체(2)내에 설치하는 경우, 장치본체(2)의 사이즈를 변경시키지 않고 동일한 규모의 장치본체(2)내에 각국 대응의 여러개의 코인튜브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이 제1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30)과 같이 경화지불수단(39)가 상면에서 보아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C가 지그재그형으로 되도록 병설된 각코인튜브(5), (6), (7), (8), (11)로 이루어지는 경화수용수단(34)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코인튜브(5), (6), (7), (8)내의 정화의 유무를 검출하는 엠프티센서(20), (21), (22), (23)과 각 코인튜브(5), (6), (7), (8)의 내주벽 사이의 거리E1, E2, E3, E4를 동일한 거리(E1=E2=E3=E4)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엠프티센서(20), (21), (22), (23)은 코인튜브(5), (6), (7), (8)에 각각 대응해서 제어보드(31)에 설치된 센서로서, 이 제어보드(31)은 코인튜브(5), (6), (7), (8)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장치본체(2)에 설치되어 있다.
즉, 직경이 다른 여러개의 코인튜브를 병설하는 경우,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을 일직선상에 일치시키지 않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C를 지그재그형으로 되도록 병설하면 각 코인튜브(5), (6), (7), (8)의 배면에서 각 코인튜브(5), (6), (7), (8)의 내주벽까지의 거리를 일치시켜서 각 코인튜브(5), (6), (7), (8)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각 코인튜브(5), (6), (7), (8)의 배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 제어보드(31)에 설치된 각 엠프티센서(20), (21), (22), (23)과 대응하는 각 코인튜브(5), (6), (7), (8)의 내주벽 사이의 거리E1, E2, E3, E4를 각각 동일한 거리로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각 엠프티센서(20), (21), (22), (23)과 대응하는 각 코인튜브(5), (6), (7), (8)내에 수용된 경화의 유무검출감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가급적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 제1 경화처리장치(30)에서는 일정폭L의 장치본체(2)내에 5개의 코인튜브(5), (6), (7), (8), (11)을 수용설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화처리장치에서는 장치본체(2)의 사이즈를 변경시키지 않고 동일한 규모의 장치본체(2)내에 사용경화의 수 및 직경이 다른 여러개의 코인튜브로 이루어지는 각국 대응의 경화수용수단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과 동일한 부분을 동일부호로 나타내는 도 2와 같이 각국 통화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 도 1의 각 코인튜브(5), (6), (7), (8), (11)과는 내부직경이 다른 각 코인튜브를 장치본체(2)내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경화처리장치(50)은 직경이 다른 타국의 경화에 대응해서 도 1의 각 코인튜브(5), (6), (7), (8), (11)과는 내부직경이 다른 각 코인튜브(5'), (6'), (7'), (8'), (11')를 장치본체(2)내에 장착한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이다.
이 제2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50)에서는 병설된 5개의 각 코인튜브(5'), (6'), (7'), (8'), (11')를 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상면에서 보아 각 코인튜브(5'), (6'), (7'), (8'), (11')의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D가 교대로 우에서 좌로 절곡된 선 즉 지그재그형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면에서 보아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D가 지그재그형으로 되도록 병설된 여러개의 각 코인튜브(5'), (6'), (7'), (8'), (11')는 일정한 폭L내에 한층더 많은 종류의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하는 경화수용수단(54)를 구성한다. 또, 이 경화수용수단(54)는 경화선별수단(3)에 의해 선별된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함과 동시에 수용된 정화를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서 선택해서 지불하는 경화지불수단(59)를 구성한다.
이 제2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50)에서는 경화수용수단(54)에 의해 각 엠프티센서(20), (21), (22), (23)과 대응하는 각 코인튜브(5'), (6'), (7'), (8')의 내주벽 사이의 거리E'1, E'2, E'3, E'4를 각각 동일(E'1=E'2=E'3=E'4)로 하고, 거리E'1, E'2, E'3, E'4와 도 1에 도시한 각 엠프티센서(20), (21), (22), (23)과 각 코인튜브(5), (6), (7), (8)의 내주벽 사이의 거리E1, E2, E3, E4를 동일한 거리(E1=E2=E3=E4=E'1=E'2=E'3=E'4)로 할 수 있으므로, 각국 통화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 각 코인튜브(5), (6), (7), (8), (11)의 직경을 변화시킨 각 코인튜브(5'), (6'), (7'), (8')를 장치본체(2)내에 장착해도 각 엠프티센서(20), (21), (22), (23)에 의한 대응하는 각 코인튜브(5'), (6'), (7'), (8')의 경화유무 검출감도에 편차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하게 대응하는 각 코인튜브(5'), (6'), (7'), (8')내에 수납된 경화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엠프티센서(24)와 코인튜브(11)의 내주벽 사이의 거리E5와 도 2에 도시한 엠프티센서(24)와 코인튜브(11')의 내주벽 사이의 거리E'5(E5=E'5)도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엠프티센서(24)에 의한 대응하는 코인튜브(11), (11')내에 수용된 경화의 유무검출감도에도 편차는 발생하지 않고, 그 때문에, 코인튜브(5), (6), (7), (8), (11)의 직경을 변화시킨 별도의 코인튜브(5'), (6'), (7'), (8'), (11')을 적용해도 안정하게 대응하는 코인튜브(5'), (6'), (7'), (8'), (11')내에 수납된 경화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화지불수단(59)가 경화수용수단(5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각 코인튜브(5'), (6'), (7'), (8'), (11')의 전체폭L3이 장치본체(2)의 폭L 이하(L3≤L)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도 1, 도 2에 도시한 제어보드(31)에는 코인튜브(5), (6), (7), (8), (11)을 일체로 형성한 코인튜브군(35) 또는 코인튜브(5'), (6'), (7'), (8'), (11')를 일체로 형성한 코인튜브군(55)를 장치본체(2)내에 장착했을 때, 장착된 코인튜브군의 종류가 도 1에 도시한 코인튜브군(35)인지 또는 도 2에 도시한 코인튜브군(55)인지 또는 코인튜브군(35), 코인튜브군(55) 이외의 코인튜브군인지를 식별하는 수단 즉 코인튜브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코인튜브군의 다른 종류로서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코인튜브와 다른 직경의 코인튜브를 구비한 코인튜브군이나 5개 이외의 개수로 이루어지는 코인튜브를 일체로 형성한 코인튜브군이 있다.
이 식별수단은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 식별센서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제어보드(31)에 설치된 3련(連) 스위치와 코인튜브군(35), (55)의 배면에 각각 돌출해서 마련되고 이 3련스위치중 어느 하나를 압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카세트식별센서의 경우 코인튜브군(35)를 도 1에 도시한 장치본체(2)내에 장착하면, 그 돌기는 3련스위치의 최상단의 스위치를 조작하고, 또 코인튜브군(55)를 도 2에 도시한 장치본체(2)내에 장착하면, 3련스위치의 중간단의 스위치를 조작하도록 코인튜브군의 종류마다 그 돌기의 형성위치를 변화시키면 어떠한 종류의 코인튜브군이 장치본체(2)내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간단하게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에 따라 각 종류의 코인튜브군에 수용된 경화에 적응해서 선별기능 등의 제어 등을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의 경화처리장치(30), (50)에서는 코인튜브군은 모두 5개의 코인튜브를 병설한 것으로 했지만, 코인튜브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경화의 수 및 직경이 다른 각국 통화에 대응한 개수를 갖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경화처리장치는 자동판매기, 환전기, 서비스기기 등에 사용되고 투입경화를 돈의 종류별로 선별 수용함과 동시에 선별수용된 경화를 거스름돈으로서 지불하는 경화처리장치로서 유용하고, 특히 일정폭내에 수많은 코인튜브를 수용설치할 수 있는 경화처리장치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5)

  1. 투입경화의 정위를 판별함과 동시에 정화의 종류를 선별하는 경화선별수단(3), 선별된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함과 동시에 일정한 폭(L)내에 한층더 많은 종류의 정화를 돈의 종류마다 수용하는 경화수용수단(34) 및 수용된 정화를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선택해서 지불하는 경화지불수단(39)를 장치본체(2)내에 설치한 경화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화수용수단(34)는 상면에서 보아 각 축중심(a, b, c, d, e)를 연결하는 선(C)가 지그재그형으로 되도록 병설된 여러개의 각 코인튜브(5, 6, 7, 8, 11)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각 코인튜브(5, 6, 7, 8, 11)은 일체로 형성된 1개의 코인튜브군(35)를 이루고, 이 코인튜브군(35)는 상기 장치본체(2)내에 착탈자유롭게 장착되고,
    또, 상기 코인튜브군(35)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상기 장치본체(2)에는 제어보드(31)이 설치되고, 이 제어보드(31)에는 상기 각 코인튜브(5, 6, 7, 8)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상기 각 코인튜브(5, 6, 7, 8)에 수용된 각 정화의 유무를 검출하는 엠프티센서(20, 21, 22, 23)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코인튜브군(35)는 상기 장치본체(2)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각 코인튜브(5, 6, 7, 8)의 내주벽과 대응하는 상기 각 엠프티센서(20, 21, 22, 23)의 거리가 동일 거리(E1=E2=E3=E4)로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2)에는 상기 코인튜브군(35)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코인튜브군(35)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장치.
KR1019997006024A 1997-11-13 1998-11-09 경화처리장치 KR100321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312201 1997-11-13
JP9312201A JPH11144124A (ja) 1997-11-13 1997-11-13 硬貨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846A KR20000069846A (ko) 2000-11-25
KR100321400B1 true KR100321400B1 (ko) 2002-01-24

Family

ID=1802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024A KR100321400B1 (ko) 1997-11-13 1998-11-09 경화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61169B1 (ko)
EP (1) EP0969425A4 (ko)
JP (1) JPH11144124A (ko)
KR (1) KR100321400B1 (ko)
AU (1) AU723330B2 (ko)
CA (1) CA2277906C (ko)
MY (1) MY119826A (ko)
WO (1) WO1999026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9121B2 (en) * 2001-03-20 2004-04-13 City Of Vancouver And Cypress Solutions Inc. Coin collection cart for parking meters
JP4691647B2 (ja) * 2001-09-04 2011-06-01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受入支払装置
KR100920993B1 (ko) * 2002-11-20 2009-10-09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동전분리기
US7591361B2 (en) * 2003-07-21 2009-09-22 Corporate Safe Specialists, Inc. Horizontal coin dispenser
JP5130704B2 (ja) * 2006-12-08 2013-01-30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5698707B2 (ja) * 2012-06-18 2015-04-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NL2018089B1 (en) * 2016-12-28 2018-07-06 Suzo Int Nederland B V Coin dispen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0003A (en) * 1981-08-21 1984-07-17 Mars, Inc. Coin presence sensing apparatus
US5400891A (en) * 1990-08-10 1995-03-28 Mars Incorporated Coin test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7481A (en) * 1957-10-04 1960-10-25 Brandt Automatic Cashier Co Coin delivery machine
CH601870A5 (ko) * 1976-07-19 1978-07-14 Autelca Ag
DE2805978A1 (de) * 1978-02-13 1979-08-16 Laurel Bank Machine Co Einrichtung zum vermeiden von stoerungen in einer muenzeinwickelmaschine
JPS5819647Y2 (ja) * 1978-10-06 1983-04-22 株式会社日本コインコ カセツト式コインチユ−ブ
JPS5819647A (ja) 1981-07-29 1983-02-0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やぐらこたつ
EP0477722B1 (en) * 1990-09-20 2000-03-22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processing apparatus
GB2262982B (en) * 1991-10-16 1995-05-10 Mars Inc Coin mechanism having coin level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0003A (en) * 1981-08-21 1984-07-17 Mars, Inc. Coin presence sensing apparatus
US5400891A (en) * 1990-08-10 1995-03-28 Mars Incorporated Coin test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9425A1 (en) 2000-01-05
AU9763498A (en) 1999-06-07
WO1999026206A1 (fr) 1999-05-27
US6261169B1 (en) 2001-07-17
CA2277906C (en) 2002-04-09
CA2277906A1 (en) 1999-05-27
AU723330B2 (en) 2000-08-24
KR20000069846A (ko) 2000-11-25
MY119826A (en) 2005-07-29
JPH11144124A (ja) 1999-05-28
EP0969425A4 (en)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1400B1 (ko) 경화처리장치
US4251867A (en) Money exchanger apparatus
EP0453258B1 (en) Controller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KR920020365A (ko) 화폐정리장치
KR100353516B1 (ko) 화폐처리방법 및 장치
EP1050854A2 (en) Money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EP0310429A2 (en) Coin handling apparatus
KR20020073417A (ko) 지폐계수기
EP050560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coins
US20020162725A1 (en) Coin assorter
JPH11328468A (ja) コインチェンジャ―
CA2170471C (en) Global coin payout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AU6013700A (en) Vending machine
US6109416A (en) Method of operating a bill and coin changer
CN109255878A (zh) 钱币处理装置以及钱币处理装置的出币控制方法
JP2973385B2 (ja) 自動販売機等の硬貨選別装置
JP3761295B2 (ja) 硬貨処理装置
KR200236057Y1 (ko) 동전처리장치
US20210082223A1 (en) Coin storage unit
US20020060121A1 (en) Coin distributing device
JP2003162753A (ja) 紙幣計数機
JP3157221B2 (ja) 自動販売機
US20040226802A1 (en) Money changer for coin operated vending machines
JP4689868B2 (ja) コイン処理装置
JP3436282B2 (ja) 紙幣・硬貨等取忘れ防止機能付き両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