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109B1 - 인테그랄스킨폼을형성하는반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조성물및이로부터제조되는인테그랄스킨폴리우레탄발포체 - Google Patents

인테그랄스킨폼을형성하는반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조성물및이로부터제조되는인테그랄스킨폴리우레탄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109B1
KR100321109B1 KR1019940017018A KR19940017018A KR100321109B1 KR 100321109 B1 KR100321109 B1 KR 100321109B1 KR 1019940017018 A KR1019940017018 A KR 1019940017018A KR 19940017018 A KR19940017018 A KR 19940017018A KR 100321109 B1 KR100321109 B1 KR 100321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olyol
weight
isocyanat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421A (ko
Inventor
최근배
홍광의
신동민
Original Assignee
김평기
삼성포리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기, 삼성포리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평기
Priority to KR101994001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109B1/ko
Publication of KR96000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그랄 스킨폼을 형성하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 발포제로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아조계 화합물을 사용하므로서, 프레온을 사용할 경우 야기되는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여기서, Rl, R2, R3, R4는 지방족 또는 사이클로 지방족이고, R5, R6는 수소 또는 알킬족이고, X는 니트릴, 에스테르, 알콕시 또는 아마이드이고, Xl, X2는 산소, 황, 아미노기이다.)
아조계 화합물을 폴리올 조성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포함시키되,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0.1-20.0중량부를 용도에 따라 첨가한다. 특히 아조계 화합물로는 2,2'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또는 2,2' -아조비스(2,4-디메틸발로 니트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아조계 화합물을 발포제로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물질의 사용을 배제하면서도, 여러 물성에서 타 조성물에 뒤떨어지지 않으며, 특히 인테그랄 스킨폼에 있어서는 표면이 두껍고, 매끄러우며, 내부는 부드럽고 쿠션이 있어 전체적으로 촉감이 좋은 폼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테그랄 스킨폼을 형성하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발포체
본 발명은 인테그랄 스킨폼(Intergral skin foam)을 형성하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잘 발달된 인테그랄 스킨폼을 형성하면서도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조성물 중 발포제로 아조계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폼(form)의 형태에 따라 경질폼(hard foam), 연질폼(flexible foam) 및 반경질폼(semi hard foam)으로 나뉘어진다. 경질폼은 단열재 또는 판널 등에 사용되고, 연질폼은 스폰지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며, 반경질폼은 주로 신발의 밑창(sole), 자동차의 핸들 등에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반경질폼 중에서도 품질 및 부가가치가 높아진 인테그랄 스킨폼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즉,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겉이 매끄럽고 경도가 높으며, 외관이 고급스러운 반면, 내부는 경도가 낮은 것으로, 자동차 내장재, 헬맷, 어린이용 완구, 신발, 가구용 부품, 건축자재 등에 널리사용되고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의 폼의 단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폼> <인테그랄 스킨폼>
종래 인테그랄 스킨폼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변성 메틸 디 페닐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또는 메틸 디 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에서 선택된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와, 발포제가 첨가된 폴리올 조성물을 혼합하여 생산하였는데, 이 경우 발포제로서 프레온 가스 CFC(Freon-11)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CFC(Freon-11)는 오존층을 파괴시키는 지구환경문제를 야기시켰으며, 이의 대체 물질로서 HCFC-141b 또는 HCH-123등의 Freon-11 대체물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프레온-11 보다 그 정도가 낮을 뿐 아직도 오존층 파괴 물질로 부적합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환경오염의 방지를 위해 최근에는 발포제로서 물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로부터 생성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단열성, 칫수안정성 및 탄성이 부족하고, 특히 인테그랄 스킨폼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스킨층을 잘 형성하지 못하며, 생산공정상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오염물질의 사용을 배제하며, 탄성이 우수하고 작업공정이 간편하면서, 특히, 표면이 두껍고 매끄러우며 내부는 부드럽고 탄성이 있어 전체적으로 촉감이 좋은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환경오염물질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인테그랄 스킨폼을 형성할 수 있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을 찾기 위한 실험을 행하던바,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있어서 발포제로서 분해온도가 '폴리우레탄의 몰드 주입시 온도'와 '폴리우레탄 발포시 내부 온도' 사이에 있는 아조계 화합물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은, 폴리올 조성물과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비율은 폴리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20∼200중량부이다. 한편,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폴리올 프리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를 가지는 가지 확장제 1∼15중량부와, 기타 첨가제 1∼20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조성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100중량%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기 15∼26중량%를 가지도록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선택된다. 나아가, 발포제로서 분해온도가 폴리우레탄의 몰드 주입시 온도와 폴리우레탄 발포시 내부 온도 사이인 아조계 화합물 0.1∼20중량부를 상기 조성물의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첨가한다.
본 발명은 발포제로 분해온도가 폴리우레탄의 몰드 주입시 온도와 폴리우레탄 발포시 내부 온도 사이인 아조계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아조계 화합물은 하기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지방족기가 치환되어 있다.
(여기서, Rl, R2, R3, R4는 지방족 또는 사이클로 지방족이고, R5, R6는 수소 또는 알킬족이고, X는 니트릴, 에스테르, 알콕시 또는 아마이드족이고, Xl, X2는 산소, 황, 아미노기 이다.)
한편, 2,2' -아조비스(이소부틸로 니트릴)(ADN)은 적정온도에서 분해되어 질소가스(N2)를 약 80℃에서 생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2,2' -아조비스(이소부틸로 니트릴), 2,2' -아조비스(2-메틸부틸로 니트릴), 2,2' -아조비스(2-메틸발로니트릴), 2,2' -아조비스(2,3-디메틸부틸로 니트릴), 2,2' -아조비스(2-메틸카프로니트릴), 2,2' -아조비스(2,4-디메틸발로 니트릴), 또는 1,1' -아조비스(1-사이클로 헥실시안나이드)등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아조계 화합물로서 2,2' -디알콕시-2,2' -아조프로판을 사용해도 좋고, 방향족이 치환된 아조계 화합물로서 디아조아미노벤젠을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아조계 발포제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의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0.1∼20.0중량부를 용도에 따라 첨가한다.
한편, 주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 변성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사용한다. 먼저,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지방족,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되며, 2,4-/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2,4' -/4,4'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및 이들 유사체들이 사용된다. 한편, 변성 이소시아네이트로는, 폴리머릭MDI(Polymeric MDI)라고도 명명되며 금호 미쓰이도아쓰(주)에서 생산되는 상품명 코스모네이트 엘엘(COSMONATE LL), 코스모네이트 엘케이(COSMONATE LK), 코스모네이트 엘티(COSMONATE LT)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사용하여 합성된다. 상기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크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대부분 2,4-/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2,4' -/4,4'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의 유사체 또는 이성질체로서, 메타-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3,3' -디메톡시-4,4'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MDI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공중합 폴리올, 또는 그것을 혼합한 폴리올을 사용한다.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조성물의 프리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100중량%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기 15∼26중량%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로서 폴리올 조성물은 분자량이 750∼3000이고, 평균 작용기비(Average functionality)가 1.5∼4이며, 폴리올 프리폴리머와 가지확장제와 기타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 프리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공중합, 또는 그것을 혼합한 폴리올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폴리카르복실릭산과 폴리하이드릭 알코올이 반응하여 합성되어진다. 이때 폴리카르복실릭산으로는 옥살릭산, 말로닉산, 썩시닉산, 글루타닉산, 아디픽산, 피멜릭산, 수버직산, 아젤라익산, 세바시닉산, 브라실릭산, 타프식산, 말레익산, 푸마릭산, 글루타코닉산, α-하이드로무코닉산, β-하이드로무코닉산, 이소프탈릭산, 테레프탈릭산, 헤미멜리틱산 또는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보실릭산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폴리하이드릭알코올로는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부탄디올, 1,5-펜탄디올, 1,4-펜탄디올, 1,3-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1,1,1-트리메틸로프로판, 1,1,1-트리에틸로에탄, 헥산-1,2,6-트리올, α-메틸글루코사이드, 펜타에리쓰리티올 또는 쏘비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한국 폴리올(주)에서 생산하는 상표명 지피-3000(GP-3000), 피피-3000(PP-3000) 또는 피피-2000(PP-2000)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공중합 폴리올 또는 그것을 혼합한 폴리올은, 적용범위에 따라 폴리에테르 폴리올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비율을 1:10-10:1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폴리올 프리폴리머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3∼497.5중량부를 첨가한다.
우레탄폼의 경도등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지확장제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α , ω-알킬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톨루엔디아민, 메틸렌디아닐린 또는 메틸렌비스(오르쏘-클로로아닐린)를 사용한다. 이들은 폴리올에 비해 낮은 분자량인 31-200의 분자량을 가지며 반응성이 있는 하이드록시기(-OH) 또는 아민기(-NH2)를 갖는다.
이러한 가지확장제는 폴리올 프리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 1∼15중량부로 첨가된다.
기타 첨가제로 아민촉매와 산화방지제, 실리콘, 항균제, 난연제등은, 폴리올프리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 1∼2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촉매로는 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N,N,N' ,N' ,N"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N,N-디메틸에틸아민, 디아미노비사이클로옥탄(DABCO), N-메틸모르폴린, 메틸렌-비스-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N,N,N' ,N" ,N" -펜타메틸디프로필렌-트리아민, N,N-디에틸피퍼라진, N,N,N' -트리메틸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1-(2-하이드록시프로필)이미다졸 또는 1,4-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2-메틸피퍼라진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 프리폴리머와 가지확장제와 기타의 첨가제로 이루어진 폴리올 조성물과,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소시아네이트, 변성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의 혼합 비율은, 폴리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20∼200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폴리올 프리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 가지확장제 1∼15중량부, 기타의 첨가제 1∼20중량부를 포함하며, 또한 아조계 발포제를 상기 조성물의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0.1-20.0중량부를 첨가한다.
한편, 아조계 발포제를 적게 사용하면 발포체가 작게 형성되어 비중이 증가하고, 과량을 사용하게 되면 발포체가 크게 형성되어, 후발포(2차 발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가지확장제를 많이 첨가하게 되면 경도가 증가되고, 적게 첨가하면 경도가 감소한다. 더욱이, 아민촉매는 겔화시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서, 작업시에 영향을 미치며, 산화방지제는 과량 사용시 물성에 영향을 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플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경화제로서의 폴리올 조성물은, 폴리올 프리폴리머 에스테르폴리올과 가지확장제인 에틸렌글리콜과 아민촉매 다브코33LV와 발포제 ADN를 혼합하여 만들고, 상기 폴리올 조성물과 주제로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비율로 혼합기에 넣고 5초동안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몰드에 주입하여 폴리우레탄 반경질 몰드 발포체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발포체를 ASTM 또는 DIN에 의해 여러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실시예 2]
주제는 발포제 ADN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혼합한 것이고, 경화제는 실시예 1의 경화제에서 ADN을 제외한 것으로, 하기 표 1에서와 같은 조성비율로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반경질 몰드 발포체를 생성시켰다.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비교예 1]
발포체로 물을 사용하는 것과 하기 표 1의 조성비율로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반경질 몰드 발포체를 생성시켰다.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1]단위(중량부)
[표 2]
먼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을 살펴보면,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에 있어서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나,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발포제로 아조계화합물의 하나인 ADN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을 사용하고 비교예 1은 발포제로 물을 사용한 것으로, 표 2에는 상기 발포제들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물성이 비교되어 있다.
즉,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과 2는 성형밀도가 작음에도 불구하고(성형밀도가 작을수록 가볍고 생산비용이 저렴함을 의미), 인장강도, 인열강도, 굴곡강도 및 쇼어경도는 전혀 뒤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내마모성 수치가 낮으므로 마모가 덜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포제로 아조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발포제로 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보다 물성면에서 우수하다.
[실시예 3]
표 3과 같은 조성비율로 순간 혼합하여 몰드에 주입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생성시켰다.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실시예 4]
주제는 발포제 ADN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혼합한 것이고, 경화제로는 실시예 3의 경화제해서 ADN을 제외한 것으로,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비율로 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생성시켰다.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비교예 2]
발포제로서 50% 감소된 CFC 시스템인 H16/l2를 사용하고,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비율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인테그랄 스킨폼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생성시켰다.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비교예 3]
발포제로서 물을 사용하고,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비율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생성시켰다.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표 3]
단위(중량부)
[표 4]
실시예 3 및 실시예 4와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을 살펴보면,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에 있어서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나, 실시예 3과 실시예 4는 발포제로 아조계 화합물의 하나인 ADN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을 사용하고, 비교예 2와 비교예 3은 각각 발포제로 50% 감소된 CFC 시스템 H16/12와 물을 사용한 것으로, 표 4에 상기 발포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물성이 비교되어 있다.
즉, 실시예 3과 4에서의 굴곡강도, 쇼어강도, 내마모성을, 발포제로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비교예 2)와 비슷한 정도를 맞추기 위해 성형밀도가 어느 정도 더 커지지만, 그 만큼 실시예 3과 4는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비교예 2보다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발포제로 아조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발포제로 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보다 물성면에서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잘 발달된 인테그랄 스킨폼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서, 표 2와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발포제로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시한 문제점과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비교예의 여러 물성에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환경오염물질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13)

  1. 인테그랄 스킨폼을 형성하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조성물에 있어서,
    경화제로 폴리올 조성물과 주제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포함한 것으로서,
    폴리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20∼200 중량부로 혼합하되,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폴리올 프리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를 가지는 가지확장제 1∼15중량부와, 기타 첨가제 1∼2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조성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100중량%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기 15∼26중량%를 가지며,
    발포제로서, 분해온도가 폴리우레탄의 몰드 주입시 온도와 폴리우레탄 발포시 내부 온도 사이인 아조계 화합물을 사용하되, 상기 조성물의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0.1∼20.0 중량부로, 폴리올 조성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또는 폴리올 조성물과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각각 분할해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계 화합물은 2,2' -아조비스(이소브틸로 니트릴), 2,2' -아조비스-(2-메틸부틸로 니트릴), 2,2' -아조비스(2-메틸발로 니트릴), 2,2' -아조비스(2,3-디메틸부틸로 니트릴), 2,2' -아조비스(2-메틸카프로 니트릴), 2,2' -아조비스(2,4-디메틸발로 니트릴), 또는 1,1' -아조비스(1-사이클헥실 시안나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계 화합물은 2,2' -디알콕시-2,2' -아조프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계 화합물은 디아조아미노벤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프리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공중합 폴리올, 또는 그것을 혼합한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사용하여 합성하되,
    상기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메타-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3,3' -디메톡시-4,4 -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4' -/4,4'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사용하여 합성하되,
    상기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6-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옥살릭산, 말로닉산, 썩시닉산, 글루타닉한, 아디픽산, 피멜릭산, 수버직산, 아젤라익산, 세바시닉산, 브라실릭산, 타프식산, 말레익산, 푸마릭산, 글루터코닉산, α-하이드로무코닉산, β-하이드로무코닉산, 이소프탈릭산, 테레프탈릭산, 헤미멜릭틱산 및 1,4-사이클로 헥산-디카르보실릭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폴리카르복실릭산과,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부탄디올, 1,5-펜탄디올, 1,4-펜탄디올, 1,3-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1,1,1-트리메틸로프로판, 1,1,1-트리에틸로에탄, 헥산-1,2,6-트리올, α-메틸글루로사이드, 펜타에지쓰리티올, 및 쏘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폴리하이드릭 알코올을 반응하여 합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공중합 폴리올, 또는 그것을 혼합한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비율이 1.10∼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확장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α , ω-알킬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톨루엔디아민, 메틸렌디아닐린, 또는 메틸렌비스(오르쏘-클로로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아민촉매, 산화방지제, 난연제,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촉매는 N,N-디메틸아미노에탄올,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N,N,N' ,N' ,N"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N,N-디메틸에틸아민, 디아미노비사이클로옥탄(DABCO), N-메틸모르플린, 메틸렌-비스-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N,N,N' ,N" ,N" -펜타메틸디프로필렌-트리아민, N,N'-디에틸피퍼라진, N,N,N' -트리메틸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1-(2-하이드록시프로필)이미다졸, 또는 1.4-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2-메틸피퍼라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폼의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13. 인테그랄 스킨폼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있어서,
    경화제로 폴리올 조성물과 주제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포함한 조성물로 제조한 것으로서,
    폴리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20∼200중량부로 혼합하되,
    상기 폴리올 조성은 폴리올 프리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를 가지는 가지확장제 1∼15중량부와, 기타 첨가제 1∼2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조성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100중량%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기 15∼26중량%를 가지며,
    발포제로서 아조계 화합물은 상기 조성물의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0.1∼20.0 중량부를 폴리올 조성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또는 폴리올 조성물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분할해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발포체.
KR1019940017018A 1994-07-14 1994-07-14 인테그랄스킨폼을형성하는반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조성물및이로부터제조되는인테그랄스킨폴리우레탄발포체 KR100321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018A KR100321109B1 (ko) 1994-07-14 1994-07-14 인테그랄스킨폼을형성하는반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조성물및이로부터제조되는인테그랄스킨폴리우레탄발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018A KR100321109B1 (ko) 1994-07-14 1994-07-14 인테그랄스킨폼을형성하는반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조성물및이로부터제조되는인테그랄스킨폴리우레탄발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421A KR960004421A (ko) 1996-02-23
KR100321109B1 true KR100321109B1 (ko) 2002-06-20

Family

ID=3746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018A KR100321109B1 (ko) 1994-07-14 1994-07-14 인테그랄스킨폼을형성하는반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조성물및이로부터제조되는인테그랄스킨폴리우레탄발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31B1 (ko) 2011-06-03 2014-10-08 산동 이노 폴리우레탄 컴퍼니 리미티드 폴리우레탄 폼 타이어에 사용하는 인테그랄 미공질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2327305B1 (ko) * 2020-08-27 2021-11-17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스킨폼 일체형 암레스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4090A (en) * 1973-12-20 1977-05-17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molding polyurethane foa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4090A (en) * 1973-12-20 1977-05-17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molding polyurethane foa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31B1 (ko) 2011-06-03 2014-10-08 산동 이노 폴리우레탄 컴퍼니 리미티드 폴리우레탄 폼 타이어에 사용하는 인테그랄 미공질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2327305B1 (ko) * 2020-08-27 2021-11-17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스킨폼 일체형 암레스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421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7086B2 (en) Improved cellular plastic material
FI95141C (fi) Nestemäisiä polyisosyanaattiseoksia,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ja niiden käyttö pehmeiden polyuretaanivaahtojen valmistamiseksi
EP0135867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krozellularen oder geschäumten Formkörpern und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geeignete Verbindungen mit gegenüber Isocyanatgruppen reaktionsfähigen Gruppen
EP0022497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astischen, gegebenenfalls zellförmigen, Polyurethanharnstoffen
JPH04211417A (ja) 新規ポリイソシアネート混合物およびそれらの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における使用
KR20120052387A (ko) 연질 폴리우레탄폼 및 그 제조 방법
EP0109605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krozellularen oder geschäumten Formkörpern
FI66410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cell-polyuretan-elastomerer
KR100321109B1 (ko) 인테그랄스킨폼을형성하는반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조성물및이로부터제조되는인테그랄스킨폴리우레탄발포체
DE411503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rethangruppen aufweisenden polyharnstoff-elastomeren
US6521676B2 (en) Use of polyether-polyurethane for safety clothing
JP4556161B2 (ja) ボールリバウンド性に優れた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EP0350644A1 (en) Polyurea rin sytems having improved flow properties
KR20160139884A (ko)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한 미세기공형 폼시트용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WO2008006472A1 (de) Polyharnstoff-polyurethan-formkörpe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3269590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0511015B1 (ko) 이취발생을 억제시킨 폴리우레탄폼제조용 조성물
KR0185813B1 (ko) 연질 우레탄 폼 제조용 조성물
JPH04218520A (ja) ウレタン基含有プレポリマーとジイソシアナトトルエンとの混合物並びにその使用
JPH0718055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2006503132A (ja) 気泡質の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CN109937220B (zh) 具有足够硬度和良好挠性的聚氨酯泡沫
KR970070039A (ko)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3926127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S6377918A (ja) ポリウレタン製造用触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0811

Effective date: 199905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810100245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0811

Effective date: 199905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201005364;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706

Effective date: 200010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201005364;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706

Effective date: 20001013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31000052;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312

Effective date: 200103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310000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312

Effective date: 200103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171 Publication of correction by opposi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716

Effective date: 200705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817

Effective date: 200705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178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817

Effective date: 200705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154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716

Effective date: 20070529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