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351B1 -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351B1
KR100320351B1 KR1019990009809A KR19990009809A KR100320351B1 KR 100320351 B1 KR100320351 B1 KR 100320351B1 KR 1019990009809 A KR1019990009809 A KR 1019990009809A KR 19990009809 A KR19990009809 A KR 19990009809A KR 100320351 B1 KR100320351 B1 KR 10032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base station
signal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038A (ko
Inventor
구준모
김병무
이진익
정종민
김석규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1999000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3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2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2PB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사설교환기(PABX)와 연결 접속된 유선전화기는 물론, 이동통신망과 접속 통신하는 이동전화기(Mobile Phone)를 모두 이용하여, 특정지역내에서의 유/무선 사설전화망이 구성되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설교환장치는, 임의 기지국의 신호교환 가능 영역내에, 상기 영역보다 좁은 영역을 신호교환 가능 영역으로 하고, 상기 기지국 신호의 주파수와는 그 대역을 달리하는 송수신신호를 가지며, 이 신호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교환을 수행하는 송수신수단; 상기 송수신수단과의 신호교환을 통해, 상기 좁은 영역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이동통신 호를 처리하는 소기지국; 및 상기 소기지국을 통한 호를 처리하며, 이에 대해서는 일반 과금과 구분되는 별도의 과금방식에 의해 통신비용을 산출하는 이동통신 교환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통상의 사설교환기에 연결 접속된 유선전화기와 이동통신망에 연결 접속되는 이동전화기를 모두 수용하는 이동사설교환망을 설계 변경없이 구축 제공함으로써, 이동전화기를 통화량이 많은 구내통화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어, 구내통화로 상대방의 이동전화기를 통해 즉시 통화할 수 있으므로 업무향상과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Private exchange system comprising mobile phones}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사설교환기(PABX)와 연결 접속된 유선전화기는 물론, 이동통신망과 접속 통신하는 이동전화기(Mobile Phone)를 모두 이용하여, 특정지역내에서의 유/무선 사설전화망이 구성되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망 및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망, 예를들어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이동통신망은, 각각 할당된 통신영역인 셀(Cell)내의 이동전화기(MP)와 무선 통신하는 복수의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1,2); 상기 기지국(BTS)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3);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와 연결되어, 요청된 호 신호를 타 교환기 또는 공중전화망(6)으로 선택 교환하는 이동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4); 및 상기 이동교환기(MSC)와 공중전화망(6)간의 망간 접속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GMSC: Gateway MSC)(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공중전화망(6)에는, 특정건물 또는 특정지역내에서 유선으로연결 접속된 복수의 유선전화기(TP: Telephone)간의 사설전화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사설교환기(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r)(7)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통신망에서 이동전화(Call)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된 이동전화기로부터 발신되는 호 신호가 기지국(1)으로 무선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호 신호가 광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등과 같은 유선 케이블로 연결 접속된 기지국 제어기(3) 및 이동교환기(4)에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호 신호에 해당하는 통신서비스가 상기 이동교환기(4)에 의해 제공됨과 아울러, 상기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에 따라 해당되는 통신 요금이 산출 부과되는 데, 상기 통신서비스에는 이동전화기(MP1,MP2)간의 이동전화서비스, 또는 이동전화기와 상기 공중전화망에 연결된 유선전화기(TP)간의 이동전화서비스, 그리고 음성사서함을 이용한 날씨정보 및 증권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정보서비스 등이 있으며, 상기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에 따라 서로다른 통신 요금이 산출 부과된다.
한편, 상기 사설교환기(7)에 연결된 복수의 유선전화기(TP)는, 통상적으로 특정건물 또는 특정지역내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유선전화기(TP)간의 구내 전화 통화는, 상기 사설교환기(7)의 교환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공중전화망(6)과는 사실상 독립된 전화통화가 된다.
따라서, 공중전화망(6) 사용에 따른 전화요금이 별도로 부가되지 않을 뿐 아니라, 보다 간소화된 전화번호를 임의로 선택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를 많이 사용하는 공공기관 및 회사 등에서 이른바, 구내전화 또는 사설전화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선망에서의 사설전화 방식은, 통신영역에 제한되지 않는 이동전화 방식에는 확대 이용할 수 없어, 이동전화기로서는 상기 구내전화 방식이 갖고 있는 장점, 예를들면, 전화번호의 간소화 및 비용의 저렴화 등의 잇점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이동전화기를 이용하여 사내통화를 수행하는 횟수가 빈번해지는 요즈음, 더욱 더 문제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방식이 '가설 사설망' 방식으로, 이 방식에서는 가설 사설망에 가입된 이동전화기의 간략번호를 이동통신망의 관리서버(미도시)가 집중 관리하여 해당 간략번호로 호를 요청하면, 이 번호에 해당하는 실제 가입자 단말기 번호를 찾아서, 그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 뒤 해당 위치의 기지국을 통해서 호를 성립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가설 사설망에 가입된 단말기가 가설 사설망을 통해 통화가능한 영역이 제한되지 않고, 전국 어디에서나 가능하여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이동통신요금이 부과될 뿐 아니라, 지역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가설사설망을 구분하여 각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는 전화번호가 제한되고, 이로 인해 가설 사설망 가입자수를 확대시키기가 곤란하며, 가입자수를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가설사설망에서 사용되는 간략번호가 길어지게 되어 사설망의 잇점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지역에 국한되어 사설망과 접속되도록 하는 이동사설교환망(MPN: Mobile Private Network)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망 및 공중전화망(PSTN)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사설교환망의 통신영역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의 통신주파수 동조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호 처리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무선 송/수신기 22 : 집중/분배기
23 : 기지국 24 : 기지국 제어기
25 : 이동교환기 26 : 사설교환기
27 : 게이트웨이(Gateway) MP : 이동전화기
TP : 유선전화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장치는, 임의 기지국의 신호교환 가능 영역내에, 상기 영역보다 좁은 영역을 신호교환 가능 영역으로 하고, 상기 기지국 신호의 주파수와는 그 대역을 달리하는 송수신신호를 가지며, 이 신호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교환을 수행하는 송수신수단; 상기 송수신수단과의 신호교환을 통해 상기 좁은 영역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이동통신 호를 처리하는 소기지국; 및 상기 소기지국을 통한 호를 처리하며, 이에 대해서는 일반 과금과 구분되는 별도의 과금방식에 의해 통신비용을 산출하는 이동통신 교환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호 처리방법은, 발생된 호를 수신한 기지국을 확인하는 1단계; 상기 확인된 기지국이 구내 한정된 신호도달 영역을 갖는 기지국인 지를 판별하는 2단계;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수신된 호 착신번호의 유효성 여부를 결정하는 3단계; 및 상기 유효한 호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 식별번호를 검색하여 이에 해당하는 호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호 처리방법은, 발생된 호를 수신한 기지국을 확인하는 1단계; 상기 확인된 기지국이 구내 한정된 신호도달 영역을 갖는 기지국인지를 판별하는 2단계;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수신된 호 착신번호의 유효성 여부를 결정하는 3단계; 및 상기 유효한 호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 식별번호를 검색하여 이에 해당하는 호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PXS: Private Exchange System)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사설교환장치는, 특정지역(A1,A2,...)내에 각각 설치되어, 근접된 이동전화기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송/수신기(21); 상기 복수의 무선 송/수신기(2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집중하는 한편, 후단에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배하는 집중/분배기(22); 상기 집중/분배기(22)를 통해 전송되는 호 신호를 중계하는 소기지국(23); 상기 소기지국(23)의 중계동작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24); 상기 기지국 제어기(24)를 통해 전송되는 수신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되는 통신망을 선택 교환하고, 선택 교환된 통신망에 따라 서로다른 통신요금을 산출 부과하는 이동교환기(25); 상기 이동교환기(25)와 공중전화망(28)간의 신호방식을 변형하여 신호 교환하는 게이트웨이(27); 상기 이동교환기(25)와 공중전화망에 각각 연결되는 통상의 사설교환기(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도 2에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24)와 연결되어 상기 특정지역(A1,A2,..)들을 커버(Cover)하는 지역(B)내의 이동전화기와 이동통신 호를 통상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종래의 기지국(29)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장치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무선 송/수신기(21)는 하나의 특정건물 또는 특정지역(A1)은 물론, 서로다른 임의의 특정지역(A2)에 복수로 각각 설치되어, 인접된 이동전화기들과 RF신호로 무선 통신하는 데, 상기 이동전화기와의 사설망 통신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지역(B)에서 사용되는 통신주파수(f1)와 대역 구분되는 협대역의 통신주파수(f2)를 사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사설망에 가입된 이동전화기는, 신호 가능대역의 탐색을 상기 협대역의 통신주파수(f2)부터 수행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사설망 지역(Ax)내에서는 신호 교환이 일반 기지국(29)이 아닌 사설망 전용인 소기지국(23)과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집중/분배기(22)는, 상기 복수의 무선 송/수신기(21)와 후단에 연결된 기지국(23) 사이에 위치하며, 후단의 기지국(23)과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선 송/수신기(21)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집중하여 상기 후단에 연결된 소기지국(23)으로 전송하고, 상기 소기지국(23)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무선 송/수신기(21)로 분배한다.
그리고, 상기 소기지국(23)은 상기 집중/분배기(23)와 기지국 제어기(24) 사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상의 중계동작을 수행하는 소 용량의 이동통신에 대한 전용 기지국으로서, 기지국 제어기(24)는, 상기 소기지국(23)으로부터 입력되는 호 신호를 사설망 즉, 구내지역에서 생성된 신호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통신서비스 및 호 처리 동작에 대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사설교환망의 통신영역을 도시한 것으로,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통상의 기지국(29)이 관할하는 통신지역은, 3개의 섹터(Sectorα,β,γ)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임의의 한 섹터내에, 또는 다수의 섹터내에 구축된 이동사설교환망의 통신지역(Ax)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기지국이 사용하는 이동통신 주파수(f1)외에도 상기 통신주파수(f1)와는 대역이 다른 사설 호를 위한 통신주파수(f2)가 혼재하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이, 통상의 기지국(29)이 관할하는 통신지역(B) 일부에 포함되는 협소한 통신지역(Ax)을 갖는 이동사설교환망을 이용하기 위한 이동전화기의 통신 주파수 동조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의 통신주파수 동조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우선 가입자가, 사설망에 가입된 이동전화기(MP)의 전원을 온(On)하거나 또는 특정 키(Key) 예를들어, 통신주파수 설정 키(key)를 선택 입력하면, 이동전화기의 마이컴(Micom)(미도시)은, 동작모드를 통신주파수 동조모드로 설정(S30)하고, 상기 이동전화기의 내부 메모리(Memory)(미도시)에 저장된 협대역의 통신주파수(f2)를 독출하여, 이동사설교환망(MPN) 즉, 무선 송/수신기(21)의 신호에 동조시키는 동작을 수행(S31)한다.
이후, 상기 통신주파수(f2)에 의한 동조동작이 정상 수행되었는 지를 판별(S32)하는 데, 상기 판별결과, 협대역의 통신주파수(f2)에 의한 동조동작이 정상수행되지 않아 기지국의 파일럿(Pilot)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즉, 이동전화기가, 도 3에 도시한 특정영역(Ax)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상의 이동통신 주파수(f1)를 독출하여, 상기 기지국(29)과 동조시키는 동작(S33)을 수행시키고, 그 결과, 동조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파일럿 신호가 검출되면, 검출된 파일럿 신호의 PN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29)과의 일반 이동통신(S35)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동조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서비스 불능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협대역의 통신주파수(f2)부터 다시 독출하고, 이에 동조하는 상기 과정(S31)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판별(S32)결과, 협대역의 통신주파수(f2)에 의한 동조동작이 정상 수행되어 상기 소기지국(23)의 파일럿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소 기지국(23)의 PN코드를 이용하여 통신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설통신망에 가입된 단말기와의 호 요청 및 성립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특정지역(Ax)에 한정된 이동통신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후, 상기 무선 송/수신기(21)와의 통신이 단절(S37)되는 경우, 예를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지역(Ax)에 위치하여 이동사설교환망의 사설망 통신주파수(f2)와 동조되어 있는 사설망에 가입된 이동전화기가, 상기 특정지역(Ax)을 벗어나게 되어 상기 무선 송/수신기(21)와의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이동전화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된 일반 이동통신 주파수(f1)를 독출하여 동조시키는 동작(S33)을 수행하고, 그 결과 동조동작이 정상 수행되어 기지국(29)의 PN코드가 검출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29)과의 일반 이동통신(S35)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작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기지국에 동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설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호 처리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장치(PXS)에서의 호 처리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사설교환망의 통신지역(Ax)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전화기로부터 요청되는 호 신호가, 상기 이동전화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 설치된 무선 송/수신기(21)를 통해, 이동교환기(25)로 입력(S50)되면, 상기 이동교환기(25)는, 상기 호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이 일반 기지국인 지 또는 사설망내의 소기지국(23)인 지를 판별하여, 상기 호 신호가 일반 기지국으로부터 요청된 경우, 통상의 호 처리동작을 수행하고, 반면에 상기 호 신호가 사설망내의 소기지국(23)으로부터 요청된 경우, 상기 입력되는 호 신호의 수신자 식별정보 즉, 다이얼링 정보를 검출(S51)하고, 상기 검출된 다이얼링 정보가 사설망내에서 규정하고 있는 간략화된 사설전화번호(S52)에 해당하는 경우, 다시 유선사설 전화번호인 지 또는 이동사설 전화번호인 지를 판별(S53)한다.
상기 판별결과, 유선사설 전화번호인 경우, 요청된 호 신호가 상기 사설교환기(26)를 통해 해당 사설전화번호를 갖는 유선전화기와 연결 접속(S14)되도록 하고, 만약 상기 이동교환기(25)와 상기 사설교환기(26)간에 직접 신호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이동교환기(25)는 요청된 간략번호에 대응되는 공중전화망의 번호를 찾아서 공중전화망을 통해 구내의 유선전화기에 호를 요청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판별결과, 이동사설 전화번호인 경우, 요청된 호 신호가 다시 상기 기지국 제어기(24), 소기지국(23), 분배/집중기(22) 및 무선 송/수신기(21)를 통해 해당 사설전화번호를 갖는 이동전화기와 연결 접속되도록 하는 데, 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동교환기(25)는, 입력되는 간략화된 사설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전화기 즉, 단말기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 관리서버를 통해 확인하는 데, 상기 단말기가 현재 사설망내의 소기지국(23)이 관장하는 특정영역(Ax)내에 있는 경우, 상기 요청된 호를 상기 소기지국(23)을 통해 즉, 사설망내에서의 사설통화로 호 성립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즉, 해당 단말기가 특정영역(Ax)을 벗어나 있는 경우, 호 요청자가 사설 호를 요청하였으므로 호 성립을 시키지 않게 되며, 특정한 서비스 즉, 확장통화 조건 등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설통화가 아닌 통상의 일반 이동통화로서 호 성립시킨다.
이후, 상기 동작에 의해 연결 접속된 사설통화가 종료(S56)되면, 이에 해당하는 통신 요금을 산출하는 데, 상기 통신 요금은, 사설망 가입자와 통신업체간에 상호 협약된 사설전화 요금을 적용하여 산출 처리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사설교환망내에서 발신자와 착신자가 모두 연결되는 경우, 사전 협약에 의해 설정된 통신요금을 부과하거나 또는 무료통화가 제공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가 사설망내에서 제공하는 사설전화번호(S52)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다시 유선전화번호인 지 또는 이동전화번호인 지를 판별(S60)하고, 상기 판별결과, 유선전화번호인 경우, 요청된 호 신호가 상기 게이트웨이(27) 및 공중전화망(28)을 통해 해당 전화번호를 갖는 임의의 유선전화기와 호가 연결 접속(S61)되도록 하고, 상기 판별(S60)결과, 이동전화번호인 경우, 요청된 호 신호가 상기 기지국 제어기(24) 및 다른 특정지역에 위치한 통상의 기지국을 통해 해당 전화번호를 갖는 이동전화기와 연결 접속(S62)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동작에 의해 연결 접속된 이동통화 또는 유선통화가 종료(S63)되면, 이에 해당하는 통상의 통신 요금을 적용하여 산출 처리한다.
한편, 사설교환기(26)에 연결 접속된 유선전화기(TP)를 이용하여 사설망(Ax)내의 이동전화기(MP)와 호 성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사설교환기(26)는, 유선으로 연결 접속된 유선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다이얼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다이얼링 정보 즉, 전화번호가 자신이 교환하여 호 성립시키는 사설전화번호인 지를 판별하는 데, 만약 수신된 전화번호가 축약된 번호인 동시에 '#' 등과 같은 특수코드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면, 상기 사설교환기(26)는 자신과 직접 유선으로 연결된 임의의 해당 유선전화기(TP)와의 호 성립이 되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가 축약된 번호인 동시에 '#' 등과 같은 특수코드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화번호를 이동사설 전화번호로 판별하여, 이동교환기(25)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교환기(25)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사설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전화기의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 관리서버를 통해 확인하여, 현재 사설망내의 소기지국(23)이 관장하는 특정영역(Ax)내에 있는 해당 이동전화기와, 상기 요청된 호를 상기 소기지국(23)을 통해 즉, 사설망내에서의 사설통화로 호 성립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즉, 해당 단말기가 특정영역(Ax)을 벗어나 있는 경우, 호 요청자가 사설 호를 요청하였으므로 호 성립을 시키지 않게 되며, 특정한 서비스 즉, 확장통화 조건 등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설통화가 아닌 통상의 일반 이동통화로서 호 성립시킨다.
이후, 상기 동작에 의해 연결 접속된 사설통화가 종료되면, 이에 해당하는 통신 요금을 사전 협약에 의해 설정된 통신요금으로 부과하거나 또는 무료통화가 제공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착신자 식별정보 즉, 다이얼링 정보를 검출하여, 가입자가 요청한 호 접속요구 전화번호가 사설망내에서 제공하는 유선사설 전화번호 또는 이동사설 전화번호인 가를 판별하거나, 또는 공중전화망과 이동통신망에서 통상으로 사용되는 있는 유선전화번호 또는 이동전화번호인 가를 판별하는 동작에 대하여, 예를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입자가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를 '02-222-2222' 또는 '011-222- 2222'로 선택 요청하는 경우, 각각 공중전화망(28)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전화번호가 할당 지정된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전화기와 접속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선택 요청된 전화번호가 간략화된 번호, 예를들어, '3333' 인 경우, 이동사설교환망을 통해 '3333'에 해당하는 사설전화번호가 사설교환기(26)를 통해 할당 지정된유선전화기에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등의 특수 코드가 부가되는 경우, 즉 '3333#' 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청된 호 신호가 사설망 영역(Ax)내에 있는 해당 이동전화기에 착신되도록 하고, 가입자와 통신업체간에 사전에 협약된 사설전화 요금을 부과하거나 또는, 무료통화로 처리한다.
이 밖에도, 사설 교환기의 유선전화 번호를 호출하는 경우에 일정 시간동안 호출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 사설 교환기가 이 호를 사설 이동전화로 전환하여 호출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사설 유선전화와 사설 이동전화가 하나의 전화번호로 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은, 통상의 사설교환기에 연결 접속된 유선전화기와 이동통신망에 연결 접속되는 이동전화기를 모두 수용하는 이동사설교환망을 설계 변경없이 구축 제공함으로써, 이동전화기를 통화량이 많은 구내통화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어, 상대방이 자리로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즉시 구내통화로 상대방의 이동전화기를 이용해 통화할 수 있으므로 업무향상과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임의 기지국의 신호교환 가능 영역내에, 상기 영역보다 좁은 영역을 신호교환 가능 영역으로 하고, 상기 기지국 신호의 주파수와는 그 대역을 달리하는 송수신신호를 가지며, 이 신호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교환을 수행하는 송수신수단;
    상기 송수신수단과의 신호교환을 통해, 상기 좁은 영역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이동통신 호를 처리하는 소기지국; 및
    상기 소기지국을 통한 호를 처리하며, 이에 대해서는 일반 과금과 구분되는 별도의 과금방식에 의해 통신비용을 산출하는 이동통신 교환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은,
    상기 좁은 영역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 및
    상기 무선 송수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집중하고, 상기 소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배하는 집중/분배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망은, 상기 소기지국을 통해 발신자와 착신자가 모두 연결되는 경우에는 과금을 부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장치.
  4. 발생된 호를 수신한 기지국을 확인하는 1단계;
    상기 확인된 기지국이 구내 한정된 신호도달 영역을 갖는 기지국인 지를 판별하는 2단계;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수신된 호 착신번호의 유효성 여부를 결정하는 3단계; 및
    상기 유효한 호 착신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 식별번호를 검색하여 이에 해당하는 호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호 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구신호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호 처리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구신호는, 사설교환기를 통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호 처리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구신호는, 상기 구내 한정된 신호도달 영역을 갖는 기지국을 통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호 처리 방법.
  8. 호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1단계;
    상기 파악된 위치가 구내 한정된 신호도달 영역을 갖는 기지국의 통화영역내 인 지를 판별하는 2단계; 및
    상기 판별결과에 따라 착신 호를 성립시킬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호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착신번호는,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번호보다 적은 자릿수를 갖는 축약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장치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1019990009809A 1999-03-23 1999-03-23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KR100320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809A KR100320351B1 (ko) 1999-03-23 1999-03-23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809A KR100320351B1 (ko) 1999-03-23 1999-03-23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038A KR20000061038A (ko) 2000-10-16
KR100320351B1 true KR100320351B1 (ko) 2002-01-10

Family

ID=1957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809A KR100320351B1 (ko) 1999-03-23 1999-03-23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347B1 (ko) * 2000-05-24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호 서비스방법
KR100362569B1 (ko) * 2000-05-24 2002-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서비스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0365790B1 (ko) 2000-05-24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4224A (ko) * 2000-05-27 2000-09-05 심성식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환시스템
KR100381101B1 (ko) * 2000-11-15 2003-04-26 (주) 콘텔라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사설망 기지국 및 사설무선망과 공중 이동망간의 핸드오프 방법
KR100381100B1 (ko) * 2000-11-15 2003-04-26 (주) 콘텔라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사설망 기지국
KR100392728B1 (ko) * 2001-06-04 2003-07-28 (주)디노밴 전화 연결 장치
KR100454923B1 (ko) * 2001-09-28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공중망과 유무선 사설망이 연동된 망에서 가입자상태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54945B1 (ko) * 2001-11-28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이동통신망 및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망과 그를위한 시스템
KR100547714B1 (ko) * 2002-08-26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 호 서비스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0952443B1 (ko) * 2006-12-28 2010-04-14 사운드파이프코리아(주) 번호분석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망 운영 시스템
KR100883023B1 (ko) 2007-06-29 2009-02-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사설망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038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6823B2 (en) Location dependent service for mobile telephones
RU216097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го интерфейса вызывающего абонента в стационарной сотов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JP3141947B2 (ja) 電気通信切換回路網、好ましくは交換機からなる電話切換回路網のための回路配置
US7388854B2 (en) System for interconnecting wired and wireless phone services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AU657939B2 (en) A mobile telephone network structure
US5963863A (en) Routing system for automatically routing a call to a multi-mode transceiver in a wireless network
KR100320351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장치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US6510327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WVPN (Wireless Virtual Private Network) for CDMA
KR100612456B1 (ko) 유무선 전화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처리 방법
KR20020069535A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12323B1 (ko) 유무선 전화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100612445B1 (ko) 유무선 전화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859902B2 (ja) 移動通信追跡接続制御方式
JP3424704B2 (ja) 料金情報第3者通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14150B1 (ko) 고속 가상사설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H06269043A (ja) 無線ネットワーク間相互接続方法
RU2127494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игналов трафика данных, несущих информацию
KR100285162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전화번호해석방법 및 그 장치
JP2734376B2 (ja) 携帯電話方式の接続制御方法とその装置ならびに方式
JP3130812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100521989B1 (ko) 유무선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듀얼채널무선 단말기
KR100249833B1 (ko) 착신지원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기지국 사용 셀 구성방법
KR100258501B1 (ko) 개인통신가입자 부가서비스 원격기능제어방법
KR10066724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기반 가상 사설망서비스와 상한 요금제 서비스의 연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11746A (ko) 지능망 교환기에서의 번호이동 안내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