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728B1 - 전화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728B1
KR100392728B1 KR10-2001-0031186A KR20010031186A KR100392728B1 KR 100392728 B1 KR100392728 B1 KR 100392728B1 KR 20010031186 A KR20010031186 A KR 20010031186A KR 100392728 B1 KR100392728 B1 KR 100392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all
mobile
network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535A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디노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노밴 filed Critical (주)디노밴
Priority to KR10-2001-003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7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728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구내교환기와 이동통신망 사이에 구내교환기와 CTI 인터페이스 및 국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전화 연결 장치를 설치한다. 전화 연결 장치는 각 이동통신 사업자의 이동통신망과 직접 통화를 연결할 수 있는 이동전화 연결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이동전화 연결 모듈은 국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내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통화를 해당 이동전화망으로 직접 연결한다. 전화 연결 장치는 표준 CTI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내교환기를 제어하여 기업 내부에서 구내교환기로 전달되는 호접속 요구를 그 수신번호에 따라 구내교환기로부터 공중전화망으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전화 연결 장치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직접 연결되도록 한다. 교환기의 스위칭 기능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이동전화망으로 향하는 호접속 요구만을 직접 이동전화망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부가적인 국선을 요구하지 않고 설치가 간편하며, 전화 연결 장치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도 구내교환기를 통해 정상적인 통화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통화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화 연결 장치{telephone call rou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 전화 시스템에 덧붙여 설치가 용이하고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전화통화를 할 때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발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해줄 수 있는 통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전화를 이용한 통신의 비중이 확대되고, 기업에서도 전체 비용 중 통신비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동전화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휴대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등의 이유로 이동전화의 이용 비중은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동전화로의 통화량이 50~60%에 이르는 경우도 많다.
도 1에 종래 기술에 따른 유선전화와 이동전화의 연결 방법이 나타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업 내에서는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화들(111, 112, 113)을 연결하기 위하여 통상 구내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110)를 사용한다. 구내교환기(110)는 기업 내부 전화를 기업 외부의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기업 내의 전화(111, 112, 113)에서 기업 외부의 유선전화로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내교환기(110)를 통해 공중전화망(120)으로 연결되고 공중전화망(120) 내의 다른 유선전화와 연결된다. 이와는 달리 기업 내의 전화(111, 112, 113)에서 이동전화(131, 132)로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내교환기(110)가 직접 이동전화망(130)과 연결되지 않고, 공중전화망(120)을 거쳐 연결하고자 하는 이동전화(131, 132) 사업자의 이동통신망(130)을 통해 이동전화(131, 13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전화와 일반 공중전화는 별도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전화 사업자는 일반 공중전화망을 통해 자신의 이동전화망에 접속하는 경우에 비해 자신의 이동전화망만을 사용해 연결할 수 있는 경우에 다양한 할인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이는 이동전화 사업자가 일반 공중전화망 사용에 따른 이용료를 부담하게 되므로 당연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전화 사업자는 자신의 통신망의 트래픽 등을 고려하여 할인시간대를 적용한다든지 하는 방식의 가변 이용료 프로그램을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일반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공중전화망을 통해 이동전화로 통화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점은 이동전화에서 유선전화로 전화를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의 통화 접속 요구를 수신한 후 선택적으로 이동전화망 또는 공중전화망으로 직접 연결해주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2는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내 교환기(210)와 이동통신망(230) 및 공중전화망(220) 사이에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 장치(240)를 두어 이러한 장치 내에서 유선통신망(220)에 접속되어야 할 통화와 이동통신망(230)에 접속되어야 할 통화를 스위칭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장치(240)를 사용할 경우에는 해당 장치 내에서 모든 네트워크에 대한 신호처리를 중복적으로 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부가 장비에 요구되는 국선 수가 유선통신을 위한 국선 수의 두 배에 무선 통신을 위한 국선수를 보탠 만큼으로 매우 늘어나게 된다. 또한, 기존 교환기(210)의 스위칭에 덧붙여 부가 장치(240)에서 스위칭을 다시 한 번 하게 되므로 스위칭이 중복되고, 기업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모든 통화가 부가 장치(240)를 거쳐 전달되므로 부가 장치(24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모든 통화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적은 포트수와 간단한 기능으로 발신 전화번호와 수신 전화번호를 대조하여 저렴한 요금을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가 있다면 통화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통신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전화통화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교환기를 이용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통화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통화 연결 장치의 장애 발생시에도 모든 통화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통화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업 내부 전화와 이동전화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기업 내부 전화와 이동전화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기업 내부 전화와 이동전화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기업 내부로부터 이동전화로의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310: 구내교환기
111, 112, 113, 211, 212, 213, 311, 312, 313: 구내전화기
120, 220, 320: 공중전화망 130, 230, 330: 이동전화망
131, 132, 231, 232, 331, 332: 이동전화기
240: 유무선 통신망 접속 분리 장치 350: 전화 연결 장치(LCR)
410: CTI 인터페이스 420: CPU 모듈
430_1, 430_2, .. , 430_n: 이동전화 연결 모듈
431: 국선 인터페이스 432: DTMF 검출기
433: CDMA/PCS 모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내 교환기와 이동전화망 사이에만 연결되는 전화 연결 장치를 설치하여 공중전화망과의 전화 통화인 경우 기존의 구내교환기를 통하여 공중전화망으로 통화를 연결하고, 이동전화망과 전화 통화인 경우 전화 연결 장치를 통해 이동전화망과 연결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연결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접속 요구된 호 신호를 유선통신 경로 또는 무선통신 경로로 선택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중앙 처리 모듈, 중앙 처리 모듈과 연결되어 있으며 표준 CT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내교환기와 연결되어 중앙 처리 모듈과 구내교환기 사이에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CTI 인터페이스 모듈, 구내교환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구내교환기로부터의 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국선 인터페이스 모듈, 국선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어 있으며 구내교환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접속 요구된 호 신호의 DTMF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DTMF 검출기, 국선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어 있으며 구내교환기로부터 전달된 호 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와 호접속할 수 있는 이동전화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국선 인터페이스 모듈은 E1, T1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은 다수의 이동통신 서비스 별로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이동통신 서비스 별로 두 개 이상의 무선 송수신 모듈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전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350)의 내부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350)는 구내 교환기(310)와 이동통신망(330) 사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350)는 공중전화망과 이동전화망 중 통신비용을 줄일 수 있는 쪽으로 통화를 연결하므로 이를 최소 비용 연결 장치(LCR; least cost router)라고 이름붙일 수도 있다.
구내 교환기(310)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구내 전화기(311, 312, 313)는 구내 교환기(310)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와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구내교환기(310)는 공중전화망(320)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시에 전화 연결 장치(350)와 연결되어 있는데, 구내 전화기(311, 312, 313)로부터의 통화는 그 수신번호에 따라 공중전화망(320) 또는 전화 연결 장치(350)로 연결된다. 즉, 일반 공중전화망(320)에 속한 전화번호로 연결되어야 하는 통화는 공중전화망(320)으로 스위칭되고, 이동전화망(330)에 속한 전화번호로 연결되어야 하는 통화는 전화 연결 장치(350)를 통해 이동통신망(330)으로 직접 연결된다.
전화 연결 장치(350)는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인터페이스(410)와 국선 인터페이스(431)의 두 가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내 교환기(310)와 연결되어 있다. CTI 인터페이스(410)는 전화 연결 장치(350) 내의 CPU 모듈(420)과 연결되어 있으며, CPU 모듈(420)에 의해 구내 교환기(3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CTI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전달된다.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350)의 CTI 인터페이스(410)는 표준 CTI 인터페이스를 따르므로 기존의 구내교환기와 쉽게 연결될 수 있다.
국선 인터페이스(431)는 구내교환기(310)와 전화 연결 장치(350)사이에 CTI 인터페이스(410)와는 별개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선로를 통해 기존의 아날로그 신호나 E1 또는 T1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이동전화망(330)과 연결하기 위한 CDMA/PCS 모듈(433)로 전달한다. 한편, 국선 인터페이스(431)는 이동전화 연결에 필요한 채널 수에 따라 다수 구비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국선 인터페이스는 각각 이동전화망과의 직접 연결을 위한 이동전화 연결 모듈(430_1, 430_2, .. , 430_n)의 구성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이동전화 연결 모듈(430_1, 430_2, .. ,430_n)은 전화 연결 장치(350) 내의 CPU 모듈(420)의 제어에 따라 접속 요구된 통화를 이동전화망으로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 각 이동전화망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이와 같은 이동전화 연결 모듈(430_1, 430_2, .. , 430_n)은 서비스되고 있는 각 이동전화 사업자(011, 016 등)의 수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이동전화 사업자의 이동전화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이동전화 연결 모듈(430_1, 430_2, .. , 430_n)이 다수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각 이동전화 서비스의 가입자 수, 통화 트래픽 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각 이동전화 연결 모듈(430_1, 430_2, .. , 430_n)은 해당하는 이동전화망으로의 연결을 위한 CDMA/PCS 모듈(433)과 앞서 설명한 국선 인터페이스(411)를 포함하고 있으며, 국선 인터페이스(411) 및 CDMA/PCS 모듈(433)과 각각 연결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검출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동전화 연결 모듈(430_1, 430_2, .. , 430_n) 내의 CDMA/PCS 모듈(433)은 각 무선통신 사업자에 가입된 이동단말기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일반적인 휴대용 이동전화기가 아닌 고정된 무선 통신기로 사용된다는 점이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CDMA/PCS 모듈(433)은 구내 교환기(310)로부터 스위칭되어 국선 인터페이스(431)를 통해 전달되는 통화를 해당 이동통신망(330)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전화 연결 장치(350)를 이용하여 내부 전화기(311, 312, 313)로부터의 통화를 외부의 수신자에게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본 발명의 전화 연결 방법의 흐름도가 나타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전화 연결 장치(350)를 초기화한다(S510). 전화 연결 장치의 초기화는 전화 연결 장치(350)를 구내교환기(310)와 연결하여 설치한 후 최초의 전화 연결 전에 전화 연결을 위한 환경 설정을 위해 하는 것이며 장치(350) 설치 후 처음 한 번만 이루어지면 된다. 장치 초기화에 따라 전화 연결 장치(350)는 구내교환기(310)에 연결된 기업 내부의 전화(311, 312, 313)로부터 외부 이동전화(331, 332)로 향하는 통화를 직접 이동전화망(330)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음, 전화 연결 장치(350)는 구내교환기(310)를 통해 기업 내부 전화(311, 312, 313)의 오프훅 상태 여부를 감시하여(S520) 오프훅 상태이면 해당 내부 전화(311, 312, 313)로부터 DTMF 신호를 검출한다(S530). 검출된 DTMF 신호를 통해 수신 전화번호가 이동전화의 번호(무선번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540).
S540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 전화번호가 이동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구내교환기(310)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통화를 연결하도록 한다(S550). 이러한 경우는 수신 전화번호가 구내번호이거나 일반 공중전화망에 속한 번호인 경우이다. 구내교환기를 통한 통화 연결 방법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540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 전화번호가 이동전화번호(무선번호)인 경우에는 사용가능한 이동전화번호(무선번호)인지를 판단한다(S560). 판단 결과 사용가능한 이동전화번호(무선번호)이면 전화 연결 장치(350) 내의 해당 이동전화 연결 모듈(430_1, 430_2, .. , 430_n) 을 통해 통화를 연결한다(S570).
통화 연결 후에는 해당 이동전화번호(무선번호)와의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다(S580).
한편, S560 단계에서 수신 전화번호가 사용가능한 이동전화번호임이 판명되어 해당하는 이동전화 연결 모듈(430_1, 430_2, .. , 430_n) 을 통해 전화 연결을 하고자 할 때, 해당하는 이동전화 연결 모듈(430_1, 430_2, .. , 430_n) 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전화 연결 방식에 따라 채널을 선택한 후 선택된 채널을 통해 통화를 연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350)에서는 구내교환기(310)를 제어하여 해당 통화가 공중전화망(320)에 속한 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경우에는 공중전화망(320)을 통해 통화를 연결하고, 해당 통화가 이동전화망(330)에 속한 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이동전화망(33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이동전화 연결 모듈(430_1, 430_2, .. , 430_n)을 이용하여 직접 이동통신망(330)을 통해 이동전화(331, 332)로 통화를 연결하므로 통화 요금을 줄이면서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전화 연결 장치(350)를 통해 연결되는 통화는 해당 통화가 사용가능한 이동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고 있음이 확인된 후에 국선 인터페이스(431)를 통해 호가 수립되므로 선로의 낭비를 피하고 효율적으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350)를 사용하는 경우, 전화 연결 장치(35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구내교환기(310)를 통해 통화를 외부의 공중전화망(320)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화 연결 장치(35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모든 통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350)에 포함된 CDMA/PCS 모듈(433)은 그 자체가 각 이동통신 사업자에 가입된 이동단말기이므로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통화를 받아 이를 구내교환기(310)를 통해 기업 내부의 전화(311, 312, 313)로 연결해줄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기업 내부의 구내 교환기(310)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로 일반 유선 전화기만(311, 312, 313)을 포함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구내교환기(310)에는 팩스나 모뎀을 구비한 개인용 컴퓨터(P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330)을 통해 연결되는 상대방 단말기 역시 CDMA 또는 PCS 방식의 이동전화기(331, 332) 뿐 아니라 무선 모뎀이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업 내부의 전화로부터 일반 공중전화망에 속한 유선전화로 전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방식과 같이 구내교환기를 통해 공중전화망으로 전화를 연결하고, 기업 내부의 전화로부터 이동전화로 전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전화 연결 장치를 통해 직접 이동통신망으로 전화를 연결하게 되므로 전화 연결 장치를 사용하는 기업에서는 전화요금을 절약할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로서는 가입자 수를 늘릴 수 있고, 이용요금(공중전화망 이용요금)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전화 연결 장치는 기존 전화 교환 시스템의 변경 없이 쉽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저비용으로 쉽게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사용자에 의해 접속 요구된 호 신호를 유선통신 경로 또는 무선통신 경로로 선택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중앙 처리 모듈,
    상기 중앙 처리 모듈과 연결되어 있으며 표준 CT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내교환기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 처리 모듈과 상기 구내교환기 사이에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CTI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구내교환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내교환기로부터의 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국선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국선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내교환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접속 요구된 호 신호의 DTMF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DTMF 검출기,
    상기 국선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내교환기로부터 전달된 호 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화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접속할 수 있는 이동전화기인 전화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선 인터페이스 모듈은 E1, T1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화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은 다수의 이동통신 서비스 별로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전화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서비스 별로 구비되어 있는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이 두 개 이상인 전화 연결 장치.
KR10-2001-0031186A 2001-06-04 2001-06-04 전화 연결 장치 KR100392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186A KR100392728B1 (ko) 2001-06-04 2001-06-04 전화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186A KR100392728B1 (ko) 2001-06-04 2001-06-04 전화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535A KR20020092535A (ko) 2002-12-12
KR100392728B1 true KR100392728B1 (ko) 2003-07-28

Family

ID=2770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186A KR100392728B1 (ko) 2001-06-04 2001-06-04 전화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529B1 (ko) 2008-09-08 2010-12-30 이미경 발신 사용자 단말과 수신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회선 설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873B1 (ko) * 2006-09-21 2008-04-07 주식회사 피앤아이 물리적 증착을 이용한 삼베의 금속 코팅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497A (ja) * 1996-10-31 1998-05-29 Lucent Technol Inc コンピュータと通信交換システム間の翻訳情報の交換のための通信特徴
US5933492A (en) * 1997-01-21 1999-08-03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using multiple object states in a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system
JP2000032143A (ja) * 1998-07-09 2000-01-28 Hokkaido Oki Denki Syst:Kk コンピュータ・テレフォニ統合システム
KR20000061038A (ko) * 1999-03-23 2000-10-16 조정남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시스템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497A (ja) * 1996-10-31 1998-05-29 Lucent Technol Inc コンピュータと通信交換システム間の翻訳情報の交換のための通信特徴
US5933492A (en) * 1997-01-21 1999-08-03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using multiple object states in a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system
JP2000032143A (ja) * 1998-07-09 2000-01-28 Hokkaido Oki Denki Syst:Kk コンピュータ・テレフォニ統合システム
KR20000061038A (ko) * 1999-03-23 2000-10-16 조정남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시스템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529B1 (ko) 2008-09-08 2010-12-30 이미경 발신 사용자 단말과 수신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회선 설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535A (ko)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269B1 (ko) 인터넷 전화기 및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방법
CA234348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criber line to telephone call distribution
US20030169860A1 (en) Multi-port multi-channel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20050073995A1 (en) Voice-over-internet protocol device
KR100408678B1 (ko) 사설교환기의 내선가입자회로를 통해 접속되는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장치
KR100392728B1 (ko) 전화 연결 장치
Cisco Direct Inward Dialing for Cisco IAD2420 Series Integrated Access Devices
KR100362346B1 (ko) 가입자 선로 중계용 네트워크 교환 시스템 및 그를 활용한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025207A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KR2002000831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통화장치 및 방법
KR100244851B1 (ko) 유선전화망을 통해 통화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화수행방법
KR20000030071A (ko) 구내 무선통신용 착/발신 장치
KR100423147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용 무선접속장치 및 방법
JP2001358830A (ja) ネットワーク電話機の通信経路確立方法および通信経路制御装置
US20070165651A1 (en) Broad band transmission path modem, radio terminal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238524B1 (ko) 발신자 전화번호가 제공되는 사설교환기에 연결된디지털폰에서 착신 전환방법
KR20040099077A (ko) 인터넷 전화연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0362267Y1 (ko) 에이알에스장치와 에이씨에스장치가 통합된 목적번호접속 장치
KR100362928B1 (ko) 유/무선 변환 교환기 시스템.
KR100242699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리셋 호 서비스 방법
TW567706B (en) Communicative device
KR101045865B1 (ko) 가입자 선로 중계용 네트워크 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제공방법
KR19990052727A (ko) 전전자 교환기의 아날로그 가입자 발신번호 표시방법
KR100283759B1 (ko) 아날로그 팩시밀리 시스템의 전화/팩시밀리 공용 인터페이스
KR20040090883A (ko) Pstn-인터넷간 아날로그 호접속연동장치 및 제어절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