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310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통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통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310A
KR20020008310A KR1020000041961A KR20000041961A KR20020008310A KR 20020008310 A KR20020008310 A KR 20020008310A KR 1020000041961 A KR1020000041961 A KR 1020000041961A KR 20000041961 A KR20000041961 A KR 20000041961A KR 20020008310 A KR20020008310 A KR 20020008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phone
transfer service
landline
cal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4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8310A/ko
Publication of KR2002000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3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 H04M2215/8129Type of notification
    • H04M2215/8145Tone, e.g. beeper, sound, w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방법, 더욱 상세하게는 CDMA 휴대폰, PCS 휴대폰, 및 IMT-2000 휴대폰에 적용되어, 무선 기지국이 아닌 유선 전화망을 통해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가입자로 하여금 휴대폰을 통해 유/무선망을 겸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이동통신 사용료를 절감시켜 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보다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ALLING CELLULAR PHONE USING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휴대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휴대폰, 및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휴대폰에 적용되어, 무선 기지국이 아닌 유선 전화망을 통해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최근에는 셀룰러(Cellular) 이동통신 및 개인 휴대통신(PCS) 보급의 급증으로 전화의 개념은 유선에서 무선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그런데, 휴대폰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유선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는 가정이나 직장에서도 개인 목적의 통화는 휴대폰을 이용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휴대폰은 언제 어디서나 통화가 가능한 편리성은 있지만, 통신 요금이 유선에 비해 현저히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휴대폰의 통신 요금은 가입자 수의 증가, 단말기 가격의 인하 및 유/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점점 낮아지고 있긴 하지만, 유선 통신비와 비교할 때 아직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에 청소년 층에서 무분별한 휴대 통신의 사용으로 과도한 통신비를 지출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또한 상업 지역과 같은 지역에서는 휴대폰 사용자가 밀집되어 있어서, 무선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통신비의 문제와 무선 환경을 고려하면 유선 전화선이 인접한 환경에서는 유선 전화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휴대폰은 사용자가 가정이나 직장등과 같이 유선 전화기와 밀접해 있을 경우, 인접해 있는 유선 전화망을 통해 전화통화를 수행하도록 해주는 서비스 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불필요한 이동통신 요금을 부담할 뿐만 아니라, 상업 지역과 같이 휴대폰 사용자가 밀집한 지역에서는 무선 환경을 악화시켜 기지국의 무선용량 부족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로 하여금 휴대폰을 통해 유/무선망을 겸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 이동통신 사용료를 절감시켜 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는, 휴대폰 가입자로 하여금 유선 전화망(PSTN)을 통해 휴대폰 통화를 수행하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통화전환 서비스 요구 명령어를 셋업 메시지에 실어서 전송하는 한편, 상기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성공하면 유선 전화망(PSTN)을 통해 발/착신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폰;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요구 명령어를 수신받으면 이에 상응하는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전송하는 한편, 통화전환 서비스의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성공음 또는 오류음 정보를 수신받으면 이를 해당 제어국 및 기지국을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교환국;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수신받으면 해당 휴대폰에 대한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동작을 수행한 후 그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홈위치 등록기;
상기 휴대폰에 내/외장형으로 접속되어, 발/착신 전화 통화시 상기 휴대폰 및 유선 전화기간 호처리 데이터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제 1 UIM; 및
상기 유선 전화기에 내/외장형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UIN으로부터 호처리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를 유선 전화망을 통해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교환국에서 전송한 호처리 데이터를 유선 전화망을 통해 수신받으면 이를 상기 제 1 UIM으로 전송하는 제 2 UIM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방법은, 휴대폰이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면, 상기 휴대폰이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을 교환국으로 시도하는 제 2 단계;
상기 휴대폰이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에 대한 결과값을 수신받은 후,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성공하면, 상기 휴대폰이 자신과 접속된 제 1 UIM 및 해당 유선 전화기와 접속된 제 2 UIM을 이용하여 유선 전화망(PSTN)을 통해 발/착신 통화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휴대폰이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4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면, 상기 휴대폰이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을 상기 교환국으로 시도하는 제 6 단계;
상기 휴대폰이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에 대한 결과값을 수신받은 후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가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에서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이 성공하면, 상기 휴대폰이 무선망을 통해 정상적인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제 8 단계로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방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폰 200 : 교환국
300 : 홈위치 등록기 400 : 제 1 UIM
500 : 제 2 UIM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는 휴대폰(100), 교환국(200), 홈위치 등록기(300), 제 1 UIM(User Interface Module; 이하 UIM이라 칭함.)(400), 및 제 2 UIM(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100)은 이동통신망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단말기로써,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통화전환 서비스 요구 명령어를 셋업 메시지(Setup Message)에 실어서 상기 교환국(200)으로 전송한 후, 상기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성공하면 유선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발/착신 통화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교환국(200)은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요구 명령어를 수신받으면 이에 상응하는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로부터 통화전환 서비스의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성공음 또는 오류음 정보를 수신받으면 이를 해당 제어국(2) 및 기지국(3)을 통해 상기 휴대폰(100)으로 전송하는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는 상기 교환국(200)에서 전송한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수신받으면 그 명령어를 판독하여 통화전환 서비스의 대상인 유선 전화기(1)의 번호를 확인하고, 이후 해당 휴대폰(100)에 대한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동작을 수행한 후 그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교환국(2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UIM(400)은 상기 휴대폰(100)에 내/외장형으로 접속되어, 발/착신 전화 통화시 상기 휴대폰(100) 및 해당 유선 전화기(1)내 제 2 UIM(500)간 호처리 데이터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2 UIM(500)은 상기 유선 전화기(1)에 내/외장형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UIN(400)으로부터 호처리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를 유선 전화망을 통해 상기 교환국(200)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교환국(200)에서 전송한 호처리 데이터를 유선 전화망을 통해 수신받으면 이를 상기 제 1 UIM(4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UIM(400) 및 제 2 UIM(500)은 휴대폰(100)의 보코더(Vocoder) 신호를 유선 전화 신호(예:64Kbps PCM)으로 변환하는 기능과 그 역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 1 UIM(400) 및 제 2 UIM(500)간의 무선 접속방식으로는 AM, FM, TDMA, CDMA 및 적외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방법중 휴대폰 발신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휴대폰(100)은 자신의 키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100)의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는, "*(등록 부호) + 71(서비스 등록번호) + TDN(해당 유선 전화기 번호) + SND(종료 부호)"이다.
이때, 상기 제 1 단계(S1)에서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면(YES), 상기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통화전환 서비스 요구 명령어를 셋업 메시지에 실어서 상기 교환국(200)으로 전송한다(S2). 그러면, 상기 교환국(200)은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요구 명령어를 수신받은 후 이에 상응하는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는 상기 교환국(200)에서 전송한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수신받은 후 그 명령어를 판독하여 통화전환 서비스의 대상인 유선 전화기(1)의 번호를 확인하고, 이후 해당 휴대폰(100)에 대한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동작을 수행한 후 그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교환국(2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교환국(200)은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에서 전송한 통화전환 서비스의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성공음 또는 오류음 정보를 수신받은 후, 이를 해당 제어국(2) 및 기지국(3)을 통해 상기 휴대폰(100)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폰(100)은 상기 교환국(200)으로부터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에 대한 결과값을 수신받은 후,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이때, 상기 제 3 단계(S3)에서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성공하면(YES), 상기 휴대폰(100)은 사용자에게 성공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자신과 접속된 제 1 UIM(400) 및 해당 유선 전화기(1)와 접속된 제 2 UIM(500)을 이용하여 유선 전화망(PSTN)을 통해 발/착신 통화를 수행한다(S4).
그런후, 상기 휴대폰(100)은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100)의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는, "*(취소 부호) + 73(서비스 취소번호) + SND(종료 부호)"이다.
상기 제 5 단계(S5)에서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지 않으면(NO) 상기 휴대폰(100)은 다시 상기 제 4 단계(S4)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유선 전화망(PSTN)을 통해 발/착신 통화를 수행하는 한편,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면(YES), 상기 휴대폰(100)은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을 상기 교환국(200)으로 시도한다(S6). 그러면, 상기 교환국(200)은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수신받은 후 이를 홈위치 등록기(300)에 통보하고,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는 상기 교환국(200)으로부터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수신받은 후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홈위치 등록기(300)는 그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의 성공여부 결과값을 상기 교환국(200)으로 전송하고, 상기 교환국(200)은 그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의 성공여부 결과값을 제어국(2) 및 기지국(3)을 통해 상기 휴대폰(1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폰(100)은 상기 교환국(200)으로부터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에 대한 결과값을 수신받은 후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가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
이때, 상기 제 7 단계(S7)에서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이 성공하면(YES), 상기 휴대폰(100)은 사용자에게 성공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무선망을 통해 정상적인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S8).
반면에, 상기 제 1 단계(S1)에서 휴대폰(100)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지 않으면(NO), 상기 휴대폰(100)은 무선망을 통해 정상적인 전화 통화를 수행한 후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한다(S9).
한편, 상기 제 3 단계(S3)에서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실패하면(NO), 상기 휴대폰(100)은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을 상기 교환국(200)으로 재시도한 후 상기 제 3 단계(S3)로 진행한다(S10).
또한, 상기 제 7 단계(S7)에서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이 실패하면(NO), 상기 휴대폰(100)은 해당 유선 전화기(1)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을 상기 교환국(200)으로 재시도한 후 상기 제 7 단계(S7)로 진행한다(S1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가입자로 하여금 휴대폰을 통해 유/무선망을 겸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이동통신 사용료를 절감시켜 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보다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휴대폰 가입자로 하여금 유선 전화망(PSTN)을 통해 휴대폰 통화를 수행하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통화전환 서비스 요구 명령어를 셋업 메시지에 실어서 전송하는 한편, 상기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성공하면 유선 전화망(PSTN)을 통해 발/착신 통화를 수행하는 휴대폰;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상기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요구 명령어를 수신받으면 이에 상응하는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전송하는 한편, 통화전환 서비스의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성공음 또는 오류음 정보를 수신받으면 이를 해당 제어국 및 기지국을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교환국;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수신받으면 해당 휴대폰에 대한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동작을 수행한 후 그 성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홈위치 등록기;
    상기 휴대폰에 내/외장형으로 접속되어, 발/착신 전화 통화시 상기 휴대폰 및 유선 전화기간 호처리 데이터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제 1 UIM; 및
    상기 유선 전화기에 내/외장형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UIN으로부터 호처리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를 유선 전화망을 통해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교환국에서 전송한 호처리 데이터를 유선 전화망을 통해 수신받으면 이를 상기 제 1 UIM으로 전송하는 제 2 UIM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2. 휴대폰이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면, 상기 휴대폰이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을 교환국으로 시도하는 제 2 단계;
    상기 휴대폰이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에 대한 결과값을 수신받은 후,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성공하면, 상기 휴대폰이 자신과 접속된 제 1 UIM 및 해당 유선 전화기와 접속된 제 2 UIM을 이용하여 유선 전화망(PSTN)을 통해 발/착신 통화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휴대폰이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4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면, 상기 휴대폰이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을 상기 교환국으로 시도하는 제 6 단계;
    상기 휴대폰이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에 대한 결과값을 수신받은 후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가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에서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이 성공하면, 상기 휴대폰이 무선망을 통해 정상적인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사용자가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를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폰이 무선망을 통해 정상적인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제 9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이 실패하면, 상기 휴대폰이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을 교환국으로 재시도한 후 상기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제 10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에서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이 실패하면, 상기 휴대폰이 해당 유선 전화기로의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동작을 상기 교환국으로 재시도한 후 상기 제 7 단계로 진행하는 제 11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사용자가 휴대폰의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통화전환 서비스 등록 명령어는, "*(등록 부호) + 71(서비스 등록번호) + TDN(해당 유선 전화기 번호) + SND(종료 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사용자가 휴대폰의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통화전환 서비스 취소 명령어는, "*(취소 부호) + 73(서비스 취소번호) + SND(종료 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 통화방법.
KR1020000041961A 2000-07-21 2000-07-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통화장치 및 방법 KR20020008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961A KR20020008310A (ko) 2000-07-21 2000-07-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통화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961A KR20020008310A (ko) 2000-07-21 2000-07-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통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310A true KR20020008310A (ko) 2002-01-30

Family

ID=1967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961A KR20020008310A (ko) 2000-07-21 2000-07-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통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831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776A (ko) * 2001-10-20 2003-04-26 인포뱅크 주식회사 유무선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유무선 복합단말기
KR100500032B1 (ko) * 2002-10-08 2005-07-05 주식회사 위다스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500959B1 (ko) * 2002-11-23 2005-07-1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
KR100510100B1 (ko) * 2000-12-14 2005-08-23 주식회사 케이티 홈 컨트롤러 시스템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무선전환 제어방법
KR100565280B1 (ko) * 2003-08-01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무선전화기 겸용 장치
US9185192B2 (en) 2009-09-28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power saving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00B1 (ko) * 2000-12-14 2005-08-23 주식회사 케이티 홈 컨트롤러 시스템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무선전환 제어방법
KR20030032776A (ko) * 2001-10-20 2003-04-26 인포뱅크 주식회사 유무선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유무선 복합단말기
KR100500032B1 (ko) * 2002-10-08 2005-07-05 주식회사 위다스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500959B1 (ko) * 2002-11-23 2005-07-1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개인 무선전화 기지국 및 그의 통화 처리 방법
KR100565280B1 (ko) * 2003-08-01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무선전화기 겸용 장치
US9185192B2 (en) 2009-09-28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power saving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9224B1 (en) Method for making mobile-to-mobi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KR100365357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US5771465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mobility adjunct for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US805067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handover method
KR20040054061A (ko) 이동전화를 위한 인터넷 폰 시스템 및 인터넷 폰 서비스방법
US6021138A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system for a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US812159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holding method
KR2002000831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휴대폰통화장치 및 방법
KR19980013943A (ko) 개선된 착신 및 핸드오버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무선전화시스템
KR20010016835A (ko)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100244851B1 (ko) 유선전화망을 통해 통화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화수행방법
KR100320908B1 (ko) 사설교환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호 처리 방법
KR20020071581A (ko) 구내용 통신제어장치
KR100299566B1 (ko) 공중전화망 가입자용 이동전화 착신/발신 대행 방법 및 그 장치
KR100754450B1 (ko) 구내 무선전화 서비스에서 가상 사설망 번호를 이용하여발신자 번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10045585A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서 내선기능을 갖는 가입자접속장치
KR20020057289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공중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0400732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시스템
KR200183598Y1 (ko) 인터폰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
KR10097469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연속 통화 방법
KR100365734B1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 다이얼 톤 송출 방법
JP3055517B2 (ja) 無線装置の緊急連絡システム
KR100242696B1 (ko) 브이에이디가 없는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음성 다이얼 서비스 방법
KR100242695B1 (ko) 브이에이디가 있는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음성 다이얼 서비스 방법
KR100248102B1 (ko) 구내교환기에서 씨티-2국선 및 일반국선 선택사용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