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317B1 - 납무함유땜질합금 - Google Patents

납무함유땜질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317B1
KR100320317B1 KR1019950005048A KR19950005048A KR100320317B1 KR 100320317 B1 KR100320317 B1 KR 100320317B1 KR 1019950005048 A KR1019950005048 A KR 1019950005048A KR 19950005048 A KR19950005048 A KR 19950005048A KR 100320317 B1 KR100320317 B1 KR 100320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alloy
present
elongation
free sol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880A (ko
Inventor
니노미야류우지
마쓰나가쥰이찌
Original Assignee
미야무라 신페이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야무라 신페이, 미츠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무라 신페이
Publication of KR960017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317B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납 무함유 땜질 합금은 Ag를 x wt.%, Bi를 y wt.%, In을 z wt.%, 그리고 나머지가 Sn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x, y 및 z의 범위는 각각 아래와 같다.
x = 1 ∼ 4
y = 0.81 ∼ 5.0
z = 1.9 ∼ 12
x + 1.23y + 0.52z ≥ 5.00 (1)
x + 1.19y + 0.50z ≤ 6.90 (2)
본 발명의 땜질 합금은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납 또는 카드뮴을 함유하지 않으며, 종래의 Pb-Sn 땜납 합금과 같은 기계적 강도와 신장율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납 무함유 땜질 합금
본 발명은 종래의 납-주석으로 된 땜질 합금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가진 납 무함유의 땜질 합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땜납 합금으로서는 Pb-Sn의 공정(共晶) 조성 부근의 합금이 대표적인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Pb-Sn의 공정(共晶) 땜납보다도 강도를 높인 Zn-Cd로 된 합금 등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의 땜납은 납의 유해성이 문제로 되어있고 후자의 땜납은 카드뮴 증기가 작업자에게 미치는 영향 등이 문제로 되어 있어 근년의 환경 문제를 해소할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땜납 합금으로서 유해한 Pb 혹은 Cd 등을 함유하지 않은 아연, 주석계 땜질 합금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3.5 Ag-Sn 땜질 합금이 있으나 이 땜질 합금은 신장율은 있기는 하나 인장 강도가 낮다는 문제점을 가진 것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땜질 합금에서는 Pb-Sn 땜납 합금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나타나지 않고 유해한 Pb 혹은 Cd 등을 함유하지 않으며 기계적 특성, 특히 인장 강도와 신장율 값이 모두 실제의 땜질 작업시에 충분히 만족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땜질 합금이 요망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납 무함유 땜질 합금은 Ag를 x wt.%, Bi를 y wt.%, In을 z wt.%, 그리고 나머지가 Sn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x, y 및 z의 범위는 각각 아래와 같다.
x = 1 ∼ 4
y = 0.81 ∼ 5.0
z = 1.9 ∼ 12
x + 1.23y + 0.52z ≥ 5.00 (1)
x + 1.19y + 0.50z ≤ 6.90 (2)
본 발명의 땜질 합금은 인장 강도가 4.0 kgf/mm2이상이고, 신장율이 30% 이상이다. 이들 기계적 성질은 종래의 Pb-Sn 땜납 합금의 기계적 성질과 같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은(銀)은 소량 함유되므로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더욱이는 용융점을 저하시키고 강도와 땜납의 퍼짐성을 증대 시키며 광택을 양호하게 한다. 그렇게 하자면 1 wt.% 이상 함유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은은 값이 비싸므로 그 상한은 4 wt.%로 한다. 기타의 첨가 원소인 Bi 및 In은 상기 Ag 함유량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Pb-Sn 땜납 합금과 같은 우수한 특성인 인장 강도가 4.0 kgf/mm2이상, 신장율이 30% 이상을 만족하자면, 1∼4 wt.%의 은 함유량 범위내에서 1 wt.%, 2 wt.%, 3 wt.%, 4 wt.%에서의 Bi 및 In의 함유량이 도 1 내지 도 4의 경사선 내에 들어가도록 조정한다. 이들 도 1 내지 도 4의 관계를 판별식 (1) 및 (2)와 같이 나타냈을 경우 식 (1)의 A 값이 5.00 이상, 식 (2)의 B 값이 6.90 이하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즉, 판별식 (1)의 A 값이 5.00 미만에서는 4.0 kgf/mm2이상의 인장 강도가 되지 않고, 또한 판별식 (2)의 B 값이 6.90을 초과하면 30% 이상의 신장율을 얻을 수 없다. 이들 판별식 (1)은 도 3의 아래쪽 경계 영역을 나타내는 직선, 그리고 판별식 (2)는 도 3의 윗쪽 경계 영역을 나타내는 직선을 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합금에서의 Bi 함유량이 0.81% 이하에서는 인장 강도가 4.0 kgf/mm2이상으로는 되지 않고, 5.0% 이상에서는 신장율이 30%를 하회하여 버린다.
이 합금에서의 In의 함유량이 1.9% 이하에서는 인장 강도가 4.0 kgf/mm2이상으로는 되지 않고, 12% 이상에서는 신장율 값이 떨어지며 30%를 하회하여 버린다. 그리고 In이 비싸므로 그 상한은 4.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Sn, Ag, Bi, In, Pb를 표 1의 조성표에 나타낸 조성이 되도록 총중량으로 10㎏ 칭량(秤量)하고, 흑연 도가니를 사용하여 대기중에서 전기로에서 용해하였다. 용해 온도는 300℃로 하고, 완전히 각 금속이 용해한 후 중력편석(重力偏析)을 없애기 위해 충분히 교반하여 150 ×60 ㎜, 높이 150 ㎜의 안쪽 칫수와 주형 두께 10 ㎜의 금형에서 주조하였다. 수득한 주물의 하부로부터 JIS 4호 시험편을 기계 가공에 의해 채취하고 JIS Z2241에 준한 시험 방법으로 인장 강도와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그리고 비교를 위해 Pb-Sn 공정(共晶) 땜질 합금과 3.5 Ag-Sn 땜질 합금의 특성도 아울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1로부터 본 발명 조성 범위의 땜질 합금은 그 기계적 강도가 4.0 kgf/mm2이상이고, 신장율이 30% 이상인 값을 얻을 수 있어, 초기의 과제를 달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납 혹은 카드뮴 등을 함유하지 않으며 종래의 Pb-Sn 땜납 합금과 같은 기계적 강도와 신장율을 가진 땜질 합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땜질 합금에서의 Ag : 1 wt.%일 때 (나머지 Sn)의 In 및 Bi의 첨가량의 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땜질 합금에서의 Ag : 2 wt.%일 때 (나머지 Sn)의 In 및 Bi의 첨가량의 관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땜질 합금에서의 Ag : 3 wt.%일 때 (나머지 Sn)의 In 및 Bi의 첨가량의 관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땜질 합금에서의 Ag : 4 wt.%일 때 (나머지 Sn)의 In 및 Bi의 첨가량의 관계도.

Claims (1)

  1. Ag : x wt.%, Bi : y wt.%, In : z wt.%, 나머지가 Sn으로 된 납 무함유 땜질 합금에 있어서, x, y 및 z가 각각
    x = 1 ∼ 4
    y = 0.81 ∼ 5.0
    z = 1.9 ∼ 12
    x + 1.23y + 0,52z ≥ 5.00
    x + 1.l9y + 0.50z ≤ 6.90
    인 납 무함유 땜질 합금.
KR1019950005048A 1994-11-02 1995-03-11 납무함유땜질합금 KR100320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93880 1994-11-02
JP29388094 1994-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880A KR960017880A (ko) 1996-06-17
KR100320317B1 true KR100320317B1 (ko) 2002-04-22

Family

ID=5140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048A KR100320317B1 (ko) 1994-11-02 1995-03-11 납무함유땜질합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20317B1 (ko)
TW (1) TW2548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469A (ko) * 2014-12-31 2016-07-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Sn계 합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9452A1 (en) * 1991-02-13 1992-08-19 Lancashire Fittings Limited Lead-free soft solder for stainless steel
EP0568952A1 (en) * 1992-05-04 1993-11-10 The Indium Corporation Of America Lead-free alloy containing tin, silver and indi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9452A1 (en) * 1991-02-13 1992-08-19 Lancashire Fittings Limited Lead-free soft solder for stainless steel
EP0568952A1 (en) * 1992-05-04 1993-11-10 The Indium Corporation Of America Lead-free alloy containing tin, silver and indiu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469A (ko) * 2014-12-31 2016-07-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Sn계 합금
KR101640691B1 (ko) 2014-12-31 2016-07-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Sn계 합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54875B (en) 1995-08-21
KR960017880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05595B2 (ja) 鉛無含有半田合金
US6488888B2 (en) Lead-free solder alloys
EP0985486B1 (en) Leadless solder
US6156132A (en) Solder alloys
US6365097B1 (en) Solder alloy
JP4770733B2 (ja) はんだ及びそれを使用した実装品
JPH09216089A (ja) はんだ合金、クリームはんだ、及びはんだ付け方法
JP2012081521A (ja) Sn、AgおよびCuからなるはんだ物質
US5718868A (en) Lead-free tin-zinc-based soldering alloy
US5993736A (en) Lead-free tin-silver-based soldering alloy
JPH10314980A (ja) はんだ材料
JP3643008B2 (ja) はんだ付け方法
EP0826458B1 (en) Tin-silver-based soldering alloy
KR100320317B1 (ko) 납무함유땜질합금
JP4338854B2 (ja) スズ−ビスマス系無鉛はんだ
JPS6158541B2 (ko)
JP3784430B2 (ja) 鉛無含有半田合金
JP2001191196A (ja) ぬれ性、熱サイクル特性及び耐酸化性に優れたSn基Pbフリー半田
JPH10249579A (ja) はんだ材料
JPH0819892A (ja) 鉛無含有半田合金
KR0182081B1 (ko) 납이 미량 함유된 땜질용 주석-비스므스-납 합금
JP2001062585A (ja) はんだ合金組成物
JP2783981B2 (ja) はんだ合金
KR0156648B1 (ko) 납의 함량을 미량으로 줄인 땜질용 주석-아연-비스므스-안티몬-납 합금
JP2001071174A (ja) 錫−銀系ハンダ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