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652B1 - 점진작동식건식마찰클러치판 - Google Patents

점진작동식건식마찰클러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652B1
KR100319652B1 KR1019920004073A KR920004073A KR100319652B1 KR 100319652 B1 KR100319652 B1 KR 100319652B1 KR 1019920004073 A KR1019920004073 A KR 1019920004073A KR 920004073 A KR920004073 A KR 920004073A KR 100319652 B1 KR100319652 B1 KR 100319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material
crown
clutch plate
friction clutch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374A (ko
Inventor
필리뻬앙리옹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920018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2Composition of linings ; Methods of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2013/642Clutch-plates; Clutch-lamellae with resilient attachment of frictions rings or linings to their supporting discs or plates for allowing limited axial displacement of these rings or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마찰 클러치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2 개의 크라운형 마찰패드를 구비한 건식 마찰 클러치판의 제공되는 바, 이 클러치판은 상기 마찰패드사이에 배치된 다공성 물질의 크라운 부재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은 압축응력을 받았을때 두께가 감소되고 압축응력이 해소되었을때 원래의 두께로 복원될 수 있는 개방형 및/또는 폐쇄형의 기공을 갖는 가변성 물질이다. 이러한 다공성 물질은, 실리콘 포움, 불화 고무포움과 같은 탄성 중합체 포움과, 가스를 주입하여 기공을 형성시킨 열가소성 물질, 예를들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케톤과, 충분한 연성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포움, 예를들면 개질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점진작동식 건식 마찰 클러치판
본 발명은 건식 마찰 클러치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마찰 클러치판은 통상적으로 점진작동장치(progressive action device)를 구성하는 축방향 가변부를 구비한 금속 지지판으로 제작되며, 이 금속 지지판의 양측면에는 2 개의 크라운형 마찰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점진작동장치의 목적은, 첫째, 클러치의 결합조작시 엔진에 토오크가 급격히 걸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하고, 둘째, 클러치 표면의 변형을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지판에는 리벳이음에 의해서 마찰 라이너가 부착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각각의 마찰 라이너의 유효 두께는 고정 리벳의 머리의 레벨 외측에 놓이는 부분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클러치판의 중량은 이롭지 못하게 증가하고, 특히 클러치판의 관성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관성이 증가하면, 클러치의 해제와 동시에 기어를 변환하기가 곤란하다.
리벳이음으로 마찰패드를 부착시키는 방법 대신에, 접착제를 사용해서 금속 지지판상에 마찰패드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탄성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탄성 아암이 분리 영역내에 개재된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2,253,316 호 및 프랑스 특허 제 2,450,877 호의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0.252,583 A호에는 탄성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원형의 동심 배열 비이드 또는 밴드를 이용해서 평평한 금속 지지판상에 마찰패드를 고정시키는 다른 종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기술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물질의 아암 또는 밴드는 탄성중합체의 분포가 불균일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점진적 작동장치가 마찰패드의 영역에서 불균일하게 변형되고, 작동중에 발생하는 열이 마찰패드의 국부 제한 영역에만 집중되어 마찰패드를 조기 마모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탄성중합체 물질은 관련된 모든 영역에 유동 작용이 발생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면 유동작용에 의해서 변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클러치판에 있어서 이런 경우는 일반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결점을 배제한 클러치용 마찰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 개의 크라운형 마찰패드를 구비한 건식 마찰 클러치판이 제공되는데, 이 클러치판은 마찰패드 사이에 배치된 다공성 재료(cellular material)로 형성된 크라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는 압축 응력을 받았을 때 물질의 두께가 감소되지만 압축 응력이 해제되었을 때 원래의 두께로 복원될 수 있는 개방 및/또는 폐쇄형의 기공(pore) 또는 공동(cavity)을 갖는 가변성 재료이다.
이러한 다공성 재료는, 실리콘 포움(foam) 및 불화 고무 포움과 같은 탄성중합체 포움, 가스를 주입하여 기공을 형성한 열가소성 재료(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케톤), 충분한 연성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 포움(예를 들면, 개질 에폭시 수지)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로 제조된 크라운 요소는 마찰패드와 금속 지지판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 크라운 요소는 마찰패드와 관련된 클러치판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 크라운 요소는 서로 고정된 2 개의 금속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지지판에는 마찰패드가,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서 하나씩 부착된다.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 크라운 요소의 양측면은 접촉하고 있는 각각의 요소, 즉 지지판과 마찰패드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선택 범위내에서 조절가능한 변형 특성을 갖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방 기공과 폐쇄 공동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클러치판의 압축율을 변화시켜서 그에 따른 점진적 작동능력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재료는 1.5mm 이하의 두께에 대해서는 10 내지 75% 범위의 공극률을 가지며, 1.5mm 이상의 두께에 대해서는 10 내지 90%의 공극율을 가진다.
마찰패드는 평평한 지지부재와 연속적으로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로 고착될 수 있다. 그 결과, 마찰패드의 유효 두께, 즉 작동시 마모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 두께는 의도나 목적이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이 패드 자체의 실제 두께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마모로 인한 소정의 두께의 감소에 대해 리벳에 의해 고착되어야 하는 패드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마찰패드를 이용할 수 있다.
마찰패드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클러치판의 무게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관성도 감소된다. 이것은 차량 전동장치의 동작 조건을 상당히 개선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식 마찰 클러치판의 변형 특성도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판 내에 있는 크라운 요소에 다공성 재료를 사용하면,클러치판을 클러치의 가압판과 반응판 사이에 협지시키는 힘의 국소적인 차이에 의해 클러치판이 한 지점과 다른 한 지점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마찰패드는, 특히 반응판이 예를 들면, 가열의 영향으로 변형되는 경우, 가압판과 반응판의 편평도의 불균일성은 훨씬 쉽게 조절되어 불균일성을 보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압판 및 반응판과 마찰패드간의 유효 접촉표면이 마찰패드의 전체표면과 거의 동일하므로 마찰패드가 받는 마모가 균일하게 분배되며, 따라서, 마찰패드의 유효 작동 수명도 증가된다.
또한, 과열점(hot spot)이 국부적으로 발생함이 없이 작동시 마찰패드 상의 가열 효과의 균일한 분배가 이루어진다. 마찰 재료가 받는 마모는 그 재료의 온도가 임의의 값을 초과하면 상당히 가속되므로, 과열점의 발생을 방지하고 마찰의 분배를 최대화함으로써 마찰패드 전체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그것의 유효 수명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의 설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다.
제 1 도에 도시된 마찰 클러치판 서브-조립체는 평평한 금속판(3)을 포함하는 바, 이 금속판은 크라운 형상이나 평탄한 링 형상을 갖는 일군의 두 마찰패드(1, 5)에 대한 지지체로서 역할을 한다. 마찰패드는 지지판(3)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마찰패드(1, 5)는 지지판(3)에 고착되며, 다공성 재료로 형성된 크라운 요소(2, 4)는 접착제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평탄한 지지판(3) 및이것의 대응 마찰패드(1, 5)에 고착된다.
이러한 서브-조립체는 내측에 키홈이 형성된 허브(도시안함)와 결합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이 허브는 실제로 자동차 기어박스의 입력축인 스플라인 축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서브-조립체와 허브(도시되지 않음)간의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제 849,990 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판(3)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공개 공보 제 2 624 237A 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방식으로 허브에 고착되는 하나 이상의 카운터 플레이트와 지지판(3)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비틀림 감쇠장치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체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그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상기 명세서를 참조하길 바란다. 변형예(도시안함)에 있어서, 마찰패드 중 하나를 금속제 지지판(3)에 접착제로 직접 고착하고, 또 다른 마찰패드와 지지판 사이에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 크라운 요소를 삽입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도의 서브-조립체는 이하의 요소로 제조된다. 마찰 패드(1, 5)는 외경이 200mm이고 내경이 137mm인 크라운 형태이며, 그 두께는 1.6mm이다. 이것은 프랑스 회사 발레오에 의해 F202의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는 재료로 제작된다.
지지판(3)은 원판형상으로서, 그것의 직경은 200mm이고, 두께는 0.6mm이며 XC70 강철로 제조된다. 다공성 재질의 크라운 요소(2, 4) 각각의 외경은 200mm이고, 내경은 137mm이며, 두께는 2mm이다. 크라운 요소(2, 4)는 제네랄 일렉트릭 캄파니에서 시판되고 있는 카탈로그 제 RTF762 호의 실리콘 포움으로 제작된다. 이것의 공극율은 10% 내지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움의 폐쇄 기공의 비율은 전체 공동수의 약 60% 이다.
전술한 서브-조립체는 이하의 단계로 제조된다. 클러치판(3)은 먼저 연마공정에 의해 닦여진 다음 트리클로로에틸렌과 같은 염화용제로 탈지된다, 그런 다음 뢴-폴렝(Rhone-Poulenc)사에 의해 시판되는 카탈로그 제 A4094 호와 같은 실리콘 접착제 프라이머를, 압착 롤러(felt roller)를 이용하여, 다공성 재질의 크라운 요소(2, 4)와 접촉상태로 배치될 지지판(3)과 마찰패드(1, 5)의 각각의 양면에 도포시킨다. 초벌 피막(priming coat)을 약 30 분 동안 건조시킨 다음, 표면은 상기 뢴-폴렝사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제 CAF4 호와 같은 실리콘형 접착제로 피복된다.
그 다음 이하의 방법에 따라 서브-조립체의 최종 조립과정이 수행된다. 서브-조립체의 각종 부품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실린더의 내측에는 제 1 마찰패드(5), 다공성 재질의 크라운 요소(4), 지지판(3) 자체, 다공성 재질의 제 2 크라운 요소(2) 및 제 2 마찰패드(1)를 순서대로 배열한다. 그런 다음 실린더를 피스톤으로 밀폐하여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 상온에서 1bar의 압력을 가한다.
이렇게 얻어진 서브-조립체는 클러치 기구에 의해 걸리는 하중에 대응하는 3500N의 하중 하에서 0.8mm의 변형율을 갖게 결정할 수가 있다. 또한 마찰패드가 주름형 금속 지지체에 리벳에 의해 고착되어 있는 표준 구조와 비교해 볼 때, 관성이 20% 감소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시험대(test bed)와 차량 위에서 마찰 및 마모 시험을 수행해 본 결과 표준형 클러치판의 마찰 및 마모 성능에 비해 개선됨이 입증되었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여기에 도시된 서브-조립체는 두개의 병렬형 금속 지지판(8, 9)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지지판(8, 9)의 한쪽 외측면에는 접착제에 의해 크라운 형상의 마찰패드(6, 10)가 부착된다. 지지판(8, 9)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양자가 다(도면에 도시됨) 평평한 중앙부(8a, 9a)와, 마찰패드(6, 10)가 각각 고정되는 평평한 외측부(8b, 9b)를 갖는다. 각각의 지지판(8, 9)에 있어서, 외측부(8b, 9b)는 각각의 절곡부(knee portion)(8c, 9c)에 의해서 대응 중앙부(8a, 9a)로부터 축방향으로 편위된다. 지지판(8, 9)의 중앙부(8a, 9a)는 서로 간에 접촉 상태로 위치하고, 절곡부(8c, 9c)는 외측부(8b, 9b)가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크라운 형상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서로로부터 멀어진다. 이 간극에는 크라운 형상의 다공성 재료(7)가 채워지는 바, 이 재료는 지지판(8, 9)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부(8b, 9b)에 접착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착된다. 마찰패드(6, 10)는 각각 지지판의 대향면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다공성 재질의 크라운 요소(7)의 반경방향 치수는 대응하는 마찰패드(10)의 반경방향 치수와 동일하며, 지지판의 외측부(8b, 9b) 사이에 놓인 공간의 반경방향 내측 부분은 다공성 재료(7)가 채워지지 않는 상태로 남게 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마찰패드(6, 10)는 다공성 재질의 크라운 요소(7)와 정렬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그 서브-조립체의 형상은 제 2 도에 도 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긴 하지만, 다공성 재질의 크라운 요소(12)가 금속지지판(13, 14)의 외측부(13b, 14b) 사이에 형성된 공간 전체를 가득 채우고 있으므로, 크라운 요소(12)가 그것과 정렬되어 있는 크라운 형상의 마찰 라이너, 즉 마찰패드(16, 17)의 반경방향 크기보다 더 크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의 작동시 토오크가 마찰패드로부터 그것의 인접 지지판으로 직접 전달되므로, 다공성 재질의 크라운 요소에 작용하는 전단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조립체를 구성하는 요소는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각각의 마찰패드(6, 10)는 크라운 또는 링형상으로서 두께 1.6mm, 외경 200mm, 내경 135mm의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마찰패드는 발레오의 카탈로그 제 F202 호로 판매되는 재료로 제조된다. 각각의 지지판(8, 9)은 XC 70 강철로 제조되며, 0.3mm의 두께와, 200mm의 외경을 갖는다.
다공성 재료(7)도 역시 크라운 또는 링 형상으로서 두께 4mm, 외경 200mm, 내경 127mm의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다공성 크라운은 뢴-폴렝사의 카탈로그 제 RTV 1525 호로 판매되는 포움과 같은 실리콘형 포움 20g으로 이루어진다. 공극률은 10% 내지 90%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 3 도에 도시된 서브-조립체의 요소는 다공성 재료의 크라운 요소(12)의 내경이 115mm라는 점을 제외하면, 제 2 도의 요소와 동일한 특성 및 치수를 가짐으로써 지지판(13, 14)의 절곡부의 치수와 대응하는 치수를 갖는다.
서브-조립체는 이하의 방식에 따라 전술된 구성요소로 제조된다. 먼저 지지판에 대해, 예를 들면 염산을 사용하여 화학적 세척 단계가 수행된 후, 소다 페시베이션(soda passivation) 및 건조단계가 수행된다. 그 후, 마찰패드(6, 10 ; 16, 17)는 페놀 수지계를 갖는 접착제로 피복된다.
마찰패드(6, 10 ; 16, 17)는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각각의 지지판에 접착식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단계는 대략 180℃ 정도의 온도에서 열간 가압됨으로써 수행된다.
마찰 라이너가 접착제로 고정되는 면에 대향하는 지지판(8, 9 ; 13, 14)의 표면은 금강사 디스크를 사용하여 연마되며, 뢴-폴렝사의 카탈로그 제 A4094 호로 판매되는 것과 같은 실리콘 프라이머로 피복되기 전에, 트리클로로에틸렌과 같은 염화용제로 소제된다. 그 후, 건조단계가 30 분간 수행된다.
적절한 기계를 사용하여, 원형의 크라운 요소는 뢴-폴렝사의 카탈로그 제 RTV 1525 호로 판매되는 것과 같은 발포제를 포함하는 20g의 실리콘계 조성물로 형성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지지판(8, 9 ; 13, 14)중 하나의 초벌 피막 위에 부착된다. 사용되는 발포제의 양은 실리콘 발포층의 두께가 1.5mm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10 내지 75%의 공극률을 갖거나, 상기 두께가 1.5mm를 초과하는 경우 10 내지 90% 의 공극률을 가질 정도로 결정된다.
그 뒤, 크라운 요소는, 마찰패드가 주형의 바닥부에 위치되고 사전에 도포된 피복 재료의 밴드가 마찰패드 상부면에 배치되도록 주형(11)내에 배치된다(제 3 도). 또 다른 지지판(9, 8 ; 14, 13)은, 사전에 도포된 초벌 접착제가 상기 밴드에 접촉되고 대응 마찰패드가 주형의 상부에 놓이도록 앞서 설치된 크라운 요소의 상부에 배치된다. 주형은 피스톤(15)에 의해 폐쇄된 후, 186℃의 온도를 갖는 터널오븐 내에 위치되어 실리콘 물질이 발포 및 경화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시간동안 그 온도로 유지된다. 후자의 상태가 지속되는 중에, 발포층이 발달되어 크라운 형상의 간극을 채우게 되며, 지지판(8, 9 ; 13, 14)의 외측부(8b, 9b ; 13b, 14b)에 각각 부착된다. 따라서, 주형(11) 및 피스톤(15)은 지지판(14, 13) 사이의 최종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됨으로써 마찰 클러치판 서브-조립체는 굽형 핀(bent fin)과 리벳 이음된 마찰패드를 갖는 표준장치와 비교하여 관성이 25% 정도 감소된다. 마찰 클러치판은 클러치 기구에 의해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하는 3500N의 하중을 받는 경우, 0.9mm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시험대 및 차량에서 수행된 시험결과, 두 가지 모두 동일 마찰패드를 사용하는 표준장치와 동일하거나 월등한 마찰 능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마찰패드는 표준 장치에서보다 균일하게 마모되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동일한 조건 하에서, 각각의 마찰패드의 내경 및 외경 사이의 마멸로 인한 두께의 차이는 전술된 종류의 서브-조립체에 있어서는 0.05mm 이하인 반면, 점진 작동식 베인 및 리벳 이음된 마찰패드를 갖는 소 조립체의 경우, 마멸로 인한 두께 차이는 0.08 내지 0.1mm까지 될 수도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제 2 도에 도시된 다공성 재료의 크라운 요소(7)는 제 1 도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예비성형될 수도 있으며, 그 후, 지지판(8, 9)에 접착 고정되며, 다시 제 1 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이 수행된다.
제 2 도 및 제 3 도를 참조로 설명되는 서브-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두개의 평평한 금속 지지판이 사용되며, 이들 지지판은 다공성 재료의 삽입 또는 성형 후에 제거될 수도 있는 링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로 제조되는 크라운 요소(2, 4, 7 또는 12)는 바람직하게 서로 고정되는 일련의 기본 층들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재료가 형성되더라도, 폐쇄 및 개방형 공동의 상대적 비율뿐만 아니라 공동자체의 일반적 특성을 결정 및 조절함으로써 클러치 마찰판의 변형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공 또는 공동이 폐쇄되든 개방되든 간에 관계없이 여러 가지 형상, 특히, 구 또는 튜브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기공은 탄성 베인을 갖는 공지된 구성이나 탄성중합체 물질로 된 아암 또는 밴드와 비교하여 상당한 잇점을 갖는다.
다공성 재료로 된 크라운 요소는 다공성 재료가 형성되는 동안에, 특히, 다공성 재료가 경화되는 동안, 단순한 접착 방식에 의해 지지판 및/또는 마찰패드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선택된 다공성 재료가 감쇠 특성을 가지므로, 클러치의 해제 즉시, 클러치 마찰판이 곧 바로 초기 두께로 회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클러치가 유연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여러 가지 금속 지지판(3; 8, 9; 13, 14)은 절결부를 가짐으로써 자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도 있고, 가요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작동 중의 가능한 가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식 마찰 클러치판 서브-조립체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식 마찰 클러치판 서브-조립체의 단면도,
제 3 도는 주형내에서의 제조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식 마찰 클러치판 서브-조립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6,10,16,17: 마찰패드 2,4,7,12: 크라운 요소
3,8,9,13,14: 지지판 11: 주형
15: 피스톤

Claims (13)

  1. 2개의 크라운형 마찰패드(1, 5; 6, 10; 16, 17)를 포함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1, 5; 6, 10; 16, 17)사이에 정렬되는 다공성 재료로 형성된 크라운 요소(2, 4, 7, 12)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재료의 공극률은 그 두께가 1.5mm 이하일 경우에는 10% 내지 75%이며, 그 두께가 1.5mm 보다 클 경우에는 1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재료는 개방 또는 폐쇄형 기공이나 공동부를 가진 가변성 재료이고, 상기 기공이나 공동부는 다공성 재료가 압축 응력을 받으면, 그 두깨가 감소되도록 하며, 상기 압축 응력이 제거되면 상기 다공성 재료가 본래의 두께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재료는 실리콘 포움 및 불화 고무 포움과 같은 탄성 중합체 포움과,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케톤과 같은 재료에 기공을 형성하도록 가스를 주입하여 성형되는 열가소성 재료와, 개질 에폭시 수지와 같이 충분한 연성을 갖는열경화성 수지 포움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크라운 요소(2, 4)는 마찰패드(1, 5)와 금속 지지판(3)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5. 제 4 항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크라운 요소(2, 4)는 각각의 마찰패드(1, 5)와 관련된 지지판(3)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크라운 요소(7, 12)는 서로 고정되는 2개의 금속 지지판(8, 9; 13, 14) 사이에 배치되며, 마찰패드(6, 10; 16, 17)는 각각의 상기 지지판 상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7. 제 4 항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크라운 요소(2, 4, 7, 12)는 그것이 접촉하는 각각의 요소, 즉 지지판(3; 8, 9; 13, 14) 및 마찰패드(1, 5; 6, 10; 16, 17)상에 양측면이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8. 제 5 항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크라운 요소(2, 4, 7, 12)는 그것이 접촉하는 각각의 요소, 즉 지지판(3; 8, 9; 13, 14) 및 마찰패드(1, 5; 6, 10; 16, 17) 상에 양측면이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식 마찰 클러치판.
  9. 제 6 항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크라운 요소(2, 4, 7, 12)는 그것이 접촉하는 각각의 요소, 즉 지지판(3; 8, 9; 13, 14) 및 마찰패드(1, 5; 6, 10; 16, 17)상에 양측면이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10.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금속 지지판(8, 9; 13, 14)은 평평한 중앙부(8a, 9a; 13a, 14a)와 평평한 외측부(8b, 9b; 13b, 14b)를 가지며, 상기 마찰패드(6, 10; 16, 17)는 상기 외측부상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8, 9; 13, 14)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외측부(8b, 9b; 13b, 14b)는 축방향으로 편위되어 2개의 지지판(8, 9: 13, 14) 사이에 크라운형 공간부를 한정하며, 다공성 재료의 상기 크라운 요소(7, 12)가 상기 크라운형 공간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지지판은 중앙부(8a, 9a; 13a, 14a)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11.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금속 지지판(8, 9; 13, 14)은 평평한 중앙부(8a, 9a; 13a, 14a)와 평평한 외측부(8b, 9b; 13b, 14b)를 가지며, 상기 마찰패드(6, 10; 16, 17)는 상기 외측부 상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8, 9; 13, 14)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외측부(8b, 9b; 13b, 14b)는 축방향으로 편위되어 2개의 지지판(8, 9; 13, 14) 사이에 크라운형 공간부를 한정하며, 다공성 재료의 상기 크라운 요소(7, 12)가 상기 크라운형 공간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지지판은 중앙부(8a, 9a; 13a, 14a)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12.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금속 지지판(8, 9; 13, 14)은 평평한 중앙부(8a, 9a; 13a, 14a)와 평평한 외측부(8b, 9b; 13b, 14b)를 가지며, 상기 마찰패드(6, 10; 16, 17)는 상기 외측부상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8, 9; 13, 14)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외측부(8b, 9b; 13b, 14b)는 축방향으로 편위되어 2개의 지지판(8, 9; 13, 14) 사이에 크라운형 공간부를 한정하며, 다공성 재료의 상기 크라운 요소(7, 12)가 상기 크라운형 공간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지지판은 중앙부(8a, 9a; 13a, 14a)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13.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금속 지지판(8, 9; 13, 14)은 평평한 중앙부(8a, 9a; 13a, 14a)와 평평한 외측부(8b, 9b; 13b, 14b)를 가지며, 상기 마찰패드(6, 10; 16, 17)는 상기 외측부 상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8, 9; 13, 14)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외측부(8b, 9b; 13b, 14b)는 축방향으로 편위되어 2개의 지지판(8, 9; 13, 14) 사이에 크라운형 공간부를 한정하며, 다공성 재료의 상기 크라운형 요소(7, 12)가 상기 크라운형 공간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지지판은 중앙부(8a, 9a; 13a, 14a)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마찰 클러치판.
KR1019920004073A 1991-03-12 1992-03-12 점진작동식건식마찰클러치판 KR100319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02966A FR2673984B1 (fr) 1991-03-12 1991-03-12 Disque de friction progressif pour embrayage a frottement a sec.
FR9102966 1991-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374A KR920018374A (ko) 1992-10-21
KR100319652B1 true KR100319652B1 (ko) 2002-03-20

Family

ID=941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073A KR100319652B1 (ko) 1991-03-12 1992-03-12 점진작동식건식마찰클러치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314052A (ko)
EP (1) EP0504033B1 (ko)
JP (1) JPH05141436A (ko)
KR (1) KR100319652B1 (ko)
BR (1) BR9200832A (ko)
DE (1) DE69200599T2 (ko)
ES (1) ES2065748T3 (ko)
FR (1) FR2673984B1 (ko)
MX (1) MX92010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7267B1 (fr) * 1995-07-28 1997-09-05 Valeo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GB2318620B (en) * 1995-10-20 1999-04-14 Exedy Corp Friction coupling device
JPH09112570A (ja) * 1995-10-20 1997-05-02 Exedy Corp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クラッチディスク組立体の摩擦連結部及びクラッチディスク組立体
JPH1047454A (ja) * 1996-05-29 1998-02-20 Exedy Corp 湿式摩擦板、湿式動力断続機構、湿式クラッチ及び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FR2764019B1 (fr) 1997-05-30 1999-07-16 Valeo Disque de friction progressif pour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FR2887605B1 (fr) * 2005-06-23 2007-08-24 Valeo Materiaux De Friction Sa Element de progressivite pour friction d'embrayage
CN105229327B (zh) * 2013-05-01 2017-12-29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包括被连接芯板的摩擦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3134U (ko) * 1980-03-10 1981-10-08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2991A (en) * 1929-03-14 1932-06-14 Gen Motors Corp Disk clutch
US2253316A (en) * 1938-07-26 1941-08-19 Borg Warner Rivetless drive plate
FR849990A (fr) * 1939-02-07 1939-12-05 Ferodo Sa Perfectionnements aux disques d'embrayage
US3231058A (en) * 1962-02-19 1966-01-25 Raybestos Manhattan Inc Friction device
US3961829A (en) * 1972-09-20 1976-06-08 Dunlop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silient mountings
DE2363692A1 (de) * 1973-12-21 1975-07-03 Autopatent Verwertungs Gmbh Elastische reibungskupplungslamell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trockenreibungskupplungen
DE2619536A1 (de) * 1976-05-04 1977-11-24 Bernd Ing Grad Hillig Reibungskupplung mit elastischer zwischenlage
FR2450978A2 (fr) * 1977-02-28 1980-10-03 Citroen Sa Frein de stationnement a disque
DE2847099A1 (de) * 1978-10-30 1980-05-14 Siemens Ag Halterung fuer kalottenlager
US4353537A (en) * 1981-03-30 1982-10-12 James Koufos Securing and clamping device
US4433594A (en) * 1981-04-24 1984-02-28 Borg-Warner Corporation Variable pulley transmission
US4436193A (en) * 1981-04-24 1984-03-13 Borg-Warner Corporation Variable pulley transmission
GB8615230D0 (en) * 1986-06-21 1986-07-23 Automotive Prod Plc Friction material & carrier plate assembly
GB8615874D0 (en) * 1986-06-28 1986-08-06 Automotive Prod Plc Friction material & carrier plate assembly
FR2624237B1 (fr) * 1987-12-08 1992-04-17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n particulier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GB8730164D0 (en) * 1987-12-24 1988-02-03 Automotive Prod Plc Friction facing material & carrier assembly
FR2652397B1 (fr) * 1989-09-22 1995-06-02 Valeo Friction d'embrayage a faible inerti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658882A1 (fr) * 1990-02-27 1991-08-30 Valeo Friction d'embrayage a faible inerti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3134U (ko) * 1980-03-10 1981-1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00599T2 (de) 1995-03-23
JPH05141436A (ja) 1993-06-08
EP0504033A1 (fr) 1992-09-16
FR2673984A1 (fr) 1992-09-18
FR2673984B1 (fr) 1995-05-05
BR9200832A (pt) 1992-11-24
EP0504033B1 (fr) 1994-11-02
MX9201088A (es) 1992-09-01
KR920018374A (ko) 1992-10-21
US5314052A (en) 1994-05-24
DE69200599D1 (de) 1994-12-08
ES2065748T3 (es)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2389B2 (ja) 乾式クラッチ被動板用摩擦フェ−シング材料およびキャリヤ集合体
US4529079A (en) Cushion-bonded driven disc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CA1117448A (en) Brake pad for disc brakes
JP5902200B2 (ja) 複合型ブレーキディスク
US5199540A (en) Friction facing material and carrier assembly
KR100319652B1 (ko) 점진작동식건식마찰클러치판
US4747476A (en) Methods of making clutch driven plates
US5289904A (en) Sound dampener for disk brakes
EP0442539A2 (en) Friction facing material amd carrier assembly
MX2007016222A (es) Elemento de progresividad para un dispositivo de friccion de embrague.
US4678071A (en) Diaphragm spring clutch cover assembly
JPH0571816B2 (ko)
EP0191578B1 (en) Diaphragm spring clutch cover assembly
JPS6332986Y2 (ko)
KR100332044B1 (ko) 접착식마찰부재와이마찰부재의제조방법및장치
GB2191831A (en) Friction material and carrier plate assembly
US69947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hering friction material to core plate for lockup clutch
WO1991010837A1 (en) Bonding method and assembly for use therein
FR2677721A1 (fr) Disque de friction progressif pour embrayage a frottement a sec.
JPS6170225A (ja) レジンモ−ルドクラツチフエ−シング
RU2574307C2 (ru) Тормозная колодка для дисковых тормоз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GB2384034A (en) Clutch friction element with stops to limit cushioning
JPH0730803B2 (ja) ドラム式ブレーキ・クラッチ
JP2004257428A (ja) クラッチディスク及びクラッチディスク組立体
JPS6272928A (ja) クラツチデイ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