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044B1 - 접착식마찰부재와이마찰부재의제조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식마찰부재와이마찰부재의제조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044B1
KR100332044B1 KR1019950705084A KR19950705084A KR100332044B1 KR 100332044 B1 KR100332044 B1 KR 100332044B1 KR 1019950705084 A KR1019950705084 A KR 1019950705084A KR 19950705084 A KR19950705084 A KR 19950705084A KR 100332044 B1 KR100332044 B1 KR 10033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adhesive
seat
friction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588A (ko
Inventor
더글라스 볼드윈
Original Assignee
쥐.비. 툴스 앤드 컴포넌츠 엑스포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쥐.비. 툴스 앤드 컴포넌츠 엑스포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쥐.비. 툴스 앤드 컴포넌츠 엑스포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60702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69/0416Attachment of linings specially adapted for curved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41Mechanical interlocking, e.g. roughened lining carrier, mating profiles on friction material and lining carr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5Bonding
    • F16D2069/0466Bonding chemical, e.g. using adhesives, vulcanising
    • F16D2069/0475Bonding chemical, e.g. using adhesives, vulcanising comprising therm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83Lining or lining carrier material shaped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91Tools, machines,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28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bending, drawing or stretch forming sheet to assume shape of configured lamina while in contact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85Assembling or joining with coating before or during 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6Metal deforming with nonmetallic bo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마찰라이닝(16)이 고온에서 경화된 열경화성 접착제 수지(20)만에 의해 슈동체(11)의 좌대(12)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슈가 주면(17, 18)에만 가해지고 보조면(19)에 가해지지 않는 작은 속박압력을 가하는 압면과 좌대사이에 접착제로 샌드위치되는 생라이닝부재를 형성하도록 압연되는 미경화된 열경화성 바인더 및 섬유보강물질을 포함하는 마찰물질을 갖는다. 접착제 수지 및 라이닝 부재는 좌대의 제위치에서 좌대와 일치하도록 함께 경화된다. 속박압력은 주면에 약하게 작용하되, 미속박된 보조면으로부터의 가스탈출, 내부에서의 가스발생으로 경화되는 마찰물질이 두께가 팽창하거나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도록 길게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면의 작은 변화만으로 라이닝 두께가 감소하여 라이닝 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Description

접착식 마찰부재와 이 마찰부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접착된 물품, 특히 열경화된 열경화수지 접착제만으로 마찰라이닝이 지지체(carrier) 또는 동체의 좌대(platform)에 접착되는 소위 접착식 마찰부재와 이 마찰부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원통형으로 만곡된 드럼형 브레이크 슈를 포함하는 마찰부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나,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평평한 디스크형 브레이크 슈를 포함하는 마찰부재 및 클러치 장치내에 사용되는 유사한 타입의 마찰부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중 "슈(shoe)"는 원칙적으로 원통형으로 만곡된 라이닝이 설치되는 원통형으로 만곡된 좌대를 갖는 지지체 또는 동체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일반적인 의미로는 디스크등과 같은 평평한 표면에 의해 결합하도록 상응하는 평평한 마찰라이닝이 설치되는 평평한 좌대 또는 지지판을 갖는 구조물를 포함하므로, 클러치 장치와 유사한 관계로 마찰라이닝을 갖는 어떤 형태의 지지체 또는 동체의 사용에도 관계없다.
마찰 라이닝이 동체에 접착제로 접착되는 마찰부재는 특히 경차량용 등의 브레이크 슈형태로 사용되며 리벳, 클립, 플러그 등등과 같은 연결부품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라이닝이 좌대에 고정되는 마찰부재와는 구별된다.
본 발명은 접착식 슈에만 관련된 것이나 여기에서 설명된 발명은 기계적으로고정된 라이닝과 관련하여 제조과정을 어느정도 고려하여 설명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잘 이해될 것이다.
기계적으로 고정된 라이닝(이 라이닝도 부가적으로 접착제로 접착될 것이다)은 수많은 제조단계를 필요로하나 슈동체 및 좌대의 크기/비용면에서 새 라이닝에 재사용을 필요로할 때 및/또는 적어도 현재까지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왔던 것 보다 훨씬 안전한 크기의 제동전단력을 필요로할 때 바람직할 것이다.
작동조건 및 비용요소면에서 접착제로 접착된 라이닝 사용이 가능한 경우, 이러한 슈는 적어도 브레이크라이닝을 슈좌대에 고정하는 면에서 보다 저렴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나, 특히 브레이크 마찰라이닝 제조가 일반적으로 두 형태에 대해 유사하게 행해진다 하여도 비용감소가 항상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열경화성 액상수지의 기지(matrix), 예를들면 페놀수지, 니트릴 고무 공중합체 기지내에 여러 마찰조정재료를 구성시키고 여러 섬유로 보강시켜 단단한 구조물을 형성시키도록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마찰라이닝을 형성시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원통형으로 만곡된 좌대를 갖는 슈동체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액상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원호상의 마찰라이닝 세그먼트를 가소성 상태에서 롤 성형시켜 보강섬유를 정렬시키고, 고온에서 수지기지를 경화시키기전에 재료의 두께와 밀도 및 라이닝 곡률을 갖는 세그먼트를 제조하는것 역시 공지되어 있다. 롤 성형된 마찰부재 라이닝에서 보강섬유는 주면(major faces)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향이있으며, 수지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생성형(green form) 상태에서는 틈공동 때문에 이론상 최대치 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며, 부재를 고온처리하여 수지기지를 경화시키면 휘발성분(수분포함)의 가스나 증기의 기화 및 어느정도는 일부 구성성분의 산화에 의해 부재가 팽창 또는 부풀게 되며, 수지기지가 경화되어 고화되면 밀도가 감소하나 경화가 끝나기전 일부 가스나 증기들이 표면으로부터 탈출하며 구조물을 파손시키기도 한다.
섬유가 배열된 방향으로의 우선적인 팽창 및 최소 칫수 방향으로의 팽창경향에 의해 라이닝 부재에 대한 실제상 효과는 두께를 증가시키고 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증기들을 탈출시키면서 가압경화시키는것에 의해 가한 압력의 함수로 부재의 밀도증감을 제어할 수 있으며, 라이닝 구조물의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대응하는 부피변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 역시 공지되어 있다. 라이닝 부재에서, 가장 고려할 점은 경화된 라이닝의 밀도 및 두께이며, 이를 위해 라이닝 물질은 약간 증가된 밀도를 갖도록 경화된, 기본적으로 단단한 재질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압연될 물질의 주면에 가해진 적당한 압력으로 모울드 또는 프레스에서 경화되는 것이 보통이다. 경화된 라이닝은 단단하고, 재질은 상당한 압축하중을 견딜 수 있지만, 그 길이가 그 두께를 약간 초과하게 되면 길이 방향으로 약간의 탄성이 있게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원호상의 경화된 라이닝은 개별적으로 롤 성형 및 경화 또는 상당히 경화된 원호상 판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절취하여 생성도나, 생성된 단단한 라이닝의주(major) 및 보조(minor)면은 슈좌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라이닝의 최종칫수 및 곡률에 맞도록 가공된다.
성형 및 가공공정은 접착 또는 리벳으로 고정된 라이닝에 공통된 것으로, 좌대에 대한 최적 지지를 달성하기 위한 치수 정밀성의 필요성 뿐만 아니라, 후자형에서 리벳구멍등의 정확한 드릴가공을 위해 라이닝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다.
슈동체 좌대에 경화된 라이닝을 접착시키기 위해, 좌대 또는 치수가공된 라이닝의 방사상 내측주면은 열경화성, 수지접착제, 흔히 페놀계로 코팅되며, 라이닝은 라이닝과 좌대사이의 배열 및 최대 접착접촉을 확실하게 하도록 상응하는 또는 약간 큰 곡률반경의 슈좌대와 접촉하도록 압착된다.
라이닝은 가요성 금속 스트립과 같은 정합면, 또는 가요성 밴드가 연속배열된 한쌍의 슈 주위로 연장되는 조립체에 의해 가압되며, 이 조립체는 접착수지의 온도를 올리며 통상 접착압력(bonding pressure)으로 불려지는 라이닝 표면의 가압 상태에서 경화를 달성하기 위해 경화 오븐과 같은 가열장치를 지나가게 된다.
접착식 브레이크 슈 제조용 접착조립체의 일예가 영국특허 제 GB-A-1370261 호에 설명되어 지는데, 연속배열된 한쌍의 슈동체가 좌대와 가요성 밴드사이에 라이닝을 위치시키기 위해 이격된다.
양단부가 고정된 짧은 가요성 스트립이 라이닝과 접착제가 위치된 단일좌대에 대해 압착되는 유사한 접착조립체가 특허 제 DD-A-137466 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가요성 스트립 대신, 라이닝 블록으로부터 만들어진 라이닝이 가요성 스트립이나 밴드에 의해 제공되는 것 보다 견고한 압면에 의해 슈좌대에 대해 가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가 영국특허 제 GB-A-1391962 호에 설명되어 있다.
슈좌대에 접착된 라이닝은 마찰 물질의 단일블록 또는 보다 짧은 블록들의 조립체를 포함한다는 것은 공지기술로부터 명백하다. 상세한 설명에서 편의상 라이닝 및 라이닝 부재란 용어는 단수로 사용되나 다른 설명이 없는한 라이닝 부재로된 다수의 라이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공지기술은 좌대와 최상의 일체화를 확보하여 접착제 수지가 채워지지 않는 라이닝과 좌대사이의 틈이 존재하지 않도록 경화된 단단한 라이닝에 상당한 압력을 가할 필요를 갖고 있다. 어떠한 틈도 접착면적을 감소시켜 접착 강도를 감소시킨다.
균일하게 평활하지 않은 좌대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고 슈동체 제조로 인한 형상변화를 고려할 때, 라이닝을 좌대로부터 이격 유지시키거나 및/또는 접착압력하에 변부로부터 압출될 정도로 두껍지 않으면서 라이닝이 슈동체내 연결부와 겹치는 곳에 미접착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접착수지의 적당히 두꺼운 층을 갖을 필요가 있다.
작업시 라이닝 내 매입(beddiing-in)을 위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고 라이닝 양단부에서의 부적당한 접착에 의해 사용시 초래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착압력은 라이닝의 길이를 따라 동일하지 않게 가해진다 : 라이닝의 방사상 외측면 보다 약간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스트립으로 및/또는 좌대를 라이닝의 방사상 내측면보다 약간 큰 곡률반경을 갖게 하며 라이닝 중앙부에 부가적인 압력을 가하여 단단한 라이닝 양단부를 탄성이격시킴으로써, 단부영역에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경부하 라이닝용 스트립면과 결합하는 라이닝과 슈동체 사이에 실제상으로는 0.685-1.03 Mpa (100-150 Psi)의 압력이 필요하다고 인정되고 있다.
슈좌대에의 라이닝 접착은 상대적으로 몇몇단계만을 필요로 하지만, 라이닝 생산 및 준비과정은 주조 정밀성 및/또는 슈에 꼭 맞게 하도록 하는 기계가공 작업으로 상당한 노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작업시의 노력 및 숙련화비용외에도 사용되지 않고 작업환경내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건(dry) 폐자재 및 먼지생성이 있게된다. 이런 상황은 리벳팅을 위해 경화된 라이닝에 구멍이 드릴가공되는 곳에서는 필연적인 반면, 접착제로 접착된 마찰라이닝을 갖는 브레이크슈의 저렴한 제조에는 제한 요소가 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경화된 마찰라이닝 생산 및 이를 좌대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키는 것과 관련된 모울딩 및 필연적인 기계가공단계를 피하기 위해, 부재의 미변형된 부분과 좌대사이에 열경화수지 접착제의 부가적인 층이 있든 없든간에, 완전히 치밀화되었으나(densified) 열경화 수지기지가 미경화된 것 외에는 무정형인 라이닝 부재가 구멍뚫린 좌대에 위치되고 부재의 부분들을 구멍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두둘겨서 고온에서의 수지경화중 및 후에 라이닝을 좌대에 유지시키는 기계적 결합을 초래하도록 하는 방법이 미국 특허 제 US-A-4452356 호에 개시되어 있다. 라이닝 수지의 경화시 모울딩 장치제거를 목적으로 한 것이나, 제동시 고소음발생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는 완전치밀화된 마찰물질 사용 및 라이닝에 일체화된 물질임에도 단지 접착시킨 라이닝과 관련된 조립체의 간결성에 배치되는 좌대와 라이닝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어떠한 장점도 사실상 허구적이다.
제동소음, 수명 및 제동등과 관련된 당업계의 공지기준에 따라 다소 덜 완전치밀화된 라이닝을 갖는 접착식 브레이크 슈를 갖도록, 소망된 밀도의 단단하게 경화된 라이닝이 필요한 특성을 제공하기위해 별도로 제조되고 가열가압조건하에서 슈좌대에 접착시키기위해(치수적으로) 적당히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슈의 형태에 대해 상기의 일반성을 유지하면서, 열경화수지를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치밀화된 롤 성형 물질로 형성되어 열경화성 접착제로 접착되는 단단한 마찰라이닝을 갖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마찰부재를 보다 저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보다 저렴하게 접착식 마찰부재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신규하고 개량된 접착식 마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1) 두께를 형성하는 두 주면사이에 배치된 미경화된 수지의 기지내에 섬유보강재 및 마찰변형물질을 포함하는 가소성 마찰라이닝 부재를 제공하고, (2) 열경화성 접착제 수지를 갖는 지지체 좌대에 인접한 라이닝 부재의 일측 주면을 부재와 좌대 사이에 접하게 배치시키고 (3) 고온에서 접착제와 라이닝 부재의 수지를 경화시켜서 경화된 라이닝이 견고하게 좌대에 접착되는 접착식 마찰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예정된 압연두께 및 밀도를 갖도록 주면사이의 상기 물질을 갖는 마찰라이닝 부재를 압연시키고, 보조면이 노출되도록 좌대와 타측주면에 작용하는 압면사이에 접착제와 라이닝 부재를 위치시키고, 지지체의 대응부분에 맞는 타측 주면의 위치 및 경화된 수지라이닝 밀도를 갖도록 경화중 주면을 통해 라이닝부재까지 속박압력(constraining pressure)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1) 지지체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지지수단, (2) 지지된 지지체 좌대에 면하도록 배열된 압면을 포함하되 라이닝의 타측주면에 대해 힘을 가함으로 라이닝일측주면을 좌대와 열경화성 접착제 수지층에 대해 유지시키는 유지수단, (3) 라이닝 표면을 통해 라이닝, 접착제수지 및 좌대를 압착시키도록 유지수단의 압면 및 지지체 사이에 힘을 가할 수 있는 가압수단, 및 (4) 접착제수지를 경화시키고 좌대에 라이닝표면을 접착시키도록 예정온도에서 예정시간동안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된 좌대, 접착제 수지 및 라이닝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으로 구성된 접착에 의해 지지체 좌대에 고정되는 마찰부재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a) 유지수단을 압면과 압착되게 수용되도록 조절하되, 열가소성 라이닝 부재의 타측주면을 (i) 압면보다 넓지 않으며(less extensive) (ii) 예정된 밀도와 두께를 갖도록 롤 성형된 마찰변형물질 및 보강섬유를 두 주면 사이에 갖는 미경화된 열경화성 수지기지로 형성시키고,
(b) 부재의 일측주면에만 속박압력을 유도하기 위해 접착제층 및 라이닝 부재를 통해 지지체와 압면사이에 상대적으로 작은 초기 편향력(bias force)을 가하고, 좌대의 원위치에서 접착제와 라이닝 부재의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동안 라이닝 부재의 두께를 속박하고(constrain) 최종밀도를 갖도록 가압수단을 배열시키고,
(c) 접착제와 라이닝 부재의 수지를 동시에 경화시키기에 적당한 시간 및 온도까지 좌대, 접착제수지 및 라이닝 부재를 가열하도록 가열수단을 배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부재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좌대와 마찰라이닝을 갖는 지지체를 갖되, 보강섬유와 마찰변형물질을 포함하고 롤 성형되며 단단한 성형체로 경화되는 열경화성 수지기지로 형성되고, 중간의 경화된 열경화성 접착제 수지에 의해 좌대에 유지되는 접착식 마찰부재에 있어서, 접착제 수지는 좌대형상에 일치하는 박막으로 존재하며, 라이닝은 좌대의 원위치에서 라이닝 부재의 수지기지를 방사상으로 속박하며 경화시킴으로 인해 좌대 표면형상과 완전 일치하며 라이닝 주면면적과 동일한(coextensive) 막이 있는 계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는 원통형 만곡좌대와 미경화된 라이닝부재를 갖는 슈동체를 병렬배열시키며 상대적 칫수를 예시하는 브레이크슈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마찰부재에 사용되는 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브레이크 슈를 보여주는 부분 절취 사시도,
제 3a 도는 제 1 도 부품으로 접착식 브레이크 슈를 제조하되 가요성 비신장형 스트립 형태의 압면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
제 3b 도는 라이닝 부재의 경화된 부품과 스트립의 상대적 위치를 예시하도록 제 3a 도의 선 b-b에서 본 부분절취 사시도.
제 4a 및 4b 도는 제 3a 도와 유사하나 슈동체가 좌대에 수직하지 않은 지지웨브에 의해 지지되며, 라이닝 부재의 경화 전, 후의 라이닝과 라이닝 부재의 배치를 예시하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 5 도는 제 3a 도와 유사하나 원통형 만곡좌대 및 평평한 라이닝 부재를 갖는 슈동체 배치를 보여주는 본 발명 장치의 부분도,
제 6 도는 평평한 좌대를 사용하는 브레이크 슈 형태로 접착식 마찰부재를 제조하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제 7 도는 제 6 도 장치로 제조된 접착식 평평한 슈의 부분절취 사시도이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드럼브레이크에 사용되는 타입의 접착식 브레이크 슈 형태의 마찰부재 부품이 예시되어 있다.
강으로 된 지지체 또는 슈동체(11)는 곡률방향으로 원호길이(L)을 가지며 가상의 원통형 종축에 평행한 횡방향으로 폭(w)을 갖는 가상의 직각 원통의 일부를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만곡된 좌대(12)를 포함한다.
또한 슈동체는 주축으로서의 좌대에 수직연장되는 평면의 지지웨브(13)를 포함하며, 지지웨브 변부에 좌대가 곡률을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용접된다. 상기 용접부에 상향돌출부 또는 다른 돌출부가 없는 좌대표면을 유지하도록, 좌대표면에는 상기 용접부를 포함하는 함입부(14)가 산재해 있다.
슈동체는, 좌대가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며 웨브까지 용접된 두 "좌대절반부"로 조립되는 것과 같이, 구성상 종래의 것 또는 종래의 변형일 수 있다. 엄격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유효좌대표면은 공칭면적(L ×W) 보다 작은 것이 통상인 바, 종래의 접착식 슈에 사용될 때 접착제의 두꺼운층이 함입부를 채우되 흘러넘치지 않는 한 함입부가 존재하는 곳은 접착되지 않는다.
부품으로는 슈동체외에 마찰라이닝 부재(16)가 포함된다. 라이닝 부재는 종래처럼 페놀수지, 니트릴 고무 공중합체기지에 마찰변성물질 및 보강섬유를 포함한다.
라이닝 부재는 종래처럼 원료를 혼합하고 수지기지를 취급가능한 열가소성 경도까지 부분적으로 경화시키고, 보조면(19)에 의해 형성되는 압연두께(T)를 갖는 주면(17, 18)과 일렬로 섬유물질을 배열하고, 예정된 밀도(D′)를 갖도록 압연하여 만들어진다. 또한 압연은 라이닝부재가 좌대곡률에 상당하는 원통곡률을 갖도록 반경방향압연(radius rolling) 단계를 포함한다.
라이닝 부재의 밀도(D′)는 수지가 경화되고 라이닝 부재가 슈좌대에 접착될 때 요구되는 라이닝 밀도(D)의 95%, 즉 D′=(D - δD)가 통상적이다. 언급된것처럼, 최종라이닝에서 요구되는 밀도는 이론상 최대 밀도보다 작으며, 95% 정도가 통상적이어서 압연된 물질은 완전 치밀화된것의 90% 밀도를 갖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같이 낮은 밀도에서 압연된 두께(T′)는 원하는 최종두께(T) 보다 크게되어 두께 감소 즉 T′=(T + σT), 에 따른 밀도변화(σD)를 만들도록 부피변화를 허용한다.
라이닝부재는 각 라이닝마다 두께 및 곡률에 맞게 압연되거나 보다 통상적으로는, 큰 판(sheet)으로 만들어져서 적당한 칫수의 길이와 폭으로 절단되며 공지방식에 따라 각 부재에 폭방향으로 보강섬유가 배열된다.
라이닝부재는 통상 수지접착제를 강화시키기위해 주면(만곡면)에 압력을 가하여 가열되며(또는 보다 통상적으로는 만곡된 판으로부터 좌대에 맞는 길이 L와폭 W의 최종크기로 섬유 배열 방향을 따라 절단된다) 주면은 적당한 칫수와 표면마무리를 위해 기계가공되나,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부재(16)는 경화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되며 더욱이 후술될 이유로인해 길이(L - σL) 및 폭(W - σW)을 갖는다.
제 1 도의 최종부품은 접착식 브레이크 슈제조에 사용되는 종래의 페놀계 열경화 수지이며 라이닝부재와 슈좌대 사이에 배열되는 접착제층(20)이다. 이 접착제 층은 조립시 접착면적을 감소시키는 공공이 존재하지 않는 두께로 좌대표면과(경고하게 경화된)라이닝 표면의 어느하나 또는 양쪽에 바르게되나,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 수지가 박막으로 위치된다. 보호 코팅으로 강철좌대에 바르나 완전경화되지 않고 상온에서 손댈 수 있을 정도로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식 브레이크슈는 라이닝부재의 일측주면(17)을 접착제로 코팅된 좌대(12)에 인접하게 배치시키고, 보조면(19)이 노출되도록 부재의 타측주면(18)에 작용하는 만곡압면 및 좌대 사이에 접착제층(20)과 라이닝 부재(16)를 위치시키고, 고온에서 접착제와 라이닝부재의 수지를 경화시키되 슈동체의 상응하는 부분에 맞는 타측주면(18)위치 및 (경화된)라이닝 최종밀도를 갖도록 경화시키는 동안 두 주변을 통해 라이닝부재에 속박압력을 가함으로서 상기 부품들로부터 제조된다. 슈동체의 상응하는 부품은 필연적인 것은 아니나, 통상 좌대이며 이와 관련된 주면(18)위치는 경화된 라이닝 두께(7)이다.
상기한 바처럼, 라이닝부재에 있어서 라이닝이 좌대 경계를 지나 연장되거나 수용가능한 일정 표면적으로 부터 일탈하지 않는다면 폭과 길이 칫수는 약 간 덜 중요하며 가장 고려될 사항은 라이닝 밀도와 두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면과 좌대는 수지를 경화시키기위해 가열할 때 열가소성(그러나 완전 치밀화되지 않은)물질내 포집된 가스의 팽창 및 가스발생에 따른 내부압력을 극복하고 노출된 보조면을 통해 가스들이 축출되고, 연화된 물질의 두께감소로 인해 원하는 최종값까지 밀도가 증가하도록, 두 주면 사이의 라이닝에 속박압력을 가한다.
부피감소로인한 밀도증가를 초래하도록 주면을 통해 압력이 가해지는한, 두께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서 속박압력에 의해 발생된 내부압력뿐만 아니라 경화에따른 내부 압력에 의해 어느정도 미속박된 폭의 증가가 수반된다.
길이 및 폭에 있어 라이닝부재 변부를 지나 좌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압면에의해, 상기 양방향으로의 라이닝 부재의 미속박된 그러나 예측가능한 팽창은 마무리된 라이닝의 예정된 L과 W의 값까지 라이닝 칫수를 σL 및 σW 증가시킨다.
경화전 수지기지는 대단히 연화되어있어서 밀도를 증가시키는데 초기에 요구되는 수준의 압력이 계속되면, 밀도를 원하는 값 이상으로 증가시키며, 즉 완전치밀화된 라이닝을 만들어 내며 및/또는 연화된 수지가 압면측방으로, 즉 보조면으로 유동하여 치밀화된 물질의 두께를 너무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력은 원하는 두께(T)가 달성될 무렵을 지나서까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미리 정해진 두께(T)에서 압력이 내부압력과 평형에 있는 수준에 도달하도록 두께 감소의 함수로 크기를 감소시켜서 상기 예정된 두께 감소(σT)동안에 작용하도록 조치된다. 어느 방법이 사용되건, 라이닝 부재는 밀도증가만큼만 두께가 감소하도록 된다.
미속박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보조면의 폭 및 길이 팽창은 특정 조성, 경화온도, 라이닝부재 밀도(D-σD)와 두께(T-σT) 및 주면에 가해진 속박압력에 대해서 예측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특정의 최종 라이닝 칫수(L-σL) 및 (W-σW)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미속박 상태에서의 팽창의 정도는 5%가 통상적이다.
속박에도 불구하고 좌대에 대해, 즉 좌대가 그 일부분인 원통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주면(18)위치를 한정하는 팽창시 주면(17)은 좌대내 함입부(14)내로 팽창할 수 있어서 경화된 라이닝은 좌대 표면형상에 꼭맞은 주면(17)을 가지며 최대 가능면적에 걸쳐 접착제 수지 막을 통해 접착된다.
제 2 도는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접착식 브레이크슈의 부분절취 사시도이다.
원하는 밀도와 칫수의 라이닝을 얻기위해 독립적으로 또는 상호연관되어 변화시킬 수 있는 특정 변수의 조합에 대해 어떤 속박압력이 최적이냐 하는 것은 특정 라이닝 부재 조성, 칫수, 경화온도 및 시간 거동에 따른 경험 및 선택의 문제이다.
보다 저렴하게 접착식 브레이크슈를 제공하는 상기 목적에 따라, 관련된 제조단계 및 그 후속되는 제조단계의 제거, 접착과정과는 별도로 라이닝 부재를 경화시키는 것은 동체좌대에 단단히 경화된 라이닝을 접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종래 장치를 이용 및 변경시킴으로서 증대될 수 있다.
제 3(a) 및 3(b)도를 참조하면, 제 2 도에 도시된 것과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브레이크슈 제조장치(30)는 원통형 만곡좌대(12), 접착제층(20) 및 라이닝부재(16)과 함께 슈동체(11)를 지지하는 지지수단(31)을 포함한다. 속박수단(32)은좌대에 상응하도록 만곡되고, 스테인레스강같은 가요성 비신장형 스트립(34)에 의해 형성되고, 부재(16)로부터 형성될 라이닝 보다 더 큰 길이의 원호를 그 사이에 형성하도록 이격된 위치(35, 36)에서 지지되고, 라이닝 주면(18)반경에 상응하는 반경을 갖는 압면(33)을 포함한다. 스트립의 폭은 좌대와 동일하나, 제 3(b)도에 예시된 것처럼, 보다 좁은 주면(18)과 결합하도록 배열된다.
편의상 가요성 스트립(34)은 지지 위치(35, 36) 및 상응하는 다른 위치(35', 36')를 통과할 수 있는 하나의 완전한 밴드를 포함하며, 지지수단(31)은 밴드 내측면에 의해 형성된 각 압면(33, 33')을 향해 상호 이격하여 면하는 좌대(12, 12')와 연이은 관계로 한쌍의 슈동체(11, 11')를 지지한다.
스프링수단과 같은 가압수단(37)이 각 압면을 향해 슈동체를 상호 분리시키도록 배열되어서, 라이닝부재, 접착제수지 및 각 좌대가 라이닝주면상에 압착된다. 더욱이 가압 수단은 각 슈에대해 상기 σT 크기의 작은 범위에 걸쳐서 작용하는 힘-변위특성을 제공하도록 배열되어서, 최대 속박 압력이 압면으로부터의 거리(T + σT)를 갖는 경화 초기에 생라이닝부재에 가하여 지나, 좌대가 압면으로부터의 거리(T)에 접근할때, 라이닝 두께가 경화중 상기 압력하에 감소함에 따라 속박압력은 급감한다. 앞에서 언급된 것처럼, 각 라이닝 부재의 수지는 가교(cross-linking)가 일어날때까지 미경화상태이며 열가소성이므로, 초기에도, 각 라이닝에 상기 속박압력을 생성하도록 작은 편향력만이 가하여 진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적어도 좌대, 접착제 수지 및 라이닝부재를 예정된 온도에서 예정된 시간동안 가열하는 가열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편의상 가열수단은 지지 수단, 속박수단 및 가압수단의 전조립체가 통과될 수 있는 오븐으로 구성된다. 필요하다면 가압수단은 속박 또는 가압 수단의 열팽창에 따른 속박압력 변화를 수용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미경화된 라이닝을 한쌍의 좌대에 접착시키는 장치와 유사하나, 그런 공지장치와 달리 가압수단은 상대적으로 큰 편향력을 가하나 라이닝의 단단함 때문에 슈좌대에 대한 약간의 변위 또는 무변위가 있게되며, 속박압력을 발생하도록 위치의 함수로 변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초기 편향력만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스트립 형상은 균일속박압력을 제공하도록 좌대에 평행하게 속박되고 속박되는 어떤 라이닝 부재보다도 폭이 넓다.
전 지지수단, 속박수단, 가압수단 및 접착제 수지의 경화를 위한 프로그램화된 가열수단과 유사한 공지 장치의 존재로 인해, 본 발명의 장치는 기존의 설비와 운전 매개변수를 사용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시간간격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온도까지 가열하며, 다른 변수는 기존 매개 변수와 일치하여 작동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편리하다.
예를들면, 6mm의 라이닝 두께까지 예비경화될 때 통상의 압연된 마찰물질은 0.68 - 1.03 Mpa(100 - 150 Psi)의 속박압력하에 좌대에 접착되며 온도는 20 - 40분간, 200 - 250℃로 가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 마찰물질(약 6.3mm의 압연된 초기두께)이 동일온도, 동일시간간격으로 경화 및 접착되되 처음에는 0.1 - 0.34 Mpa(15 - 50 Psi), 바람직하게는 0.17 - 0.2 Mpa(25 - 30 Psi)의 속박압력을 가하고 약 6mm의 최종 두께까지 약 5%씩 감소시키고 미속박된 폭으로는 약 5% 이하로 감소시킨다. 이렇게 라이닝된 슈는 훨씬 낮은 속박압력에서 적은 접착제 수지를 사용하며, 예비경화된 라이닝을 필요로하는 부가적인 단계들을 피하며, 보다 만족스러운 접착계면을 갖도록 만들어지나, 적당한 접착장치를 얻기 위해서는 기존 접착장치에 손쉬운 변경만이 필요하다.
좌대곡률과 일치하는 곡률까지 원물질(green meterinl)의 반경방향압연에도 불구하고, 라이닝 부재가 상온 및 초기 경화온도에서의 속박압력 작용하에서는 열가소성이며, 경화는 본래 주면을 좌대와 일치되도록 하나, 라이닝 부재는 좌대 곡률을 갖도록 배열되므로 곡률을 정확히 일치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압연된 라이닝부재를 제조하고 좌대에서 함께 경화 및 접착시키는데 있어 공정변수면에서 많은 변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속박압력은 라이닝 밀도를 증가시키나, 또한 후술되는 것처럼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과 같거나 작은 초기 속박압력을 가하여 생 라이닝 부재의 밀도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경화중 밀도가 감소하고 두께가 팽창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속박압력의 제어로 이론 밀도의 85 - 92% 밀도를 갖는 압연된 생 라이닝 부재를 얻는 것이 가능하며, 0.03 Mpa(5 Psi) - 0.68 Mpa(100 Psi) 사이의 속박압력 선택으로 -5%에서 +10% 사이의 밀도 변화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제 3(a) 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장치(30)에서, 지지수단(31)은 좌대(12)가 압면에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슈동체를 지지하며, 가압수단은 평행을 유지하고 압면과좌대사이의 균일 이격을 형성하도록 좌대를 통해 슈동체에 작용하여서 좌대의 길이 및 폭을 따라 균일한 라이닝 두께를 갖게된다. 브레이크내에서의 작동시, 브레이크 드럼에대한 슈의 작동배열은 지지웨브(13)에 의해 형성되며 즉 드럼표면이 웨브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며, 좌대는 폭방향으로 웨브에 수직하다고 하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 따라서 상당량의 라이닝이 마모될 때까지는 좌대의 평행한 지지수단 및 속박수단에 의해 형성된 라이닝 표면은 그 폭방향으로 적절히 드럼과 접하지 않게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완화시키기 위해, 지지수단은 슈동체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웨브 평면이 압면 폭에 수직하게 배열되는 지지웨이브에 의해 슈동체를 지지하게 한다. 가압수단은 라이닝부재가 좌대와 압면사이에 샌드위치식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최근 접점에서 라이닝에 작용하는 초기 속박 압력이, 좌대가 웨브 평면에 사실상 수직이 아니라면, 복 방향의 어느곳에서도 다소 감소된다. 경화중 라이닝 부재는 속박 압력에 의해 억제되기전 틈이나 틈들을 채우도록 팽창되며 따라서 얻어진 라이닝은, 좌대폭방향으로 두께가 변하며 최종밀도는 다소 불균일하더라도, 지지웨브에 수직한 주면을 제공한다. 제 4(a) 도는 제 3(a) 도와 유사한 장치의 단면도로서 압면에 대해 웨브가 지지되며 좌대와 지지웨브사이의 비수직성은 예시목적으로 과장되어 있다. 제 4(a) 도는 수지의 경화전, 제 4(b) 도는 경화후 상태를 나타낸다.
제 3(a) 도에 예시된 장치(30)는 특히 하나의 슈동체 및 지지위치(35, 36)에서 종료하는 간단한 원호상 스트립 형태의 속박수단의 수용과 관련하여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압수단은 지지수단이 상대적으로 고정된 압면에대해 라이닝 부재를 가압하도록 하거나 대체수단으로 또는 부가적인 수단으로 지지위치(35, 36)가 좌대(또는 좌대를)를 향해 압면(면들)을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속박수단 및 가압수단의 정밀한 형태에도 불구하고, 장치는 압면과 좌대보다 짧고 폭이좁은 라이닝 부재를 수용해야만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가장 편리한 것은 압면이 수평 및 상방에 면하도록 배치시키고 가압수단은 슈동체를 수직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시켜서 라이닝부재가 샌드위치식으로 위치되기전 압면양변부 사이의 중앙에 안전하게 위치되고 그후 속박되게 하는 것이다. 제 3(a) 도에 보인 것처럼, 두개의 슈동체는 연이어 배열되며, 슈동체와 연관된 라이닝 부재는 수평으로 배열되고 상방을 면하는 해당 좌대에 안전하게 위치된다.
압면 및/또는 좌대의 상기 방향으로의 위치가 적당하지 않거나 및/또는 라이닝 부재 또는 부재들을 정밀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비실제적인 경우는, 별도로 또는 지지수단이나 속박수단의 일부로 위치수단이 제공되어서 속박압력을 가하기전 라이닝부재가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라이닝 부재의 조성은 경화된 라이닝의 소망특성을 얻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라이닝부재는 경화전 및 경화중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갖게됨으로서 편의적으로 사용되거나 형편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면, 압연된 라이닝 부재 물질이 반경 방향의 압연이 없어도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로 만곡되는 열가소성이라면 제 6 도 참조번호(16')에 보인 것처럼, 평평한 부재를 준비하고, 평평한 라이닝 부재를 중간에 위치시키도록 압면(33)으로부터 이격된 슈동체 좌대를 지지수단이 지지하고, 부재(16')가 좌대의곡률에 맞도록 가압수단이 좌대와 압면을 상호이동시키도록 배열되고, 좌대와 압면이 앞에서 설명된 속박압력하에 샌드위치되는 것이 보다 편리하게 될 것이다.
좌대의 원통형으로 만곡원 형상에 맞도록 비신장형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하는 압면 및 수지경화작업온도에서 작업하기에 적당하도록 하는 낮은 열관성(thermal inertia)을 갖는 속박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한 반면, 압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강체 블록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질 것이다. 그러한 압면의 경우 프로필은 곡률방향 및 곡률에 횡방향으로 변화하게되어, 라이닝 부재는 밀도가 변화되도록 그 길이의 중심을 향해 좀더 팽창되게 되며 및/또는 라이닝 단부부분으로부터 과량의 물질을 제거시킬 필요없이 매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경화된 라이닝이 그 중심에서 고지점(high point)까지 연삭되게 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 대신 또는 부가적으로, 라이닝 표면은 그 길이 및 폭에 따른 압면 표면 프로필과의 일치성으로, 좌대에 상응하며 접착된 표면과 유사하고 상응하는 형상의 주면을 만들어 내게 될 것이다.
브레이크 슈는 작동시 원통형 브레이크 드럼의 관성에 대해 힘을 가하도록 된 원통형 볼록곡면을 갖는 좌대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제동표면을 둘러싸도록 된 오목곡면을 갖는 브레이크 슈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장치의 압면은 볼록형상을 갖게되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따라 제조된 브레이크 슈는 드럼형 브레이크 장치에 사용되도록 원통형으로 만곡된 좌대를 가질 필요가 없이 평면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슈는 통상 브레이크 패드로 불리는 것을 포함하며 흔히 디스크형 브레이크장치에 사용된다.
제 6, 7 도는 평평한 브레이크 슈 또는 패드를 제조하도록 제 3(a) 도의 것과 유사한 결합장치(70) 및 이 장치에 의해 제조된 평평한 슈동체(71)를 보여준다. 슈동체는 좌대 보다 큰 평평한 압면(75)과 면하는 가압수단(74) 및 지지수단(73)에 의해 지지되는 평평한 좌대(72)로 구성된다. 좌대는 미경화된 열경화성 접착제 수지 막(76)이 칠해지며, 적당한 밀도, 두께, 길이, 폭을 가지며 압연된 평평한 열가소성 라이닝 부재(77)가 보조면(80, 81), 속박압력이 가해지는 주면(78, 79)을 통해 좌대와 압면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조립체는 가열되어 속박압력을 받은 라이닝 부재는 소망의 최종두께 및 밀도가 되도록 두께가 감소되며, 라이닝 면적은 미속박된 보조면에서의 팽창으로 다소 팽창된다. 앞에서 설명된 것처럼, 특정의 라이닝 부재조성, 속박압력, 밀도변화등에 대해서는, 길이 및 폭의 변화는 상호 관련되며, 라이닝부재에 대한 초기 칫수선택에 의한 몇번의 시도후 결정할 수 있다. 구멍을 갖는 라이닝된 슈동체가 제 7 도 참조번호(71)에 도시되어 있다. 보조면(80, 81)은 속박받지 않으므로 라이닝 변부는 다소 불균일하거나 울툭불툭하나 주면(77)의 유효면적은 정의된 한계내에서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압면은, 뒷판과 상호협동하도록 평평하지만, 경화된 부재의 두께프로필을 갖는 표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라이닝 부재는 보조면이 속박되지 않은채로 경화되므로, 궁극적인 주면면적외에 특정 원주면형상이 요구되는 경우, 두께 및 밀도외에 적당한 형상의 라이닝 보조면을 갖도록, 적절한 주면을 갖는 생라이닝 부재의 특정 형상의 시행착오에 의해 수지경화중 측방으로 팽창하게 하는 속박압력을 유도해내는 것이 가능하다.
압면은, 뒷판과 상호협력하도록 평평하지만, 경화된 부재의 두께프로필을 갖는 표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좌대와 라이닝이 어떤 형상을 하든, 슈는 원래 불규칙하거나 울툭불툭한 주변부를 갖는 마찰라이닝이 허용되는 타입의 클러치장치내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생라이닝 부재와 동일 또는 작은 밀도를 갖는 라이닝을 갖도록 초기속박압력 값에대한 상기 설명에 따른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3)

  1. 두께를 형성하는 두 주면사이에 배치된 미경화된 열경화 수지의 기지내에 섬유보강재 및 마찰조정물질을 포함하는 가소성 마찰라이닝 부재(16, 77)를 제조하고, 라이닝 부재의 두 주면(17, 18, 78, 79)중 슈동체(11, 71)의 좌대(12, 72)에 인접한 일측 주면(17, 79)에 열경화성 접착제 수지(20, 76)를 라이닝 부재와 좌대 사이에 이들과 접하도록 배치시키고, 고온에서 접착제와 라이닝 부재의 수지를 경화시켜서 경화된 라이닝을 견고하게 좌대에 접착시키는 접착식 마찰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주면사이에 배향된 섬유보강재 및 마찰조정물질을 갖는 마찰라이닝 부재를 예정된 압연두께 및 밀도를 갖도록 압연시키고, 좌대(12, 72)와 타측주면(18, 78)에 작용하는 압면(33, 75)사이에 접착제수지와 라이닝 부재를 라이닝 부재의 보조면(19, 80, 81)이 노출되도록 위치시키고, 슈동체의 좌대(12, 72)에 맞는 타측주면(18, 78) 위치 및 경화된 수지라이닝 밀도를 갖도록 경화중 주면을 통해 라이닝부재에 속박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부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닝 부재를 예정된 최종최소 두께(T)보다 큰 균일두께(T') 및 예정된 최종밀도(D) 보다 작은 밀도(D')를 갖도록 압연하고 경화중 속박 압력을 가하여 부재밀도가 예정된 최종밀도로 증가하고 부재두께가 예정된 최소두께로 감소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라이닝부재를 최대이론 밀도의 86-92% 사이 밀도로 압연하고 -5%에서 +10% 범위로 밀도를 변화시키도록 속박압력을 가하며 라이닝 부재를 경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속박압력을 좌대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0.1 - 0.34 Mpa(15 - 50 Psi) 범위로 라이닝부재에 속박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라이닝 부재(16, 17)보다 큰 압면(33, 75)으로주면(18, 78)을 두께의 횡방향으로 속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라이닝 부재(16)에 반경방향압연(radius rolling)을 하여 상온에서의 본래 곡률이 원통형으로 만곡된 좌대(12)곡률과 일치하도록하며, 라이닝 부재의 길이(L)가 좌대의 곡률에 맞도록 라이닝 부재(16)를 원통형으로 만곡된 좌대에 인접하게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지지체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지지수단(31, 73), 지지체 좌대에 면하도록 배열된 압면(33, 75)을 포함하되 라이닝의 타측주면(18, 78)에 대해 힘을 가함으로서 라이닝일측 주면(17, 79)을 좌대와 열경화성 접착제수지 층(20)에 대해 속박시키는 속박수단(32), 라이닝 표면에 걸쳐서 라이닝, 접착제수지 및 좌대를 압착시키도록 속박수단의 압면 및 지지체 사이에 힘을 가할 수 있는 가압수단(37, 74), 및 접착제수지를 경화시키고 좌대에 라이닝 표면을 접착시키도록 예정온도에서 예정시간동안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된 좌대, 접착제수지 및 라이닝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으로 구성된, 마찰라이닝 부재(16, 17)가 접착에 의해 좌대(12, 72)에 고정되는 마찰부재를 제조하는 장치(30, 70)에 있어서,
    (a) 속박수단(32)은 압면(33, 75)과 압착되게 수용되도록 조절되되, 열가소성 라이닝 부재(16)의 타측주면(17, 78)은 (i) 압면보다 넓지 않으며(less extensive) (ii) 예정된 밀도와 두께를 갖도록 롤 성형된 마찰조정물질 및 보강섬유를 두주면 사이에 갖는 미경화된 열경화성 수지기지로 형성되고, (b) 부재의 일측주면(17, 79, 17, 78)에만 속박압력을 유도하기 위해 접착제층(20) 및 라이닝 부재(16)를 통해 지지체와 압면(33, 75)사이에 상대적으로 작은 편향력을 가하고, 좌대의 원 위치에서 접착제와 라이닝부재의 열경화성 수지를 강화시키는 동안 라이닝 부재의 두께를 속박하고 최종밀도를 갖도록 가압수단(37, 74)이 배열되고, (c) 접착제와 라이닝부재의 수지를 동시에 경화시키기에 적당한 시간 및 온도까지 좌대, 접착제수지 및 라이닝 부재를 가열하도록 가열수단이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부재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가압수단(37, 74)이 부재의 주면(17, 18, 78, 79)에 발생된 압력이 좌대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 증가하게 하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경화중 부재주면(17, 18, 78, 79)에 대한 양의 초기압력(positive initial pressure)을 발생시키는 수준으로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가압수단(37, 74)이 배열되어서 부재두께가 최종두께로 감소됨으로서 최종밀도로 밀도가 증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가압수단(37, 74)이 상기 작은 편향력에 의해 0.1 - 0.34 Mpa (15 - 50 Psi) 범위의 초기압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8 에서 11 항중 하나에 있어서, 지지수단(31)이 원통형으로 만곡된 좌대(12)를 갖는 브레이크 슈도체(11)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며 라이닝 표면은 작동시 상호 작용하는 원통형 곡면을 갖도록 배열되며, 압면(33)이 라이닝 주면(18)의 반경에 해당하는 반경 및 라이닝보다 큰 길이의 원호 사이에 형성되도록 이격된 위치(35, 36)에서 지지되는 가요성 비신장형스트립(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하나 이상의 밀폐된 함입부(14)를 포함하는 표면을 갖는 원통형 좌대(12)와 마찰라이닝부재(16)를 갖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이 라이닝 부재는 보강섬유와 마찰조정물질을 포함하고 롤 성형되며 단단한 성형체로 경화되는 열경화성 수지기지로 형성되고, 중간의 경화된 열경화성 접착제층(20)에 의해 좌대에 유지되는 접착식 마찰부재에 있어서, 마찰부재가 청구항 제 7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되, 접착제 수지는 좌대표면의 각함입부와 좌대표면형상에 일치하는 박막으로 존재하며, 라이닝은 라이닝의 주면면적과 동일하고(coextensive), 원위치에서 접착제 수지와 라이닝부재의 수지기지의 경화로 좌대의 표면 형상과 잘 일치하고, 좌대에 대해 방사상으로 속박된 막이 있는 계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부재.
KR1019950705084A 1993-05-15 1994-05-12 접착식마찰부재와이마찰부재의제조방법및장치 KR100332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310031.1 1993-05-15
GB939310031A GB9310031D0 (en) 1993-05-15 1993-05-15 Manufacture of bonded articles
PCT/GB1994/001014 WO1994027059A1 (en) 1993-05-15 1994-05-12 Manufacture of bonded 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588A KR960702588A (ko) 1996-04-27
KR100332044B1 true KR100332044B1 (ko) 2002-12-05

Family

ID=1073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084A KR100332044B1 (ko) 1993-05-15 1994-05-12 접착식마찰부재와이마찰부재의제조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809627A (ko)
EP (1) EP0697073B1 (ko)
JP (1) JPH08510319A (ko)
KR (1) KR100332044B1 (ko)
AT (1) ATE155556T1 (ko)
CZ (1) CZ287756B6 (ko)
DE (1) DE69404299T2 (ko)
DK (1) DK0697073T3 (ko)
ES (1) ES2107215T3 (ko)
GB (2) GB9310031D0 (ko)
GR (1) GR3024326T3 (ko)
SK (1) SK279596B6 (ko)
WO (1) WO1994027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8640B (en) * 1997-08-29 2002-07-10 G B Tools Components Export Manufacture of thermoset friction lining sheet
GB2328639B (en) * 1997-08-29 2002-07-10 G B Tools Components Export Manufacture of bonded articles
FR2768791B1 (fr) * 1997-09-25 2000-12-01 Akebono Brake Ind Procede de fabrication d'une matiere de friction
JP2002144350A (ja) * 2000-11-17 2002-05-21 Soshin Lining Kk 摩擦材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状物
DE102015224366A1 (de) * 2015-12-04 2017-06-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m Anbringen von Reibbelagelementen an einem Reibbelagträger
US20230392661A1 (en) * 2022-06-06 2023-12-07 Mat Hd, Llc Process for assembling vehicle brake shoes and associated brake sho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37465C (ko) * 1900-09-07 1902-12-30
GB367176A (en) * 1930-02-20 1932-02-18 World Besto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riction material
GB655842A (en) * 1943-11-04 1951-08-01 Gen Motors Corp Making articles of friction material
US2452284A (en) * 1946-01-11 1948-10-26 Gen Motors Corp Injection of brake linings
US2690820A (en) * 1950-01-21 1954-10-05 Chrysler Corp Variable density brake lining
DE2025826B2 (de) * 1970-05-27 1973-05-24 Schlereth, Helmut, 7816 Untermun sterta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ibungselementen fuer bremsen oder kupplungen
GB1336000A (en) * 1970-12-29 1973-10-31 Uzina Tractorul Brasov Moulding friction discs
US3752062A (en) * 1971-04-30 1973-08-14 Friedman L Apparatus for bonding brake linings
AT321569B (de) * 1971-07-05 1975-04-10 Karl Holik Ing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Herstellung von Scheibenbremsbelägen
GB1370261A (en) * 1972-01-15 1974-10-16 Friedman L Bonding brake blocks to brake shoes
US4193956A (en) * 1975-09-05 1980-03-18 McPheasons Limited Process for curing thermosetting resins and elastomers
FR2389030A1 (fr) * 1977-04-27 1978-11-24 Dba Dispositif de chauffage par induction pour le collage de garnitures sur des segments de frein
FR2406128A1 (fr) * 1977-07-25 1979-05-11 Abex Pagid Equip Procede de fabrication de garnitures pour freins a disques
DD137466A1 (de) * 1978-07-03 1979-09-05 Gisbert Kaliske Verfahren und spannvorrichtung zum kleben vorzugsweise von trommelbremsbelaegen
JPS55138055A (en) * 1979-04-12 1980-10-28 Akebono Brake Ind Co Ltd Sintered alloy having lubrication function, preparation of the same, and friction mate-material using the same
US4452346A (en) * 1982-03-08 1984-06-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Brake shoe and lining assembly
DE3666442D1 (en) * 1985-04-02 1989-11-23 Ciba Geigy Ag Curable compositions
DE4001969A1 (de) * 1990-01-24 1991-07-25 Ruetgers Pagi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zwischen traegerplatte und reibbelag eines scheibenbremsbelags und scheibenbremsbelaege mit dieser verbindung
US5595266A (en) * 1995-06-26 1997-01-21 Wagner Electric Corporation Bonding a friction material brake lining element to a metallic backing plat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409403D0 (en) 1994-06-29
EP0697073A1 (en) 1996-02-21
CZ294595A3 (en) 1996-06-12
EP0697073B1 (en) 1997-07-16
ES2107215T3 (es) 1997-11-16
US5809627A (en) 1998-09-22
CZ287756B6 (en) 2001-01-17
ATE155556T1 (de) 1997-08-15
GB2278800B (en) 1997-04-23
WO1994027059A1 (en) 1994-11-24
KR960702588A (ko) 1996-04-27
SK279596B6 (sk) 1999-01-11
SK142695A3 (en) 1996-08-07
DE69404299T2 (de) 1998-01-02
GB2278800A (en) 1994-12-14
DE69404299D1 (de) 1997-08-21
JPH08510319A (ja) 1996-10-29
DK0697073T3 (da) 1997-12-29
GB9310031D0 (en) 1993-06-30
GR3024326T3 (en) 199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5950A (en) Disc brake friction pad assembly
CA1117448A (en) Brake pad for disc brakes
US7604098B2 (en) Coulomb friction damped disc brake caliper bracket
KR100537853B1 (ko) 접착형 마찰부재의 제조방법
US4747476A (en) Methods of making clutch driven plates
KR100332044B1 (ko) 접착식마찰부재와이마찰부재의제조방법및장치
US5853070A (en) Vibration and sound damping spacers for vehicle brakes and a method of making a web for manufacturing such spacers
JPH0571816B2 (ko)
WO1998006531A1 (en) Linear friction welded brake shoe assembly
CZ106494A3 (en) Braking element
KR100319652B1 (ko) 점진작동식건식마찰클러치판
US4452346A (en) Brake shoe and lining assembly
GB2115507A (en) Disc-brake assembly
GB2383619A (en) Brake shoe or pad made using a room temperature curing adhesive
JPS6170225A (ja) レジンモ−ルドクラツチフエ−シング
KR100349531B1 (ko)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슈 제조장치
JP3529823B2 (ja) クラッチディスクの一体成形方法
GB2622873A (en) Brake pad unit, composite back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ing plate
JPH0547296Y2 (ko)
JPS60184527A (ja) 湿式摩擦材の製造方法
JPS61254315A (ja) クラツチ被動板の一体成形方法
DE7814612U1 (de) Bremskoerper fuer scheibenbremsen
JPH0599254A (ja) デイスクブレーキ用ブレーキパツドの製造方法
JPS5831734A (ja) 摩擦パツドアツ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