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480B1 - 핸드터미널에있어서계량기와의무선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핸드터미널에있어서계량기와의무선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480B1
KR100319480B1 KR1019980051514A KR19980051514A KR100319480B1 KR 100319480 B1 KR100319480 B1 KR 100319480B1 KR 1019980051514 A KR1019980051514 A KR 1019980051514A KR 19980051514 A KR19980051514 A KR 19980051514A KR 100319480 B1 KR100319480 B1 KR 10031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mode
hand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4235A (ko
Inventor
박상병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48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08C25/0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by signalling back receiving station to transmitting s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 터미널을 사용하여 계량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량기는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 계량기는 별도의 검침원이 계량기에 표시된 사용량 예로, 전력량을 육안으로 검침하여야 하는 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며 검침 시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핸드 터미널이 무선통신방식으로 계량기가 검출한 데이터를 검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용이하게 계량기를 검침할 수 있다. 또한, 1 회의 전송요구에 대해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핸드 터미널 사용자가 개입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재차 송수신 처리를 하도록 구현되어 검침과정의 편리성 및 신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계량기와의 무선통신방법{RADIO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METER AND HAND TERMINAL IN THE HAND TERMINAL}
본 발명은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계량기(meter)와의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 터미널을 사용하여 계량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량기는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 계량기는 별도의 검침원이 계량기에 표시된 사용량 예로, 전력량을 육안으로 검침하여야 하는 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며 검침 시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새로운 검침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 검침 시스템은 사용량을 전기적인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는 계량기, 계량기와의 무선통신으로 계량기가 검출한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검침할 수 있는 핸드 터미널, 및 핸드 터미널을 통해 검침된 내용을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각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방식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계량기와의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드 터미널 사용자에 의한 전송요구에 의해 핸드 터미널과 계량기간에 시도된 무선통신이 실패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재차 무선통신을 시도하는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계량기와의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을 통해 계량기를 검침하는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핸드 터미널 사용자에 의해 계량기로의 전송이 요구되면, 재전송 모드 설정에 따른 재송신 요구로 이루어지는 전송요구인지를 체크하는 제 1 체크단계; 상기 제 1 체크단계 수행결과, 재송신 요구에 의한 전송요구가 아니면,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로 데이터 송신모드설정신호(DTR)를 액티브상태로 제공하고, 소정의 송신데이터를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계량기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단계 수행 후, 상기 송신모드설정신호(DTR)를 비액티브상태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단계 수행 후, 상기 핸드 터미널의 동작모드가 검침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검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송출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핸드 터미널의 동작모드가 검침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모드설정신호(DCD)가 액티브상태로 전송되는지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감시단계 수행결과, 상기 수신모드설정신호(DCD)가 액티브상태로 전송되면,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헤드 펄스와 수신 종료정보의 수신여부를 체크하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수신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오프시켜 검침 데이터 수신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수신처리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핸드 터미널에 재전송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체크하는 제 2 체크단계; 상기 제 2 체크단계 수행결과, 재전송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재전송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체크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제 1 체크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재송신 요구에 의한 전송요구인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송출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체크단계 수행결과, 재전송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데이터 수신 에러모드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계량기와의 무선통신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핸드 터미널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계량기와의 무선통신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제어부 104 : 키 입력부
106 : RF통신모듈 108 : 저장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계량기와의 무선통신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핸드 터미널의 기능 블록도로, 핸드 터미널의 전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02), 사용자의 명령을 키 입력하는 키 입력부(104), 계량기(도면 중에 도시되지 않음)와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모듈(106), 및 저장부(108)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계량기와의 무선통신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그러면, 도 1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무선통신방법에 대한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키 입력부(104)로부터 계량기로의 전송요구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02)는 계량기와의 데이터 전송모드로 설정되어 제 201 단계로 진행된다.
제 201 단계에서 제어부(102)는 현재 요구된 전송요구가 재전송 모드 설정에 따른 재송신 요구로 이루어진 것인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재송신 요구가 아닌 경우에는 제 202 단계로 진행되어 키 입력부(104)의 기능을 오프시키고, 제어부(102) 내에 구비되어 있는 계량기 통신용 타이머(도면 중에 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을 스타트(start)시키고, RF통신모듈(106)의 전원을 온(on)시킨다.
그 다음 제 203 단계로 진행되어 RF통신모듈(106)로 전송되는 송신모드설정신호(Data Terminal Ready, 이하 DTR이라 약함)를 온 상태(액티브 로우 상태)로 제공하면서 RF통신모듈(106)로 4.8KHz의 펄스룰 출력한다. RF통신모듈(106)은 4.8KHz의 펄스를 공중으로 송출하고, 계량기는 4.8KHz의 펄스가 수신되면, 핸드 터미널로부터의 송신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제어부(102)는 DTR을 온 상태로 설정한 후, 300ms동안 시스템안정화를 위한 대기시간을 갖는다. 이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02)는 제 204 단계를 통해 제 205 단계로 진행되어 헤드 펄스(head pulse)에 해당되는 데이터 '1'을 RF통신모듈(106)로 출력한다. 데이터 '1'이 출력되면, 제 206 단계와 제 207 단계를 통해 송신데이터의 시작정보에 해당되는 '55H'와 '0AH'를 각각 RF통신모듈(106)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송신 데이터의 전송시작을 알리는 정보가 각각 출력된 후, 제어부(102)는 현재의 전송요구가 계량기 식별정보(이하 ID라고 약함) 변경에 의한 것인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계량기 식별정보 변경에 의한 것일 때는 제 209 단계로 진행되어 그에 상응하는 코드정보 '33H'를 송신데이터로 설정하여 RF통신모듈(106)로 송출한다. 그러나 체크결과, 계량기 식별정보 변경에 의한 것이 아니면, 제 210 단계로 진행되어 계량기 데이터 변경에 의한 것인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계량기 데이터 변경에 의한 것이면, 제 211 단계로 진행되어 그에 상응하는 코드정보 '32H'를 송신데이터로 설정하여 RF통신모듈(106)로 송출한다. 그러나 제 210 단계의 체크결과, 계량기 데이터 변경에 의한 것도 아니면, 검침모드에 의한 것이므로 제 212 단계로 진행되어 그에 상응하는 코드정보 '31H'를 송신데이터로 송출한다. 상술한 코드정보는 시스템설계 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송신 데이터가 송출되면, 제어부(102)는 제 213 단계로 진행되어 송신 종료정보인 '99H'를 송출하고, 제 214 단계로 진행되어 오류검사정보(Block Check Communication, 이하 BCC라고 약함)를 송출한다. 송신데이터의 BCC정보까지 RF통신모듈(106)로 송출되면, 제어부(102)는 제 215 단계로 진행되어 DTR을 오프(비액티브 하이)상태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계량기는 송신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계량기와 핸드 터미널간의 송신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어부(102)에서는 DTR를 오프 제어한 후, 다음 동작으로 진행되기까지 약 100ms정도의 대기시간을 갖는다.
상술한 100ms의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02)는 제 216 단계를 통해 제 217 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핸드 터미널이 계량기에 대한 검침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검침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 218 단계로 진행되어 핸드 터미널의 동작모드를 계량기 검침모드로 설정한 후, 제 203 단계로 리턴되어 검침모드 설정에 따른 송신처리를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제 217 단계의 체크결과, 현재 핸드 터미널이 검침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 219 단계로 진행되어 RF통신모듈(106)로부터 전송되는 DCD(Data Carrier Detector)가 액티브 로우 상태로 전송되는지를 감시한다. 감시결과, 액티브 로우 상태로 전송되지 않으면, 제 220 단계로 진행되어 감시를 시작한 후, 500ms가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500ms는 최대 수신처리시간이다. 체크결과, 500ms를 경과하지 않았으면, 제 219 단계로 진행되어 계속적인 감시를 수행한다.
RF통신모듈(106)로부터 DCD가 액티브 로우 상태로 전송되면, 제어부(102)는약 150ms의 대기시간을 갖는다. 이는 RF통신모듈(106)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해 설정된 대기시간이다. 즉, DCD가 액티브 로우 상태로 전송된 후, 계량기로부터 송출된 데이터가 RF통신모듈(106)을 거쳐 제어부(102)까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시간을 고려한 대기시간이다.
이 150ms가 경과하면, 제어부(102)는 제 222 단계로 진행되어 RF통신모듈(106)로부터 헤드 펄스에 해당되는 데이터 '1'이 수신되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헤드 펄스에 해당되는 데이터 '1'이 수신되지 않았으면, 제 223 단계로 진행되어 약 1.25sec가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한다. 이 1.25sec는 DCD가 액티브 로우 상태로 제공된 후, 수신 데이터가 수신되는데 소요되는 총 시간이 된다. 체크결과, 1.25sec를 경과하지 않았으면, 제 222 단계로 리턴된다.
그러나 제 222 단계를 체크한 결과, 헤드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제 224 단계로 진행되어 수신 종료정보인 '99H'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99H'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제 225 단계로 진행되어 RF통신모듈(106)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부(108)의 소정 영역에 저장시킨다. 그 다음 1.25sec가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1.25sec가 경과하지 않았으면, 제 226 단계를 통해 제 224 단계로 진행되어 상술한 수신 종료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하나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은 수신처리를 할 때, 제어부(102)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비트 단위로 배타적 논리합(EX-OR)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 값을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검출한 BCC 값으로 보유한다.
제 224 단계를 체크한 결과, 수신 종료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제 227 단계로진행되어 BCC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BCC가 수신되었으면, 제 228 단계로 진행되어 수신된 BCC와 상술한 수신처리 시 검출한 BCC가 동일한 지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두 값이 동일하면 제 229 단계로 진행되어 RF통신모듈(106)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제 230 단계로 진행되어 데이터 수신처리를 완료한다.
그러나 제 220 단계에서 500ms를 경과할 때까지 DCD가 액티브 로우 상태로 제공되지 않거나, 제 223 단계에서 1.25sec를 경과할 때까지 수신 데이터의 헤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제 226 단계에서 1.25sec를 경과할 때까지 수신 데이터가 모두 수신되지 않았거나, 제 228 단계에서 수신된 BCC와 검출한 BCC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어부(102)는 제 231 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핸드 터미널에 재전송 모드가 설정된 상태인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재전송 모드가 설정된 상태가 아니면 제 232 단계로 진행되어 재전송을 위한 지연시간(1초)을 설정하고, 제 201 단계로 리턴된다. 이 지연시간 설정은 재전송 모드를 설정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따라서 제 201 단계로 리턴되어 재송신 요구에 의한 전송요구인지를 체크할 때, 제어부(102)는 제 233 단계로 진행되어 설정된 1 초 동안 대기시간을 갖는다. 1 초가 경과하면, 제어부(102)는 제 203 단계로 진행되어 재송신 처리한다.
한편, 제 231 단계의 체크결과, 현재 핸드 터미널에 재전송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재송수신 처리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므로, 제어부(102)는 제 234 단계로 진행되어 RF통신모듈(106)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제 235 단계로 진행되어 데이터 수신 에러모드로 진행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되고 있는 수치는 시스템 설계환경에 따라 다른 값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 터미널이 무선통신방식으로 계량기가 검출한 데이터를 검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용이하게 계량기를 검침할 수 있다. 또한, 1 회의 전송요구에 대해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핸드 터미널 사용자가 개입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재차 송수신 처리를 하도록 구현되어 검침과정의 편리성 및 신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을 통해 계량기를 검침하는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핸드 터미널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계량기로의 전송이 요구되면, 재전송 모드 설정에 따른 재송신 요구로 이루어지는 전송요구인지를 체크하는 제 1 체크단계;
    상기 제 1 체크단계 수행결과, 재송신 요구에 의한 전송요구가 아니면,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로 데이터 송신모드설정신호(DTR)를 액티브상태로 제공하고, 소정의 송신데이터를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계량기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단계 수행 후, 상기 송신모드신호(DTR)를 비액티브상태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단계 수행 후, 상기 핸드 터미널의 동작모드가 검침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검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송출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핸드 터미널의 동작모드가 검침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모드설정신호(DCD)가 액티브상태로 전송되는지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감시단계 수행결과, 상기 수신모드설정신호가 액티브상태로 전송되면,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헤드 펄스와 수신 종료정보의 수신여부를 체크하면서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수신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오프시켜 검침 데이터 수신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수신처리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핸드 터미널에 재전송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체크하는 제 2 체크단계;
    상기 제 2 체크단계 수행결과, 재전송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재전송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체크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제 1 체크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재송신 요구에 의한 전송요구인 경우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송출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체크단계 수행결과, 재전송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무선 주파수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데이터 수신 에러모드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 터미널에 있어서 계량기와의 무선통신방법.
KR1019980051514A 1998-11-28 1998-11-28 핸드터미널에있어서계량기와의무선통신방법 KR10031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514A KR100319480B1 (ko) 1998-11-28 1998-11-28 핸드터미널에있어서계량기와의무선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514A KR100319480B1 (ko) 1998-11-28 1998-11-28 핸드터미널에있어서계량기와의무선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235A KR20000034235A (ko) 2000-06-15
KR100319480B1 true KR100319480B1 (ko) 2002-02-19

Family

ID=1956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514A KR100319480B1 (ko) 1998-11-28 1998-11-28 핸드터미널에있어서계량기와의무선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4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235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1632B2 (en) Vehicle diagnostic system
JP2005151413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応答データ処理方法
US5757277A (en) Wireless selective call receiver and method and system for writing desired data in the same
US6266725B1 (en) Communications protocol for asynchronous memory card
KR100319480B1 (ko) 핸드터미널에있어서계량기와의무선통신방법
US20030185216A1 (en) Indicating occurrence of protocol events
EP221438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238728B1 (ko) 셀룰라폰의 자체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JP2006229696A (ja) テレメータ用通信機
CN108513169A (zh) 一种芯片下载启动程序的方法、芯片及液晶电视
JP3335016B2 (ja) ワイヤレス式アドレス設定器
CN115665714B (zh) 近场通信的方法和装置、主控设备、nfc芯片和nfc设备
KR100478890B1 (ko) 핸드터미널에있어서계량기검침방법
JP3870890B2 (ja) 操作ボード、リモートi/o通信制御方法
JPH11202027A (ja) Ic試験装置
JP2614926B2 (ja) 電源制御システム
JP3288772B2 (ja) 測定データ収集装置
KR100208275B1 (ko) 신호 링크에 대한 자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653269B2 (ja) マルチアクセス通信装置
JP2004080407A (ja) 無線機器及び無線通信方法
CN117040806A (zh) 一种支持多协议接入认证的装置
JP2002374315A (ja) 通信プロトコルに基づく受信装置
JPH1056428A (ja) 赤外線通信システム及び赤外線通信装置
KR20000012521U (ko) 검침시스템에 있어서 핸드 터미널
JPH08191319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