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657B1 - 광픽업 및 그 광픽업에 있어서의 자석장착방법 - Google Patents

광픽업 및 그 광픽업에 있어서의 자석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657B1
KR100318657B1 KR1019990007545A KR19990007545A KR100318657B1 KR 100318657 B1 KR100318657 B1 KR 100318657B1 KR 1019990007545 A KR1019990007545 A KR 1019990007545A KR 19990007545 A KR19990007545 A KR 19990007545A KR 100318657 B1 KR100318657 B1 KR 100318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lat plate
yoke
plate portion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683A (ko
Inventor
이와나가아쓰시
기꾸찌다까시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7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자석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요크의 내벽에 정밀하고 확실하게 부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크 (11) 는 금속판을 절곡시켜 일정 간격으로 대향배치된 제 1 평판부 (14a) 와 제 2 평판부 (14b) 를 구비하고. 제 1 평판부 (14a) 에는, 제 2 평판부 (14b) 를 향하여 돌출된 규제부 (17) 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규제부 (17) 에 자석 (13) 을 부착하여, 규제부 (17) 가 상기 자석 (13) 의 제 1 평판부 (14a) 의 표면과 평행인 방향의 위치규제를 행한다.

Description

광픽업 및 그 광픽업에 있어서의 자석장착방법 {OPTICAL PICK-UP AND MAGNET MOUN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광자기디스크 등의 광디스크장치에 적합한 광픽업에 관한 것이다.
광픽업은, 광디스크장치에 부착되어, 빛을 유도하기 위한 대물렌즈를 통하여,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에 입사시켜, 이 디스크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다.
도 9 에 있어서, 이러한 종류의 광픽업 (150) 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렌즈홀더 (151) 는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며, 세워 설치한 사각형 형상의 벽부 (156) 와, 벽부 (156) 에 일체성형된 거의 원통상의 수용부 (157) 로 구성되어 있다. 벽부 (156) 의 양측단부에는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가늘고 긴 형태의 두께부 (158)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두께부 (158) 의 외측에는 거의 V 자형의 홈부 (158b) 가 각각 두개씩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4 개의 홈부 (158b) 에는 가늘고 긴 와이어 (도시하지 않음) 가 각각 평행해지도록 부착 고정되어 있다. 벽부 (156) 의 내측에는 상술한 수용부 (157) 가 벽부 (156) 와 일체로 부착되며, 수용부 (157) 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의 둘레에는, 4 개의 클릭부 (159a) 가 마주보는 위치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테블릿 형상을 한 대물렌즈 (155) 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부재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블레이드부 (155a) 를 구비하며, 블레이드부 (155a) 의 외벽이 렌즈홀더 (151) 의 클릭부 (159a) 내벽에, 블레이드부 (155a) 의 바닥부가 개구부 둘레에 맞닿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고정되어 있다.
요크 (152) 는 거의 장방형상을 한 금속판을 U 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금속자성재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평판부 (152a) 와 제 2 평판부 (152b), 및 이 평판부 (152a, 152b) 를 연결하는 저판부 (152c) 로 구성되어 있다.
사각형 형상을 한 자석 (154) 은 영구자석이며, 제 1 평판부 (152a) 내벽에 배치되어, 제 1 평판부 (152a) 내벽전체를 덮듯이 혐기성접착제를 통하여 점착 고정되어 있다. 혐기성접착제는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접착고화하는 것이다. 제 1 평판부 (152a) 및 제 2 평판부 (152b) 의, 저판부 (152c) 반대측의 단부에는, 구형상을 한 제 1 돌기부 (164a), 제 2 돌기부 (164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백요크 (153) 는 장방형판상을 한 금속자성재로, 그 양단측에 관통된 사각형상의 구멍 (165)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백요크 (153) 는 요크 (152) 에 대하여, 백요크 (153) 의 구멍 (165) 과 요크 (152) 의 제 1 돌기부 (164a) 및 제 2 돌기부 (164b) 가 끼워 맞춰져, 하나의 거의 통체를 만들어 부착 고정되어 있다.
제 1 평판부 (152a) 에는, 이 제 1 평판부 (152a) 를 중심으로 하여, 둘러싸듯이 배치된 거의 통체상의 코일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어, 이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 요크 (152) 에 부착한 자석 (154) 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장에 의하여, 대물렌즈 (155) 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제 2 평판부 (152b) 는, 그 제 2 평판부 (152b) 의 외벽면을 접착제를 통하여 벽부 (156) 와 맞닿도록 되어 있다.
대물렌즈 (155) 의 바로 아래에는, 입사한 레이저광을 직각으로 방향을 바꾸어 대물렌즈 (155) 에 출사하는, 도시하지 않은 평판렌즈 또는 빔 스플리터가 부착되어 있다.
광픽업 (150) 은, 광디스크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움직이도록, 렌즈 홀더 (151) 에 요크 (152) 를 일체화하여, 도시하지 않는 캐리지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픽업 (150) 을 조립하려면, 우선 금속자성재를 프레스로 노치 (notch) 하여, 제 1 돌기부 (164a) 및 제 2 돌기부 (164b) 를 본뜬 평판상의 금속판을 형성한다. 기대 (基臺) 에 평판상의 금속판을 놓고, 펀치를 평판상의 금속판의 중앙에 대어, 프레스하여 U 자형으로 절곡시켜, 대향된 제 1 평판부 (152a) 와 제 2 평판부 (152b), 또 저판부 (152c) 로 이루어지는 요크 (152) 를 형성한다.
도 10 에 있어서, 지그 (80) 는 황동제의 금속판 (80a), 및 이 금속판 (80a) 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된 갈고리부 (80b) 로 구성되어 있다. 갈고리부 (80b) 가 형성된 가장자리를 따라서 자석 (154) 을 배치하고, 요크 (152) 의 저판부 (152c) 와 평행하게 지그 (80) 를 삽입한다. 자석 (154) 의 표면의 하나에는 이미 혐기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지그 (80) 를 조작함으로써, 자석 (154) 의 표면을 제 1 평판부 (152a) 의 내벽면에 밀착하도록 접촉시킨다. 혐기성접착제가 고화되어, 자석 (154) 이 제 1 평판부 (152a) 에 부착 고정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는 거의 통체상의 코일을 제 1 평판부 (152a) 를 중심으로 제 1 돌기부 (164a) 측부터 덮어서 둘러싸, 소정의 위치에 부착한다. 또한, 백요크 (153) 를 요크 (152) 의 제 1 평판부 (152a) 및 제 2 평판부 (152b) 단부의 상방으로부터 덮어, 제 1 돌기부 (164a) 및 제 2 돌기부 (164b) 에 백요크 (153) 의 부착구멍 (165) 을 각각 끼워넣어 부착고정시킨다.
이어서, 제 2 평판부 (152b) 의 내측외벽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벽부 (156) 측면과 제 2 평판부 (152b) 측면을 맞닿게 하여, 접착제로 부착 고정한다.
이어서, 렌즈홀더 (151) 의 수용부 (157) 에는, 대물렌즈 (155) 를 배치한다. 이는 대물렌즈 (155) 의 블레이드부 (155a) 를 클릭부 (159a) 내벽에 접착제로 부착고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벽부 (156) 의 홈부 (158b) 에 도시하지 않은 가늘고 긴 와이어가 부착되어, 대물렌즈 (155) 를 부착 고정한 렌즈홀더 (151) 및 렌즈홀더 (151) 와 일체화한 요크 (152) 가 캐리지에 가요성으로 유지된다.
광디스크장치에 부착된 광픽업 (150) 은, 광디스크의 회전편심에 추종하도록 전류를 코일에 흘려보내, 요크 (152) 에 부착한 자석 (154) 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장에 의하여, 대물렌즈 (155) 를 포커스 방향 (광디스크면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 과 트래킹방향 (광디스크의 지름방향) 으로 이동할 수 있어, 반도체레이저소자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이 평면렌즈 또는 빔 스플리터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대물렌즈로 집광시켜, 소정의 광디스크면에 입사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자석 (154) 은, 요크 (152) 의 제 1 평판부 (152a) 내벽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되는데, 자석 (154) 의 접착면을 따른 방향에 대하여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소정의 부착위치에서 자석 (154) 이 어긋날 우려가 있었다. 이것은, 자석의 자중 및 외력의 작용에 의해서이다. 따라서, 이 자석 (154) 을 요크 (152) 에 대하여 정확히 위치결정하는 것이 곤란했다. 자석 (154) 이 소정의 위치에서 벗어나면, 요크 (152) 에 부착한 자석 (154) 과 코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장이 불균일해져, 구동제어되는 대물렌즈의 균형특성이나 공진특성의 안정화를 저해할 염려가 있었다.
또, 접착제를 사용했을 때, 다른 접착제가 불필요한 부분 (와이어 등의 가요성으로 유지되는 부분) 에 붙어버리면, 대물렌즈 (155) 가 정확하게 움직이지 않게 되어, 광디스크면에 추종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의 문제를 감안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석을 정밀하고 또 확실하게 자석을 요크에 부착한 광픽업 및 광픽업에 있어서의 자석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픽업의 요크부분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광픽업의 요크부분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광픽업의 요크부분의 구부림가공을 설명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광픽업의 요크부분으로 자석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광픽업의 요크부분으로, (a) 는 요크에 형성한 규제부 및 절기부의 변형의 형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b) 는 (a) 의 규제부 및 절기부의 조립전의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광픽업의 요크부분의 일부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광픽업의 요크부분의 일부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광픽업의 요크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a) 는 그 일부사시도, (b) 는 그 일부단면도.
도 9 는 이와 같은 광픽업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이와 같은 광픽업의 요크부분으로 자석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31, 41, 51, 61 : 요크
13, 54, 64 : 자석
14a, 32a, 42a, 52a, 62a : 제 1 평판부
14b : 제 2 평판부
17, 33, 43, 53, 63 : 규제부
17a, 33a, 43a : 절기부 (제 1 절기부)
17b, 33b, 43b : 절기부 (제 2 절기부)
20 : 간극부
54a, 64a : 맞물림부
90 : 펀치
100 : 지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요크는 금속판을 절곡시켜 형성된 금속자성재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 배치된 제 1 평판부와 제 2 평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평판부에는, 상기 제 2 평판부를 향하여 돌출한 규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규제부에 자석을 부착하여, 상기 규제부가 상기 자석의 상기 제 1 평판부의 표면과 평행한 모든 방향에 대한 위치규제를 행하는 것이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규제부는 절결홈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평판부의 일부를 절곡시킨 제 1 절기부와 상기 제 1 절기부의 양단부를 절곡시킨 제 2 절기부로 이루어진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절기부와 제 2 절기부는 사각형 형상의 자석의 한쪽의 대향하는 측면과 다른쪽의 대향하는 측면을 각각 사이에 두도록 형성된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자석에 맞물림부를 형성하여, 이 맞물림부를 규제부에 맞물리게 하여 이루는 것이다.
또, 제 5 해결수단으로서, 규제부는 제 1 평판부에 2 개 형성되어, 2 개의 상기 규제부에, 요크를 U 자형으로 절곡시킬 때, 펀치의 일부가 삽입되는 간극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 제 6 해결수단으로서, 광픽업을 구성하는 요크에는 자석의 사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규제부에 자석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장착방법으로서, 상기 자석을 미리 지그에 스스로의 자력으로 부착시켜, 그 부착상태 그대로 상기 자석을 상기 규제부에 삽입하여 상기 요크에 부착하고, 그 후, 상기 지그를 상기 요크를 따라 끌어 올림으로써 상기 자석을 상기 지그에서 분리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광픽업 (150) 과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 형태인 광픽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요크 (11) 는, 거의 장방형상을 한 금속판을 U 자형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금속자성재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평판부 (14a) 와 제 2 평판부 (14b) 와, 이 제 1 평판부 (14a) 와 제 2 평판부 (14b) 를 연결하는 저판부 (14c)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평판부 (14a) 의 양측에는, 제 2 평판부 (14b) 를 향하여 돌출시킨 2 개의 규제부 (17) 와, 이 규제부 (17) 의 양단부에 절결홈 (40)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 (17) 는 절결홈 (40) 간을 절곡 기준으로 하여 거의 직각으로 절곡시킨 후, 잘라세워 형성된 절기부 (제 1 절기부) (17a) 와, 각각의 절기부 (제 1 절기부) (17a) 의 양단측을 서로 내측을 향하여 거의 수직으로 절곡시킨 제 2 절기부 (17b) 로 이루어진다. 제 1 절기부 (17a) 와 2 개의 제 2 절기부 (17b)로 ⊃ 자형의 절기부가 형성되어, 서로 소정의 간극부 (20) 를 형성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평판부 (14a) 및 제 2 평판부 (14b) 의, 저판부 (14c) 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구형상을 한 제 1 돌기부 (18a) 및 제 2 돌기부 (18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2 평판부 (14b) 양측면에는, 대향하는 제 1 평판부 (14a) 의 표면과 평행으로 신장된 아암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직육면체 형태를 한 자석 (13) 은 영구자석으로, 대향하는 표면부 (13a) 와 내면부 (13b), 한쪽의 대향하는 측면부 (13c, 13d) 와, 다른 한쪽의 대향하는 측면부 (13e, 13f) 로 이루어진다 (도 2 참조). 자석 (13) 은 제 1 평판부 (14a) 내측표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자석 (13) 의 측면부 (13c∼13f) 가 제 1 절기부 (17a) 및 제 2 절기부 (17b) 의 양내측벽으로 둘러싸인 ⊃ 자형의 규제부 (17) 내 (자석수납부) 에 부착되어 있다. 상술하면, 한쪽의 측면부 (13c, 13d) 가 제 1 절기부 (17a) 에 맞닿아, 다른 한쪽의 측면부 (13e, 13f) 가 제 2 절기부 (17b) 의 내벽에 맞닿고 있다.
백요크 (12) 는 장방형 판형상을 한 금속자성재로, 양단측에 관통된 사각형 형상의 구멍 (21)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백요크 (12) 는, 요크 (11) 에 대하여 백요크 (12) 의 구멍 (21) 과 요크 (11) 의 제 1 돌기부 (18a) 및 제 2 돌기부 (18b) 로 하나의 거의 통체를 만들듯이 끼워 맞춰져 부착고정되어 있다.
제 1 평판부 (14a) 에는, 제 1 평판부 (14a) 를 중심으로, 둘러싸듯이 배치된 거의 통체상의 코일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 요크 (11) 에 부착한 자석 (13) 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석에 의하여, 요크 (11) 와 일체화한 렌즈홀더의 대물렌즈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요크 (11) 와 렌즈홀더와의 결합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 2 평판부 (14b) 의 아암부 (16) 가, 그 아암부 (16) 의 외벽면을 렌즈홀더의 벽부와 맞닿게하여, 벽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가이드 홈과 끼워맞춰져 있다.
대물렌즈의 바로 아래에는, 입사한 레이저광을 직각으로 방향을 바꾸어, 대물렌즈에 출사하는 도시하지 않은 평판렌즈 또는 빔 스플리터가 부착되어 있다.
광픽업은, 광디스크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움직이도록, 렌즈홀더에 요크 (11) 를 일체화하여 도시하지 않은 캐리지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하, 도 3 에 의거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광픽업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금속자성재를 프레스로 노치하여, 제 1 돌기부 (18a) 및 제 2 돌기부 (18b), 아암부 (16) 를 본뜬 평판상의 금속판을 형성한다.
이어서, 절결홈 (40) 사이를 절곡 기준으로 하여, 제 1 평판부 (14a) 의 양측단부를 표면에서 거의 직각으로 절곡시켜 규제부 (17) 를 형성하고, 또 규제부 (17) 의 양단부를 서로 거의 직각으로 절곡시켜 제 2 절기부 (17b) 를 형성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각기둥형상으로 한 금속제의 펀치 (90) 는, 이 펀치 (90) 본체의 일측면에서 돌출한 돌출부 (90a)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 (90a) 와 펀치 (90) 본체에 의하여, L 자형의 단부 (90b) 가 형성되어 있다.또 펀치 (90) 의 거의 횡폭에 대응한 공간을 두어 배치된 기대 (95) 가 형성되어 있다.
평판상의 금속판을 기대 (95) 에 올려 놓은 후, 펀치 (90) 를 평판상의 금속판의 중앙에 대어, 프레스하여 U 자형으로 절곡시킨다. 이 때, 돌출부 (90a) 를 제 2 절기부 (17b) 사이의, 저판부 (14c) 에 상당하는 부분의 간극부 (20) 에 배치하도록 절곡시켜 형성한다. 즉, 펀치 (90) 를 평판상의 금속판의 중앙부근의, 저판부 (14c) 및 제 1 평판부 (14a) 의 절곡시킨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고, 돌출부 (90a) 를 간극부 (20) 에 대향 배치시켜, 이 펀치 (90) 를 바로 아래에 프레스할 때, 펀치 (90) 의 돌출부 (90a) 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이 금속판이 서서히 절곡되어, 돌출부 (90a) 의 대향하는 양측벽의 일부가 간극부 (20) 에 들어감과 동시에, 제 2 절기부 (17b) 의 맞닿은 면에서 규제되면서, 제 2 절기부 (17b) 가 단부 (90b) 에 배치됨으로써, 판상의 금속판이 U 자형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대향한 제 1 평판부 (14a) 와 제 2 평판부 (14b), 또한 이 평판부 (14a, 14b) 를 연결한 저판부 (14c) 로 이루어지는 요크 (11) 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저판부 (14c) 측의 제 2 절기부 (17b) 사이에 형성한 간극부 (20) 에 절곡용 펀치 (90) 의 돌출부 (90a) 가 삽입되어, 펀치 (90) 의 단부 (90b) 에 제 2 절기부 (17b) 가 배치되기 때문에, 저판부 (14c) 에 가까운 제 2 절기부 (17b) 와 저판부 (14c) 와의 사이에, 종래 필요로 했던 절곡용의 여유공간을 이 제 2 절기부 (17b) 와 저판부 (14c) 간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 요크 (11) 의 높이방향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평판부 (14a) 의, 저판부 (14c) 에 가까운 제 2 절기부 (17b) 를 저판부 (14c) 의 면에 맞닿도록 절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 에 있어서, 자석 (13) 을 요크 (11) 에 부착하려면, 우선 황동제의 금속판의 삽입 지그 (100) 에 자석 (13) 을 스스로의 자력으로 부착한다. 이것은 삽입 지그 (100) 의 측면에는 자석 (13) 의 표면부 (13a) 또는 이면부 (13b) 의 어느 하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삽입 지그 (100) 를 요크 (11) 의 양 평판부 (14a, 14b) 의 면에 평행으로 평판부 (14a, 14b) 의 제 1 돌기 (18a), 제 2 돌기 (18b) 의 측에서 저판부 (14c) 를 향하여 삽입통과시키고, 또 삽입 지그 (100) 를 조작하여, 규제부 (17) 로 둘러싸인 제 1 평판부 (14a) 의 표면부분 (자석수납부) 에 자석 (13) 을 끼워 넣어, 표면부 (13a) 또는 내면부 (13b) 의 어느 하나를 맞닿게 한다. 자석 (13) 을 끼워 넣은 후, 돌기 (18a, 18b) 측의 제 2 절기부 (17b) 를 가이드하여, 삽입 지그 (100) 를 제 1 평판부 (14a) 의 표면을 따라서 끌어올려 자석 (13) 에서 삽입 지그 (100) 를 분리한다. 자석 (13) 은 스스로의 자력으로 이 규제부 (17), 즉 제 1 절기부 (17a) 와 제 2 절기부 (17b) 로 둘러싸인 제 1 평판부 (14a) 의 표면부분 (자석수납부) 에 부착 고정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은 코일을 제 1 평판부 (14a) 를 둘러싸듯이 부착한 후, 백요크 (12) 를 요크 (11) 의 제 1 평판부 (14a) 및 제 2 평판부 (14b) 단부의 상방으로부터 덮어, 요크 (11) 의 제 1 돌기부 (18a) 및 제 2 돌기부 (18b) 에 백요크 (12) 의 부착구멍 (21) 을 각각 끼워 넣는다.
이상과 같이 조합된 요크 (11) 를 렌즈홀더에 삽입시키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요크 (11) 의 제 2 평판부 (14b) 의 아암부 (16) 를 렌즈홀더의 벽부의 가이드홈에 벽부측면과 제 2 평판부 (14b) 측면이 맞닿도록 꽂아 접착제로 부착 고정한다.
렌즈홀더의 수용부에는, 대물렌즈를 놓고, 대물렌즈의 블레이드부의 클릭부내벽에 접착제로 부착고정한다.
벽부의 홈부에는, 가늘고 긴 와이어를 부착하여, 대물렌즈를 구비한 렌즈홀더 및 요크 (11) 는 캐리지에 가요성으로 지지됨으로써 광픽업이 완성된다.
광디스크장치에 부착된 광픽업은, 광디스크의 회전편심에 추종하도록, 요크 (11) 에 높은 정밀도로 확실하게 부착한 자석 (13) 과 코일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장에 의하여, 대물렌즈를 포커스 방향 (광디스크면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 과 트래킹방향 (광디스크의 지름방향) 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반도체 레이저소자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이 평면렌즈 또는 빔 스플리터에 의하여 평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광방향을 바꾸어, 대물렌즈로 집광시켜, 소정의 광디스크면에 입사시킨다.
본 발명은, 광픽업의 요크부분의 제 2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5 의 (a) 및 (b) 에 있어서, 금속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U 자형의 요크 (31) 에는, 제 1 평판부 (32a) 와, 제 1 평판부 (32a) 에 대향하는 제 2 평판부 (도시하지 않음), 및 이 제 1 평판부 (32a) 및 제 2 평판부를 연결하는 저판부 (32c)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평판부 (32a) 에는, 이 제 1 평판부 (32a) 측면에 높이가 상이한 위치에 부착한 규제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 (33) 는, 제 1 절기부 (33a) 와, 이 제 1 절기부 (33a) 를 그 면과 직교방향으로 절곡시킨 제 2 절기부 (33b) 로 이루어지며, 규제부 (33) 와 제 1 평판부 (32a) 와의 사이에는 미리 절결홈 (35)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절기부 (33a) 및 제 2 절기부 (33b) 는 상술한 사각형 형상을 한 자석 (13) 의 대각선상에 있는 2 개의 각부분을 사이에 끼우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한쪽의 제 1 절기부 (33a) 및 제 2 절기부 (34) 는 인접한 측면부 (13d) 및 측면부 (13e) 를, 타방의 제 1 절기부 (33a) 및 제 2 절기부 (34) 는 인접한 측면부 (13c) 및 측면부 (13f) 를 각각 사이에 두어, 자석의 사방향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그리고, 요크 (31) 를 만들려면, 도 5 의 (b) 에 있어서, 금속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을 프레스로 노치하여, 제 1 평판부 (32a), 제 2 평판부, 저판부 (32c) 를 본뜬 금속판과 일부가 연결되는 금속판 (X) 을 형성한다. 지그를 이용하여, 이 금속판 (X) 을 도시한 일점쇄선을 절곡 기준으로 하여 표면에 거의 수직으로 절곡시켜, 제 1 절기부 (33a) 가 되는 규제부 (33) 를 형성한다. 또한, 도면의 점선을 절곡 기준으로 하여 금속편 (X) 의 표면에 거의 직각으로 절곡시킨 제 2 절기부 (34) 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제 3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6 에 있어서, 금속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U 자형의 요크 (41) 는, 제 1 평판부 (42a) 와, 이 제 1 평판부 (42a) 에 대향하는 제 2 평판부 (도시하지 않음) 와, 제 1 평판부 (42a) 및 제 2 평판부를 연결하는 저판부 (42c)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평판부 (42a) 에는, 이 제 1 평판부 (42a) 측면에 제 2 평판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부착한 대향하는 규제부 (43) 가 되는 제 1 절기부 (43a) 와, 제 1 평판부 (42a) 의 표면을 잘라내어 거의 직각으로 일으킨 규제부 (43) 로 이루어지는 제 2 절기부 (43b)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절기부 (43a) 와 제 2 절기부 (43b) 가 각각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술한 사각형 형상을 한 자석 (13) 을 이 둘러싸인 제 1 평판부 (42a) 의 표면부분에 부착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절기부 (43a) 가 자석의 제 1 평판부 (42a) 의 표면과 평행인 좌우방향의 위치규제를, 제 2 절기부 (43b) 가 자석의 제 1 평판부 (42a) 의 표면과 평행인 상하방향의 위치규제를 각각 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4 실시의 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7 에 있어서, 금속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U 자형 요크 (51) 에는, 제 1 평판부 (52a) 와, 이 제 1 평판부 (52a) 에 대향하는 제 2 평판부 (도시하지 않음) 와, 제 1 평판부 (52a) 및 제 2 평판부를 연결하는 저판부 (52c)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평판부 (52a) 에는, 이 제 1 평판부 (52a) 의 양측면을 일부 잘라 제 1 평판부 (52a) 의 표면에서 거의 직각으로 절곡시켜 대향시킨 규제부로 이루어지는 2 개의 절기부 (53) 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 (54) 은 영구자석으로, 자석 (54) 에는, 제 1 평판부 (52a) 의 절기부 (53) 에 대응하여, 사각형 형상의 양측벽면을 구형상으로 자른 맞물림부 (54a) 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 (54) 은 제 1 평판부 (52a) 의 내측표면에 맞닿게하여, 자석 (54) 의 맞물림부 (54a) 를 제 1 평판부 (52a) 의 절기부 (53) 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평판부 (52a) 의 규제부가 되는 절기부 (53) 에 자석 (54) 의 맞물림부 (54a) 를 맞물림으로써, 자석 (54) 의 제 1 평판부 (52a) 의 표면과 평행한 4 방향의 위치규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5 실시의 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8 의 (a) 및 (b) 에 있어서, 금속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U 자형 요크 (61) 에는 제 1 평판부 (62a), 이 제 1 평판부 (62a) 에 대향하는 제 2 평판부 (도시하지 않음), 및 이 제 1 평판부 (62a) 및 제 2 평판부를 연결하는 저판부 (62c)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평판부 (62a) 에는, 이 제 1 평판부 (62a) 의 벽을 H 형상으로 잘라내어, 이 잘라낸 부분을 외벽에서 내벽을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절곡시켜 대향시킨 규제부로 이루어지는 2 개의 절기부 (63) 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 (64) 은 영구자석으로, 자석 (64) 에는, 제 1 평판부 (62a) 의 절기부 (63) 에 대응하여, 거의 사각형 형상을 한 제 2 맞물림부가 되는 삽입 통과 구멍 (64a) 이 형성되어 있다. 자석 (64) 은 제 1 평판부 (62a) 의 내벽에 맞닿게되어, 자석 (64) 의 삽입 통과 구멍 (64a) 을 제 1 평판부 (62a) 의 절기부 (63) 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평판부 (62a) 의 절기부 (63) 를 자석 (64) 의 2 개의 삽입 통과 구멍 (64a) 에 각각 끼워넣어, 자석 (64) 의 제 1 평판부 (62a) 의 표면과 평행인 4 방향의 위치규제를 행한다.
그리고, 제 1 평판부 (62a) 의 규제부가 되는 절기부 (63) 에 자석 (64) 의 삽입 통과 구멍 (64a) 을 맞물리게 하여, 자석 (64) 의 제 1 평판부 (62a) 의 표면과 평행인 4 방향의 위치규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요크는 금속판을 절곡시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 배치된 제 1 평판부와 제 2 평판부를 구비하되, 제 1 평판부에는, 제 2 평판부를 향해 돌출된 규제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규제부에 자석을 부착하여, 상기 규제부가 자석의 제 1 평판부의 표면과 평행인 방향의 위치규제를 행함으로써, 자석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간단히 자석을 스스로의 자력으로 요크에 부착한 것만으로도, 외력에 의한 자석의 부착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어, 광픽업의 공진특성이나 발란스특성 등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절기부는, 사각형형상의 자석의 일방에 대향하는 측면과 타방에 대향하는 측면을 각각 사이에 두는 제 1 절기부와 제 2 절기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석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간단히 자석을 스스로의 자력으로 요크에 부착되는 것만으로도, 외력 등에 의한 자석의 부착위치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규제부는 제 1 평판부에 2 개 설치되고, 2 개의 규제부간에, 요크를 U 자형상으로 절곡시킬 때, 펀치의 일부가 삽입되는 간극부를 설치했으므로, 간극부에 펀치를 댈 수 있어, 요크의 높이방향의 박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광픽업을 구성하는 요크에는 자석의 사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어, 그 규제부에 자석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자석을 미리 지그에 부착시켜, 그 부착상태인 채로 자석을 규제부에 삽입하여 요크에 부착하고, 그 후, 지그를 요크를 따라 끌어 올림으로써 자석을 지그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영구자석이 요크의 소정 이외의 장소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확실하게 소정의 자석수납부로 간단하게 끼울 수 있다.

Claims (6)

  1. 요크는 금속판을 절곡시켜 형성된 금속자성재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 배치된 제 1 평판부와 제 2 평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평판부에는, 상기 제 2 평판부를 향하여 돌출한 규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규제부에 자석을 부착하여, 상기 규제부가 상기 자석의 상기 제 1 평판부의 표면과 평행한 모든 방향에 대한 위치규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절결홈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평판부의 일부를 절곡시킨 제 1 절기부와 상기 제 1 절기부의 양단부를 절곡시킨 제 2 절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기부와 제 2 절기부는 사각형 형상의 자석의 한쪽의 대향하는 측면과 다른쪽의 대향하는 측면을 각각 사이에 두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자석에 맞물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규제부에 상기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 1 평판부에 2 개 형성되며, 2 개의 상기 규제부간에, 상기 요크를 U 자형으로 절곡시킬 때 펀치의 일부가 삽입되는 간극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6. 광픽업을 구성하는 요크에는 자석의 사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규제부에 자석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장착방법으로서,
    상기 자석을 미리 지그에 스스로의 자력으로 부착시켜, 그 부착상태 그대로 상기 자석을 상기 규제부에 삽입하여 상기 요크에 부착하고, 그 후, 상기 지그를 상기 요크를 따라 끌어 올림으로써 상기 자석을 상기 지그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에 있어서의 자석장착방법.
KR1019990007545A 1998-03-12 1999-03-08 광픽업 및 그 광픽업에 있어서의 자석장착방법 KR100318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60989 1998-03-12
JP10060989A JPH11259878A (ja) 1998-03-12 1998-03-12 光ピックアップ及びその光ピックアップにおける磁石装着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683A KR19990077683A (ko) 1999-10-25
KR100318657B1 true KR100318657B1 (ko) 2001-12-28

Family

ID=1315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545A KR100318657B1 (ko) 1998-03-12 1999-03-08 광픽업 및 그 광픽업에 있어서의 자석장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259878A (ko)
KR (1) KR100318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49A (ko) * 2002-08-28 2004-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픽업 액추에이터
EP2587268A1 (en) * 2011-10-26 2013-05-01 LEM Intellectual Property SA Electrical current transducer
WO2013175663A1 (ja) * 2012-05-22 2013-11-2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走査素子及び光走査装置
CN112018992B (zh) * 2019-05-31 2023-07-28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致动器及触觉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018U (ko) * 1996-11-26 1998-08-05 배순훈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018U (ko) * 1996-11-26 1998-08-05 배순훈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683A (ko) 1999-10-25
JPH11259878A (ja) 199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0781B1 (en) Method of preparing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objective lens suspension body
JP2684762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318657B1 (ko) 광픽업 및 그 광픽업에 있어서의 자석장착방법
US20050068642A1 (en) Optical hea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498828B2 (ja) 光ピックアップ
JPS6057569B2 (ja) 可動鏡装置
KR100357919B1 (ko) 광픽업 및 그 조립방법
JP3694914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3498830B2 (ja) 光ピックアップ
KR100367898B1 (ko) 광 픽업장치
JP3197317B2 (ja) 光学系支持装置の製造方法
JP3639132B2 (ja) 光ピックアップ
JP2511574Y2 (ja) 光ピツクアツプの回析格子支持構造
JP3052886U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1202652A (ja) 光ピックアップ
EP1067527A1 (en) Actuator with high precision element positioning
JP2001339182A (ja) 半導体の取り付け構造
JPH11167736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1338428A (ja) 受光部材及びその取り付け構造
JP2001338435A (ja) 複合光学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
JPS62287443A (ja) アクチユエ−タ
JPS6387614U (ko)
JPH07141671A (ja) 光ピックアップの光学ベース
JPH06195721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S62162247A (ja) 光学的読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