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077B1 - 시계케이스뒷덮개오프너 - Google Patents

시계케이스뒷덮개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077B1
KR100317077B1 KR1019940024594A KR19940024594A KR100317077B1 KR 100317077 B1 KR100317077 B1 KR 100317077B1 KR 1019940024594 A KR1019940024594 A KR 1019940024594A KR 19940024594 A KR19940024594 A KR 19940024594A KR 100317077 B1 KR100317077 B1 KR 100317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case
opener
back cover
base
case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527A (ko
Inventor
스코트엠.에스.초우
Original Assignee
다가요시 사이또
가부시끼가이샤 핫도리 세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가요시 사이또, 가부시끼가이샤 핫도리 세이코 filed Critical 다가요시 사이또
Publication of KR95002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DAPPARATUS OR TOOL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OR MAINTAINING CLOCKS OR WATCHES
    • G04D1/00Gripping, holding, or supporting devices
    • G04D1/10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watch bottom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기부를 갖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가 제공된다. 바이스는 시계 케이스를 기부에 고정하도록 기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바이스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 1 죠오와 제 2 죠오를 포함한다. 죠오에는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들은 다수의 지주를 수용하여 다수의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시계 케이스를 바이스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개방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오프너 유니트는 레버를 기부에 대해 비튼 다음 블레이드를 기부에 대해 들어올려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시계 케이스로 부터 분리하도록 기부상에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본 발명은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냅식 뒷덮개들을 갖는 다양한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시계 케이스들을 수용할 수 있는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밧데리의 대체 등의 시계수리중에, 시계의 뒷덮개를 시계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시계 케이스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라 기술자는 한손으로 시계를 붙잡고 다른 손으로 나이프를 사용하여 뒷덮개를 비집어 개방하여 시계 뒷덮개를 시계 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으로 부터 뽑아낸다. 이 방법은 만일 나이프가 시계 케이스로 부터 미끄러지면 기술자가 그의 손을 베일 위험을 포함하여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너무 큰 힘이 가해지면, 나이프가 시계 케이스 안으로 들어가 시계 케이스 내의 부재들 자체를 손상시킨다.
시계 케이스를 제위치에 유지하는 클램프와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해제하는 오프너 블레이드를 갖는 장치가 또한 알려져 있다. 시계는 시계 케이스를 오프너 블레이드에 대해 위치고정하기 위한 최상의 판단에 따라 클램프 내에 수동 배치된다.
그러한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는 심한 제한을 받는다. 종래의 시계 케이스 오프너들은 시계의 위치고정을 제한하고 시계를 오프너 블레이드에 대해 클램프 내에 정확히 배치하는 것을 상당량 작업자에게 의존한다. 결과적으로, 오정렬이 발생하여 시계 케이스가 개방되는 것을 방해하고 어떤 경우에는 시계 케이스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더욱이, 일단 오정렬이 발견되면, 시계는 제거되어야 하며, 체결공정이 재개시되어 재개시를 요하는 시간소모적인 반복공정을 초래한다. 따라서, 넓은 범위의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시계 케이스를 수용할 수 있고 시계 또는 기술자를 손상시킴이 없이 편리한 배향으로 시계 케이스 및 오프너 블레이드의 위치고정의 조정을 허용하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가 요망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시계케이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가 제공된다. 이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는 기부를 포함한다. 바이스는 기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바이스의 각 죠오상에는 다수의 구멍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멍들중 어느 하나내에 수용되어 시계 케이스를 사이에 고정하도록 된 한쌍의 지주가 바이스의 양 죠오상에 제공되어 있다. 오프너 유니트는 바이스에 인접하여 약간 위에서 기부상에 장착된다. 오프너 블레이드는 바이스를 향하는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는 두방향중 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오프너 유니트상에 피봇 장착된다. 이 오프너 블레이드는 바이스에 대해 평행한 평면내의 제 1 위치와 바이스에 대해 각이 진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끔 기부에 대해 바이어스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 블레이드 또는 시계 케이스가 기술자의 손에 의해 유지될 필요가 없는 스냅식 시계용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양한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시계 케이스를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양한 시계 케이스 구조 및 크기에 적용하도록 시계 케이스 및 오프너 블레이드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이점은 명세서 및 도면으로 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 요소의 조합 및 부품들의 배치의 특정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후술하는 구조에 예시되어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나타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10)의 사시도가 제공되어 있는 제 1 도를 먼저 참조한다.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10) 는 기부 (12) 를 포함한다. 그 기부 (12) 상에는 바이스 (14) 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기부 (12)는 융기부 (16)를 포함한다. 기부 (12)의 융기부(16) 상에는 오프너 유니트(18)가 피봇 장착되어 있다.
제 2 도 내지 제 5 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스(14)는 제 1 바이스 죠오 (20) 를 포함한다. 이 바이스 죠오 (20) 는 기부 (12) 로 부터 연장하는 피봇(15) 을 중심으로 기부 (12) 의 개구부 (13)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죠오 (20) 상에 형성되어 기부 (12) 에 의해 수용된 플랜지 (17) 는 죠오 (20) 가 기부 (12) 로 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바이스 죠오 (20) 상에는 제 2 바이스 죠오 (22) 가 이중머리 화살표 (A) 의 양방향에서 바이스 죠오(20) 를 향하는 제 1 방향 및 바이스 죠오 (20) 로 부터 멀어지는 제 2 방향의 양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스 죠오 (20) 에는 나사채널 (19a) 이 형성되어 있다. 바이스 죠오 (22) 에는 보충적인 채널 (19b) 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19) 를 갖는 나사막대 (21) 가 죠오들 (20,22) 사이에서 연장하여 채널들 (19a,19b) 내에 수용됨으로써, 나사막대 (21) 를 회전시키면 손잡이(19) 의 회전방향에 따라 죠오들 (20,22) 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 부터 멀리 이동한다. 죠오 (20) 에는 채널 (19a) 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롯들 (29a,31a) 이 또한 형성되어 있다. 유사하게, 죠오 (22) 에는 채널 (19b) 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롯들 (29b,31b) 이 형성되어있다. 제 1막대 (27a) 는 슬롯들 (31a,31b) 사이에 지지되어 있고 그 주위에 제 1스프링 (25) 이 장착된다. 제 2막대 (27b) 는 슬롯들 (29a,29b) 내에 장착되고 그 주위에 제 2스프링 (23) 이 장착된다. 스프링들 (23,25) 은 죠오들 (20,22) 사이에 배치되어 그 죠오들 (20,22) 을 서로로 부터 멀리 바이어스한다. 죠오들 (20,22) 은 나사채널 (19a) 내에서의 나사막대 (21)의 차단작용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된다. 손잡이 (19) 를 회전시키면 나사막대(21) 가 나사채널 (19a) 안으로 또는 밖으로 더 이동하여 죠오들 (20,22) 의 서로에 대한 이동을 야기한다. 막대 (27a) 는 채널 (31a) 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어 죠오 (22) 와 더불어 이동한다. 유사하게, 막대 (27b) 는 채널 (29a) 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어 죠오 (22) 와 더불어 이동한다.
바이스 죠오 (20) 에는 다수의 지주구멍들 (24) 이 형성되어 있다. 유사하게, 바이스 죠오 (22) 에는 다수의 지주구멍들 (26)이 형성되어 있다. 지주구멍들 (24) 또는 지주구멍들 (26) 에 수용되는 크기로된 지주들 (28) 이 지주구멍들 (24) 및 지주구멍들 (26) 내에 대향 쌍으로 장착됨으로써, 두개이상의 지주들이 각 바이스 죠오상에 제공된다.
시계 케이스 (30) (제 6 도) 는 죠오들 (20,22) 상에 장착된 지주들(28) 사이에서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0) 상에 위치한다. 지주들 (28) 은 지주 구멍들 (24,26) 내에 장착되어, 시계 케이스 (30) 를 우선 대략 결합하고 오프너 유니트 (18) 에 대해 시계 케이스 (30) 를 고정한다. 그다음 바이스 죠오 (22) 가 바이스 죠오 (20) 쪽으로 이동하여 대향 바이스 죠오상에 배치된 지주들 (28) 사이에 힘을 제공함으로써, 시계 케이스 (30) 를 바이스 (14) 상에 견고히 유지하여 개방작동 중 시계 케이스 (30) 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오프너 유니트 (18) 는 바이스 (14) 위에 장착된다. 오프너 유니트 (18) 는 기부 (12) 의 융기부 (16)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가능한 마운트 (32) 를 포함한다. 회전가능한 마운트 (32) 는 이중머리 화살표 (B) 의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블록 (34) 은 그 블록 (34) 의 일측상의 피봇 핀들 (36) 을 중심으로 마운트 (32) 에 장착되어 있다. 블록 (34) 은 피봇 핀들 (36) 을 중심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피봇한다. 비틀음 레버 (38) 는 스프링 (40) (제 6, 7 도)과 나사막대 (44) 에 의해 블록 (34) 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프링 (40) 은 화살표 (C) 의 방향으로 비틀음 레버 (38) 에 힘이 가해졌을때, 화살표 (C) (제 7 도) 의 방향으로의 비틀음 레버 (38) 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블록 (34) 의 상면에 거의 평행한 위치로 비틀음 레버 (38) 를 바이어스한다.
나사막대 (44) 는 블록 (34) 을 통해 연장하여 비틀음 레버 (38) 의 전단부 (42) 에 고정된다. 나사막대 (44) 의 일단부에는 손잡이 (46) 가 고정되어 있다. 전단부 (42) 에는 척 (48) 이 고정되어 비틀음 레버 (38) 의 전단부 (42) 가 척 (48) 과 막대 (44) 사이에 배치된다. 블록 (34) 은 막대 (44) 가 통과하는 나사채널 (35) 을 가짐으로써, 손잡이 (46) 를 비틀면 손잡이 (46) 의 회전방향에 따라 비틀음 레버 (38) 와 척 (48) 이 바이스 (14) 쪽으로 또는 바이스 (14) 로 부터 멀리 이동한다. 레버 (38) 는 스프링 (40) 과의 사이에 제동접촉 없이 그 스프링 (40) 에 대해 미끄러진다. 척 (48) 내에는 오프너 블레이드 (50) 가 해제가능하게 장착된다.
기부 (12) 상에 장착된 손잡이 (52) 는 나사막대 (55) 에 고정되고, 이 나사막대는 기부 (12) 내의 나사채널 (57) 을 통해 연장한다. 나사막대 (55) 에는 반대단부에 정지구 (59) 가 고정되어 바이스 죠오 (20) 와 접촉함으로써, 손잡이 (52)가 회전되었을때 정지구 (59) 가 바이스 죠오 (20) 와 마찰결합하게 함으로써 바이스 (14) 의 회전을 방해한다. 손잡이 (52) 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이스 죠오 (20) 를 해제한다. 바이스 죠오 (20) 에는 오프너 블레이드들 (50) 에 대한 수용공간으로서 홈 (56) 이 형성되어 있다. 여분의 지주들 (28) 은 융기부 (16) 에 수용된다 (제 1도).
대부분의 시계 케이스는 그의 뒷면에서 그 시계 케이스에 개방 노치를 포함한다.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0) 의 작동중, 시계 케이스 (30) 의 대략적인 크기에 따라 4 개의 지주(28)가 지주구멍들 (24,26) 안으로 삽입된다. 그다음, 손잡이 (19) 가 회전하여 개방위치로 바이스 죠오 (20) 를 바이스 죠오 (22) 로부터 분리시킨다. 시계 케이스 (30) 는 케이스 개방 노치가 바이스 죠오 (20) 에 중첩되게끔 하향하여 바이스 (14) 상에 배치된다 (제 1, 6 도). 그다음, 손잡이 (19) 를 회전하여 바이스 (14) 를 밀폐함으로써 시계 케이스 (30) 주위의 지주들 (28) 을 조인다. 그리고, 바이스 (14) 를 이중머리 화살표 (G) 의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3 도) 개방노치를 오프너 블레이드 (50) 와 정렬시킨다. 일단 개방노치가 오프너 블레이드 (50) 와 정렬되고 나면, 손잡이 (52) 를 회전하여 바이스 (14) 를 선택위치에 고정한다. 만일 시계 케이스 (30) 의 뒷덮개에 개방노치가 없다면, 시계 면의 8 시 또는 10 시 위치를 오프너 블레이드 (50) 와 정렬시킨다.
그리고, 피봇핀 (36) 을 중심으로 화살표 (B) 방향으로 블록 (34) 을 피봇하여 (제 6 도),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개방노치와 거의 평행한 위치로 바이스 (14) 를 향해 이동시킨다. 그다음, 손잡이 (46) 를 화살표 (H)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6 도),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화살표 (L) 방향으로 점차 이동시킴으로써 시계 케이스 (30) 의 개방노치와 접촉시킨다.
예시예에서는, 손잡이 (46) 는 정확히 사용되었을때, 완전한 두회전 이상을요구하지 않는다. 만일 완전한 두회전 이상이 요구되면, 마운트 (32) 를 회전시키거나, 바이스 (14) 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필요하다면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시계 케이스 (30) 쪽으로 더 연장하거나, 또는 이들 3가지를 조합하여, 지주 구멍들 (24, 26) 내의 지주들 (28) 을 재조정하여 시계를 재배치할수 있다. 오프너 블레이드 (50) 가 개방노치로 들어가면, 비틀음 레버 (38) 는 화살표 (C)방향으로 밀려 (제 7 도), 비틀음 레버 (38) 를 막대 (44) 둘레에서 화살표 (K) 방향으로 회전시켜, 거기에 부착된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개방노치 내에서 비틀고, 케이스 뒷덮개 (60) 를 시계 케이스 (30) 의 나머지 부분으로 부터 비집어연다. 그다음, 오프너 유니트 (18) 는 피봇핀 (36) 을 중심으로 피봇하여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시계 케이스 (30) 로 부터 제거한다. 지주들 (28) 은 개방공정중 시계 케이스 (30) 가 바이스 (14) 로 부터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퍼져 있다.
오프너 블레이프 (50)를 교체하려면, 척 (48) 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오프너 블레이드 (50) 주위의 장력을 해제한다. 그다음, 여분의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바이스 (14) 의 홈 (56) 으로 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여분의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척 (48) 안으로 삽입한 후 그 척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임으로써 척을 밀폐하여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척안에 파지한다.
바이스의 양측상의 다수의 지주구멍들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지주들을 제공함으로써, 단일 시계 케이스 오프너가 용이하게 사용되어 다수의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시계 케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바이스와 관련하여 지주구멍들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다른 크기의 시계 케이스에 또한 적용하도록 폭을 조정할 수 있는 고정시스템이 제공된다. 바이스를 기부에 대해 전체가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시계 케이스를 바이스에 대해 재배치할 필요없이 개방노치를 오프너 블레이드와 정렬할 수 있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개방노치에 대한 오프너 블레이드의 비틀림을 허용하는 비틀음 레버를 제공함에 의해,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개방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설명으로 부터 명백해진 상기한 목적들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구조에 소정의 변경이 행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설명에 포함되었거나 첨부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제한적인 의미는 아니다.
또한, 다음의 청구범위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모든 일반적이고 특정적인 특징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고, 본 발명 범위의 모든 말들은 언어의 문제로서 그에 속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회전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회전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의 평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4-4 선을 따른 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5-5 선을 따른 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6-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비틀음 레버의 부분단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기부 14 : 바이스
16 : 융기부 18 : 오프너 유니트
20, 22 : 죠오 21 : 나사막대
23, 25, 40 : 스프링 28 : 지주
30 : 시계 케이스 34 : 블록
48 : 척 50 : 오프너 블레이드

Claims (20)

  1.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에 있어서:
    기부 (12) ;
    시계 케이스 (30) 를 상기 기부 (12) 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기부 (12) 상에 장착된 바이스 수단 (14) 으로서, 제 1 죠오 (20) 및 상대 제 2 죠오 (22) 를 포함하고, 그 제 2 죠오 (22) 는 상기 제 1 죠오 (20) 와의 폐쇄위치와 상기 제 1 죠오 (20) 로 부터 떨어진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바이스 수단 (14);
    다수의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시계 케이스 (30) 를 상기 바이스 수단 (14) 에 고정하도록 상기 제 1 죠오 (20) 와 상기 제 2 죠오 (22) 상에 장착된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및
    상기 시계 케이스(30)가 상기 바이스수단 (14) 에 고정되었을때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상기 시계 케이스 (30) 로 부터 분리하도록 상기 기부 (12) 상에 장착된 오프너 유니트 수단 (18) 으로 이루어지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은 상기 제 1 죠오 (20) 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구멍 (24) 들 및 상기 제 2 죠오 (23) 에 형성된 다수의 제 2구멍 (26) 들과, 다수의 지주 (28) 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지주 (28) 는 상기 다수의 구멍들 (24, 26) 중 어느 하나안에 수용되도록 되어있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 수단 (14) 은 상기 기부 (12)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 수단 (14) 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잠금수단 (59) 을 더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유니트수단 (18) 은 상기 바이스 수단 (14) 에 인접한 제 1 위치와 상기 바이스 수단 (14) 으로 부터 떨어진 제 2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유니트 수단 (18) 은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포함하며, 그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상기 기부 (12) 에 대해 비틀기 위한 비틀음 수단 (38, 40) 을 더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7.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에 있어서:
    기부 (12);
    시계 케이스 (30) 를 상기 기부 (12) 에 고정하도록 상기 기부 (12)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바이스 수단 (14) 으로서, 제 1 죠오 (20) 와 제 2 죠오 (22)를 포함하고, 그 제 2 죠오 (22) 는 상기 제 1 죠오 (20) 와의 폐쇄위치와 상기 제 1 죠오 (20) 로 부터 떨어진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바이스 수단 (14):
    다수의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시계 케이스 (30) 를 상기 바이스 수단 (14) 에 고정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죠오 (20, 22) 상에 장착된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으로서, 상기 제 1 죠오 (20) 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구멍 (24) 들 및 상기 제 2 죠오 (22) 에 형성된 다수의 제 2 구멍 (26) 들과, 다수의 지주 (28) 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지주 (28) 는 상기 다수의 구멍들 (24, 26) 중 어느 하나안에 수용되도록 되어있는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및
    상기 시계 케이스 (30) 가 상기 바이스 수단 (14) 에 고정되었을때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상기 시계 케이스 (30) 로 부터 분기하도록 상기 기부 (12) 상에 장착된 오프너 유니트 수단 (18) 으로서, 상기 바이스 수단 (14) 에 인접한 제 1 위치와 상기 바이스 수단 (14) 으로 부터 떨어진 제 2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며, 오프너 블레이드 (50) 와, 그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상기 기부 (12) 에 대해 비틀기 위한 비틀음 수단 (38, 40) 을 포함하는 오프너 유니트 수단 (18) 으로 이루어지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8.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에 있어서:
    기부 (12);
    시계 케이스 (30) 를 상기 기부 (12) 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 (20, 22, 24, 26, 28); 및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상기 시계 케이스 (30) 로 부터 분리하도록 상기 기부 (12) 상에 장착된 오프너 유니트 수단 (18) 으로서, 상기 장착수단 (20, 22, 24, 26, 28)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수단 (20, 22, 24, 26, 28) 에 의해 고정된 상기 시계 케이스 (30) 에 인접한 제 1 위치와 상기 장착수단 (20, 22, 24, 26, 28) 에 의해 고정된 상기 시계 케이스 (30) 로 부터 떨어진 제 2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며, 오프너 블레이드 (50) 와, 그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상기 시계 케이스 (30) 에 대해 비틀기 위한 비틀음 수단 (38, 40) 을 포함하는 오프너 유니트 수단 (18) 으로 이루어지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유니트 수단 (18) 은 블록 (34) 을 포함하고, 그 블록 (34) 은 상기 기부 (12)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비틀음 수단 (38, 40) 은 비틀음 레버 (38) 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너 블레이드 (50) 는 상기 블록 (34) 과 상기 비틀음 레버 (38) 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오프너 블레이드 (50) 는 상기 비틀음 레버 (38) 와 더불어 이동하고, 그 비틀음 레버 (38) 는 상기 블록 (34) 의 상면에 거의 평행한 제 1 위치와 상기 블록 (34) 과 각도를 이루어 상기 오프너 블레이드 (50) 가 상기 각도로 비틀리게 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음 수단 (38, 40) 은 상기 비틀음 레버 (38) 를 상기 제 1 위치로 바이어스하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 (40) 을 더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 (20, 22, 24, 26, 28) 은 다수의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시계 케이스 (30) 를 상기 장착수단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을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고정수단은 상기 장착수단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 (24, 26) 과 다수의 지주 (28) 를 포함하고, 각각의 지주 (28) 는 상기 다수의 구멍들 (24, 26) 중 어느 하나 안에 수용되도록 되어있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 (20, 22, 24, 26, 28) 은 상기 기부 (12) 에 대해 회전가능한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4.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에 있어서:
    기부 (12);
    시계 케이스 (30) 를 상기 기부 (12) 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 (20, 22, 24, 26, 28) 으로서, 다수의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시계 케이스 (30) 를 상기 장착수단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을 포함하며, 그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은 상기 장착수단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 (24,26)과 다수의 지주 (28) 를 포함하고, 각각의 지주 (28) 는 상기 다수의 구멍들 (24, 26) 중 어느 하나안에 수용되도록 되어있는 장착수단 (20, 22, 24, 26, 28); 및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상기 시계 케이스 (30) 로 부터 분리하도록 상기 기부 (12) 상에 장착된 오프너 유니트 수단 (18) 으로서, 상기 장착수단 (20, 22, 24, 26, 28)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수단 (20. 22, 24, 26, 28) 에 의해 고정된 상기 시계 케이스 (30) 에 인접한 제 1 위치와 상기 장착수단 (20, 22, 24, 26, 28) 에 의해 고정된 상기 시계 케이스 (30) 로 부터 떨어진 제 2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며, 오프너 블레이드 (50) 와, 그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상기 시계 케이스 (30) 에 대해 비틀기 위한 비틀음 수단 (38, 40) 을 포함하고, 블록 (34) 을 포함하며, 그 블록 (34) 은 상기 기부 (12)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비틀음 수단 (38, 40) 은 비틀음 레버 (38) 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너 블레이드 (50)는 상기 블록 (34) 과 상기 비틀음 레버 (38) 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비틀음 레버 (38) 와 더불어 이동하며, 그 비틀음 레버 (38) 는 상기 블록 (34) 의 상면에 거의 평행한 제 1 위치와 상기 블록 (34) 과 각도를 이루어 상기 오프너 블레이드 (50) 가 상기 각도로 비틀리게 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비틀음 수단은 상기 비틀음 레버 (38) 를 상기 제 l 위치로 바이어스하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 (40) 을 더 포함하는 오프너 유니트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5.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에 있어서:
    기부 (12) ;
    상기 기부 (12) 상에 장착되어 다수의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시계케이스 (30) 를 상기 기부 (12) 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및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상기 시계 케이스 (30) 로 부터 분리하도록 상기 기부 (12) 상에 장착된 오프너 유니트 수단 (18) 으로서, 상기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에 인접한 제 1 위치와 상기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으로 부터 떨어진 제 2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며, 오프너 블레이드 (50) 와, 그 오프너 블레이드 (50) 를 상기 기부 (12) 에 대해 비틀기 위한 비틀음 수단 (38, 40) 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12) 상에 피봇 장착된 블록 (34) 을 포함하며, 상기 비틀음 수단 (38, 40) 은 상기 블록 (34) 상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비틀음 수단 (38, 40) 은 상기 블록 (34) 의 상면에 거의 평행한 제 1 위치와 상기 블록 (34) 의 상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비틀리고, 그 비틀음 레버 (38) 를 상기 제 1 위치로 바이어스하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 (40) 을 포함하는 오프너 유니트 수단 (18) 으로 이루어지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은 상기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 (24, 26) 과 다수의 지주 (28) 를 포함하고, 각각의 지주 (28) 는 상기 다수의 구멍들 (24, 26) 중 어느 하나안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은 상기 기부 (12)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24. 26, 28)을 선택적으로 잠그어 상기 기부 (12) 에 대한 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수단 (59) 을 더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12) 상에 장착된 바이스수단 (14) 을 더 포함하고, 그 바이스 수단 (14) 은 제 1 죠오 (20) 와 제 2 죠오 (22) 를 포함하며, 그 제 2 죠오 (22) 는 상기 제 1 죠오 (20) 와의 폐쇄위치와 상기 제 1 죠오 (20)로 부터 떨어진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조정가능한 고정수단 (24, 26, 28) 이 상기 제 1 및 제 2 죠오 (20, 22) 상에 장착되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20.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에 있어서:
    기부 (12);
    시계 케이스 (30) 를 소정의 배향으로 상기 기부 (12) 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기부상에 장착된 바이스 수단 (14) 으로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짝을 이룬 한쌍의 죠오들 (20, 22) 을 포함하여 이 죠오들 사이에 시계 케이스 (30) 를 고정하는 바이스 수단(14); 및
    상기 시계 케이스 뒷덮개를 고정된 시계 케이스 (30) 로 부터 분리하도록 그 고정된 시계 케이스 (30) 에 대해 조정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기부 (12) 상에 장착된 오프너 유니트 (18) 를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 뒷덮개 오프너.
KR1019940024594A 1994-03-31 1994-09-28 시계케이스뒷덮개오프너 KR100317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21,294 US5388082A (en) 1994-03-31 1994-03-31 Watch case back opener
US08/221,294 199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527A KR950027527A (ko) 1995-10-18
KR100317077B1 true KR100317077B1 (ko) 2002-04-06

Family

ID=2282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594A KR100317077B1 (ko) 1994-03-31 1994-09-28 시계케이스뒷덮개오프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88082A (ko)
JP (1) JPH07270555A (ko)
KR (1) KR100317077B1 (ko)
CH (1) CH688747B5 (ko)
GB (1) GB2288039B (ko)
TW (1) TW2559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7638B2 (en) * 2001-05-25 2003-07-22 Movado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watch straps
US6640666B2 (en) 2002-01-18 2003-11-04 Larry E. Pliley Vise system with article engaging jaw accessories
US8887938B2 (en) * 2006-07-06 2014-11-18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Buckling clamshell container for automated aliquot and dispersal processes
US8702371B2 (en) * 2007-07-06 2014-04-22 Pioneer Hi Bred International Inc Method of handling clamshell containers containing a particulate aliquot
CN110308642A (zh) * 2019-06-28 2019-10-08 杨少宏 一种手表玻璃盖的拆卸方法
EP3885845B1 (fr) * 2020-03-27 2022-09-14 Nivarox-FAR S.A. Receptacle pour ensemble horloger
CN212031935U (zh) * 2020-06-12 2020-11-27 杨少宏 一种手表压持机构
KR102215198B1 (ko) * 2020-09-11 2021-02-15 주식회사 호연 편심 회전에 의한 위치 가변형 시계밴드 체결장치
CN114967405B (zh) * 2022-05-30 2023-12-05 天王电子(深圳)有限公司 手表底盖组装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89649A (fr) * 1942-09-09 1944-01-14 Machine à poser les verres de montre de forme
GB653804A (en) * 1946-11-15 1951-05-23 Golay Buchel & Cie Sa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universal wrenches for opening and closing watchcasebacks
GB619450A (en) * 1946-12-11 1949-03-09 Maurice Shoo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ans for removing the backs from the bodies of hermetic watch cases
US3848484A (en) * 1973-09-21 1974-11-19 Bulova Watch Co Inc Watch movement holder
CH1383273A4 (ko) * 1973-09-27 1975-10-31
GB1512755A (en) * 1976-04-20 1978-06-01 Suisse Horlogerie Instrument for assembling watch cases
US4121485A (en) * 1976-06-07 1978-10-24 Braun Carl G Tool for removing a watch case back
US4135416A (en) * 1977-10-18 1979-01-23 Jean Roux Tool for opening and closing wrist watches
US4226144A (en) * 1978-07-20 1980-10-07 Pliley Larry E Vise with watch component engaging jaw accessories
DE8507495U1 (de) * 1985-03-14 1985-04-25 Helmut Klein GmbH, 7530 Pforzheim Vorrichtung zum Abdrücken des Uhrgehäusebodens
DE3831375A1 (de) * 1988-09-15 1990-03-22 Bessey & Sohn Spann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88747B5 (de) 1998-08-31
GB2288039B (en) 1997-12-10
CH688747GA3 (de) 1998-02-27
KR950027527A (ko) 1995-10-18
GB9500345D0 (en) 1995-03-01
GB2288039A (en) 1995-10-04
JPH07270555A (ja) 1995-10-20
TW255955B (en) 1995-09-01
US5388082A (en) 1995-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399B2 (en) Clamping and cutt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head
KR100317077B1 (ko) 시계케이스뒷덮개오프너
US4563921A (en) Compact pliers with large, adjustable jaw span
US5535973A (en) Universal clamp
US5431068A (en) Blade sharpener
CN101659041A (zh) 锁定夹钳
JPS6232077B2 (ko)
US4846036A (en) Rip fence for table saw
US4134577A (en) Fly-tying vise
US4337636A (en) Vehicle securing device for frame straightening and repairing apparatus
US4878494A (en) Cardio-valve assist unit and method for performing cardio-valve replacement surgery
EP1419033B1 (de) Schleifblatträger und handschleifmaschine
US3973860A (en) Clamping drill jigs on skis
US4325275A (en) Adjustable open-end and box-end wrench
US4462581A (en) Vise with changeable gripping elements
US4054281A (en) Clamping device for holding workpieces
US2490923A (en) Quick action c-clamp
CN110785101B (zh) 脱毛装置
US20220316240A1 (en) Cable Lockout Device
US4720904A (en) Hinge pin puller
US5138912A (en) Locking pipe wrench
US8230769B2 (en) Device for preparing tissue discs, in particular cartilaginous discs
AU2009201173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lamping devices
DE4403343C2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und Lösen eines Schneidwerkzeugs an einem Elektrowerkzeug
CN220839745U (zh) 一种可调节钳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