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039B1 - 전전자 교환기에서 아이에스디엔 가입자의 지능망 호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 아이에스디엔 가입자의 지능망 호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039B1
KR100317039B1 KR1019990064887A KR19990064887A KR100317039B1 KR 100317039 B1 KR100317039 B1 KR 100317039B1 KR 1019990064887 A KR1019990064887 A KR 1019990064887A KR 19990064887 A KR19990064887 A KR 19990064887A KR 100317039 B1 KR100317039 B1 KR 10031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etection point
detecting
point
intellig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654A (ko
Inventor
류재은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6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0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7Call setup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망을 통한 ISDN 가입자 호 처리 제어를 지원하는데, 이를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비스제어 시스템(SCP: Service Control Point)으로부터 내려오는 제어 메시지와의 통신을 유지해야 하며, 기존 호 처리를 진행하면서 지능망으로부터 제어를 받아 기본호 처리를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의 제공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기본호 상태 모델(BCSM: Basic Call State Machine, 이하 'BCSM'이라 칭한다)이라는 유한상태머신 개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전자 교환기에서 기본호상태모델을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제공을 위한 ISDN 가입자 호처리 제어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ISDN 가입자에 대한 호가 이루어 지는 모든 호처리 상태에서 SCP로부터 서비스제어를 받아서 처리할 수 있도록하여 ISDN 가입자 호처리를 서비스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되는 경우, 기존 호처리 흐름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야 하는 노력과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 아이에스디엔 가입자의 지능망 호처리 방법{Method for ISDN Subscriber Call Processing Control for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Service Offering in the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가입자에 대한 지능망(Advanced Intelligent Network) 호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ISDN 가입자 호처리 중 지능망 서비스 존재 유무를 지능망 서비스 제어 프로세서인 서비스제어시스템(SCP: Service Control Point, 이하에서 'SCP'로 칭한다)(2)으로 질의하여 지능망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SCP(2)에서 생성된 서비스 로직(Service Logic)에 따라 서비스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를 보고할 수 있도록한 ISDN 가입자의 지능망 호처리 기능(CCF: Call Control Func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교환기 호처리가 지능망 서비스와 독립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기본 호상태모델(BCSM: Basic Call State Machine, 이하에서 'BCSM'이라 칭한다)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추후 지능망 서비스가 추가, 삭제, 변경되더라도 기본 호 처리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종래에는 본 발명과 같은 ISDN 가입자에게 지능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종래의 ISDN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는 지능망 호에 대한 처리를 배제하고, 기본 호처리만을 제공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도1a는 종래 발명에 의한 ISDN 교환망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1a에 잘 나타나 있듯이, 가입자가 속한 지역교환기(1)에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비록 다른 지역교환기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어도,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도1a 나타나 있듯이, 지역교환기 n은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 B를 제공하지 못한다.
도2는 발신측 가입자와 착신측 가입자가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1) 내부에서 종래의 발명에 의하는 경우, 호의 설정시 거쳐야 하는 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state diagram)을 나타낸다.
도2a는 기존 발명에 의한 발신측 가입자가 속한 교환기에서 호가 설정되기까지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2a를 바탕으로 개략적인 흐름을 설명하면, 가입자의 설정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ETUP 수신, 이하에서 '설정신호 수신단계'라 칭한다)(501); 가입자로부터 번호를 수집하는 단계(Prefix_Rcv, 이하에서 '국번수집단계'라 칭한다)(502); 수집한 번호가 자국번인지 타국번인지 결정하는 단계(Prefix_Tran, 이하에서 '국번번역단계'라 칭한다)(503); 가입자로부터 착신번호를 수집하는 단계(IntCd_Rcv, 이하에서 '착신번 수집 단계'라 칭한다)(504); 착신 가입자로부터 점유요구 보고를 받는 단계(IntCdNo_Tran, 이하에서 '착신가입자 점유보고 단계'라 칭한다)(505); 연결선로 설정단계(IntSw_Wait, 이하에서 '교환기 연결요구 단계'라 칭한다)(506); 착신 가입자의 응답확인 단계(Call_Deli, 이하에서 '착신가입자 응답보고 단계'라 칭한다)(507); 통화단계(Active, 이하에서 '통화단계'라 칭한다)(508)를 거치게 된다. 도2a를 바탕으로 기존 발명에 의한 가입자측 교환기의 동작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SDN 가입자가 서비스를 요구하면(예를 들면, 전화수화기를 드는 것), ISDN 가입자 처리 블록인 호설정 수신단계(501)로 전이하여,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가입자 처리 블록은 발신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교환기의 유휴한 자원을 할당하며, 설정 메시지가 오버랩(Overlap) 방식인지 인블록(Enbloc) 방식인지 판단한다. 오버랩 방식에 있어서, 국번번역과 착신번호의 번역이 독립적인 호처리 상태에서 처리되지만, 앤블록 방식에서는 국번번역과 착신번호의 번역이 동시에 이루어 진다. 따라서, 앤블록 방식은 오버랩 방식이 거쳐야 하는 국번번호 번역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먼저 오버랩 방식인 경우, 국번수집단계(502)로 천이하며, 상기 단계에서 처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입자에게 설정 확인 메시지와 다이얼톤(Dial Tone)을 송출하고, 가입자로부터 국번을 수신한다. 가입자로부터 일정 국번을 수집했다고 판단되면 국번번역단계(503)으로 천이하여 수집된 국번의 번역을 시작한다. 번역 결과, 부가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의 경우, 부가서비스 처리를 담당할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부가서비스 처리 상태로 천이된다.
번역의 결과, 교환기의 자국내 국번인지 타국내 국번인지를 판단한다. 자국번일 경우, 발신자와 착신자가 동일 호 처리 블록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호 처리 블록내부에서 교환이 이루어 진다. 따라서, 착신 호를 받을 상태(state)로 천이한다. 타국번일 경우에는 발신자와 착신자가 동일 호 처리 블록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발신자는 다른 호 처리 블록을 거쳐 착신자에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른 교환기와의 연결을 위하여, 발신자가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는 출중계 점유를 기다리는 상태로 천이한다. 자국번인 경우와 타국번인 경우, 동작의 원리는 동일하기 때문에, 자국번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호의 번역이 끝나면, 착신번 수집 단계(504)로 천이하는데, 착신번호를 수신하고 일정한 번호가 수집되면 착신번 번호의 번역을 하여 해당 착신 가입자가 있는 교환기로 착신 점유 요구를 하는 단계와 착신가입자로부터 착신 점유 보고를 기다리는 단계인 착신가입자 점유보고 단계(505)를 수행한다.
착신가입자 점유보고 단계(505)에서 착신 가입자로부터 착신점유 보고를 받으면, 착신 가입자 상태가 연결 가능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착신가입자의 통화중인 여부와 유휴자원의 할당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착신가입자로의 통화연결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교환기 연결요구 단계(506)로 천이하여, 착신자와 발신자의 통화 연결선로를 구성한다. 착신자와의 연결을 위하여 착신가입자와 통화 연결회선을 구성할 수 있는 교환기에 연결회선의 설정을 요구하고, 교환기에 대한 정보를 할당받는다. 착신가입자도 해당 정보와 호에 대한 기타 정보를 보내어 착신가입자도 교환기 연결을 통하여 통화연결 선로를 설정할 수 있다.
연결회선이 구성되면, 착신가입자 응답보고 단계(507)로 천이하여, 착신 가입자의 응답을 기다린다.
착신가입자가 응답을 하는 경우, 통화상태(508) 단계로 천히하는데, 연결 메시지를 송출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확인 메시지를 수신받는다. 연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화상태에서 통화를 진행한다.
통화상태에서 가입자가 설정된 호를 중단하면, 현재 통화를 위하여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반납하고 해당 프로세스를 정지한다.
한편, 상기한 오버랩 방식과 비교할 때, 설정 신호가 엔블록 방식인 경우, 국번번역을 따로이 실행하지 않으므로, 호의 설정상태는 오버랩 방식에서의 국번수집 단계(502) 대신 착신가입자 점유보고 단계(505)로 직접 이동한다. 즉, 오버랩방식에서 국번번역단계(503) 및 착신번 수집 단계(504)를 거치지 않는다. 나머지 호의 상태는 동일하다.
앤블록 방식에서 호설정수신단계(501)에서의 처리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호처리블록에서 설정신호를 수신하면, 가입자 측으로 호처리 메시지(Call processing message)를 송출하고, 가입자로부터의 정보로 전체번역을 시작한다. 만일 첫 번째 번호가 부가서비스에 대한 코드일 경우, 부가서비스를 처리할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부가서비스 처리 상태로 천이해야 한다. 번호의 번역에 의해 국번이 자국내의 국번인 경우, 착신 가입자 점유 요구를 하며, 착신가입자로부터 점유 보고를 기다린다. 타국번일 경우, 출중계 점유를 기다리는 상태로 천이한다. 이후의 진행과정은 오버랩방식과 동일하다.
착신측 가입자의 교환기에서 호설정을 위한 진행과정은 도2b에 잘 나타나 있다. 도2b에 나타난 호설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호설정 과정은 착신 프로세스의 생성과 발신측의 착신점유보고 요구단계(505)에 대하여 착신점유의 가능성 여부를 보고하는 단계(이하에서 '착신점유요구 수신단계')(511); 발신측의 교환기 연결요구 단계(506)에 대하여 연결선로 설정여부를 보고하는 단계(CgInfo_Wait, 이하, 교환기 '연결설정단계'라 칭한다)(512); 발신측의 착신가입자 응답 보고단계(507)에 대하여 착신 가입자 응답을 대기하여 보고하는 단계(Mpt_Est, 이하에서 '교환기 연결설정 단계'라 칭한다)(513); 실제로 통화를 하는 통화단계(Active, 이하에서 '통화단계'라 칭한다)(514)를 거치게 된다.
도2b를 바탕으로 착신측 가입자의 호설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측 가입자로부터 착신 점유요구를 받게 되면 착신측 가입자가 착신점유요구 수신단계(511)에서 통화 가능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착신측 가입자의 통화중 여부와 유휴 자원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통화 가능상태이면, 착신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착신측 처리를 준비한다.
착신측 가입자로 통화연결이 가능하면, 착신 점유요구를 한 발신 가입자측으로 착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착신 점유 보고를 보내게 된다.
이제, 발신측과 착신측을 연결할 회선을 설정해야 하는데, 교환기 연결설정 단계(512)에서 진행된다. 이를 위하여 발신측은 교환기 정보와 호 고유 정보를 착시측에 전달한다. 이 정보를 수신한 착신측 교환기는 교환기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를 위한 연결회선 경로를 설정하여 연결하고, 착신가입자 측에 호 설정 메시지(SETUP)를 송출하고 착신가입자측으로부터 응답을 기다리는 착신가입자 응답대기 상태(513)로 천이한다. 착신측으로부터 경고 메시지(alerting message)가 수신되면, 발신측으로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고 링백톤(ringback tone)을 연결한다.
착신측으로부터 연결 메시지(Connect Mesage)가 수신되면, 연결되었던 링백톤 연결을 해제하고, 발신측으로 착신측이 응답했음을 알린다. 착신측은 연결확인(connect acknowledge) 메시지를 송출한 후 착신측은 대화 상태인 통화단계(514)로 천이한다.
도2를 살펴보면, 각각의 호의 상태에서 2가지 방향으로 다른 상태로 천이한다. 실선으로 표시된 것이 호의 연결을 위한 정상적인 호 상태 천이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호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한 종래 발명에 의한 호처리는 가입자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1)가 지원하는 서비스만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모든 교환기(1)에 설치해야 한다(도1a 참조). 또한, 종래의 발명의 호처리는 서비스에 종속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던 기본 호처리 기능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본 호처리기능을 담당하는 블록과 인터페이스되는 블록까지도 변경을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에 의한 호처리시,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하기 위해 모든 교환기에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과 호처리가 서비스 제공과 독립적이지 못하여, 서비스의 추가시 기본 호처리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반 호처리 과정에서 지능망에 의한 제어를 받는호처리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지능망에 의한 제어를 받아 일반호 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하는데 있어, 모든 교환기에 서비스 지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 쉽게 추가가 가능하다. 또한, 지능망에 의한 호의 제어는 기본 호처리 과정의 변경없이 구현되므로, 새로운 서비스의 추가로 인한 기본 호처리 과정의 변경이 필요없다.
도1a는 기존 교환망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1b는 본 발명에 의한 지능망을 이용한 교환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a는 종래 발명에 의한 발신자측 교환기의 호설정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호설정 흐름도이다.
도2b는 종래 발명에 의한 착신자측 교환기의 호설정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호설정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 호상태모델(BCSM: Basic Call State Machine)을 나타낸다.
도4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가입자 호처리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발신자측 교환기의 호설정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호설정 흐름도이다.
도6는 본 발명에 의한 착신자측 교환기의 호설정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호설정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교환기 2: 서비스제어시스템(SCP)
3: 서비스교환기(SSP) 4: 서비스교환기능(SSF)
500: 호처리점 600: 감지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능망을 통한 ISDN 가입자 호 처리 제어를 지원하는데, 이를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비스제어 시스템(SCP: Service Control Point)으로부터 내려오는 제어 메시지와의 통신을 유지해야 하며, 기존 호 처리를 진행하면서 지능망으로부터 제어를 받아 기본호 처리를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의 제공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기본호 상태 모델(BCSM: Basic Call State Machine, 이하 'BCSM'이라 칭한다)이라는 유한상태머신 개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BCSM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데, BCSM은 감지점(DP: Detection Point)(600), 호처리점(PIC: Point In Call)(500)을 포함한다. 호처리점(500)은 종래 발명에 의한 교환기 내부에서 호설정을 위해 거쳐야 하는 호 상태(call state)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2의 호설정과정에서 거쳐야 하는 각각의 단계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호처리점(500)에 감지점(600)을 두어, 호처리 과정에서 지능망으로부터의 제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 호처리 과정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지능망의 제어와 관계없이 종래의 비지능망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호 상태에서 지능망으로부터의 제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지능망 서비스로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지능망 제어신호는 SCP(2)에 의하여 구현되는데, BCSM의 모든 감지점(600)이 SCP(2)로 보고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점(600)에 의한 정보가 SCP(2)에 전달되기 위해서, 감지점(600)과 SCP(2)간 일정한 예약이 이루어 져야 하는데, 이를 감지점(600)이 아암잉(arming)되었다고 한다. SCP(2)가 호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아암잉되어 있는 감지점(600)을 만나게 되면, SCP(2)는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또다른 특정의 감지점(600)을 아암잉한다. 한편, 아암잉된 감지점(600)으로부터 출력된 사건은 기존 호처리 과정에 해당하는 호 처리점(500)에 의하여 처리된다(도3참조). 따라서, 기존의 일반호 처리는 감지점(600)이 없는 것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새로운 서비스는 기존의 호 처리과정에서 감지점(600)을 통한 SCP(2)의 지능망 제어를 통하여 구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으로 인해 모든 교환기를 변경하거나 서비스 프로그램을 추가해야 하는 문제가 사라지게 되며, 기존 호처리는 감지점(600)과 관계없이 구현되므로, 새로운 서비스의 추가는 기존 호처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전자 교환기에서 BCSM을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제공을 위한 ISDN 가입자의 호처리 제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1b는 본 발명에 의한 교환망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1b에 나타나 있듯이,ISDN망 가입자는 자신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1)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관계없이 지능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도1a와 비교참조). 한편, 가입자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1)는 종래의 기본 ISDN 호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ISDN 서비스를 인지할 수 있다. 기본 ISDN 호처리 서비스인 경우, 지능망을 관리하는 SCP(2)의 간섭없이 교환기(1) 자체에서 서비스가 구현된다. 반면, 지능망 서비스를 가입자가 요구한 경우, BCSM을 통한 SCP(2)와의 통신을 통하여, 지능망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능망 서비스가 제공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감지점(600)에 의하여 일정한 사항이 감지되면, 감지점은 지능망서비스의 중단과 중단이유를 서비스교환기능(SSF: Service Switching Function, 이하에서 'SSF'라 칭한다)(4)을 통하여 SCP(2)로 전달한다. SCP(2)는 감지점이 보고한 사실을 바탕으로 호처리과정에서 수행해야 하는 사항을 명령한다. 이 명령은 다시 SSF(4)를 통하여 지능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교환기(3)의 호처리점(500)으로 전달되어, 필요한 호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도4에 나타나 있듯이, 지능망 서비스가 구현되는 개략적인 과정은, 교환기가 ISDN 가입자의 호처리 과정에서 감지점(600)이 지능망 서비스로 인지하여 감지점(600)이 SCP(2)에 보고를 하는 단계(a단계); SCP(2)로부터 서비스 제어 메시지를 기다리는 단계(b단계); SCP(2)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받아 지능망 서비스 및 ISDN 가입자 호처리 진행단계(c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a단계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인지하는 감지점(600)(DP)은 다음과 같다. 도5 및 도6에서, 감지점(600)은 발신측 지능망 가입자에 대한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착신측 지능망 가입자에 대한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있다. 감지점(600)의 기능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지점(DP_1: Orig_Attempt_Auth, 이하에서 '발신호가능 감지점'이라 칭한다)(601)은 발신단말의 권한과 호진행 가능 여부의 검증완료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2: Collected_Info, 이하에서 '번호수집 감지점'이라 칭한다)(602)은 서비스 코드, 국번, 착신번 등 초기 정보의 수집완료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3: Analysed_Info, 이하에서 '번호분석 감지점'이라 칭한다)(603)은 번호번역을 끝낸 상태로서, 착신쪽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4: Route_Select_Fail, 이하에서 '출중계선 점유실패 감지점'이라 칭한다)(604)은 정확한 루트(route)를 설정할 수 없거나 사용가능한 루트가 없음을 인지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5: O_Call_Party_Busy, 이하에서 '발신호 통화중 감지점'이라 칭한다)(605)은 착신 상태가 통화중인 경우를 감지한다.
감지점(DP_6: O_No_Answer, 이하에서 '발신호 무응답 감지점'이라 칭한다)(606)은 착신이 무응답인 경우를 감지한다.
감지점(DP_7: O_Answer, 이하에서 '발신호 응답 감지점'이라 칭한다)(607)은 착신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받은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8: O_Mid_Call, 이하에서 '발신호 부가서비스 시도 감지점'이라 칭한다)(608)은 발신측에서 홀드(Hold)키가 감지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9: O_Disconnect, 이하에서 '발신호 통화중 해제 감지점'이라 칭한다)(609)은 발신과 착신측이 통화한 이후 호가 해제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10: O_Abandon, 이하에서 '발신호 통화전 해제 감지점'이라 칭한다)(610)은 발신과 착신측이 통화하기 이전, 발신측이 호를 해제한 경우를 감지한다.
감지점(DP_11: O_Exception, 이하에서 '기타 발신호 감지점'이라 칭한다)(611)은 모든 발신 호 처리 도중에 예외 상황이 발생하는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12: Term_Attempt_Auth, 이하에서 '착신호 가능 감지점'이라 칭한다)(612)은 착신측의 가용 자원을 할당받은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13: T_Busy, 이하에서 '착신호 통화중 감지점'이라 칭한다)(613)은 착신측이 통화중인 상태라고 인지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14: T_No_Answer, 이하에서 '착신호 무응답 감지점'이라 칭한다)(614)은 착신 무응답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15: T_Answer, 이하에서 '착신호 응답 감지점'이라 칭한다)(615)은 착신이 응답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16: T_Mid_Call, 이하에서 '착신호 부가서비스 감지점'이라 칭한다)(616)은 착신측에서 홀드키가 감지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17: T_Disconnect, 이하에서 '착신호 통화중 해제 감지점'이라 칭한다)(617)은 발신과 착신측이 통화한 이후 호가 해제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18: T_Abandon, 이하에서 '착신호 통화전 해제 감지점'이라 칭한다)(618)은 발신과 착신측이 통화하기 이전 발신측이 호를 해제한 경우를 감지한다.
감지점(DP_19: O_Term_Seized, 이하에서 '착신점유 감지점'이라 칭한다)(619)은 착신측으로부터 점유 통보를 수신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20: O_Suspended, 이하에서 '발신호 보류감지점'이라 칭한다)(620)은 착신측으로부터 호 중단을 수신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21: T_Suspended, 이하에서 '착신호 보류 감지점'이라 칭한다)(621)은 발신측으로부터 호 중단을 수신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24: O_Re_Answer, 이하에서 '발신호 재응답 감지점'이라 칭한다)(624)은 착신측으로부터 호 재개를 수신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25: T_Re_Answer, 이하에서 '착신호 재응답 감지점'이라 칭한다)(625)은 발신측으로부터 호 재개를 수신한 시점을 감지한다.
감지점(DP_28: T_Exception, 이하에서 '기타 착신호 감지점'이라 칭한다)(628)은 착신 호 처리 도중에 예외 상황이 발생하는 시점을 감지한다.
상기한 b단계는 아암잉된 감지점(600)에서 SCP(2)로부터의 서비스 제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로 천이한 후, SCP(2)로부터 서비스 제어메시지를 기다리는 단계이다.
상기한 c단계에서, ISDN 가입자 호 처리 중 SCF(2)에서 지능망 서비스 여부를 판단하고, 지능망으로부터 서비스 제어를 받을 수 있는 호상태로 천이하여 SCP(2)의 명령인 서비스 제어 메시지에 따라 호를 진행시킨다. 지능망 서비스가 아닌 기본 호인 경우, ISDN 가입자 호처리를 계속 진행 시킨다.
앞으로 상기한 감지점(600)과 상기한 단계에 의하여 지능망 서비스가 구현되는 방법에 관하여 발신측 가입자와 착신측 가입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발신측 교환기에서 호 설정을 위하여 거쳐야 하는 호상태도를 나타낸다. 도3에서 BCSM에 대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기본호 처리과정에 감지점(600)을 부착하여, 필요한 지능망 서비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도2a와 비교하면, 종래의 호처리 상태(500)는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먼저, ISDN 가입자 호처리 블록의 호설정 수신단계(501)에서, 발신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교환기의 유휴한 자원을 할당한다. 이 시점에서 발신호 시도감지점(622)과 발신호 가능감지점(601)이 아암잉되어 있으면, 상기한 감지점(622, 601)은 SCP(2)로 감지한 내용을 보고한 후 SCP(2)로부터 제어를 기다린다. SCP(2)로부터 제어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한 후 이전 호처리 상태로 천이하거나 각 메시지에 대한 처리 결과에 알맞는 호처리 상태로 천이되어 호처리를 계속한다.
종래의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처럼, 오버랩 방식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고, 앤블록 방식에 대하여는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먼저 오버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호설정 수신단계에서 국번 수집단계(502)로 천이하여 발신 가입자측으로 설정 확인 메시지와 다이얼톤을 송출한다. 이 상태에서 국번호를 수신하게 되면, 국번번역단계(503)로 천이되는데, 그 이전에 번호수집 감지점(602)을 두어 번호가 모두 수집되었음을 SCP(2)로 보고할 수 있다. 해당 번호수집 감지점(602)이 아암잉되어 있는 경우 SCP(2)에 보고하고, SCP(2)의 제어를 기다리며 제어 메시지를 받게 되면 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한다. 그후 다음 호처리 상태로 천이하거나, 처리결과에 적당한 호처리 상태로 천이하여 호처리를 지속한다.
번호에 대한 번역결과를 통보 받게 되면 번호분석 감지점(603)을 두어 번호에 대한 결과를 받았음을 SCP(2)에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번호번역에 따라 해당 착신 가입자가 있는 교환기로 착신 점유요구를 하게 되고 착신 가입자로부터 착신 점유 보고를 기다린다.
착신가입자로부터 착신점유보고를 수신하면, 이시점에서 착신점유 감지점(619)를 두어 착신 점유가 되었음을 SCP(2)로 통보할 수 있다. 타국 가입자인 경우, 중계를 거쳐서 호가 이루어 지는데, 이때 유휴 중계선이 없는 경우 감지점 DP_4가 감지를 하여, 호설정이 실패한 이유를 SCP(2)에 보고할 수 있다. 착신 점유 통보대신 가입자가 통화중인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발신번호 통화중 감지점(605)을 두어 착신자의 통화중 상태를 SCP(2)로 보고할 수 있도록 한다.
착신자와 연결 선로의 설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착신 가입자와 통화회선을 연결할 수 있는 교환기 연결요구를 하고, 교환기 정보를 할당받는다. 착신가입자로 교환기 정보와 호의 기타 정보를 보내어 착신가입자도 교환기 연결을 통해 통화 회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착신가입자로부터 응답을 기다린다.
이제, 교환기는 착신가입자로부터 응답이 있을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착신가입자로부터 응답을 받게 되면, 발신호 응답 감지점(607)은 착신자가 응답했음을 SCP(2)로 보고하고 SCP(2)로부터의 제어를 받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착신 가입자가 응답을 하면, 통화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통화상태에서 가입자가 중단(hold)메시지를 송출하면 발신호 부가서비스시도 감지점(608)을 두어 가입자가 통화 상태에서 중단서비스를 요구하였음을 SCP(2)로 보고하고 이에 대한 SCP(2)의 제어를 받아 처리한다.
통화상태에서 발신이 호를 해제(release)하였을 경우, 발신호 통화중 해제 감지점(609)을 두어 호가 통화상태에서 호가 해제되었음을 SCP(2)에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하게 된다.
호처리 상태가 통화상태이전에서 발신 가입자가 호를 포기한 경우, 발신호 통화전 해제 감지점(610)을 두어 통화상태가 성립되기 이전에 호를 포기하였음을 SCP(2)에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하게 된다.
호처리 상태가 통화상태에서 아날로그 착신가입자가 훅온(hook on)하였을 경우, 발신호 보류 감지점(620)을 두어 착신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에서 훅온하였음을 SCP(2)에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한다.
호처리 상태가 통화상태에서 발신가입자가 서스펜드(Suspend)메시지를 송출하거나, 착신가입자가 서스펜드 서비스를 요구하였음이 보고되었을 경우, 발신호 보류 감지점(620)을 두어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에서 서스펜드 서비스를 요구하였음을 SCP(2)로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한다.
발신호 보류 감지점(620)에서 벗어나 일반 호처리 진행 중 가입자가재응답(reanswer) 또는 복원(resume) 메시지를 송출하면, 발신호 재응답 감지점(624)은 착신가입자가 호처리 상태 '보류' 상태에서 재응답하였음을 SCP(2)에 보고할 수 있다.
일반 호처리과정 중,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기본호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감지점외에 감지점 기타 발신호해제 감지점(611)을 두어 더 이상 호를 진행할 수 없음을 알리고 호를 해제하는 호처리 상태로 천이한다.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앤블록 방식인 경우, 국번번역과 관련되는 호처리 상태인 국번수집 단계(502), 국번번역 단계(503), 그리고 착신번 수집단계(504)를 개별적으로 거치지 않는다. 그대신, 국번번역과 착신번번역을 한꺼번에 수행한다. 나머지 호처리 상태와 호처리 상태에서 감지점에 의한 지능망과의 연동은 동일하다.
앤블록 방식인 경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면, 가입자측으로 호 처리(call proceeding) 메시지를 송출하고, 발신호 시도감지점(622)과 발신호 가능 감지점(601), 번호수집 감지점(602)을 두어 SCP(2)로 각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해당 DP가 아암잉되어 있으면, SCP(2)로 보고하고 SCP(2)의 제어를 기다리며 제어 메시지를 받게 된다. 제어메시지를 받게 되면, 제어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한후, 이전 호처리 상태로 천이내지 처리 결과에 맞는 호처리 상태로 천이하여 호처리를 지속한다.
도6는 본 발명에 의한 착신측 가입자의 호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2b와 비교할 때, 기본 호처리 과정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감지점에 의한 지능망과의 연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신측으로부터 착신 점유요구를 받게 되면 착신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유휴 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착신호시도 감지점(623)과 착신호 가능 감지점(612)은 착신 가입자가 유휴 자원을 할당받았음을 SCP(2)로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한다.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일 경우, 착신호 통화중 감지점(613)을 두어 착신가입자가 통화 상태임을 SCP(2)에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하며, 제어메시지의 처리에 따라 호처리 상태를 천이한다.
착신가입자가 발신가입자로부터 교환기 정보와 호 고유 정보를 받아 통화회선 경로를 연결하고 착신측으로 셋업 메시지를 송출한다.
착신측으로부터 얼럿팅(alerting)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측으로 얼럿팅 메시지를 송출하고 링백톤(ringback tone)을 연결한다.
착신 가입자가 응답이 없는 경우, 착신호 무응답 감지점(614)은 착신가입자가 무응답(No_Answer) 상태임을 SCP(2)로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하고, 처리결과에 대한 호처리 상태로 전이한다.
한편, 착신측으로부터 연결 메시지가 수신되면, 연결되었던 링백톤 연결을 해제하고, 발신측으로 착신이 응답했음을 알린다. 착신측으로 연결 확인(connect acknowledge) 메시지를 송출한 후, 착신측은 통화상태로 천이한다. 이 시점에서 착신호 응답 감지점(615)을 두어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였음을 SCP(2)로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호처리 상태를 천이한다.
이후 가입자가 호를 해제하였을 때, 착신호통화중 해제 감지점(617)을 두어착신가입자가 통화상태에서 호를 중단하였음을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한다. 제어 메시지의 처리후, 처리 결과에 따라 호처리 상태를 이동한다.
착신 가입자가 통화상태 이전에 호를 포기하였을 경우, 착신호 통화전 해제 감지점(618)을 두어 착신가입자가 호 진행중에 호를 포기하였음을 SCP(2)로 보고한다.
통화상태인 호처리 상태에서 아날로그 발신가입자가 훅온하였을 경우, 착신호 보류 감지점(621)을 두어 발신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에서 훅온 하였음을 SCP(2)로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한다.
통화상태인 호처리 상태에서 착신가입자가 서스펜드(suspend) 메시지를 송출하거나, 발신가입자가 서스펜드 서비스를 요구하였음이 보고되었을 경우, 착신호 보류 감지점(621)을 두어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에서 서스펜드 서비스를 요구하였음을 SCP(2)로 보고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받아 처리한다.
호처리 상태 '보류'에서 벗어나고 일반 호처리를 진행중, 가입자가 재응답하면, 발신호 재응답 감지점(624)는 가입자가 재응답하였음을 SCP(2)에 보고할 수 있다.
일반 호처리중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기본호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감지점외에 착신호 기타 해제 감지점(628)을 두어 더 이상 호를 진행할 수 없음을 알리고 호를 해제하는 호처리 상태로 천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전자 교환기에서 기본호상태모델을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제공을 위한 ISDN 가입자 호처리 제어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ISDN 가입자에 대한 호가 이루어 지는 모든 호처리 상태에서 SCP로부터 서비스제어를 받아서 처리할 수 있도록하여 ISDN 가입자 호처리를 서비스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되는 경우, 기존 호처리 흐름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야 하는 노력과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서비스 제공의 구현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감지점과 아암잉절차를 통해 일반호와 지능망호에 대한 처리가 동일한 흐름상에 진행되면서도 상호 간섭없이 동일한 프로세스 내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Claims (4)

  1. ISDN 가입자 호처리 과정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ISDN 가입자 호처리 상태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점을 두고 감지점이 감지한 정보를 지능망(SCP)으로 보고하는 단계(a);
    호처리 상태(call state)로 천이하여 지능망(SCP)으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기다리는 단계(b); 및
    지능망으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지능망 서비스를 가입자에 제공하고 호처리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SDN 가입자 호처리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a)의 감지점은 기본호상태모델(BCSM)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SDN 가입자 호처리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a)의 감지점은,
    발신단말의 권한과 호진행 가능 여부의 검증완료시점을 감지하는 발신호가능 감지점;
    서비스 코드, 국번, 착신번 등 초기 정보의 수집완료 시점을 감지하는 번호수집 감지점;
    번호번역을 끝낸 상태로서, 착신쪽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 시점을 감지하는 번호분석 감지점;
    정확한 루트(route)를 설정할 수 없거나 사용가능한 루트가 없음을 인지한 시점을 감지하는 출중계선 점유실패 감지점;
    착신 상태가 통화중인 경우를 감지하는 발신호 통화중 감지점;
    착신이 무응답인 경우를 감지하는 발신호 무응답 감지점;
    착신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받은 시점을 감지하는 발신호 응답 감지점;
    발신측에서 홀드(Hold)키가 감지된 시점을 감지하는 발신호 부가서비스 시도 감지점;
    발신과 착신측이 통화한 이후 호가 해제된 시점을 감지하는 발신호 통화중 해제 감지점;
    발신과 착신측이 통화하기 이전, 발신측이 호를 헤제한 경우를 감지하는 발신호 통화전 해제 감지점;
    모든 호 처리 도중에 예외 상황이 발생하는 시점을 감지하는 기타 발신호 감지점;
    착신측의 가용 자원을 할당받은 시점을 감지하는 착신호 가능 감지점;
    착신측이 통화중인 상태라고 인지된 시점을 감지하는 착신호 통화중 감지점;
    착신 무응답한 시점을 감지하는 착신호 무응답 감지점;
    착신이 응답한 시점을 감지하는 착신호 응답 감지점;
    착신측에서 홀드키가 감지된 시점을 감지하는 착신호 부가서비스 감지점;
    발신과 착신측이 통화하기 이전 발신측이 호를 해제한 경우를 감지하는 착신호 통화중 해제 감지점;
    발신과 착신측이 통화하기 이전 발신측이 호를 해제한 경우를 감지하는 착신호 통화전 해제 감지점;
    착신측으로부터 점유 통보를 수신한 시점을 감지하는 착신점유 감지점;
    착신측으로부터 호 중단을 수신한 시점을 감지하는 발신호 보류감지점;
    발신측으로부터 호 중단을 수신한 시점을 감지하는 착신호 보류 감지점;
    착신측으로부터 호 재개를 수신한 시점을 감지하는 발신호 재응답 감지점;
    발신측으로부터 호 재개를 수신한 시점을 감지하는 착신호 재응답 감지점; 및
    착신호 처리 도중에 예외 상황이 발생하는 시점을 감지하는 기타 착신호 감지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SDN 가입자 호처리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b)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기다리는 프로세스 및 상기한 단계(c)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는 기본호처리 프로세스와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지능망서비스의 제공과 새로운 서비스의 추가는 기본호처리 서비스의제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SDN 가입자 호처리 제어 방법.
KR1019990064887A 1999-12-29 1999-12-29 전전자 교환기에서 아이에스디엔 가입자의 지능망 호처리방법 KR10031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887A KR100317039B1 (ko) 1999-12-29 1999-12-29 전전자 교환기에서 아이에스디엔 가입자의 지능망 호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887A KR100317039B1 (ko) 1999-12-29 1999-12-29 전전자 교환기에서 아이에스디엔 가입자의 지능망 호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654A KR20010064654A (ko) 2001-07-09
KR100317039B1 true KR100317039B1 (ko) 2001-12-24

Family

ID=1963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887A KR100317039B1 (ko) 1999-12-29 1999-12-29 전전자 교환기에서 아이에스디엔 가입자의 지능망 호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316B1 (ko) * 2001-10-29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에스유피 중계호 복구절차 개선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018A (ja) * 1992-08-24 1994-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電話機の保留制御方法
JPH06133004A (ja) * 1992-10-20 1994-05-13 Fujitsu Ltd 汎用インターフェースターミナルアダプターシステム
US5740384A (en) * 1994-05-13 1998-04-14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active multimedia system using active backplane having programmable interface to reconfigure the media stream produced by each component
KR19990005135A (ko) * 1997-06-30 1999-01-25 윤종용 컴퓨터용 키보드
KR19990050544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차세대 지능망과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을 통합한 환경에서 이동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 및 연결 처리 방법
KR19990048228A (ko) * 1997-12-09 1999-07-05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서 브이5.2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아이에스디엔 호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018A (ja) * 1992-08-24 1994-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電話機の保留制御方法
JPH06133004A (ja) * 1992-10-20 1994-05-13 Fujitsu Ltd 汎用インターフェースターミナルアダプターシステム
US5740384A (en) * 1994-05-13 1998-04-14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active multimedia system using active backplane having programmable interface to reconfigure the media stream produced by each component
KR19990005135A (ko) * 1997-06-30 1999-01-25 윤종용 컴퓨터용 키보드
KR19990048228A (ko) * 1997-12-09 1999-07-05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서 브이5.2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아이에스디엔 호처리방법
KR19990050544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차세대 지능망과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을 통합한 환경에서 이동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처리 및 연결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654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6929A (en) Interoffice callback arrangement
JPH10500818A (ja) 電気通信網において特殊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
CA2188073C (en)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by multiple connections to individual telephone links
US6466661B2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as well as exchange, service computer and communications network
US60118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telephone response service by using intelligent peripheral system
KR10031703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아이에스디엔 가입자의 지능망 호처리방법
US5418846A (en) Call waiting indicating method and system
KR19990086215A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US67717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merge to an AIN SSP from an intelligent peripheral
JPH0685923A (ja) 接続網切換方式
JP2916414B2 (ja) 通信サービス処理装置
KR100223376B1 (ko) 사설교환기에서 착신측 상태 음성안내방법
KR0128236B1 (ko)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서 전화 자동응답 서비스의 호처리 방법
KR0160346B1 (ko)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KR0160345B1 (ko) 고도 지능망에서 자동응답 대행 서비스의 부재중 등록/등록해제 구현 방법
KR100275525B1 (ko) 팩시밀리 장치의 통화중시 지능형 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팩시밀리 자동 전송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454938B1 (ko) 교환기의다중착신서비스방법
JP3397719B2 (ja) 電気通信網による呼の保留・接続方法
KR100285504B1 (ko) 지능망시스템과지능형부가장치간접속방법
JP2608795B2 (ja) 電話交換接続制御方法
KR100225733B1 (ko) 전전자교환기의 안내대 호접속제어방법
KR0154474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착신가입자의 자동응답모드 예고방법
JPS63238757A (ja) 着信サービス制御方式
JP3193932B2 (ja) 構内交換装置
KR0168930B1 (ko)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원격검침기능 수행중의 착신서비스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