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932B1 - 주파수 가변형 댐퍼 - Google Patents

주파수 가변형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932B1
KR100316932B1 KR1019990063640A KR19990063640A KR100316932B1 KR 100316932 B1 KR100316932 B1 KR 100316932B1 KR 1019990063640 A KR1019990063640 A KR 1019990063640A KR 19990063640 A KR19990063640 A KR 19990063640A KR 100316932 B1 KR100316932 B1 KR 100316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key
fastening bar
mass
variabl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152A (ko
Inventor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93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4Frequency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정확한 튜닝 주파수에 맞도록 매스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 개발시 적용할 댐퍼의 셋팅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주파수 가변형 댐퍼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동 발생부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과; 동강성을 가지며, 일면이 상기 브라켓에 가류 접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면에 일면이 가류 접착되는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타면의 중심에 일체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키 홈이 형성되고, 원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바아와; 상기 체결바아에 나사 체결 되도록 중심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의 일측으로 키 홀이 형성되며, 소정의 중량을 갖는 매스와; 상기 매스의 키 홀과 상기 체결바아의 키 홈 사이에 끼워지는 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파수 가변형 댐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파수 가변형 댐퍼{FREQUENCY VARIABLE DAMPER}
본 발명은 주파수 가변형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링(Rolling) 및 벤딩(Bending)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의 매스(Mass)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유효한 주파수를 적절히 변화시켜 차량 개발시 적용할 댐퍼의 셋팅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가변형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영역의 진동이 발생되는 바, 특히 엔진, 변속기, 트랜스 액슬 등을 차체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이들이 갖는 진동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진동 댐퍼를 적용하게 된다.
즉, 상기 진동 댐퍼는 도 4,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체인 매스(50,Mass)와 진동 발생부(미도시)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51) 사이에 동강성을 지닌 고무재의 탄성부재(52)를 가류 접착하여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부가 갖는 어느 특정 영역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차체의 전체적인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공되는 진동 댐퍼는 최초 차량 개발시 이에 적용될 댐퍼를 셋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매스(Mass)와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여러 영역의 주파수대를 흡수할 수 있는 댐퍼들이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경제적이지 못하며, 제작 후에도 상기 탄성부재의 경화나 온도 변화로 인한 강성의 변화시 다시 튜닝하여야 하는 등, 신속하고 효과적인 댐퍼의 개발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튜닝 주파수에 맞도록 매스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 개발시 적용할 댐퍼의 셋팅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주파수 가변형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가변형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가변형 댐퍼의 제1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가변형 댐퍼의 제2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사사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가변형 댐퍼는 진동 발생부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과; 동강성을 가지며, 일면이 상기 브라켓에 가류 접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면에 일면이 가류 접착되는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타면의 중심에 일체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키 홈이 형성되고, 원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바아와; 상기 체결바아에 나사 체결 되도록 중심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의 일측으로 키 홀이 형성되며, 소정의 중량을 갖는 매스와; 상기 매스의 키 홀과 상기 체결바아의 키 홈 사이에 끼워지는 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가변형 댐퍼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가변형 댐퍼(1)의 구성은 진동 발생부(미도시)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3)에 동강성을 갖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탄성부재(5)의 일면이 상기 브라켓(3)에 가류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의 타면에는 보조 플레이트(7)가 그 일면이 가류 접착되며, 상기 보조 플레이트(7)의 타면의 중심에는 체결바아(9)가 일체로 장착된다.
상기 체결바아(9)는 그 길이방향으로 4개의 키 홈(11)이 형성되고, 그 원주면에는 숫나사부(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바아(9)에 나사 체결되는 매스(15)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며, 상기 체결바아(9)의 숫나사부(13)에 나사 체결하기 위하여 그 중심에 암나사부(17)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부(17)의 일측으로는 키 홀(19)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매스(15)는 상기 체결바아(9)에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탄성부재(5)와의 거리가 변될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이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키 홀(19)과 상기 키 홈(11)사이에 키(21)를 끼워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주파수 가변형 댐퍼(1)의 주파수 가변 작동은 먼저, 상기 브라켓(3)을 통하여 진동 발생부(미도시)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효 주파수가 높게 나타날수록 상기 매스(15)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5)에 가깝게 위치시켜. 높은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효 주파수가 낮게 나타날 경우, 상기 매스(15)를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5)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여 낮은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유효 주파수의 높낮이에 따른 측정은 진동 발생부(23)의 일측에 부착되는 가속도계(미도시)를 통하여 진동 발생부(23)의 가속도를 검출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주파수 가변형 댐퍼(1)를 사용하게 되면, 최초 차량 개발시 적용할 댐퍼의 셋팅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적용 댐퍼의 셋팅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가변형 댐퍼에 의하면, 유효 주파수의 높낮이에 따라 매스의 위치를 가변하여 넓은 범위의 주판수대를 커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최초 차량 개발시 적용할 댐퍼의 셋팅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며, 적용 댐퍼의 셋팅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Claims (3)

  1. 진동 발생부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과;
    동강성을 가지며, 일면이 상기 브라켓에 가류 접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면에 일면이 가류 접착되는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타면의 중심에 일체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키 홈이 형성되고, 원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바아와;
    상기 체결바아에 나사 체결 되도록 중심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의 일측으로 키 홀이 형성되며, 소정의 중량을 갖는 매스와;
    상기 매스의 키 홀과 상기 체결바아의 키 홈 사이에 끼워지는 키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파수 가변형 댐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아는
    상하좌우로 4개의 키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형 댐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가변형 댐퍼.
KR1019990063640A 1999-12-28 1999-12-28 주파수 가변형 댐퍼 KR100316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640A KR100316932B1 (ko) 1999-12-28 1999-12-28 주파수 가변형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640A KR100316932B1 (ko) 1999-12-28 1999-12-28 주파수 가변형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152A KR20010061152A (ko) 2001-07-07
KR100316932B1 true KR100316932B1 (ko) 2001-12-24

Family

ID=1963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640A KR100316932B1 (ko) 1999-12-28 1999-12-28 주파수 가변형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181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다이나믹 댐퍼
KR20160073183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다이나믹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984A (zh) * 2022-05-27 2022-09-0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试制变频动力吸振器及其匹配验证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181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다이나믹 댐퍼
KR20160073183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다이나믹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152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1987B2 (en) Steering wheel damper and alternate power storage device
US20080136073A1 (en) Adjustable device for damping oscillations in a steering wheel or in a gas bag module
WO2005031186A3 (en) Active vibration absorber and method
KR100316932B1 (ko) 주파수 가변형 댐퍼
US200201346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fluencing the transfer of vibrations of a vibration generator to an object connected to it, in particular of engine vibrations to the body of a motor vehicle
JP4393664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0488743B1 (ko)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GB2317670A (en) Vibration damping
KR100316935B1 (ko) 주파수 가변형 댐퍼
KR20070035370A (ko) 자동차용 동흡진기
JP2004245314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0132811Y1 (ko) 가변형 다이나믹 댐퍼
EP0926385A1 (en) A vibration absorbing system
JP2009236225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装置
KR100199762B1 (ko) 복합하중제어용 인슐레이터
KR100252281B1 (ko) 자동차용 엔진소음 흡음 장치
KR200194941Y1 (ko) 부싱타입의 액체봉입형 마운팅장치
KR0150556B1 (ko) 가변형 다이나믹 댐퍼
KR101229146B1 (ko) 다이나믹 댐퍼
KR20010059438A (ko) 주파수 가변형 댐퍼
KR200161696Y1 (ko)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
KR100222088B1 (ko) 다이나믹 댐퍼
KR0180870B1 (ko) 조향컬럼의 진동 흡수장치
KR100476215B1 (ko) 튜닝 주파수 가변형 댐핑장치
JP2001234970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