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823B1 -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823B1
KR100315823B1 KR1019990053622A KR19990053622A KR100315823B1 KR 100315823 B1 KR100315823 B1 KR 100315823B1 KR 1019990053622 A KR1019990053622 A KR 1019990053622A KR 19990053622 A KR19990053622 A KR 19990053622A KR 100315823 B1 KR100315823 B1 KR 10031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se
air conditioner
lower panel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813A (ko
Inventor
이명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82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의 하부패널에 일정높이를 갖는 턱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 패널과 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견고하게 밀착되는 패킹부재를 구성시켜, 우천시 빗물유입을 차단하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는 전면에 위치되어 분리 가능하게 나사고정되는 전면패널(5)과, 상기 전면패널(5)의 양측끝단부에 절곡성형된 돌출부(6)가 삽입되는 삽입부(11)가 형성된 측면패널(10)과, 상기 전면패널(5)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절곡성형된 고정부(16)가 형성된 하부패널(15)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5)과 측면패널(10) 사이를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하부패널(15)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하부패널(15)의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격벽(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패널(15)의 양측으로 진행하는 빗물을 차단하도록 측면패널(10)의 삽입부(11)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개재되는 패킹부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Cas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천시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냉,난방 및 제습 그리고, 공기청정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정화,가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설치장소에 따라 크게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와, 옥외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로 대별되며, 특히 상기 옥외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는 실내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송풍장치와, 냉,난방을 위한 냉,난방 장치 및 공기정화장치 등이 실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이 실내에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옥외에 설치되는 옥외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옥외에 설치되는 덕트형의 공기 조화기(a)는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로 토출하는 덕트가 연결되며, 내부에 열교환과 송풍작용을 하는 장치들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기(a)는 내부에 설치된 구성요소에 대하여 점검 및 수리를 실시해야 하는 경우에 전면에 위치된 전면패널을 분리시켜 실시하도록 이루어진다.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 1의 'A-A' 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재를 사이에 두고 접촉된 전면패널(100)과 측면패널(11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면패널(100)은 측단부가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굽힘된 제1접촉면(101)과, 이 제1접촉면(101)에서 일측으로 수직하게 굽힘되는 제2접촉면(102)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패널(110)은 끝단부가 전면패널(100)측으로 일부 연장된 뒤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굽힘되는 제3접촉면(111)이 형성되고, 이 제3접촉면(111)에서 측방향으로 수직하게 굽힘되는 제4접촉면(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패널(100)의 제1접촉면(101)과 측면패널(110)의 제3접촉면(111)은 일정공간을 두고 근접하게 위치되고, 전면패널(100)의 제2접촉면(102)과 측면패널(110)의 제4접촉면(112) 사이에는 방수와 진동흡수를 위한 실재(105)가 개재된다.
특히, 상기 전면패널(100)의 제1접촉면(101)과 측면패널(110)의 제3접촉면(111)이 일정공간의 틈새(115)를 두고 위치되는 것은, 전면패널(100)이 측면패널(110)에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가 되면 작업자가 전면패널(100)을 분리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헐거운 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 1의 'B-B'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가 지면에서 일정 높이 위치되도록 수회 굽힘되는 베이스프레임(125)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하부패널(120)과, 이 하부패널(12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나사 고정되는 전면패널(10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하부패널(120)은 공기조화를 위한 기기들이 상측면에 놓여지며, 전방측의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굽힘되고 다수의 나사홈이 형성된 제5접촉면(121)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면패널(100)은 하부패널(120)에 나사고정되기 위해 다수의 나사홈(10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케이스(1)의 전면패널(100)은 측면패널(110)과 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하부패널(120)에 복수개의 나사로 고정되며, 내측방향으로 측면패널(110)과 실재(105)를 사이에 두고 접촉된다.
이러한, 종래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는 전면패널(100)의 상,하측에 위치된 나사를 풀거나 체결함으로서 케이스(1)에서 전면패널(100)을 분리 또는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는 전면패널(100)의 분리 및 고정작업을 원활히 하기 위해 상기 전면패널(100)의 제1측면(101)과, 측면패널(110)의 제3측면(111) 사이에 일정 간격의 틈새(115)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틈새(115)를 통해 우천시 빗물이 흘러내려 하부패널(120)을 통해 케이스(1)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면패널(100)과 측면패널(110)이 틈새가 없이 견고하게 접촉된 상태를 이루어야 하지만, 이럴 경우에는 전면패널(100)을고정하는 나사를 풀어도 작업자가 케이스(1)에서 전면패널(100)을 쉽게 분리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케이스(1)의 방수를 이루지 못하므로 케이스(1)내로 빗물이 유입되어 전기를 사용하는 전장품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고, 이들 전장품이 빗물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에는 합선을 일으키는 등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빗물이 덕트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어 입실자의 불쾌감을 유발하는 등 제품의 이미지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조화기의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의 하부패널에 일정높이를 갖는 턱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 패널과 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견고하게 밀착되는 패킹부재를 구성시켜, 우천시 빗물유입을 차단하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옥외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의 'A'부 부분 절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케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의 'C-C' 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의 'D-D' 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5 : 전면패널 6 : 돌출부
8 : 틈새 10 : 측면패널 11 : 삽입부
13 : 틈새 15 : 하부패널 16 : 고정부
17 : 베이스프레임 20 : 격벽 25 : 패킹부재
26 : 브라케트 27 : 나사홈 28 : 개스킷
30 : 베리어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위치되어 분리 가능하게 나사고정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끝단부에 절곡성형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측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절곡성형된 고정부가 형성된 하부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측면패널 사이를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하부패널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하부패널의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격벽이 형성되고, 하부패널의 양측으로 진행하는 빗물을 차단하도록 측면패널의 삽입부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조된 도면 도 1은 옥외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키고 이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열교환장치와 송풍장치 등을 내장한 공기조화기의 케이스(1)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의 'A'부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킹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 케이스는 전면에 위치되어 내부기기의 점검시 분리되는 전면패널(5)과, 이 전면패널(5)의 양측부를 실재(31)를 사이에 두고 수용하는 측면패널(10)과, 상기 전면패널(5)이 나사로 고정되는 하부패널(15)과, 케이스(1)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20) 및 패킹부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면패널(5)은 케이스(1)의 전면에 위치되어 내부기기의 점검시 하부패널(15)에 고정된 나사를 풀어냄으로서 케이스(1)에서 분리되며, 양측단부가 내측으로 여러번 절곡되어 '??'자형의 돌출부(6)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패널(10)은 전면패널(5)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측단부가 전면패널(5)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역'??'자형으로 절곡된 삽입부(1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패널(15)은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베이스프레임(17)의 상면에 결합되며 전방측의 끝단부가 '??'자형으로 절곡된 고정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20)은 우천시 전면패널(5)과 측면패널(10) 사이에 형성된 틈새(8)를 통해 하부패널(15)로 흘러내리는 빗물이 케이스(1)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부패널(15)의 끝단부에 상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절곡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25)는 우천시 상기 하부패널(15)의 격벽(20) 양쪽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이 측면패널(10)과 하부패널(15) 사이의 틈새(13)를 통해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부패널(15)의 격벽(20) 외측면과 측면패널(10)의 삽입부(11) 일측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의 패킹부재(25)는 삼방변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면이 하부패널(15) 또는 측면패널(10)에 나사고정되도록 나사홈(27)이 형성되는 브라케트(26)와, 상기 브라케트(26)의 외표면에 결합되어 패널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발포성 방수재로 형성되는 개스킷(2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내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격벽(20)과 패킹부재(25)는 도 4에 도시된 'A'부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부위에 적용시킬 수 있다.
즉,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의 'C-C' 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의 'D-D' 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격벽(20) 및 패킹부재(25)가 케이스(1)내를 구획하는 베리어(30) 주위에 선택적으로 적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옥외에 설치된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1)는 우천시 빗물이 전면패널(5)과 측면패널(10) 사이에 형성된 틈새(8)를 통해 하부패널(15)로 흘러내리면, 상기 하부패널(15)의 끝단부에 형성된 격벽(20)이 이를 차단하여 케이스(1)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격벽(20)에 의해 케이스(1)내로 진행하지 못한 빗물은 격벽(20)의 양쪽으로 즉, 측면패널(10)과 하부패널 사이로 흐르게 되지만 측면패널(10)과 격벽(20)에 견고하게 밀착된 패킹부재(25)가 이를 차단하여 빗물이 외부로 흘러내리게 되어 방수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는 우천시 빗물이 전면패널(5)과 측면패널(10) 사이의 틈새(8)를 통해 하부패널(15)로 흘러내리면, 하부패널(15)의 격벽(20)이 이를 차단하고, 이 격벽(20)의 양쪽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은 패킹부재(25)에 의해 차단되므로 케이스(1)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내부에 설치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빗물이 덕트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전면에 위치되어 분리 가능하게 나사고정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끝단부에 절곡성형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측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절곡성형된 고정부가 형성된 하부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측면패널 사이를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하부패널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하부패널의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격벽이 형성되고, 하부패널의 양측으로 진행하는 빗물을 차단하도록 측면패널의 삽입부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삼방변을 갖도록 절곡성형되고, 일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브라케트와, 상기 브라케트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방수용 발포재로 이루어진 캐스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
KR1019990053622A 1999-11-29 1999-11-29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 KR100315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622A KR100315823B1 (ko) 1999-11-29 1999-11-29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622A KR100315823B1 (ko) 1999-11-29 1999-11-29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813A KR20010048813A (ko) 2001-06-15
KR100315823B1 true KR100315823B1 (ko) 2001-12-12

Family

ID=1962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622A KR100315823B1 (ko) 1999-11-29 1999-11-29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998A (zh) * 2018-09-25 2019-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壳体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813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356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junction box
EP2719970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ITRM950497A1 (it) Unita&#39; per esterno di un condizionatore d&#39;aria di tipo separato.
AU2005209616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A2279464C (en) Air filter inlet and positioning guide for an air conditioner
US4607500A (en) Grille mounting for a room air conditioner
JPH11145635A (ja) 電気的又は電子的な組込物のためのハウジング構造体
WO2017195712A1 (ja) 電装部品冷却装置、これを備えた空調システムの室外機
KR100315823B1 (ko)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
EP0938637B1 (en) Air conditioner
JP2004096968A (ja)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
KR200212809Y1 (ko) 에어콘의 전선 정리용 배플
KR101735839B1 (ko) 모터레지스터의 방수구조
JP2002010416A (ja) 電気機器ボックスの換気用通風装置
JP3842889B2 (ja) 空気調和機の壁掛式室内ユニット
JPH09207554A (ja) 空調ユニット
KR100323517B1 (ko) 다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취부구조
JPH1082498A (ja) 配管カバー
KR10051841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80231Y1 (ko) 공조기기의 실외기
KR101024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662505B2 (ja) ブロワユニットの機器取付構造
KR200152124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JPH0452587Y2 (ko)
JPH0662724U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