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243B1 -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243B1
KR100315243B1 KR1019997010020A KR19997010020A KR100315243B1 KR 100315243 B1 KR100315243 B1 KR 100315243B1 KR 1019997010020 A KR1019997010020 A KR 1019997010020A KR 19997010020 A KR19997010020 A KR 19997010020A KR 100315243 B1 KR100315243 B1 KR 10031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latch
tubular body
central tubular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398A (ko
Inventor
맥파레인글렌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인터레모 홀딩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인터레모 홀딩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2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8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with identically-shaped contact, e.g. for 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4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aper (AREA)

Abstract

커넥터 유닛(1)은 서로 실질적으로 120°간격을 두고 3개의 외주 탄성 텅(4)이 마련된 래칭 셸(3)을 구비하며, 각각의 외주 탄성 텅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래치(5)를 지지한다. 또한, 커넥터 유닛(1)에 배치되어 있는 캐칭 슬리브(28)는 서로 실질적으로 120°간격을 두고 있는 3개의 외주 아암(30)을 구비하며, 각각에는 내측 래치 수용 홈(31)이 마련되어 있다. 캐칭 슬리브(28)의 외주 아암(30)은 래칭 셸(3)의 탄성 텅(4) 사이에 모나게 위치되며, 이에 따라 돌출 래치(5)는 외주에 래치 수용 홈(31)과 번갈아 배치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시스템{CONNECTOR SYSTEM}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매우 우수한 품질의 정밀도와 신뢰도가 요구되는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 시스템의 일반적 구조물은 플러그와 소켓 기구를 형성하는 2개의 관형 본체를 구비하며, 이러한 플러그 및 소켓 본체 각각은 전기 신호, 광자 신호 또는 유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컨덕터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플러그 본체와 소켓 본체는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플러그 본체를 소켓 본체에 삽입할 때, 자기 래칭 기구는 단지 플러그 본체를 소켓 본체에 축방향으로 밀어 넣는 것만으로 플러그 본체를 소켓 본체에 자동적으로 로크시킨다. 필요한 경우, 플러그 본체는, 외부 릴리스 슬리브 상에 작용하여, 먼저 자기 래칭 기구를 해제하고 뒤이어 플러그 본체를 소켓 본체로부터 후퇴시킬 수 있는 곧은 축방향의 견인력에 의하여 소켓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플러그 본체와 소켓 본체 사이의 연결부는 신호 전송 컨덕터를 내장하는 케이블 또는 외부 릴리스 슬리브가 아닌 플러그 본체와 소켓 본체의 다른 구성 부품에 견인력을 가함에 의해서는 파손될 수 없다.
널리 공지된 이러한 커넥터 시스템에서, 플러그 본체 상에는 복수의 외주 탄성 텅(tongues)이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텅은 외향 돌출 래치 상에서 지지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래치는 플러그 본체 상에서 탄력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러그 본체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플러그 본체 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외부 슬리브는 외주 탄성 텅을 둘러싸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이러한 연장부는 돌출 래치 위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횡방향 창(window)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플러그 본체 위에서의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으로 인하여 슬리브 연장부의 횡방향 창은 돌출 래치를 플러그 본체에 대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박하는 램프(ramps)로서 작용할 수 있다. 소켓 본체는 플러그 본체가 소켓 본체에 삽입될 때, 돌출 래치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환형 홈을 구비한다. 전술한 일반적인 조작에 따르면, 커넥터 시스템은 플러그 본체를 소켓 본체에 단순히 삽입함으로써 연결되는데, 이러한 삽입에 의하여 돌출 래치는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어 소켓 본체에 끼워지며, 그 다음에 소켓 본체의 수용 홈으로 팽창하여, 플러그 본체와 소켓 본체의 조립체는 로킹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외부 슬리브 상에 축방향 견인력을 가함으로써 분리되는데, 이 슬리브의 창은 돌출 래치를 반경 방향으로 수축시켜 수용 홈으로부터 돌출 래치를 빼내며, 이에 의하여 플러그 본체는 소켓 본체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시스템의 다른 예로서 미국 특허 제3160457호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 시스템은 플러그 본체 위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릴리스 슬리브에 장착된 돌출 래치가 형성된 복수의 외주 탄성 텅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본체는 래치아래에 배치된 절두 원추형의 램프를 지지한다. 래치와 플러그 본체 사이에는 분리 공간(release space)이 마련되어 있다. 소켓 본체에는 플러그 본체를 소켓 본체에 삽입할 때, 상기 돌출 래치를 수용하는 내부 환형 홈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시스템의 연결은 플러그 본체를 소켓 본체에 밀어 넣음으로써, 이에 의하여 래치가 분리 공간에서 수축되어 소켓 본체로 진입되고, 그 뒤에 수용 홈에서 팽창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릴리스 슬리브가 아닌 플러그 본체를 당기면, 래치는 플러그 본체의 절두 원추형 램프의 램프의 작용에 의해 소켓 본체의 수용 홈에 더욱 압박된다. 자기 래칭 조립체는 릴리스 슬리브를 당김으로써 분리되는데, 이에 의하여 래치는 분리 공간에서 수축되어, 플러그 본체는 소켓 본체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시스템의 다른 예가 프랑스 특허 제A-2159701호에 개시되어 있다. 플러그 본체는 소켓 본체의 외주 상에 배치된 환형 수용 홈과 맞물리도록 의도된 내향 돌출 래치가 있는 복수의 외주 탄성 텅을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 위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릴리스 슬리브가 장착되는데, 이 슬리브의 일단부에는 내향 돌출 래치를 향하여 정향되고 그 래치 아래로 통과할 수 있는 경사부가 마련되며, 또한 슬리브 타단부에는 플러그 부재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고정 클립(circlip)과 연동하는 정지 기구가 마련된다. 릴리스 슬리브의 내부면은 정지 기구가 고정 클립에 맞물릴 때 내향 돌출 래치가 소켓 본체의 수용 홈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해받도록, 그리고 정지 기구가 고정 클립으로부터 분리될 때 래치가 수용 홈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위치되며, 이로 인하여 릴리스 슬리브의 경사부가 래치 아래로 통과되어 래치를 반경 방향으로 멀리 떨어지게 함으로써, 자기 래칭 연결부를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커넥터 시스템은, 서로 정합되게 제조된 플러그 본체 또는 소켓 본체를 조작하여 플러그 본체를 소켓 본체에 삽입되거나 또는 소켓 본체를 플러그 본체 위에 체결시키는 방법 중 어느 것으로도 연결부를 고정시킬 수 있음을 알고 있거나 인식할 수 있는 조작자에 의해 어느 정도 고장없이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응력이 크거나 또는 예컨대 군사 작전시와 같이 소위 블라인드 상태(blind condition)에서는 항상 그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에 대한 고장을 방지하는 것은 조작자가 플러그 본체 또는 소켓 본체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혼란스러워 질 수 있는 경우 보장될 수 없다. 그러한 상황은 느슨한 케이블에 연결부가 있어야 하는 경우에 특히 심각하다.독일 특허 제2063258호에는 2개의 반쪽 커넥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반쪽 커넥터는 후방 단부가 클램프를 매개로 도관에 연결되는 내부 관형 본체를 구비한다. 관형 본체의 전방 단부에는 확대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환형 홈이 마련되며, 본체의 후방 단부는 접합부를 형성한다. 환형 홈의 전방 엣지에서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축방향 전방으로 돌출하는 탄성 아암은 서로 동일한 거리에 있다. 탄성 아암은 내측으로 정향된 돌출부가 있는 확대부에서 종결되며, 돌출부는 홈의 횡방향 섹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아암과 돌출부의 폭은 2개의 동일한 커넥터 반쪽을 결합시킴으로써 2개의 반쪽 아암이 상호 관통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관형 본체의 외측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접합부에 대항하게 유지되는 제어 슬리브가 장착된다. 이러한 제어 슬리브는 확대된 전방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돌출부의 축방향 길이는 본체의 확대된 단부의 축방향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돌출부의 내경은 탄성 아암의 돌출부에 있는 외부 엣지를 둘러싸는 원의 직경과 동일하다. 제어 슬리브는 수동 조작을 위한 외부 홈이 있다. 이러한 커넥터 시스템의 2개의 반쪽은 그들 각각의 아암이 상호 관통하게 2개의 반쪽을 체결함으로써 연결되며, 이에 의하여 아암은 관형 본체의 전방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며, 동시에 그들의 돌출부가 대응하는 원형 홈에 들어갈 때 까지 스프링의 치우침에 대항하여 제어 슬리브의 전방 엣지를 밀어 넣으며, 이로 인하여 제어 슬리브는 스프링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리며, 그것의 확대된 전방 돌출부는 탄성 아암의 확대부의 단부를 둘러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은 각각의 도관에서의 견인에 대항하여 로크되고 고정된다. 시스템을 해제하기 위하여, 두 제어 슬리브의 홈이 파인 부분을 반대 방향으로 견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의하여 2개의 커넥터 반쪽의 탄성 아암은 그것의 팽창된 돌출부가 대응하는 홈으로부터 축소되게 할 수 있다. 연결 목적으로 각각의 클램프된 도관에 의하여 커넥터 반쪽을 유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변형에 있어서, 제어 슬리브의 후방부는 내부 본체에 고정된 슬리브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다른 변형에 있어서, 제어 슬리브는 본체에 고정된 슬리브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이며, 이 제어 슬리브는 덮개 슬리브의 종방향 슬롯을 통하여 돌출하는 반경 방향 스터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자기 래칭 기구(self-latching mechanism)에 의해 제어되는 체결 수단을 매개로 신호 전송 컨덕터 수단을 결합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도면.
도 3 및 도 4, 도 5 및 도 6, 도 7 및 도 8,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커넷터 유닛의 상세 측면도와 평면도.
도 11은 동일한 커넥터 유닛과 결합 상태에 있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유닛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의 종단면도.
도 13은 동일한 커넥터 유닛과 결합 상태에 있는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유닛을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심지어는 최악의 주위 상황에서도 조작자에 어떤 혼란한 상태를 제공하지 않는 커넥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장 가능성(failure potential)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 전송 컨덕터 수단의 결합 단계를 단순화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용도로 쓰이고 제조하기 용이한 커텍터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은 청구범위에 제공된 사상과 합치된다.
따라서, 외주에 래치 캐칭 수단과 번갈아 배치되는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래치 수단을 구비하는 커넥터 유닛은 제1 커넥터 유닛의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래치 수단을 제2 커넥터 유닛의 래치 캐칭 수단으로 단순히 삽입하여 자기 래칭시킴으로써 제1 커넥터 유닛을 동일한 제2 커넥터 유닛과 결합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제1 커넥터 유닛의 래치 캐칭 수단은 제2 커넥터 유닛의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래치 수단을 내장하여 수용한다. 다른 부품을 찾아서 조작해야 하거나, 조작이 위험하지 않으며, 시각적으로, 촉각적으로 또는 조작적으로 상이한 부품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은 물론 없다. 신호 전송 컨덕터 수단의 결합시키는데에는 단순히 고장 방지를 위해 한번 삽입되는 것만이 요구된다. 커넥터 유닛이 플러그 본체 및 소켓 본체 모두로서 작용하므로, 수용되어야 하거나 케이블 조립체에 마련되어야 할 부품의 종류에 대한 단계는 간단해진다. 조작자에 대한 교육은 그의 교육 배경에 관계없이 철저하게 줄어든다. 또한,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는 다른 부품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간단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유닛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에 배치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래치 수단과, 외주에 상기 래치 수단과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래치 캐칭 수단을 구비하며, 이에 의하여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달성된다. 또한, 래치 수단은 반경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래칭 수단을 그것의 탄력에 대항하여 압박하는 램프 수단이 마련되는 경우, 래칭 수단이 래치 캐칭 수단으로부터 해제됨에 따라 체결 분리는 힘들이지 않고 가능하다.
커넥터 유닛 상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제어 슬리브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에 연결되는 램프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부의 자기 래칭 및 해제는 제어 슬리브 상에서 직접적으로 미는 작용과 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 슬리브는 커넥터 유닛 상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으며, 래치 수단은 제어 슬리브에 연결되어 있다.
래치 수단을 래칭 상태로 압박하기 위한 벽 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래치 캐칭 수단에서의 래치 수단의 로킹 상태를 강화할 수 있다.
래치 수단과 래치 캐칭 수단을 조임 목적으로 왕복 운동시키거나 및/또는 커넥터 유닛에서 신호 전송 컨덕터 수단과의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하도록 및/또는 래치 수단과 래치 캐칭 수단이 주위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치우치는 머프 수단이 커넥터 유닛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도면에는 단지 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하지만 여전히 예시적인 2개의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유닛(1)은 래칭 셸(3)이 장착되는 중앙 관형 본체(2)를 포함하며(도 1, 도 2, 도 5 및 도 6 참고), 이 관형 부재는 서로 120°간격으로 연장하는 3개의 외주 탄성 텅(4)을 구비하며, 각각의 탄성 텅은 그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래치(5)를 지지하며, 이 돌출 래치는 텅(4)의 단부를 향해 경사진 전방면(6)과 탄성 텅(4)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후방의 접합면(7)으로 구성된다. 래칭 셸(3)은 관형 본체(2)의 어깨부(8)와 관형 본체에 고정된 링(9) 사이에서 중앙 관형 본체(2)에 부착되어 있다.
래칭 셸(3) 위에는 일단부에 3개의 외주 연장 아암(11)이 마련된 활주 가능한 슬리브(10, 도 1, 도 2, 도 7 및 도 8 참조)가 설치되며, 이 아암은 서로 실질적으로 120°간격을 두고 래칭 셸(3)의 텅(4) 위에 배치된다. 각각의 연장 아암(11)에는 대응 래치(5) 위에 위치된 횡방향의 창(12, window)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활주 가능한 슬리브(10)는 중앙 관형 본체(2)의 어깨부(8)에 맞닿으며, 이 슬리브의 후단부(13)는 커넥터 유닛(1)을 둘러싸는 제어 슬리브(14)에 부착되며, 예컨대 고착된다. 활주 가능한 슬리브(10)의 후단부(13) 내측에는 코일 스프링(16)이 수용되는 챔버(15)가 있으며, 이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는 챔버(15)의 벽(17)에 맞닿고 타단부는 챔버(15)에서 이동 가능한 링(18)에 맞닿으며, 이 링의후단부는 제어 슬리브(14) 후단부의 접합 벽(19)에 지지된다. 링(18)에 있는 2개의 O 링(20, 21)은 링(18)과, 슬리브(10) 및 중앙 관형 본체(2) 사이의 밀봉을 보장한다.
제어 슬리브(14)의 후단부는 콜릿 너트(22)의 단부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콜릿 너트는 중앙 관형 본체(2)의 나사 단부(23)와 체결되고 링(18)의 후단부에 맞닿는다. 콜릿 너트(22)는 중앙 관형 본체(2) 내에서 연장하는 신호 전송 컨덕터 조립체(24)를 유지하며, 이 조립체는 중앙 관형 본체의 어깨부(37)에 지지된다. 신호 전송 컨덕터 조립체(24)와 중앙 관형 본체(2) 사이의 밀봉은 O 링(25)에 의하여 보장된다. 신호 전송 컨덕터 조립체(24)는 중앙 관형 본체의 홈(27)에 위치된 스터드(26)를 매개로 중앙 관형 본체(2)에 모나게 고정된다. 신호 전송 컨덕터 조립체(24)는 전기 신호, 광자 신호 또는 유체 신호를 전달하는 임의의 종류일 수 있으며, 추가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슬리브(10)와 중앙 관형 본체(2) 위에는 나사(29)에 의하여 중앙 관형 본체(2)에 결합되는 캐칭 슬리브(28, 도 1, 도2, 도 9, 도 10)가 장착된다. 캐칭 슬리브(28)는 서로 실질적으로 120°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외주 아암(30)을 구비하며, 이 외주 아암은 래칭 셸(3)의 탄성 텅(4)과 슬리브(10)의 창이 있는(windowed) 아암(11) 사이에 모나게 위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외주 아암(30)에는 역전된 상태가 래치(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인 내측 래치 수용 홈(31)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래치(5)와 창(12)은 외주에 래치 수용 홈(31)과 번갈아 배치된다.
제어 슬리브(14)의 전단부는 캐칭 슬리브(28)에 있는 외주 아암(30)의 전단부의 어느 정도 뒤까지 연장하며, 캐칭 슬리브(28)와 제어 슬리브(14) 사이에는 그 전단부에 O 링(33)이 수용되어 있는 슬라이딩 머프(32, 도 1 내지 도 4 참조)가 장착된다. 슬라이딩 머프(32)의 후단부에는 나사(29)에 의한 각도 안내와 종방향 위치 조정을 위한 슬롯(34)이 마련되어 있으며, 머프(32)의 후단부와 제어 슬리브(14)의 내측 접합벽(36)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35)은 캐칭 슬리브의 둘레 아암(30)의 전단부와 래칭 셸(3)의 래치(5) 위에서 머프(32)를 전방을 향하여 가압한다. 슬라이딩 머프(32)와 제어 슬리브(14) 사이의 밀봉은 O 링(38)에 의하여 보장된다.
이러한 커넥터 유닛의 작동은 다음과 같으며, 도 11을 참고로 한다. 2개의 동일한 커넥터 유닛(1)은 서로의 전방에서 서로를 밀도록 위치되며, 그 위치에서의 밀봉은 머프(32)의 O 링(33)에 의하여 보장된다. 머프(32)는 제어 슬리브(14) 내에서 스프링(35)의 치우침에 대항하여 밀어 넣어지고, 이에 따라 각 커넥터 유닛(1)에 있는 캐칭 슬리브(28)의 외주 아암(30)은 다른 커넥터 유닛에 있는 캐칭 슬리브(28)의 외주 아암(30)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커넥터 유닛(1)에 있는 슬리브(10)와 래칭 셸(3)의 창(12) 및 래치(5)는 다른 커넥터 유닛에 있는 캐칭 슬리브(28)의 외주 아암(30) 아래에 각각 구속될 수 있다. 탄성 텅(4)의 치우침(bias)에 기인하여, 래치(5)는 그것의 후방 접합부(7)가 역전된 형상의 대응하는 래치 수용 홈(31)과 맞닿는 상태로 대응 래치 수용 홈(31)과 맞물린다. 이에 따라, 2개의 커넥터 유닛(1)의 조립체는 고정되고 조여진다. 신호 전송컨덕터 조립체(24)에 연결되는 케이블(도시 생략) 또는 콜릿 너트(22) 상의 임의의 견인력이 중앙 관형 본체(2), 래칭 셸(3), 탄성 텅(4) 및 나사(29)를 거쳐서 래치(5)와 래치 수용 홈(31)으로 전달되어, 커넥터 유닛(1)의 조립체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커넥터 유닛의 조립체는 커넥터 유닛(1)의 제어 슬리브(14) 중 하나 이상에 스프링(16)의 치우침에 대항하여 가해지는 단순한 견인력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스프링(16)의 치우침에 대항한 제어 슬리브(14)의 견인력으로 인하여, 슬리브(10)가 끌어 당겨지고, 이 슬리브의 연장 아암(11)은 래치(5)의 경사면(6)을 따라 창을 이동시켜서 래치(5)는 래치 수용 홈(31)의 밖으로 빠진다. 그에 따라, 커넥터 유닛(1)은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머프(32)는 스프링(35)에 의하여 캐칭 슬리브(14)의 외주 아암(30)과 래치(5), 그리고 신호 전송 컨덕터 조립체(24)의 위에서 밀린다.
도 12에는 서로 120°간격으로 연장하는 3개의 외주 아암(41)이 있는 중앙 관형 본체(40)를 구비하는 커넥터 유닛(39)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외주 아암은 상방으로 경사진 벽(42)에서 종결한다. 중앙 관형 본체(40) 위에는 아암(41)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120°간격으로 각각 연장하는 3개의 외주 탄성 텅(44)이 있는 래칭 셸(43)이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래칭 셸(43)은 중앙 관형 본체(40)의 어깨부(50)에 의하여 전방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래칭 셸은 스터드와 홈 기구(도시 생략)에 의하여 중앙 관형 본체(40)에 대하여 모나게 고정된다. 탄성 텅(44)은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래치(45)에서 종결되며, 이 래치에는 후방의 래칭 표면(46)과 아암(41)의 경사진 벽(42)에 지지되는 전방 내측으로 정향된 표면(47)이 마련된다. 래칭 셸(43)의 후방부(48)에는 코일 스프링(51)이 수용되는 챔버(49)가 마련되며, 이 스프링의 일단은 챔버(49)의 전방벽과 맞닿고, 타단부는 챔버(49) 내에서 중앙 관형 본체(40) 위에서 이동 가능한 링(52)과 맞닿는다. 링(52)의 후방 단부는 커넥터 유닛(39)을 둘러싸는 제어 슬리브(54)의 후방 단부에 있는 접합 벽(53)에 맞닿고,55에서 래칭 셸(43)에 고정된다(예컨대, 접착된다). 링(52)에 있는 2개의 O링(56)은 링(52)과, 래칭 셸(43) 및 중앙 관형 본체(40) 사이의 밀봉을 보장한다.
제어 슬리브(54)의 후방 단부는 중앙 관형 본체(40)의 나사 단부(58)와 맞물리는 콜릿 너트(57)의 단부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콜릿 너트는 링(52)의 후방 단부에 맞닿는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콜릿 너트(57)는 신호 전송 컨덕터 조립체(59)를 유지하며, 이 조립체는 종방향으로 연장 및 고정되며, 중앙 관형 본체(40)에 모나게 고정된다. 신호 전송 컨덕터 조립체(59)와 중앙 관형 본체(40) 사이의 밀봉은 O 링(60)에 의하여 제공된다.
래칭 셸(43)과 중앙 관형 본체(40)의 위에는 나사(62)를 매개로 중앙 관형 본체(40)에 고정되는 캐칭 슬리브(61)가 장착된다. 캐칭 슬리브(61)는 서로 실질적으로 120°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3개의 외주 아암을 구비하며, 이 외주 아암은 래칭 셸(43)의 탄성 텅(44)과 중앙 관형 본체(40)의 외주 아암(41) 사이에 각지게 위치되어 있다. 캐칭 슬리브(61)의 각각의 외주 아암(63)에는 역전된 상태의 래치(45)와 그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측의 래치 수용 홈(64)이 마련된다.그에 따라, 래치(45)와 아암(41)은 외주에 래치 수용 홈(64)과 번갈아 배치된다.
제어 슬리브(54)의 전단부는 캐칭 슬리브(61)에 있는 외주 아암(63)의 전단부의 어느 정도 뒤까지 연장하며, 캐칭 슬리브(61)와 제어 슬리브(54) 사이에는 그 전단부에 O 링(66)이 수용되는 슬라이딩 머프(65)가 장착된다. 머프(65)의 후단부에는 나사(62)에 의한 각도 안내와 종방향 위치 조정을 위한 슬롯(67)이 마련되어 있으며, 머프(65)의 후방 단부와 제어 슬리브(54)의 내측 접합벽(69)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68)은 머프(65)를 전방을 향하여 캐칭 슬리브(61)에 있는 외주 아암(63)의 전방 단부와 래치(45) 및 아암(41) 위로 압박한다. 슬라이딩 머프(65)와 제어 슬리브(54) 사이의 밀봉은 O 링(70)에 의하여 보장된다.
이러한 커넥터 유닛의 작동은 다음과 같으며, 도 13을 참고로 한다. 2개의 동일한 커넥터 유닛(39)은 서로의 전방에서 서로에 대하여 밀쳐지며, O 링(66)이 그 위치에서 밀봉을 보장한다. 머프(65)는 제어 슬리브(54) 내에서 스프링(68)의 치우침에 대항하여 밀어 넣어지고, 이에 따라 각 커넥터 유닛(39)에 있는 캐칭 슬리브(61)의 외주 아암(63)은 다른 커넥터 유닛에 있는 캐칭 슬리브(61)의 외주 아암(63)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커넥터 유닛(39)에 있는 래치(45) 및 아암(41)은 다른 커넥터 유닛(39)에 있는 외주 아암(30) 아래에서 각각 구속될 수 있다. 탄성 텅(44)의 치우침에 기인하여, 래치(45)는 그것의 후방 래칭 표면(46)이 역전된 형상의 대응 래치 수용 홈(64)과 맞닿게 지지되는 상태로 대응 래치 수용 홈(64)과 맞물린다. 이에 따라, 2개의 커넥터 유닛(39)의 조립체는 고정되고 조여진다. 신호 전송 컨덕터 조립체(59)에 연결되는 케이블(도시 생략) 또는 콜릿 너트(57) 상의 임의의 견인력이 중앙 관형 본체(40), 외주 아암(41), 래치(45)를 가압하는 외주 아암의 경사진 벽(42)을 통하여 래치 수용 홈(64)으로 전달되어, 커넥터 유닛(39)의 조립체는 강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커넥터 유닛의 조립체는 커넥터 유닛(39)의 제어 슬리브(54) 중 하나 이상에 단순히 견인력을 가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스프링(51)의 치우침에 대항한 제어 슬리브(54)의 견인력으로 인하여, 래칭 셸(43)을 끌어 당기고, 래칭 셸의 래치(45)는 경사진 벽(42) 또는 외주 아암(41)을 따라 래칭 셸의 벽에 의하여 래치 수용 홈(64)의 밖으로 가압한다. 그에 따라 커넥터 유닛(39)은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그 동안 머프(65)는 스프링(68)에 의하여 래치(45)와 캐칭 슬리브(61)의 외주 아암(63), 그리고 신호 전송 컨덕터 조립체의 단부 위에서 밀린다.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래치 텅과 래치 캐칭 아암, 그리고 연관 부품의 수는 3개 이상이거나 미만일 수 있으며, 이들은 커넥터 유닛을 동일한 커넥터 유닛과 상호 결합시킬 수 있게 외주에 번갈아 배치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래치는 연관 부품의 대응하는 재배열에 따라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래치는 도시된 반경 방향 대신에 외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래치 수용 홈, 창이 있는 아암(windowed arm), 외주 아암이 있는 램프(ramp)는 횡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게 대응하게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도시되어 있는 래치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구형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머프 시스템(32, 65)은, 특히 래치, 연관 요소, 래치 캐칭 요소 및 신호 전송 컨덕터 조립체에 밀봉 또는 차폐가 필요하지 않은 곳에서는 삭제될 수 있다.
머프(32, 65)는 보다 쉬운 결합을 위하여 그것의 전단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반달형 리드(lid)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0)

  1. 자기 래칭 기구에 의하여 제어되는 체결 수단을 매개로 신호 전송 컨덕터 수단(24)을 결합시키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커넥터 유닛(1)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탄성 텅(4)이 있는 래칭 셸(3)에 고정되는 중앙 관형 본체(2)를 구비하며, 각각의 텅(4)에는 돌출 래치(5)가 마련되며, 외주에 상기 돌출 래치(5)와 번갈아 배치되는 래치 캐칭 수단(31)이 있으며 상기 중앙 관형 본체(2)에 고정되는 캐칭 슬리브(28)와, 상기 커넥터 유닛(1) 상에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제어 슬리브(14)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래칭 셸(3) 상에는 슬리브(10)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며, 슬리브의 일단부에는 상기 텅(4)을 따라 각각 연장하는 복수의 외주 연장 아암(11)이 마련되며, 각각의 연장 아암(11)은 대응하는 래치(5)를 그것의 탄력에 대항하여 압박하는 램프 수단(12; ramp means)을 구비하며, 상기 캐칭 슬리브(28)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외주 아암(30)을 구비하며, 이 외주 아암은 상기 텅(4)과 연장 아암(11) 사이에 모나게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주 아암(30)은 각각 래칭 캐칭 수단(31)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슬리브(14)는 상기 활주 가능한 슬리브(10)에 부착되며, 이에 의하여 커넥터 유닛(1)과 동일한 제2 커넥터 유닛의 자기 래칭과 분리는 상기 제어 슬리브(14) 상에서 직접적으로 미는 작용과 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4)과 돌출 래치(5)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가능한 슬리브(10)는 스프링(16)이 수용되는 챔버(15)를 구비하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챔버의 벽부(17)와 맞닿으며, 타단부는 제어 슬리브(14)의 벽부(19)와 중앙 관형 본체(2)의 부품(22)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6)의 타단부는 챔버(15)에서 이동 가능한 링(18)과 맞닿으며, 이 링은 중앙 관형 본체(2)의 상기 부품(22) 및 벽부(19)에 대하여 지지되며, 링(18) 상에 있는 2개의 O 링(20, 21)은 링(18)과, 슬리브(10) 및 중앙 관형 본체(2) 사이의 밀봉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슬리브(14)의 후방 단부는 중앙 관형 본체(2)의 부품(22)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6. 자기 래칭 기구에 의하여 제어되는 체결 수단을 매개로 신호 전송 컨덕터 수단(59)을 결합시키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커넥터 유닛(39)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탄성 텅(44)이 있는 래칭 셸(43)에 모나게 고정되는 중앙 관형 본체(40)를 구비하며, 각가의 텅(44)에는 돌출 래치(45)가 마련되며, 외주에 상기 래치(45)와 번갈아 배치되는 래치 캐칭 수단(64)이 있으며 상기 중앙 관형 본체(40)에 고정되는 캐칭 슬리브(61)와, 상기 커넥터 유닛(39) 상에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제어 슬리브(54)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형 부재(40)는 상기 텅(44)을 따라 각각 연장하는 복수의 외주 아암(41)을 구비하며, 각각의 외주 아암에는 대응 래치(45)를 상기 래치 캐칭 수단(64)에 압박하는 경사진 벽(42)이 마련되며, 상기 캐칭 슬리브(61)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외주 아암(63)을 구비하며, 각각의 외주 아암은 상기 텅(44)과 중앙 관형 본체(40)의 외주 아암(41) 사이에 모나게 배치되어 있으며, 캐칭 슬리브(61)의 외주 아암(63)은 각각 래치 캐칭 수단(64)을 구비하며, 상기 래칭 셸(43)은 상기 중앙 관형 본체(40)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어 슬리브(54)는 상기 래칭 셸(43)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커넥터 유닛(39)과 동일한 제2 커넥터 유닛의 자기 래칭과 분리는 상기 제어 슬리브(54) 상에서 직접적으로 미는 작용과 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텅(44)과 돌출 래치(45)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셸(43)은 스프링(51)이 수용되는 챔버(49)를 구비하며, 스프링의 일단부는 챔버(49)의 벽과 맞닿으며, 타단부는 제어 슬리브(54)의 벽(53)과 중앙 관형 본체(40)의 부품(57)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1)의 타단부는 챔버(49)에서 이동 가능한 링(52)과 맞닿으며, 이 링은 중앙 관형 본체(40)의 상기 부품(57) 및 상기 벽(53)에 맞닿게 지지되며, 링(52) 상에 있는 2개의 O 링(56)은 링(52)과, 래칭 셸(43) 및 중앙 관형 본체(40) 사이의 밀봉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슬리브(54)의 후방 단부는 중앙 관형 본체(40)의 부품(57)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19997010020A 1997-04-30 1999-10-29 커넥터 시스템 KR100315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107167.5 1997-04-30
EP97107167A EP0875959B1 (en) 1997-04-30 1997-04-30 Connect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398A KR20010020398A (ko) 2001-03-15
KR100315243B1 true KR100315243B1 (ko) 2001-11-26

Family

ID=822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020A KR100315243B1 (ko) 1997-04-30 1999-10-29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875959B1 (ko)
JP (1) JP3174583B2 (ko)
KR (1) KR100315243B1 (ko)
CN (1) CN1122336C (ko)
AT (1) ATE197519T1 (ko)
AU (1) AU726404B2 (ko)
CA (1) CA2289015C (ko)
DE (1) DE69703477T2 (ko)
DK (1) DK0875959T3 (ko)
ES (1) ES2153618T3 (ko)
HK (1) HK1026522A1 (ko)
IL (1) IL132383A (ko)
NO (1) NO316415B1 (ko)
WO (1) WO1998049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85615B1 (en) * 1999-06-30 2002-10-09 Interlemo Holding S.A. Connector system
CN100461550C (zh) * 2007-02-06 2009-02-1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自锁机构的密封射频同轴连接器
MX2010003998A (es) * 2007-10-17 2010-07-01 G & W Electric Conector de bloqueo automatico para una terminacion de cable.
CN101656380B (zh) * 2008-08-22 2012-07-25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快速锁紧和分离机构的大功率射频连接器
US9398834B2 (en) 2009-06-30 2016-07-26 Sca Hygiene Products Ab Spindle and holder for a spindle
CN102983446A (zh) * 2012-12-25 2013-03-20 天津华宁电子有限公司 绝缘插接件和使用绝缘插接件的扣压式电缆接头
CN104022411A (zh) * 2014-05-14 2014-09-03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一种互耦式电连接装置
CN108232829B (zh) * 2017-12-29 2020-06-02 重庆庆亿商贸有限公司 一种钻井用顶驱电缆接头
DE102019123884B4 (de) * 2019-09-05 2021-03-25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Steckverbinder und Stecksystem
DE202019106151U1 (de) * 2019-11-05 2019-11-15 Sigrun Jørgensen Steck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42495B (ko) * 1969-12-23 1972-02-07 Larsson Brdr Ind Ab
DK149084A (da) * 1983-03-08 1984-09-09 Robert Michael Grunberg Elektrisk konnektor
EP0450909B1 (en) * 1990-04-02 1995-11-29 Amphenol Corporation Hermaphroditic coupler
CH684956A5 (fr) * 1991-04-23 1995-02-15 Interlemo Holding Sa Dispositif de connex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32383A (en) 2002-09-12
CA2289015A1 (en) 1998-11-05
NO995323D0 (no) 1999-11-01
JP2000510642A (ja) 2000-08-15
EP0875959A1 (en) 1998-11-04
JP3174583B2 (ja) 2001-06-11
DK0875959T3 (da) 2001-02-26
KR20010020398A (ko) 2001-03-15
AU726404B2 (en) 2000-11-09
EP0875959B1 (en) 2000-11-08
DE69703477T2 (de) 2001-05-23
NO316415B1 (no) 2004-01-19
IL132383A0 (en) 2001-03-19
AU7521798A (en) 1998-11-24
CN1254450A (zh) 2000-05-24
NO995323L (no) 1999-11-01
ES2153618T3 (es) 2001-03-01
CA2289015C (en) 2002-11-12
WO1998049753A1 (en) 1998-11-05
DE69703477D1 (de) 2000-12-14
HK1026522A1 (en) 2000-12-15
CN1122336C (zh) 2003-09-24
ATE197519T1 (de) 200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39402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9837752B2 (en) Coaxi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locking sleeve
KR100315243B1 (ko) 커넥터 시스템
CA2764745C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ner sleeve ring
CA2527899C (en) Electrical connector
US7575459B2 (en) Connector for electrical and optical cables
US5984709A (en) Electric connector
JPH07151278A (ja) 波形管用継手
KR100378297B1 (ko) 신속커넥터접속구용결합검사수단
JPH06201082A (ja) 管継ぎ手
EP0121610B1 (en) Coupling system, especially for a connector
CY1611A (en) Plug-in connection for the temporaty fixing of an implement on a handle
RU2497247C2 (ru) Розеточная часть для самофиксирующейс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JP7220181B2 (ja) ロック機構を有するプラグイン・コネクタ
US4296999A (en) Optical fibre connectors
US5427542A (en) Breakaway connector
KR20180008376A (ko) 관형상체의 로크기구
US6227895B1 (en) Connector system
EP1596118B1 (en) Dustproof cap for quick connector and quick connector
US6179641B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444156B2 (ko)
GB2126368A (en) Coupling device for optical waveguide
EP1085615B1 (en) Connector system
RU2172049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JPH062306U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