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838B1 -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838B1
KR100313838B1 KR1019990042974A KR19990042974A KR100313838B1 KR 100313838 B1 KR100313838 B1 KR 100313838B1 KR 1019990042974 A KR1019990042974 A KR 1019990042974A KR 19990042974 A KR19990042974 A KR 19990042974A KR 100313838 B1 KR100313838 B1 KR 100313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terminal
battery
impact piece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123A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4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838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가 배터리 터미널 단자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도록 하여 각 전장품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므로써 와이어 합선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각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를 축전하고 있는 배터리 본체와, 배터리 본체로부터의 음, 양극을 외부로 인출하는 터미널 단자와, 터미널 단자를 감싸 접속하는 와이어 단자와, 일측은 와이어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은 각 전장품에 접속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단자 하부에 위치하는 충격편과;
상기 충격편이 상기 와이어 단자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충격력을 가할 수 있도록 압축되어 상기 충격편을 상측으로 탄발토록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와이어 단자의 하방에 수평방향으로 출몰 작동하는 플런저를 가지며, 그 플런저가 상기 충격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차량 충돌시 플런저가 후퇴하도록 작동하므로써 상기 충격편의 구속을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체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Automatic breaking device of battery wire terminal in case of crashing}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에 관한 것이 다.
자동차용 배터리는 가솔린차나 디젤차를 불문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는 각각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진 양극, 음극으로 된 전극과 전해액으로 구성되며, 양극을 도체로 연결하면 각 전극의 작용물질과 전해액이 가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게 되며, 반대로 전기적 에너지를 부여하면 또다시 화학적 에너지를 가진 원래의 작용 물질로 되돌아가 축전되는 2차 전지이므로 필요에 따라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또 전기를 보충할 수 있다.
배터리는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양,음극판 및 전해액을 수용한 본체 (20)와, 양극 및 음극 터미널 단자(21)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터미널 단자(21)는 와이어단자(22) 및 그 와이어 단자(22)에 접속된 전선(23)을 통해 차량의 각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와이어단자(22)를 터미널 단자(21)에 결속함에 있어서, 띠상의 철편을 터미널 단자(21) 외주로 감아붙인 후 양측 단부를 볼트, 너트(24)로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 단자(22)의 해체가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야만 가능하므로써 차량 충돌시 등에 차량 탑승자가 본네트를 열고 인위적으로 배터리의 와이어 단자(22)를 분리시켜 주지 않으면 엔진룸내의 전선들이 합선을 일으켜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특히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차량 탑승자가 의식을 잃었을 경우 합선에 의한 화재가 일어날 경우 인명 사상의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차량의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가 배터리 터미널 단자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도록 하여 각 전장품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므로써 와이어 합선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각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를 축전하고 있는 배터리 본체와, 배터리 본체로부터의 음, 양극을 외부로 인출하는 터미널 단자와, 터미널 단자를 감싸 접속하는 와이어 단자와, 일측은 와이어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은 각 전장품에 접속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단자 하부에 위치하는 충격편과;
상기 충격편을 탄발지지하므로써 상기 충격편을 통해 상기 와이어 단자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충격력을 가할 수 있도록 압축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와이어 단자의 하방에 수평방향으로 출몰 작동하는 플런저를 가지며, 그 플런저가 상기 충격편의 상부에 위치하여 충격편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충돌시 플런저가 후퇴하도록 작동하므로써 상기 충격편의 구속을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체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 기재에 의하면
차량 범퍼부에 설치되는 스위치편과, 차량 충돌에 의한 범퍼의 변형시 변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편에 충돌하여 회로를 단락하는 차단핀을 구비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체는 상기 스위치편을 개재하여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3 기재에 의하면
상기 충격편을 통해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충격편의 상승을 차단하는 압축 스프링 고정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플런저가 고정핀의 상부에 위치토록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 고정핀을 제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 기재에 의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체와 충격편, 압축 스프링 및 압축 스프링 고정핀은 케이스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충격편의 상부 돌출을 허용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 고정핀의 단부는 케이스 일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잡아 빼거나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의 설치 과정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의 완성된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차량 충돌시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주요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유니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본체 2 : 터미널 단자
3 : 와이어 단자 4 : 와이어
5 : 솔레노이드 작동체 6 : 플런저
7 : 충격편 8 : 압축 스프링
9 : 스위치편 10 : 범퍼
11 : 차단편 12 : 케이스
13,14 : 구멍 15 : 압축 스프링 고정핀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를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유니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중 부호 1은 배터리 본체이며, 부호 2는 배터리 터미널 단자이고, 부호 3은 와이어 단자이며, 부호 4는 전장품에 전기를 송전하는 와이어이다.
상기 와이어 단자(3)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체(5)가 설치되며, 그의 플런저(6)가 수평으로 출몰, 즉 솔레노이드 작동체(5)에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6)가 전진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런저(6)의 하방에는 충격편(7)과 압축 스프링(8)이 설치된다.
상기 충격편(7)은 상부에 위치하는 플런저(6)가 후퇴하여 구속을 해제하게 되는 경우, 압축 스프링(8)내에 축적된 탄발력에 의해 상부로 튀어 올라 와이어 단자(3)를 타격하여 와이어 단자(3)를 상부로 밀어내므로써 터미널 단자(2)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체(5)는 스위치편(9)을 개재하여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으며, 스위치편(9)은 차량 전방의 범퍼(10)에 설치하며, 그 범퍼(10)에는 상기 스위치편(9)을 향해 돌진하는 차단핀(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체(5)와 충격편(7) 및 압축 스프링(8)은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케이스(12)내에 설치된 유니트로 구성된다.
또 상기 케이스(12)의 상부에는 상기 충격편(7)이 케이스 상부로 돌출할 수 있는 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2)의 일측면에도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구멍(14)을 통하여서는 압축 스프링 고정핀(15)이 삽입되며, 압축 스프링 고정핀(15)은 측면구멍(14)에 삽입시 압축 스프링(8)을 압축시킨 충격편(7)의 상부에 위치하여 충격편(7)을 구속한다.
그리고 충격편(7)의 구속을 해제시엔 케이스(12)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후단부를 잡고 빼내거나 또는 끼워넣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솔레노이드 작동체(5) 및 충격편(7)등이 내장된 케이스(12)를 와이어단자(3) 하방에 설치하고 솔레노이드 작동체(5)를 통전시키면, 플런저(6)가 압축 스프링 고정핀(15) 상부로 전진한다. 이 상태에서 압축 스프링 고정핀(15)을 잡아 빼내 제거하면 충격편(7)이 상승하려고 하게 되나, 그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플런저(6)에 치받혀 더이상의 상승이 저지된다(도 2 참조).
이때 만일 차량이 충돌을 일으켜 범퍼(10)가 엔진룸측으로 밀리는 변형이 일어나게 되면 차단핀(11)도 함께 움직여 스위치편(9)에 타격을 가해 부러뜨려 회로를 단락시킨다.
이에따라 솔레노이드 작동체(5)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플런저(6)가 작동체 내부의 리턴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후퇴하여 복귀하게 되며, 구속 상태가 해제된 충격편(7)은 자신을 지지하고 있던 압축 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튀어올라 케이스(12) 밖으로 돌출하면서 와이어 단자(3)를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올리게 된다.
충격편(7)에 의해 상측으로 타격을 받은 와이어 단자(3)는 터미널단자(2)로부터 벗겨져 이탈되며(도 3 참조), 와이어단자(3)의 이탈에 의해 각 전장품에의 전기 공급이 중단되므로 전기 송전용 배선들이 찌그러지는 엔진룸에 의해 서로 얽혀지더라도 쇼트를 일으키게 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충돌후 수리시에는 부러진 스위치편(9)를 교체하고, 케이스(12) 덮개를 개방한 후 충격편(7)을 눌러 압축 스프링(8)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압축 스프링 고정핀(8)을 측면구멍(14)을 통해 끼워 구속시킨 후 솔레노이드 작동체(5)의 전원 회로를 연결하여 플런저(6)가 전진하면 압축 스프링 고정핀(15)을 빼내 분리시키므로써 재설치 작업이 완료되며, 이로써 적은 비용으로 계속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충돌시 솔레노이드 작동체의 작동과 동시에 충격편이 압축 스프링 탄발력에 의해 튀어올라 와이어단자를 강타하여 배터리 터미널 단자로부터 벗겨내게 되므로써 배터리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전선의 엉킴과 더불어 발생하는 합선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의 각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를 축전하고 있는 배터리 본체와, 배터리 본체로부터의 음, 양극을 외부로 인출하는 터미널 단자와, 터미널 단자를 감싸 접속하는 와이어 단자와, 일측은 와이어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은 각 전장품에 접속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단자 하부에 위치하는 충격편과;
    상기 충격편을 탄발지지하므로써 상기 충격편을 통해 상기 와이어 단자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충격력을 가할 수 있도록 압축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와이어 단자의 하방에 수평방향으로 출몰 작동하는 플런저를 가지며, 그 플런저가 상기 충격편의 상부에 위치하여 충격편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충돌시 플런저가 후퇴하도록 작동하므로써 상기 충격편의 구속을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작동체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범퍼부에 설치되는 스위치편과, 차량 충돌에 의한 범퍼의 변형시 변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편에 충돌하여 회로를 단락하는 차단핀을 구비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체는 상기 스위치편을 개재하여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편을 통해 압축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충격편의 상승을 차단하는 압축 스프링 고정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플런저가 고정핀의 상부에 위치토록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 고정핀을 제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4. 제 3 항에 잇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체와 충격편, 압축 스프링 및 압축 스프링 고정핀은 케이스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충격편의 상부 돌출을 허용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 고정핀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 일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잡아 빼거나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KR1019990042974A 1999-10-06 1999-10-06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KR100313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974A KR100313838B1 (ko) 1999-10-06 1999-10-06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974A KR100313838B1 (ko) 1999-10-06 1999-10-06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123A KR20010036123A (ko) 2001-05-07
KR100313838B1 true KR100313838B1 (ko) 2001-11-15

Family

ID=1961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974A KR100313838B1 (ko) 1999-10-06 1999-10-06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657B1 (ko) * 2007-05-10 2009-01-2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KR101619603B1 (ko) 2014-08-13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안전장치 및 그의 작동 방법
CN112886116B (zh) * 2021-01-28 2023-01-13 周进 一种撞击后能弹出电池的新能源汽车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3418A (ko) * 1995-05-31 1996-12-23 김태구 자동차의 밧데리 전원 차단장치
JPH09284901A (ja) * 1996-04-18 1997-10-31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3418A (ko) * 1995-05-31 1996-12-23 김태구 자동차의 밧데리 전원 차단장치
JPH09284901A (ja) * 1996-04-18 1997-10-31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123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5997B2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US20160339784A1 (en) High-voltage vehicle network of a motor vehicle, quick-brea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high-voltage vehicle network
CN1469823A (zh) 设有安全断路的车电池电网
US4812670A (en) Theft protection cable and circuit including said cable
DE3417328A1 (de) Automatische batterieabschaltanlage fuer kraftfahrzeuge
KR100313838B1 (ko)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CN103811824A (zh) 交通工具电池现场放电系统和方法
CN103066583A (zh) 一种高压直流母线快速放电装置及方法
CN214797624U (zh) 电池包bdu结构和装置
CN214356307U (zh) 驾驶室翻转保护装置和车辆
EP0639844B1 (de)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Trennung
KR0164337B1 (ko) 자동차의 자동 전원 차단장치
CN211308290U (zh) 一种充电桩
US3406774A (en) Automobile electrical system circuitry
CN113437590A (zh) 高温状态下的自行断电的新能源汽车充电枪及方法
CN214138249U (zh) 车辆碰撞高压断电装置及车辆
CN209761603U (zh) 一种小型拖拉机安全启动控制系统
CN205943939U (zh) 碰撞断电安全保护装置
US4662696A (en) Battery jumper cables with safety switch
CN210378948U (zh) 一种烟火式断电保护装置
CN213620120U (zh) 一种改良电动自行车无刷控制器
CN214012881U (zh) 一种集成激励熔断器的手动维修开关
CN212625417U (zh) 一种断路器的布线结构
CN220456607U (zh) 一种bdu防触电保护盖及bdu箱盖
CN218102642U (zh) 一种机车应急电源隔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