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657B1 -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657B1
KR100879657B1 KR1020070045498A KR20070045498A KR100879657B1 KR 100879657 B1 KR100879657 B1 KR 100879657B1 KR 1020070045498 A KR1020070045498 A KR 1020070045498A KR 20070045498 A KR20070045498 A KR 20070045498A KR 100879657 B1 KR100879657 B1 KR 10087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portable terminal
physical shock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662A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45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6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에 소정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는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배터리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배터리 단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배터리 단자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탄성부재 및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 단자가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터리 단자를 지지하는 단자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 소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배터리 단자의 이동으로 인해 본체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고, 이로 인해 배터리가 자동으로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의 오동작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배터리, 전원, 차단, 단자

Description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Battery Having Self Power Breaking Structur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용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배터리 단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터리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터리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터리 110 : 하우징
113 : 걸림 홈 115 : 단자 홈
120 : 배터리 단자 130 : 제1 탄성부재
140 : 단자 걸림부재 150 : 제2 탄성부재
210 : 휴대용 단말기 본체 211 : 배터리 수용부
213 : 래치 215 : 단자 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는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단말기에 디지털 방송 수신, 휴대 인터넷, 멀티미디어 재생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포함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종래에 비해 더 많아지게 되었고, 이에 비례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경우도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이 소형화 및 슬림화 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된 기구물 및 전자 부품들도 더욱 많아지게 되어 상기와 같은 기구물 및 전자 부품들이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더욱 조밀하게 설치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 또는 사용중에 휴대용 단말기를 떨어뜨리게 되면 낙하 충격으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이 순간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내부에 조밀하게 설치된 기구물 또는 전자 부품들의 위치가 변형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오동작을 하거나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자유낙하하여 소정량 이상의 충격을 받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배터리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낙하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배터리가 분리되는 순간에 배터리 무게로 인해 배터리 잠금장치(예를 들면, 래치)가 파손될 수 있고, 분리된 배터리 및 휴대용 단말기는 다시 이차적인 충격을 받게 되어 외관 및 기구물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낙하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가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가 배터리를 다시 체결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배터리가 자동으로 분리되는 경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 낙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배터리가 분리되지 않도록 휴대용 단말기를 설계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용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10)는 본체(11) 배면에 배터리(20)가 장착되는 배터리 수용부(12)가 형성되고, 배터리 수용부(12)의 상부 내측면(13)에는 배터리(20)에 설치된 배터리 단자(2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 핀(14)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11)에는 배터리(20)를 체결하기 위한 래치(15)가 설치된다.
배터리(20)는 상측면(21)에 배터리 단자(22)가 설치된다. 배터리 단자(22)는 배터리(20)가 배터리 수용부(12)에 장착되면 본체(10)에 설치된 단자 핀(14)과 접촉함으로써 배터리 전원이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전기 구성 요소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20)의 상측면(21)에는 본체에 설치된 래치(15)와 체결되는 걸림 홈(23)이 형성된다.
배터리(20)가 본체(10)의 배터리 수용부(12)에 장착되면 배터리(20)에 형성된 걸림 홈(23)에 본체(10)의 래치(15)가 체결되어 배터리를 지지함으로써 외력을 가해 래치(15)를 이동시켜 체결을 해제하지 않는 한 자유낙하로 인한 충격에도 배터리(20)가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량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져도 배터리가 분리되지 않도록 설계된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의 오동작 및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소정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는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는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배터리 단자와, 상기 배터리에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배터리 단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배터리에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터리 단자를 지지하는 단자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은 상기 배터리가 소정 높이 이상에서 자유낙하한 경우에 가해지는 충격이 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단자 걸림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배터리 단자가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없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걸림부재는 상기 배터리 단자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 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배터리 단자와, 상기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배터리 단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터리 단자를 지지하는 단자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 단자와 접촉되는 단자 핀이 설치된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단자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단자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없는 위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 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배터리 단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100)는 전면 하우징(101)과 배면 하우징(103)이 대향하여 결합되어 배터리의 하우징(110)을 구성하고, 하우징(110)의 상측면(111)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도 5, 210참조)에 설치된 래치(도 5, 213참조)와 체결되는 걸림 홈(113)이 형성된다.
또한, 배터리의 하우징(110) 상부에는 배터리 단자(120) 및 배터리 단자(120)에 아래 방향(a)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130)가 설치되는 단자 홈(115)이 형성된다.
단자 홈(115)의 좌측면(116)에는 정상적인 사용 환경 즉, 배터리(100) 또는 배터리(100)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배터리 단자(120)가 휴대용 단말기 본체(210)에 설치된 단자 핀(도 5, 215참조)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배터리 단자(120)를 지지하는 단자 걸림부재(140)가 설치된다.
즉, 단자 걸림부재(140)는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2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단자 홈(115)의 좌측면(116)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배터리 단자(120)를 지지한다.
배터리(100) 및 휴대용 단말기의 정상적인 사용 환경 즉, 배터리(100) 및 배터리(100)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배터리 하우징(110)의 상측면(111) 표면과 배터리 단자(120)의 상측면(121) 표면이 서로 일치하도록 배터리 단자(120)가 단자 홈(115)의 상부에 위치하고, 단자 홈(115)의 좌측면(116)에 설치된 단자 걸림부재(140)에 의해 배터리 단자(120)의 하부가 지지됨으로써 제1 탄성부재(130)에 의해 배터리 단자(120)가 아래방향(a)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정상적인 사용 환경에서 배터리(100) 및 배터리(100)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소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제1 탄성부재(130)에 의해 아래 방향(a)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에 상기 충격력이 더해지게 되어 단자 걸림부재(140)가 순간적으로 왼쪽방향(b)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배터리 단자(120)를 더 이상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배터리 단자(120)는 제1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 방향(a)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140)는 예를 들어 인장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고, 제2 탄성부재(150)는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스프링이 인장되고 스프링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은 인장 코일 스프링과는 반대로 외력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 이상의 충격에 의해 배터리 단자(120)가 아래 방향(a)으로 이동하게 되면 배터리(120)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경우라 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단자 핀(215)과 떨어지게 되어 더 이상의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에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배터리 단자(120)가 아래 방향(a)으로 이동하여 배터리 전원이 차단된 후, 다시 휴대용 단말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때는 외력을 가하여 배터리 단자(120)를 위로 끌어올려 배터리 단자(120)의 상측면(121)이 하우징(110)의 상측면(111)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하면 단자 걸림부재(140)가 제2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으로 인해 단자 홈(115)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터리 단자(12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배터리 단자(120)가 본체(210)의 단자 핀(215)과 접촉하게 되어 배터리 전원이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터리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셀(160)이 설치되고, 배터리 셀(160)이 과충전 또는 과방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보호회로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170)이 설치된다. 보호회로모듈(170)은 도전부재(171)를 통해 배터리 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배터리 단자(120) 및 제1 탄성부재(130)가 설치되는 단자 홈(115)이 형성되고, 단자 홈(115)의 좌측에는 배터리 단자(120)를 지지하는 단자 걸림부재(140) 및 제2 탄성부재(150)가 설치되는 걸림부재 설치 홈(117)이 형성된다. 즉, 단자 걸림부재(140)는 배터리 단자(1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배터리 단자(120)는 두 개의 전원 단자(Vcc 및 Ground)와 한 개의 배터리 ID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ID 단자는 예를 들어, 배터리(10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거나 장착된 배터리(100)의 용량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하우징(110) 상부에는 본체(210)에 설치된 래치(213)와 체결되는 걸림 홈(113)이 형성되고, 배터리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배터리(100)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될 때 배터리(100)의 하부를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걸림 돌기(119)가 형성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터리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 충격이 가해진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 충격은 예를 들어, 배터리(100)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무게가 100그램이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가 1.5미터의 높이에서 자유낙한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에 가해지는 충격이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본체(210) 배면에는 배터리(100)가 장착되는 배터리 수용부(211)가 형성되고, 배터리(100) 장착시 배터리 하우징(110)의 걸림 홈(113)에 걸림으로써 배터리(100)를 체결하는 래치(213)가 설치된다. 또 한,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210)에는 배터리 단자(120)와 접촉되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단자 핀(215)이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부(211)에 배터리(100)가 장착된 후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휴대용 단말기(200)에 가해지게 되면 배터리 단자(120)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배터리(100)에 설치된 배터리 단자(120)와 본체(210)에 설치된 단자 핀(215)의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배터리(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배터리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홈에 배터리 단자 및 제1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단자 홈의 좌측에는 상기 배터리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단자 걸림부재 및 제2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배터리 및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정상적인 사용환경에서는 배터리 단자는 단자 걸림부재에 지지되어 본체의 단자 핀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배터리 단자는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단자 핀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 소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배터리 단자의 이동으로 인해 본체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고, 이로 인해 배 터리가 자동으로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의 오동작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이 설치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배터리 단자;
    상기 배터리에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배터리 단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배터리에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터리 단자를 지지하는 단자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은
    상기 배터리가 소정 높이 이상에서 자유낙하한 경우에 가해지는 충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는
    인장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단자 걸림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배터리 단자가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없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걸림부재는
    상기 배터리 단자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8. 배터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위치 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배터리 단자와, 상기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배터리 단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배터리에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터리 단자를 지지하는 단자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 단자와 접촉되는 단자 핀이 설치된 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물리적인 충격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소정 높이 이상에서 자유낙하한 경우에 가해지는 충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단자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배터리 단자가 상기 단자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없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단자 걸림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045498A 2007-05-10 2007-05-10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KR100879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498A KR100879657B1 (ko) 2007-05-10 2007-05-10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498A KR100879657B1 (ko) 2007-05-10 2007-05-10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662A KR20080099662A (ko) 2008-11-13
KR100879657B1 true KR100879657B1 (ko) 2009-01-20

Family

ID=4028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498A KR100879657B1 (ko) 2007-05-10 2007-05-10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705B1 (ko) 2017-03-02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과방전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123A (ko) * 1999-10-06 2001-05-07 이계안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KR20050058043A (ko) * 2003-12-11 2005-06-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차단장치
KR20070003171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용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123A (ko) * 1999-10-06 2001-05-07 이계안 차량 충돌시 배터리 와이어 단자의 자동 이탈 장치
KR20050058043A (ko) * 2003-12-11 2005-06-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차단장치
KR20070003171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용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662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3484B2 (en) Connection device
JP5685209B2 (ja) 電池ホルダ
KR101390191B1 (ko) 정전 방전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US7381086B1 (en) High reliability battery contact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011242879A (ja) 接続装置
US859847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ush button
US9246151B2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879657B1 (ko) 자동 전원 차단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CN101276891B (zh) 电池组
US20100149760A1 (en) Battery holder
JP4845252B2 (ja) 携帯情報機器
US8531339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60018178A (ko)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11239673B2 (en) Charging holder for electronic devices that contains a rotation block and a pocket
JP2008097961A (ja) バッテリーコネクタ
US2007002629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077269A1 (en)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6948964B2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with fixed lateral arms
US20090289597A1 (en) Charging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948663B2 (ja) 接点端子を備えた情報機器
KR101462224B1 (ko) 번인보드의 커넥터 보호장치
TWM458685U (zh) 插槽裝置
JP4152171B2 (ja) ホルダ及び接触端子保護構造
US20060089051A1 (en) Foolproof device mounting arrangement of a card connector
KR100857714B1 (ko) 휴대용 단말기용 배터리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