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921B1 -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921B1
KR100312921B1 KR1019990017562A KR19990017562A KR100312921B1 KR 100312921 B1 KR100312921 B1 KR 100312921B1 KR 1019990017562 A KR1019990017562 A KR 1019990017562A KR 19990017562 A KR19990017562 A KR 19990017562A KR 100312921 B1 KR100312921 B1 KR 10031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attery
accessory
molding tool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948A (ko
Inventor
손흥업
Original Assignee
손흥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흥업 filed Critical 손흥업
Priority to KR101999001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921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2Hair pi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에 필요한 장치를 갖는 성형구를 반지의 머리의 안착부에 부착하여 적은 비용으로도 고가의 화려한 모습을 띠게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밧테리 자체가 스위치 역할을 하는 램프등의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또한 반짝임의 효율을 높여, 미적 효과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보석의 머리안착부를 변형할 수 있다. 각 안착부에 장착되는 성형구는 그 머리안착부와 서로 독립된 구조를 가지고 스위칭기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사용도를 극대화한다.

Description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및 그의 제조방법 {Accessory with a switch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예컨대 신체에 착용하는 장신구용 액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지의 머리에 형성한 안착부와 성형구를 장착한 스위치 성형구를 가진 액세사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용되는 액세사리중에서 각종의 다수의 사람들이 끼고있는 반지 또는 귀걸이,목걸이, 머리핀, 브로우치 등을 아름답게 장식할 목적으로 다양한 무늬 모양을 형성, 도금하거나 액세사리중, 예컨대 반지의 머리부에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을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지 등은 고가이므로 부주의로 분실될 경우 상당한 금전상의 손실을 입게되고, 따라서 값비싼 반지의 착용은 망설여지는 때가 있을 수 있다.
또 보석과 반지의 머리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장기간이 경과시 보석이 반지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다이아몬드의 분실 염려가 있게되고 미관상 좋지않은 영향을 주게되며 이로인해 반지를 착용할 수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장식용 귀금속의 외관상의 미려함으로 치장한 미적효과를 어디에서나 갖기 원하는 무대에서 연기하는 배우, 연예인 뿐만 아니라 보통의 사람이 착용할 경우, 미관상 효과를 나타내는 화려한 반짝임은 무도회장 같이 어두운 곳에서는 조명에 의한 효과가 미흡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에 필요한 장치를 갖는 성형구를 반지의 머리의 안착부에 부착하여 적은 비용으로도 고가의 화려한 모습을 띠게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밧테리 자체가 스위치 역할을 하는 램프등의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또한 반지등에 대한 반짝임의 효율을 높여, 미적 효과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보석의 머리안착부를 변형할 수 있다. 각 안착부에 장착되는 성형구는 그 머리안착부와 서로 독립된 구조를 가지고 스위칭 기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사용도를 극대화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장신구용 액세사리에 있어서, 반지의 머리에 형성한 안착부와 성형구를 결합하고 이 성형구에 소형 밧테리를 장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성형구를 가진 액세사리로서,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에 있어서는,
반지와,
반지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성형구와 일치되도록 형성한 안착부와,
안착부에 장착될 스위치 성형구과,
성형된 성형구는 내부가 오목하게 파여 있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끼워 맞추는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쪽 밑면에서는 밧테리의 제1 전극과 금속판이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쪽 측면에는 밧테리의 제 2 전극에 연결된 금속나사를 통하여 연결된다.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상기 스위치 성형구는 그의 바닥면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성형구의 바닥면에는 금속판을 고정시키고 측면에는 나사를 고정시며, 상기 오목면에 밧테리를 삽입한다. 상기 안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를 포함하며, 램프가 장착될 부분과 램프도선이 유도될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을 통하여 램프도선이 상기 홈에 본드 등으로 접착된다.
상기 성형구의 오목부 형상은 원형의 밧테리가 외부의 이동에 따라 자유로이 움직여 밧테리자체가 스위치 역할을 할 수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램프의 크기는 그 길이가 0.5 - 5 mm, 직경이 0.5 - 3 m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반지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성형구와 일치되도록 안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안착부에 장착될 스위치 성형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성형구가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끼워 맞추는 뚜껑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반지의 머리에 형성한 안착부와 성형구를 결합하는 단계:
이 성형구에 소형 밧테리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오목부의 내부쪽 밑면에서는 밧테리의 제1 전극과 금속판의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쪽 측면에는 밧테리의 제 2 전극에 연결된 금속나사를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상기 스위치 성형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구의 바닥면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성형구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원형의 밧테리가 외부의 이동에 따라 자유로이 움직여 밧테리자체가 스위치 역할을 할 수있도록 원형으로 형성할 수있다.
더욱이, 상기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성형구를 이용하여 귀걸이,목걸이, 머리핀, 또는 브로우치를 제조할 수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 성형구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반지의 머리안착부에 장착될 도 1의 성형구에 대한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치 성형구의 삽입구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3는 발광램프의 단면도,
도 4는 밧테리의 측면도,
도 5는 스위치를 가진 반지의 성형구와 안착부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성형구 12 : 제1의 두꺼운 측부
14 : 제2의 얇은 측부 16 : 나사 삽입구
18 : 오목부 20; 22 : 접점
30 : 금속 나사 32 : 금속판
33; 33' : 제 1, 및 제 2 전극 35 : 밧테리
37 : 램프 40 : 성형구 뚜껑
41 : 반지 50 : 머리안착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 실시예로서 구현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 성형구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될 수 있는 성형구를 설명하고 있는 도면으로, 스위칭 장치를 가진 액세서리 구성은 반짝임 속도를 얻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타원형 성형구의 구조로 설계 및 제조하는 것을 채택하였다.
도 1에 있어서, 성형된 성형구(10)는 내부가 파여 있는 오목부(18)와, 오목부를 끼워 맞추는 뚜껑(40)을 구비하고, 오목부(18)의 내부쪽 밑면에서는 밧테리(35)의 제1 전극(33)과 금속판(32)이 연결되고, 오목부(18)의 내부쪽 측면에는 밧테리(35)의 제 2 전극(33')에 연결된 금속나사(30)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성형된 성형구와 그 뚜껑(40)은 절연성이 있는 플라스틱을 재료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33,33')은 직류를 형성하도록 각각 양극 및 음극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 성형구의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스위치 성형구(10)을 준비한다. 이 스위치 성형구(10)에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오목한 형상이고 성형구(10)의 바닥면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접점(20,2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성형구(10)를 준비한 후 바닥면(18)에는 금속판(32)을 고정시키고 측면에는 나사(30)를 고정시킨다. 오목면에 밧테리(35)를 삽입한다. 이때 밧테리(35)의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간격을 갖도록 타원형으로 형성한다.
도 2는 도1의 성형구(10)에 대한 좌측면도로서, 금속판(32)의 접점(22)과 밧테리(35)와 나사(30)의 접점(20)이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의 이동방향(A, B)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구(10)내부에는 밧테리(35)를 장착한 상태이지만, 성형구(10)내에는 밧테리(35)가 이동할 공간이 주어져 있으므로, 예컨대 반지가 화살표A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성형구(10)내에서 금속판(32)의 접점(22)과 밧테리(35)와 나사(30)의 접점(20)이 접촉하여 스위치 온이 된다면, 램프(37)에는 등이 켜져서 빛을 발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밧테리(35)의 화살표B 방향 이동으로 인해 스위치 오프가 되면 램프(37)등이 빛을 잃게된다. 이러한 동작에는 스위칭 장치의 결과가 필요하지만 성형구(10)내에서 밧테리(35)가 외부 이동에 의한 운동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수동적 스위칭부의 존재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즉, 반지전체의 이동이 스위칭의 동작을 초래하는 것이지, 어떤 제어장치의 추가와는 관계없이 스위칭 온/오프가 행하여지기 때문이다.
위에 설명한 반짝임은 밧테리(35)의 이동시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한 스위칭 온에 대한 모델의 수행시간과 스위칭 오프의 처리 시간이 비슷하게 될 경우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장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는 스위칭의 수행시간은 약 70시간 소요되고, 따라서 약 수백주기만에 완료한 것이 바람직한 결과를 본 출원인 겸 발명자는 얻었다.
한편, 반지의 머리안착부(50)(도 5 참조)에는 성형구(10)가 고정되도록 그의 형상을 사전에 갖추어 놓는다. 성형구(10)가 장착될 안착부(50)의 형상은 성형구(10)와 일치되도록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성형구(10)가 적합하게 배치되도록 안착부(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머리안착부(50)에는 램프(37)가 장착될 부분과 램프도선(39)이 유도될 홈(도시 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을 통하여 램프도선이 나온다. 이때 램프도선은 상기 홈에 본드 등으로 접착되며 머리안착부로부터 충분한 길이, 바람직한 것은 2 -3Cmm로 나오게 한다. 이 램프도선은 성형구(10)의 나사와 금속판(32)에 땜납 등으로 연결된다. 그후, 성형구(10)에 램프(37)와 밧테리(35)가 결합되면, 안착부(50)에 성형구(10)를 본드로 접착시킨다. 그 후 그 머리의 상면에 크리스탈 등의 보석을 삽입한다(도시 안됨). 여기서 램프(37)는 보석의 반짝임을 강화하게 된다.
반지(41)의 머리안착부(5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구(10)를 안착시고 이 성형구(10)가 고정되도록 성형구(10)의 여러 형상에 따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안착부(50)의 측면에는 구멍이 관통하고 있다. 이 구멍을 통하여 도 3A에도시된 램프(37)의 전기 도선(39)이 통과한다. 이 도선(39)은 성형구(10)단자에 본드 등의 접착제로 이후에 접착된다. 이때 구멍을 통과하여 배출된 도선의 길이는 성형구(10)의 바깥으로 연장되어야 하므로 2 -5 Cmm가 바람직하다. 성형구(10)의 오목부 형상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원형의 밧테리(35)가 외부의 이동에따라 자유로이 움직여 밧테리(35)자체가 스위치 역할을 할 수있도록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밧테리(35)의 크기는 성형구(10)의 크기가 차지하는 부피에 따라 안착부의 크기를 결정할 수있으므로 그 크기가 작다면 미관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나, 램프(37)의 밝기 및 수명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램프(37)를 제외한 안착된 밧테리(35)의 크기에 의하여 그 미적 양상이 변화하는 작업으로 제작된 작업을 수행한다.
도 3, 4는 각각 발광램프(37) 및 밧테리(35)의 단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밧테리(35)는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수은 밧테리(35) 등이 바람직하다.
램프(37)의 크기는 그 길이가 0.5 - 5 mm, 직경이 0.5 - 3 mm으로 한다. 또한 성형구(10)에 안착된 밧테리(35)의 크기는 그 길이가 2 - 5 mm, 직경이 0.5 - 10 mm으로 한다.
도 5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에 있어서 스위치를 가진 반지의 성형구와 안착부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밧테리의 이동을 이용하여 스위칭되므로, 화려한 반짝임이 무도회장 같이 어두운 곳에서도 조명에 의한 효과를 고려하고 있으므로 경제적인 구조로 구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전술된 반지 뿐만아니라 귀걸이,목걸이, 머리핀, 브로우치 등에 한정되지 않고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에 있어서,
    반지와,
    반지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성형구와 일치되도록 형성한 안착부와,
    안착부에 장착될 스위치 성형구과,
    성형된 성형구는 내부가 오목하게 파여 있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끼워 맞추는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쪽 밑면에서는 밧테리의 제1 전극과 금속판이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쪽 측면에는 밧테리의 제 2 전극에 연결된 금속나사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성형구는 상기 성형구의 바닥면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의 바닥면에는 금속판을 고정시키고 측면에는 나사를 고정시며, 상기 오목면에 밧테리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램프가 장착될 부분과 램프도선이 유도될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을 통하여 램프도선은 상기 홈에 본드 등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의 오목부 형상은 원형의 밧테리가 외부의 이동에따라 자유로이 움직여 밧테리자체가 스위치 역할을 할 수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크기는 그 길이가 0.5 - 5 mm, 직경이 0.5 - 3 mm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8.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지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성형구와 일치되도록 안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안착부에 장착될 스위치 성형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성형구가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끼워 맞추는 뚜껑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반지의 머리에 형성한 안착부와 성형구를 결합하는 단계:
    이 성형구에 소형 밧테리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오목부의 내부쪽 밑면에서는 밧테리의 제1 전극과 금속판의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쪽 측면에는 밧테리의 제 2 전극에 연결된 금속나사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성형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구의 바닥면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제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원형의 밧테리가 외부의 이동에따라 자유로이 움직여 밧테리자체가 스위치 역할을 할 수있도록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제조방법.
  11. 제 8항의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성형구를 이용하여 귀걸이,목걸이, 머리핀, 또는 브로우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의 제조방법.
KR1019990017562A 1999-05-17 1999-05-17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1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562A KR100312921B1 (ko) 1999-05-17 1999-05-17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562A KR100312921B1 (ko) 1999-05-17 1999-05-17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948A KR20000073948A (ko) 2000-12-05
KR100312921B1 true KR100312921B1 (ko) 2001-11-03

Family

ID=1958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562A KR100312921B1 (ko) 1999-05-17 1999-05-17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9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948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05702A (ja) 発光性宝飾物品
US3384740A (en) Jewelry including means causing intermittent illumination
CN102578768B (zh) 嵌钻结构及嵌钻方法以及嵌钻眼镜
KR100312921B1 (ko) 스위치를 가진 액세서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1016B1 (ko)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KR200418686Y1 (ko) 귀고리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CN211861990U (zh) 饰品
US20190142118A1 (en) Illuminated Accessory
CN210043326U (zh) 一种新型宝石镶嵌装置
JP3022612U (ja) 点滅式アクセサリ
CN215737302U (zh) 一种闪动灵活的镶口首饰
CN101862059B (zh) 一种首饰用的锁扣及采用该锁扣的手链和项链
CN220694577U (zh) 一种组合吊坠
JP3072364U (ja) 発光型アクセサリー
CN211657533U (zh) 一种方便拼接的组合式戒指链
CN210382923U (zh) 首饰配件以及具有该首饰配件的首饰
KR102623491B1 (ko) 보석의 상부 일부분을 장식하며 보석의 외형 굴곡을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귀걸이
CN215603622U (zh) 一种具有光投影图案的吊坠
CN217959022U (zh) 一种组合首饰
CN210726898U (zh) 宝石托架及耳钉
CN220174626U (zh) 一种新型穿刺首饰
CN201758913U (zh) 一种首饰用的锁扣及采用该锁扣的手链和项链
CN102697259B (zh) 宝石饰品
KR101910929B1 (ko) 볼륨 장신구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