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716B1 - 자동초점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초점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716B1
KR100312716B1 KR1019980022259A KR19980022259A KR100312716B1 KR 100312716 B1 KR100312716 B1 KR 100312716B1 KR 1019980022259 A KR1019980022259 A KR 1019980022259A KR 19980022259 A KR19980022259 A KR 19980022259A KR 100312716 B1 KR100312716 B1 KR 100312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lens
focus
data
change
chan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817A (ko
Inventor
윤수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7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0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자동 초점 조절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촬상 기기, 예컨대, 캠코더 등에서 응용될 수 있는 자동 초점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동 초점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는 블랭크 구간 동안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고, 그 나머지 구간 동안은 자동 초점 데이터를 입력받아, 하나의 구간 동안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및 자동 초점 데이터의 입력이 아울러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포커스 렌즈의 위치보정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보정 시간을 절감시킴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자동 초점 데이터의 빠른 변화 패턴에 탄력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자동 초점 조절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촬상 기기, 예컨대, 캠코더 등에서 응용될 수 있는 자동 초점(AF: Auto Focus)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인 블랭크 구간을 활용하여 이 구간 동안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킴으로써, 포커스 렌즈의 전체적인 자동 초점 조절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초점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 등의 촬상기기에서 피사체에 대한 화상을 확실하게 재현함과 아울러 순간적인 화상을 놓치지 않고 양호하게 촬영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초점의 조절이 요구된다.
통상, 이러한 초점의 조절은 장치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자동 초점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이를 근거로 포커스 렌즈와 연결된 포커스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신속하게 달성되게 된다.
이때,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피사체의 초점과 가장 적절히 일치하는 위치, 즉, 정초점(PF)의 위치에서 가장 큰 값을 유지하며, 포커스 렌즈가 정초점(PF)의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작은 값을 유지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즉, 입력되는 자동 초점 데이터가 큰 값을 갖는다면, 이는 포커스 렌즈의 초점이 정확히 맞추어 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패닝(Panning)현상이 발생하여 피사체와 장치 사이의 거리가 불규칙하게 변화하거나, 피사체 자체가 변화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면, 상술한 자동 초점 데이터는 그 값이 매우 불안해지게 되며, 그 결과, 장치 전체의 포커스가 불규칙하게 흐트러지는 악영향이 초래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소위 "지그재그 콘트롤 방식"이라 명명되는 제어방식을 채택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적절히 보정함으로써, 이의 불안정성을 양호하게 보완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로부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자동 초점 데이터(α)를 입력받은 후, 포커스 렌즈가 현재의 위치로부터 움직이는 방향이 가까운쪽 방향이라면, 이러한 움직임을 유지하여 포커스 렌즈를 가까운쪽 방향으로 제 1 구간(a) 동안 트랙킹시킨다.
이어서, 포커스 렌즈가 제 1 구간(a) 동안 가까운쪽 방향으로 이동을 완료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킨 후 가까운쪽으로 이동한 위치에서의 자동 초점 데이터(β)를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제 2 구간(b) 동안 입력받는다.
계속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여 그것이 원래의 위치로 재 이동될 수 있도록 포커스 렌즈를 제 3 구간(c) 동안 원래의 위치로 재 트랙킹 시킨다.
그 다음에, 포커스 렌즈가 제 3 구간(c) 동안 원래의 위치로 이동을 완료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킨 후 원래의 위치로 재 이동한 후의 자동 초점 데이터(γ)를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제 4 구간(d) 동안 입력받는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포커스 렌즈가 이전의 위치에 있을 때 출력시킨 자동 초점 데이터(α)와 가까운쪽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 출력시킨 자동 초점 데이터(β)의 변화량 A(즉, α-β)를 계산하고, 포커스 렌즈가 가까운쪽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 출력시킨 자동 초점 데이터(β)와 원래의 위치로 재이동 했을 때 출력시킨 자동 초점 데이터(γ)의 변화량 B(즉, β-γ)를 계산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초점 데이터는 포커스 렌즈의 초점이 정확할수록 큰 값을 유지하는 바, 마이크로프로세스는 이러한 원칙에 맞추어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량 A의 값 및 변화량 B의 값이 모두 "+"를 나타내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변화량 A 또는 변화량 B 중 증가량이 큰 방향, 즉, 그 값이 큰 쪽으로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게 된다. 일례로, 변화량 A의 값이 변화량 B의 값보다 크다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자동 초점 데이터가 변화량 A를 출력시킨 경우, 즉, 포커스 렌즈가 원래의 이동 위치인 가까운쪽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좀더 정확한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으로 판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가까운쪽으로 트랙킹 시키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량 A의 값은 "+"를 나타내고, 변화량 B의 값은 "-"를 나타내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당연히 그 값이 큰 쪽인 변화량 A 쪽으로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는 것이 좀더 정확한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판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자동 초점 데이터가 변화량 A를 나타낸 방향, 즉, 가까운쪽으로 신속히 트랙킹 시키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량 A의 값은 "-"를 나타내고, 변화량 B의 값은 "+"를 나타내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당연히 그 값이 큰 쪽인 변화량 B 쪽으로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는 것이 좀더 정확한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판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자동 초점 데이터가 변화량 B를 나타낸 방향, 즉, 원래의 이동 방향의 역방향인 먼쪽으로 신속히 트랙킹 시키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량 A의 값 및 변화량 B의 값이 모두 "-"를 나타내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변화량 A 또는 변화량 B 중 감소량이 적은 쪽, 즉, 그 값이 큰 쪽으로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게 된다. 일례로, 변화량 A의 값이 변화량 B의 값보다 크다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자동 초점 데이터가 변화량 A를 출력시킨 경우, 즉, 포커스 렌즈가 원래의 이동 위치인 가까운쪽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좀더 정확한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으로 판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가까운쪽으로 트랙킹 시키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스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정확히 설정한 후 피사체를 양호하게 촬상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에는 몇 가지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스가 자동 초점 데이터를 정확히 입력받기 위해서는 포커스 렌즈를 일정 구간 동안 트랙킹시키고, 일정 구간 동안 정지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는 바, 이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스에 의한 전체적인 포커스 렌즈의 위치 보정 시간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가 초래된다.
둘째, 이와 같이, 포커스 렌즈의 위치 보정 시간이 증가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자동 초점 데이터의 빠른 변화 패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예측하지 못한 판단오류를 일으킨다.
셋째, 이에 따라, 장치의 전체적인 품질이 현저히 저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구간 중 자동 초점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인 블랭크 구간 동안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고, 그 나머지 구간 동안은 자동 초점 데이터를 입력받아, 하나의 구간 동안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및 자동 초점 데이터의 입력이 아울러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포커스 렌즈의 위치보정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보정 시간 절감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자동 초점 데이터의 빠른 변화 패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자동 초점 데이터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도.
도 2는 종래의 자동 초점 조절을 위한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방향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절을 위한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방향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위치의 제 1 자동 초점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 단계와; 제 1 구간에서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인 제 1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소정의 제 2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제 1 트랙킹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위치의 제 2 자동 초점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1 자동 초점 데이터 및 상기 제 2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추출하는 제 4 단계와; 제 2 구간에서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인 제 2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 2 트랙킹시키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1 위치의 제 3 자동 초점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6 단계와; 상기 제 2 자동 초점 데이터 및 상기 제 3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추출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의 추출 결과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방향을 결정하여 트랙킹을 수행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4 단계의 변화량 및 상기 제 7 단계의 변화량이 모두 양의 부호를 가지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변화량들 중 그 값이 큰 쪽으로 트랙킹 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4 단계의 변화량 및 상기 제 7 단계의 변화량이 각각 양 또는 음의 값으로, 서로 다른 부호를 가지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변화량들 중 양의 부호를 갖는 쪽으로 트랙킹 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4 단계의 변화량 및 상기 제 7 단계의 변화량이 모두 음의 부호를 가지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변화량들 중 그 값이 적은 쪽으로 트랙킹 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보정 시간이 현저히 저감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절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로부터 포커스 렌즈의 제 1 위치, 예컨대,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제 1 자동 초점 데이터(ⅰ)를 입력받는다.
이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제1구간(a필드)에서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인 제 1 블랭크 구간(e) 동안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킨다.
이때, 포커스 렌즈가 제 1 위치로부터 움직이는 방향이 가까운쪽 방향이라면, 이러한 움직임을 유지하여 포커스 렌즈를 가까운쪽 방향인 제 2 위치로 제 1 블랭크 구간(e) 동안 트랙킹 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제1블랭크 구간(e)은 종래에는 그 이용이 거의 없던 사장된 구간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이 구간을 십분 활용하여 이 구간 동안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킴으로써, 포커스 렌즈의 전체적인 자동 초점 조절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포커스 렌즈가 제 1 블랭크 구간(e) 동안 제 2 위치로 이동을 완료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킨 후 제 2 위치에서의 제 2 자동 초점 데이터(ⅱ)를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입력받는다.
이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포커스 렌즈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입력받은 제 1 자동 초점 데이터(ⅰ)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입력받은 제 2 자동 초점 데이터(ⅱ)의 변화량 X(즉, ⅱ-ⅰ)를 추출한다.
계속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여, 포커스 렌즈가 원래의 위치인 제 1 위치로 재 이동될 수 있도록 포커스 렌즈를 제2구간(b프레임)에서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인 제 2 블랭크 구간(f) 동안 재 트랙킹 시킨다.
그 다음에, 포커스 렌즈가 제 2 블랭크 구간(f) 동안 원래의 제 1 위치로 이동을 완료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킨 후 원래의 제 1 위치로 재 이동한 후의 제 3 자동 초점 데이터(ⅲ)를 디지털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입력받는다.
이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포커스 렌즈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입력받은 제 2 자동 초점 데이터(ⅱ)와 원래의 제 1 위치로 재 이동 하였을 때 입력받은 제 3 자동 초점 데이터(ⅲ)의 변화량 Y(즉, ⅲ-ⅱ)를 추출한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술한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 추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방향을 결정하여 트랙킹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초점 데이터는 포커스 렌즈의 초점이 정확할 때 일수록 큰 값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마이크로프로세스는 이러한 원칙에 맞추어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량 X의 값 및 변화량 Y의 값이 모두 "+"를 나타내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변화량 X 또는 변화량 Y 중 증가량이 큰 방향, 즉, 그 값이 큰 쪽으로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게 된다. 일례로, 변화량 X의 값이 변화량 Y의 값보다 크다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자동 초점 데이터가 변화량 X를 출력시킨 경우, 즉, 포커스 렌즈가 원래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쪽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좀더 정확한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으로 판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제 2 위치 쪽으로 트랙킹 시키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량 X의 값은 "+"를 나타내고, 변화량 Y의 값은 "-"를 나타내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당연히 그 값이 큰 쪽인 변화량 X 쪽으로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는 것이 좀더 정확한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판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자동 초점 데이터가 변화량 X를 나타낸 방향, 즉, 제 2 위치쪽으로 크게 트랙킹 시키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량 X의 값 및 변화량 Y의 값이 모두 "-"를 나타내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변화량 X 또는 변화량 Y 중 감소량이 적은 쪽, 즉, 그 값이 큰 쪽으로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게 된다. 일례로, 변화량 X의 값이 변화량 Y의 값보다 크다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자동 초점 데이터가 변화량 X를 출력시킨 경우, 즉, 포커스 렌즈가 원래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쪽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좀더 정확한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으로 판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제 2 위치쪽으로 트랙킹 시키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량 X의 값은 "-"를 나타내고, 변화량 Y의 값은 "+"를 나타내면, 마이크로프로세스는 당연히 그 값이 큰 쪽인 변화량 Y 쪽으로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는 것이 좀더 정확한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판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자동 초점 데이터가 변화량 Y를 나타낸 방향, 즉, 제 2 위치 방향의 역방향인 먼쪽으로 크게 트랙킹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 복잡한 4개의 구간(a,b,c,d)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종래에 사장되었던 블랭크 구간(e,f)을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2개의 구간(a,b)을 이용하고서도, 신속·정확한 자동 초점 조절을 달성할 수 있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스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정확히 설정한 후 피사체를 양호하게 촬상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블랭크 구간을 활용하여 이 구간 동안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킴으로써, 포커스 렌즈의 전체적인 자동 초점 조절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지털 자동 초점 조절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전 기종의 촬상 기기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절 방법에서는 자동 초점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는 블랭크 구간 동안 포커스 렌즈를 트랙킹 시키고, 그 나머지 구간 동안은 자동 초점 데이터를 입력받아, 하나의 구간 동안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및 자동 초점 데이터의 입력이 아울러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포커스 렌즈의 위치보정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보정 시간을 절감시킴으로써,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자동 초점 데이터의 빠른 변화 패턴에 탄력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제 1 위치의 제 1 자동 초점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1 단계와;
    제 1 구간에서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인 제 1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소정의 제 2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제 1 트랙킹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위치의 제 2 자동 초점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1 자동 초점 데이터 및 상기 제 2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추출하는 제 4 단계와;
    제 2 구간에서 영상신호가 없는 구간인 제 2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 2 트랙킹시키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1 위치의 제 3 자동 초점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6 단계와;
    상기 제 2 자동 초점 데이터 및 상기 제 3 자동 초점 데이터의 변화량을 추출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의 추출 결과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의 트랙킹 방향을 결정하여 트랙킹을 수행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조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변화량 및 상기 제 7 단계의 변화량이 모두 양의 부호를 가지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변화량들 중 그 값이 큰 쪽으로 트랙킹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조절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변화량 및 상기 제 7 단계의 변화량이 각각 양 또는 음의 값으로, 서로 다른 부호를 가지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변화량들 중 양의 부호를 갖는 쪽으로 트랙킹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조절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변화량 및 상기 제 7 단계의 변화량이 모두 음의 부호를 가지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변화량들 중 그 값이 적은 쪽으로 트랙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조절 방법.
KR1019980022259A 1998-06-15 1998-06-15 자동초점조절방법 KR10031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259A KR100312716B1 (ko) 1998-06-15 1998-06-15 자동초점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259A KR100312716B1 (ko) 1998-06-15 1998-06-15 자동초점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817A KR20000001817A (ko) 2000-01-15
KR100312716B1 true KR100312716B1 (ko) 2001-12-28

Family

ID=1953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259A KR100312716B1 (ko) 1998-06-15 1998-06-15 자동초점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016A (ko) 2012-10-30 2014-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 포커싱 제어 장치 및 오토 포커싱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70B1 (ko) * 2006-02-14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의 포커싱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016A (ko) 2012-10-30 2014-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 포커싱 제어 장치 및 오토 포커싱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817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1585B2 (en) Zoom lens control apparatus
JPH0630319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EP1351086A3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 focus adjusting device and an exposure system
US7620308B2 (en) Digital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821214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
US5055932A (en) Zoom lens apparatus with auto-focusing
KR100781273B1 (ko) 카메라 모듈의 오차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JPH1123949A (ja) 撮影レンズの画角補正装置
KR100312716B1 (ko) 자동초점조절방법
EP0924544A2 (en) Auto-focusing apparatus and method
JP3093057B2 (ja) 自動焦点検出装置
JPH05281456A (ja) レンズ位置調整方法
US5600372A (en) Flange-back adjustment method for a video camera
US5764290A (en) Flange-back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video camera using an inner focus lens assembly
JPH1164720A (ja) 信号変換装置
JPH06197253A (ja) 交換レンズシステムにおける変換アダプタ装置
JPH11201740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047094A (ja) デジタルカメラの自動焦点制御方法
JPS5984210A (ja) 自動焦点調整方法およびその調整装置
JP2912691B2 (ja) Af優先絞り制御方式
JP2001305421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2715441B2 (ja) 撮像装置
JP2580295B2 (ja) 自動露光制御装置
JPH032706A (ja) ズームレンズのレンズ位置制御装置
JPH11183791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レンズ制御装置、レンズ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