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556B1 - 상용차의후륜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상용차의후륜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556B1
KR100312556B1 KR1019970079408A KR19970079408A KR100312556B1 KR 100312556 B1 KR100312556 B1 KR 100312556B1 KR 1019970079408 A KR1019970079408 A KR 1019970079408A KR 19970079408 A KR19970079408 A KR 19970079408A KR 100312556 B1 KR100312556 B1 KR 100312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rear wheel
side frame
mounting block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211A (ko
Inventor
최남헌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7007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556B1/ko
Priority to US09/219,124 priority patent/US6079723A/en
Priority to JP37159698A priority patent/JP3284494B2/ja
Priority to CN98125947A priority patent/CN1080208C/zh
Publication of KR1999005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3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rubbe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2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e.g. the pivotal axis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2Leaf spring longitudin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4Plastic spring, e.g. rubber
    • B60G2202/143Plastic spring, e.g. rubber subjected to compression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좌/우 사이드프레임(5)상에 판스프링(4)의 전/후방 단부가 각각 전방측 장착부(6)와 후방측 장착부(7)를 매개로 설치되어 중앙부위에 후방 차축(2)을 고정시키도록 된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는 판스프링(4)의 전방측단부를 피벗지지하는 마운팅블럭(8)과, 이 마운팅블럭(8)에 일면이 접합된 컴플라이언트부시(10), 이 컴플라이언트부시(10)의 타면과 접합되어 사이드프레임(5)상에 고정된 브래킷(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블럭(8)의 후단부는 사이드프레임(5)에 대해 다소 하향지게 경사지면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컨트롤링크(15)를 매개로 사이드프레임(5)에 피벗지지되어 이루어져; 선회시 후륜에 가해지는 횡력에 따른 현가장치의 전방측 장착부에 컴플라이언스를 유발시키도록 하여 조향 특성을 언더스티어링되게 함으로써 선회의 안정성을 추구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
본 발명은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륜의 현가장치의 전방측 장착부가 선회시 후방 차축에 가해지는 횡력(Lateral Force)에 의해 컴플라이언스(Compliance)를 유발할 수 있도록 되어 선회특성을 언더스티어링(Under Steering)되게 함으로써, 선회의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된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서 섀시스프링은 차체와 차륜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타이어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기계요소인 바, 이러한 섀시스프링은 크게 판스프링과 코일스프링 및 에어스프링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특히 대형 화물차의 경우에는 가격과 정비비용면에 유리하면서 내구성은 우수한 판스프링(Leaf Spring)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상용차의 후륜에서 판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인바, 상기 판스프링(31)의 중앙부위는 후방 차축(32)에 U-볼트(33)를 매개로 고정되고, 이 판스프링(31)의 전방 단부는 차체의 사이드프레임(34)상에 집합된 제1마운팅브래킷(35)에 볼트(36)를 매개로 직접 체결되어 고정되는 반면에, 상기 판스프링 (31)의 후방 단부는 섀클(37)과 체결된 다음, 이 섀클(37)의 일단부가 사이드프레임(34)상에 접합된 제2마운팅브래킷(35')에 볼트(36)를 매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이드프레임(34)상에 장착된 판스프링(31)은 재질이 지닌 동특성(Kinematic Property)으로 인해 주행중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신장과 복원을 거듭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판스프링(31)의 대략 중간부위에 U-볼트(33)를 매개로 고정된 후방 차축(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전방쪽 소정위치에 존재하게 되는 선회중심점(0)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형태의 궤적을 나타내는 원호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후방 차측(32)을 고정시키는 판스프링(31)의 결합위치인 (A)지점은 정상적인 주행상태에서는 정위치를 유지하다가 차체의 하중변화나 노면으로부터의 충격력의 변화에 따라 (B)지점 내지는 (C)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판스프링(31)상의 후방 차축(32)의 고정점인 (A)지점은 주행중 차체가 범퍼(Bumper)될 때에는 (B)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는 반면에, 주행중 차체가 리바운드(Rebound)될 때에는 (C)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 (31)상의 후방 차축(32)의 고정점인 (A)지점이 선회중심점(0)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궤적을 따라 상하의 (B) 내지 (C)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후방 차축 (32)의 고정점인 (A)지점은 정상적인 위치일 때보다 전후방향으로 각각 최대 "ℓ"만큼의 이격거리를 두고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행중 차량에 롤링(Rolling)이 유발되면, 상기 후방 차축(32)의 좌우측 단부에 장착된 차륜의 진행방향이 변화되어 마치 조향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유발시키게 되는 차축조향(Axle Steer)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주행중 판스프링(31)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차축조향현상은 이외에도 주행중인 차량이 선회할 때에 특히 심하게 유발되는데, 이는 상용차가 직진 및 선회할 때 후륜의 현가장치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 3의 경우와 같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직진 주행시에는 양측 후륜(38)을 지지하고 있는 후방 차축(32)이 전륜(39)을 지지하고 있는 전방 차축(40)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반면에, 예를 들어 주행중인 차량이 우회전을 하게 되면, 원심력이 차체에 선회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때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차체의 하중은 선회반대방향에서 후방 차축(32)을 지지하고 있는 판스프링(31)에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선회반대방향에 위치한 판스프링(31)은 차체의 범퍼시 변형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후방 차축(32)의 고정점인 (A)지점이 (B)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선회방향에 위치한 판스프링(31)은 차체의 리바운드시 변형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후방 차축(32)의 고정점인 (A)지점이 (C)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선회반대방향측 후방 차축(32)의 단부는 정상적인 후방 차축(32)의 연장선(L) 보다 후방으로 최대 "ℓ"만큼 밀리게 되고, 선회방향측 후방 차축 (32)의 단부는 정상적인 후방 차축(32)의 연장선(L) 보다 전방으로 최대 "ℓ" 만큼밀리게 되는 현상이 유발된다.
즉, 선회시 차체의 원심력으로 인해 차량의 자세가 선회반대방향으로 기울어 짐으로써, 상기 판스프링(31)의 동특성에 의해 후방 차축(32)과 이에 장착된 후륜(38)이 선회반대방향을 향하게 되는 차축조향현상이 유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선회시 후방 차축(32)의 방향이 변환되면, 차축조향현상의 유발외에도 운전자의 조향조작에 의한 조향의 정도 보다도 실제 발생되는 선회반경이 작아지는 이른 바 오버스티어링(Over Steering)현상도 유발되는 바, 이와같은 오버스티어링현상은 선회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선회시 후방 차축(32)의 방향이 변환되어 이에 장착된 후륜(38)이 전륜(39)과 반대방향을 향하게 되면, 상기 후방 차축(32)에 장착된 후륜(38)의 휠얼라인먼트(Wheel Alignment)가 토우-아웃(Toe-Out)으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륜(38)에 장착된 타이어와 노면간의 마찰이 심화되어 타이어의 마모가 촉진된다.
이에 본 발명은 선회시 후륜에 가해지는 횡력에 따른 현가장치의 장착부에 컴플라이언스를 유발시키도록 구성하여 조향특성을 언더스티어링되게 하도록 함으로써, 선회의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의 좌/우 사이드프레임상에 판스프링의 전/후방 단부가 각각 전방측 장착부와 후방측 장착부를 매개로 설치되어 중앙부위에 후방 차축을 고정시키도록 된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전방측 장착부는 판스프링의 전방측 단부를 피벗지지하는 마운팅블럭과, 이 마운팅블럭에 일면이 접합된 컴플라이언트부시, 이 컴플라이언트부시의 타면과 접합되어 사이드프레임상에 고정된 브래킷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블럭의 후단부는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다소 하향지게 경사지면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컨트롤링크를 매개로 사이드프레임에 피벗지지되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상용차의 후방현가장치에서 판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상용차의 선회시 판스프링에 고정된 차축의 이동궤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 상용차가 직진 및 우회전시에 후륜 현가장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후륜 현가장치에서 전방측 장착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방측 장착부의 후면도,
도 7은 도 5와 도 6에 각각 도시된 컴플라이언트부시의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후륜 현가장치의 저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요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륜 현가장치를 장착한 상용차에서 우회전시에 후방 차축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후륜 2-후방 차축
4-판스프링 6-전방측 장착부
8-마운팅블럭 10-컴플라이언트부시
13-바이어싱기구 15-컨트롤링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후륜(1)이 후방 차축(2)의 양쪽 단부에 장착되고, 이 후방 차축(2)은 중앙의 차등장치(3)를 매개로 좌우로 분리된 개체로 이루어지며, 이 차동장치(3)는 구동축(도시안됨)을 통해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후방 차축(2)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차축(2)의 양측부에는 각각 좌/우측 판스프링(4)의 중앙부위가 고정되고, 이 좌/우측 판스프링(4)의 전/후방측 단부는 각각 차체의 사이드프레임(5;도 5에 도시됨)상에 장착되는데, 특히 상기 사이드프레임(5)에 대한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는 각각 판스프링(4)의 후방측 장착부(7)를 서로 연결하는 선상에서 후방 차축(2)의 중심과 만나는 회전 중심점(P)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정렬되어 있다.
즉, 선회시 상기 후륜(1)에 횡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4)의 전방 측 장착부(6)는 회전 중심점(P)을 기준으로 횡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미소범위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는 도 5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4)의 전방측 단부가 마운팅블럭(8)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체결용 핀(9)에 의해 마운팅블럭(8)에 고정되고, 이 마운팅블럭(8)은 컴플라이언트부시(Compliant Bush;10)의 저면부와 결합되며, 이 컴플라이언트부시(10)의 상면부는 브래킷(11)의 저면부에 접합되어 연결되며, 이 브래킷(11)의 일면은 상기 사이드프레임(5)과 보조사이드프레임(12)에 각각 직각으로 접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컴플라이언트부시(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11)과 마운팅블럭(8)에 각각 접합되어 결합되는 상/하부판(10a,10b)과, 이 상/하부판(10a,10b) 사이에서 다수개의 격판(10c)을 개재하고서 이 격판(10c)과 상기 상/하부판(10a,10b)의 사이에서 각각 가류접착되어 일체를 형성하는 고무류의 완충재(10d)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컴플라이언트부시(10)는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는 상기 격판(10c)을 매개로 변형을 억제시킬 수 있는 강성을 발휘할 수 있는 반면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서는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변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4)의 전방측 단부를 마운팅블럭(8)상에 고정시켜 주는체결용 핀(9)은 마운팅블럭(8)상에 스냅링(9a)을 매개로 고정된 상태에서 이 체결용 핀(9)의 일단부가 사이드프레임(5)의 아래에 접합된 보조사이드프레임(12)을 관통하여 보조사이드프레임(12)상에 설치된 바이어싱기구(Biasing Mechanism ;13)에까지 연장되어 이 바이어싱기구(13)와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블럭(8)의 후미는 도 5와,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용 볼트(14)를 매개로 컨트롤링크(15)의 일단부와 피벗결합되고, 이 컨트롤링크(15)의 타단부는 고무류의 완충재인 부시(16)를 장착한 상태에서 이 부시(16)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용 볼트(17)를 매개로 상기 사이드프레임(5)의 저면에 접합된 브래킷(18)과 피벗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링크(15)는 사이드프레임(5)에 대해 대략 "a "각도의 예각을 두고 하향지게 배치되면서 사이드프레임(5)의 내측으로는 대략 "β"각도의 예각을 두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바, 상기 컨트롤링크(15)가 사이드프레임(5)에 대해 "α"각도만큼의 예각을 두고 하향지게 배치된 것은 주행중 차체의 하중에 따라 컴 플라이언트부시(10)가 다소 압축될 경우에 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컨트롤링크(15)가 사이드프레임(5)의 내측으로 "β"각도만큼의 예각을 두고 경사지게 배치된 것은 후륜(1)에 횡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사이드프레임(5)에 피벗지지된 컨트롤링크(15)의 후단부가 회동되어 후륜(1)의 휠얼라인먼트가 변화될 경우에 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링크(15)가 마운팅블럭(8)과 사이드프레임(5) 사이에 배치되어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를 지지하게 되면, 선회시 상기 컴플라이언트부시(10)의 컴플라이언스의 효과는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컨트롤링크(15)는 사이드프레임(5)상에 접합된 브래킷(18)에 장착부시(16)를 매개로 피벗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피벗지점을 중심으로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는 차체의 좌우방향에 대해 어느 정도의 각도(대략 1° 내외)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이어싱기구(1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사이드프레임 (12)상에 고정된 중공형의 하우징(19)과, 이 하우징(19)내에 스프링(20)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피스톤(21) 및, 이 피스톤(21)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스프링(20)의 단부와 접촉되는 판재(22)를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19)의 타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스프링(20)을 구속하는 마감재(23)로 이루어지는 바, 이 피스톤(21)은 상기 마운팅블럭(8)을 관통하여 판스프링(4)을 고정시키는 체결용 핀(9)의 일선단과 맞닿아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직진으로 주행시 노면의 구배에 영향을 받아 한쪽 후륜(1)에만 횡력이 가해져 한쪽 후륜(1)의 정렬방향이 편향되거나 흐트러져 한쪽 후륜(1)의 휠얼라인먼트가 변화되는 원더링현상이 유발될 경우, 상기 바이어싱기구(18)의 피스톤(21)은 체결용 핀(9)의 일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한쪽 후륜(1)으로 작용하는 횡력에 의해 컴플라이언트부시(10)가 변형되면서 마운팅블럭(8)이 선회되더라도 상기 바이어싱기구(13)는 이를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으므로 원더링현상이 효과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후륜(1)에 가해진 횡력이 스프링(20)의 탄성을 극복하지 못할 경우에 한정해서 가능하게 된다.
즉, 차량의 선회시 가해지는 청력이 마운팅블락(8)을 이동시켜 컴플라이언트부시(10)를 변형시키면서 컨트롤링크(15)를 이동시키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락(8)을 관통하여 바이어싱기구(13)에 위치된 체결용 핀(9)의 이동이 도 9에 도시된 스프링(20)을 압축 변형시키지 못하므로 결국, 전술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컹플라이언트부시(10)의 변형에 따라 횡력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것과 같이 판스프링(4)의 이동 즉, A나 B지점으로의 이동을 가져오는 횡력에 대한 반발력을 바이어싱기구(13)의 스프링(20)을 통해 발생시켜 원더링현상이 효과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선회시 상기 양쪽 후륜(1)에 바이어싱기구(13)의 스프링(20)의 탄성을 이기는 큰 횡력이 동시에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양쪽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 부(6)에 있는 컴플라이언트부시(10)가 각각 선회방향을 향해 변형되고, 이 변형에의해 상기 양쪽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가 회동될 때 이 전방측 장착부(6)와 회동가능하게 피벗결합된 각각의 컨트롤링크(15)는 전방측 장착부(6)의 회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선회 종료후 상기 후륜(1)에 가해진 횡력이 제거될 경우에는 상기 체결용 핀(9)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판스프링(4)의 전방 측 장착부(6)에 복원기능을 줄 수 있게 되므로 후륜(1)의 휠얼라인먼트는 선회 이전 상태로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즉, 차량의 선회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작용하는 횡력에 의해 후륜현가장치는 차에의 회전중심, 차체의 무게중심이 아님, 인 회전중심점(P)에 대해 마운팅블락(8)이 힘을 받아 이동되면서 즉, 후륜(1)에 작용하는 횡력에 의해 전방측 장착부(6)가 횡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완충재(10d)를 매개로 컴플라이언트부시 (10)가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차량의 선회는 이와 동시에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력으로 인해 차체의 하중은 선회반대방향에서 후방 차축(2)을 지지하고 있는판스프링(4)에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선회반대방향에 위치한 판스프링(4)은 차체의 범퍼시 변형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후방 차축(2)의 고정점인 (A)지점이 (B)지점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이와 동시에 선회방향에 위치한 판스프링(4)은 차체의 리바운드시 변형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후방 차축(2)의 고정점인 (A)지점이 (C)지점으로 이동시키려는 경향을 같게 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컴플라이언트부시(10)의 변형에 따라 판스프링(4)의 이동 즉, A나 B지점으로의 이동을 가져오는 횡력이 분산 및 흡수되는 한편, 상기 부시(10)가 장착된 마운팅블락(8)에 볼트(14)를 매개로 결합된 컨트롤링크(15)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선회 방향에 따라 도면의 화살표와 같은 이동궤적을 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링크(15)의 후단부가 브래킷(18)상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체결용 볼트(17)를 매개로 피벗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차체의 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에는 부시(16)의 수축가능한 정도 만큼만의 회동을 허용하게 되는 제약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선회시 상기 후륜(1)에 횡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는 컴플라이언트부시(10)를 매개로 회전 중심점(P)을 기준으로 하여 횡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므로, 이 판스프링(4)상에 고정된 후방 차축(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방향의 외측에 있는 후방 차축(2)은 전방으로 회동되는 반면에, 선회방향의 내측에 있는 후방 차축(2)은 후방으로 약간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선회시 상기 후륜(1)과 이를 장착하고 있는 후방 차축(2)이 선회방향으로 향하게 되면, 상기 후륜(1)의 휠얼라인먼트는 토우-인이 되면서 조향특성도 언더스티어링으로 전환되므로 전회의 안정성이 부가될 수 있게 된다.
즉, 차량의 선회시 운전자의 조향에 따라 선회되는 전륜에 대해 후륜의 회전반경이 작게 되어 즉, 후륜의 회전 반경이 전륜보다 크게 되어 밖으로 벗어나려는 오버스티어링현상이 방지되고 언더스티어링을 가져와 안정성을 유지하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바이어싱기구(13)의 판재(22)는 체결용 핀(9)을 가압하도록 된 피스톤(2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0)의 프리로드(preload)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판재(22)의 두께나 하우징(19)내에 수용되는 수량을 소절하여 상기 스프링(20)에 가해지는 프리로드를 자유롭게 조절시킬 수 있는 한편, 직진 주행시 전술한 바와 같이 한쪽 후륜(1)으로 작용하는 횡력에 의한 원더링현상을유발하는 한계점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상기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인 마운팅블럭(8)과 브래킷 (11) 사이에 장착된 컴플라이언트부시(10)가 선회시 후륜(1)에 가해진 횡력에 의해 선회방향으로 변형되면, 이 마운팅블럭(8)은 회전 중심점(P)을 기준으로 선회방향으로의 일정한 궤적을 추종하면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컨트롤링크(15)는 전방측 장착부(6)를 보조사이드프레임(12)상에 견고하게 피벗지지하고 있음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의 선회운동은 컨트롤링크(15)를 매개로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에 대한 구조설명은 좌/우측의 판스프링(4)에 동일한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임은 물론이며, 선회시 후륜(1)을 통해 후방 차축(2)에 가해지는 횡력에 의해 좌/우측의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는 각각 횡력이 작용하는 방향, 즉 선회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후륜 현가장치에서 상기 판스프링(4)의 전방측 장착부(6)가 마운팅블럭(8)과 사이드프레임(5)상에 장착된 브래킷(11) 사이로 설치된 컴플라이언트부시(10)와, 이 마운팅블럭(8)의 일단과 사이드프레임(5) 사이에 장착된 컨트롤링크(15)를 매개로 지지됨으로써, 선회시 상기 마운팅블럭(8)을 사이드프레임(5)상에 연결하는 컴플라이언트부시(10)가 횡력에 의해 컴플라이언스를 유발함에 따라, 상기 후륜(1)이 전방 차축(24)에 장착된 전륜(25)과 같은 선회방향으로 조향되어 후륜(1)이 언더스티어링되므로 선회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차체의 좌/우 사이드프레임상에 판스프링의 전/후방 단부가 각각 전방측 장착부와 후방측 장착부를 매개로 설치되어 중앙부위에 후방 차축을 고정시키도록 된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전방측 장착부는 판스프링의 전방측 단부를 피벗지지하는 마운팅블럭과, 이 마운팅블럭에 일면이 접합된 컴플라이언트부시 및, 이 컴플라이언트부시의 타면과 접합되어 사이드프레임상에 고정된 브래킷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블럭의 후단부는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다소 하향지게 경사지면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컨트롤링크를 매개로 사이드프레임에 피벗지지되어 이루어지는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플라이언트부시는 브래킷과 마운팅블릭에 각각 고정되는 상/하부판과, 이 상/하부판 사이에서 다수개의 격판을 개재하고서 이 격판과 상기 상/하부판 사이에서 각각 가류접착되어 일체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완충재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전방측 장착부는 차체에 고정된 중공형의 하우징내에 탄성력이 임의적으로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링을 매개로 가압받는 피스톤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19970079408A 1997-12-30 1997-12-30 상용차의후륜현가장치 KR100312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408A KR100312556B1 (ko) 1997-12-30 1997-12-30 상용차의후륜현가장치
US09/219,124 US6079723A (en) 1997-12-30 1998-12-23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JP37159698A JP3284494B2 (ja) 1997-12-30 1998-12-25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CN98125947A CN1080208C (zh) 1997-12-30 1998-12-30 车辆的后轮悬挂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408A KR100312556B1 (ko) 1997-12-30 1997-12-30 상용차의후륜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211A KR19990059211A (ko) 1999-07-26
KR100312556B1 true KR100312556B1 (ko) 2002-02-28

Family

ID=1953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408A KR100312556B1 (ko) 1997-12-30 1997-12-30 상용차의후륜현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79723A (ko)
JP (1) JP3284494B2 (ko)
KR (1) KR100312556B1 (ko)
CN (1) CN10802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7712A1 (de) 2001-11-24 2003-06-05 Daimler Chrysler Ag Blattgefederte Hinterachsaufhängung für Fahrzeuge
US7234723B2 (en) 2003-06-27 2007-06-26 E-Z Ride Corp. Bolster spring suspension assembly
US20050087957A1 (en) * 2003-10-23 2005-04-28 Bennett John E. Riser seat and wheelchairs with same
KR100726508B1 (ko) * 2005-12-10 2007-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프 스프링구조
EP2032381A4 (en) * 2006-06-16 2010-10-06 Rassini Sa De Cv DOUBLE BLADE SUSPENSION FOR VEHICLE DRIVE ARRANGEMENT
BRPI0806381B1 (pt) 2007-02-07 2019-05-14 Rassini S. A. De C.V. Arranjo de suspensão de veículo
CN113428596B (zh) * 2021-08-26 2021-12-07 民航成都物流技术有限公司 第三轨导向小车及轨道载运系统
CN115320303B (zh) * 2022-10-14 2022-12-30 江苏速豹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卡车钢板弹簧悬架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130A (en) * 1915-05-14 1916-04-11 Henri Mercier Device for weakening the rolling in suspended vehicles.
GB523738A (en) * 1939-01-13 1940-07-22 Gen Motors Corp Improvements relating to vehicle suspension systems
US2308967A (en) * 1941-03-01 1943-01-19 Firestone Tire & Rubber Co Bushing
US3920264A (en) * 1974-11-13 1975-11-18 James W Lafferty Vehicle low-load isolator spring suspension apparatus
GB2211473B (en) * 1987-10-28 1991-09-04 Vauxhall Motors Ltd Vehicle rear suspension
US4919449A (en) * 1988-11-25 1990-04-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rear suspension
US5354092A (en) * 1993-04-23 1994-10-11 John Calvert Traction device for motor vehicles
US5676356A (en) * 1996-05-30 1997-10-14 The Boler Company Flexible bol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4673A (zh) 1999-08-04
CN1080208C (zh) 2002-03-06
US6079723A (en) 2000-06-27
KR19990059211A (ko) 1999-07-26
JP3284494B2 (ja) 2002-05-20
JPH11314510A (ja) 1999-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797B1 (en) Front wheel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5505479A (en) Anti-roll system for vehicle
KR100312556B1 (ko) 상용차의후륜현가장치
KR100316893B1 (ko) 차량용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 빔 마운팅 구조
JP2006347338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7112607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4875705A (en) Automobile rear suspension structure
JPH1142917A (ja) 車両用懸架装置
KR20010018375A (ko) 멀티 캠버 모드 서스펜션
KR100312555B1 (ko) 상용차의후륜현가장치
CN217259450U (zh) 双横臂悬架及车辆
KR100412712B1 (ko) 듀얼 어퍼아암을 갖는 후륜 멀티 서스펜션
KR100527720B1 (ko) 버스용 후륜 현가장치
KR100281822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80373B1 (ko) 자동차의 판 스프링형 독립 현가장치
JPH0222511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
KR100452188B1 (ko) 차량의 후륜 트레일링 암 구조
KR100316890B1 (ko) 차량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
KR100452213B1 (ko)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
KR200147907Y1 (ko) 자동차 스티어링 너클의 체결 유지구조
KR20220108599A (ko)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KR100201087B1 (ko)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너클
KR100291058B1 (ko) 스테빌라이저바아 장착구조
KR100507470B1 (ko) 차량용 안티 롤 장치
KR20070063152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