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325B1 - 트랙킹옵셋보상방법및이를이용한보상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킹옵셋보상방법및이를이용한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325B1
KR100312325B1 KR1019970045330A KR19970045330A KR100312325B1 KR 100312325 B1 KR100312325 B1 KR 100312325B1 KR 1019970045330 A KR1019970045330 A KR 1019970045330A KR 19970045330 A KR19970045330 A KR 19970045330A KR 100312325 B1 KR100312325 B1 KR 100312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et
signal
tracking
low pas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756A (ko
Inventor
김정국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4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325B1/ko
Publication of KR1999002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29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track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의 트랙킹 에러를 푸쉬풀(Push-pull) 방식으로 검출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직류옵셋을 보상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물렌즈의 중심이 광축상에서 벗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직류옵셋을 불연속적으로 검출하고, 대물렌즈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전압을 상기 직류옵셋이 검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하며, 직류 옵셋과 구동전압의 차값을 이용하여 직류옵셋을 보정한다.
본 발명의 트랙킹 옵셋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상장치는 디스크의 트랙킹 에러를 푸쉬풀(Push-pull) 방식으로 검출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직류옵셋을 연속적으로 검출하여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랙킹 옵셋 보상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상장치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의 트랙킹 에러를 푸쉬풀(Push-pull) 방식으로 검출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직류옵셋을 보상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버서타일 디스크-램(Digital Versatile Disk-RAM ; 이하 "DVD-RAM"이라 함)과 같은 광기록 매체의 경우, 대물렌즈로부터의 광빔이 신호트랙 중심으로부터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트랙킹 에러신호(Tracking error)를 검출하여 트랙킹 서보를 수행한다. DVD-RAM의 경우,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 1빔(Beam) 방식의 푸쉬풀(Pushpull) 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푸쉬풀 방식은 빔의 좌우 대칭성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검출된 트랙킹 에러 신호에 직류옵셋 (DC offset)성분이 존재한다.
이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랙킹에러신호 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푸쉬풀 방식은 도 1과 같이 4분할 광 검출기(Photo Detector : PD)에서 검출되는 광량의 차이를 트랙킹 에러로 사용한다. 여기서 트랙킹 에러는 (a+c)-(b+d)가 된다.
트랙킹이 정확히 되고 있다면 4분할 광 다이오드(PD)에 형성되는 광빔의 형태는 도 2와 같이 된다. 도 2(a)에서, 대물렌즈(Objective Lens ; OL)로부터의 광빔이 신호트랙의 중심에 위치한 경우(P1)와 대물렌즈(OL)로부터의 광빔이 신호트랙의 중심에서 좌우측으로 치우친 경우(P2, P3)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광 검출기(PD)에서의 광분포차는 각각 P11, P22, P33으로 차별화 되고, 미도시된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부에서 (a+c)-(b+d)의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대물렌즈(OL)로부터의 광빔이 신호트랙의 중심을 추종하도록 한다.
도 3은 정상적인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대물렌즈(OL)로부터의 광빔과 광빔의 위치 변위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대물렌즈(OL)로부터의 광빔이 신호트랙의 중심을 추종하는 경우로 이 때, 광 검출기(PD)의 광분포차는 균일하게 나타나고 (a+c)-(b+d)로 전기적 신호로 연산한 결과읜 트랙킹 에러신호는 "0"의 크기를 갖는다. 도 3(a)는 대물렌즈(OL)로부터의 광빔이 신호트랙에서 우측으로 치우쳐 집광된 경우로, 광 검출기(PD)에서의 광분포차는 좌측 보다 우측에 더 많은 광량이 조사된다. 이 경우, 광 검출기(PD)에서 (a+c)-(b+d)의 전기적 신호로 연산한 결과의 트랙킹 에러신호는 "+"의 크기를 갖는 신호로 나타난다. 도 3(c)는 대물렌즈(OL)로부터의 광빔이 신호트랙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집광된 경우로, 광 검출기(PD)에서의 광분포차는 우측 보다 좌측에 더 많은 광량이 조사된다. 이 경우, 광 검출기(PD)에서 (a+c)-(b+d)의 전기적 신호로 연산한 결과의 트랙킹 에러신호는 "-"의 크기를 갖는 신호로 나타난다. 도 3(a) 및 3(c)도에서와 같은 "+" 또는 "-'의 크기를 갖는 트랙킹 에러신호의 변화에 따라 트랙킹 서보를 수행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으로서 대물렌즈(OL)로부터의 광빔이 신호트럭의 중심을 추종하도록 한다. 이러한 정상적인 트랙킹 에러신호의 검출은 도면에서와 같이 대물렌즈(OL)의 중심이 광축상에서 일치하면서 발생한 광분포차를 이용한다.
도 4는 대물렌즈(OL)의 중심이 광축상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발생하는 직류옵셋 성분을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대물렌즈(OL)의 중심이 4분할 광검출기(PD)의 광축상에 위치하여 대물렌즈(OL)로부터 반사된 광빔이 좌우 균등하게 검출되어 광전변환되는 좌측의 광신호(이하 "PD1"이라 함) 및 우측의 광신호(이하 "PDr"이라 함)는 동일한 광분포차를 갖는다.
이와는 달리, 도 4(a) 및 4(c)를 참조하면, 신호 트랙의 중심에서 대물렌즈(0L)가 디스크의 외주방향 혹은 내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대물렌즈(OL)의 중심은 4분할 광검출기(PD)의 광축을 벗어남으로 인해서 대물렌즈(OL)로부터의 광빔이 4분할 광검출기(PD)에서 광분포차를 일으키게 된다.
도 4(a)는 대물렌즈(OL)로부터의 광빔이 신호트랙의 중심에 집광되고, 4분할 광검출기(PD)의 광축상에서 대물렌즈(OL)의 중심이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광다이오드열(Photodiode Array)의 우측열에는 정상적인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빛이 조사되어 변환되는 PDr신호의 진폭이 커진다. 반면에 광다이오드열의 좌측열에는 정상적인 경우보다 적은량의 광이 조사되어 변환되는 PD1신호는 진폭이 작아진다. 따라서, 4분활 광검출기(PD)에서 검출되는 좌우측의 광분포차는 "+"의 크기를 갖는 직류 옵셋 성분을 발생한다.
이와는 달리, 신호트랙의 중심에서 대물렌즈(OL)로부터의 광빔이 신호트랙의 중심에 집광되고, 대물렌즈(OL)의 중심이 4분할 광검출기(PD)의 광축상에서 좌측으로 벗어나는 도 4(c)를 참조하면, 광다이오드열의 좌측열에는 정상적인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빛이 조사되어 변환되는 PD1 신호는 진폭이 커지는 반면, 광다이오드열의 우측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빛이 조사되어 PDr 신호의 진폭은 작아진다. 이에 따라, 4분할 광검출기(PD)에 검출되는 광분포차는 "'-"의 크기를 갖는 직류옵셋성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직류옵셋을 푸쉬풀(Pushpull) 검출신호에서 정확히 검출하여 보상하여야만 정확한 트랙킹 서보를 수행할 수 있다. 직류옵셋을 검출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헤더(Header) 정보 내의 미러(Mirror)면을 이용하는 방식과, 헤더 정보의 고주파 신호(RF)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헤더(Header) 정보 내의 미러(Mirror)면을 이용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1의 구성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랙킹 옵셋 보상 장치는 푸쉬풀(Pushpull) 검출신호가 제1 노드(11)를 경유하여 공통으로 공급되는 제1 증폭기(1) 및 가산기(4)와, 제1 퐁폭기(1)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1 절환기(2)와, 제1 절환기(2)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1 로패스 필터&홀더(8)와, 제1 로패스 필터&홀더(8)의 출력단과 가산기(4)의 입력단에 공통 접속된 제2 증폭기(3)와, 가산기(4)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버퍼(5) 및 인버터(6)와, 버퍼(5) 및 인버터(6)의 출력단에 공통 접속된 제2 절환기(7)와, 제2 절환기(7)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2 로패스 필터&홀더(9)와, 제2 로패스 필터&홀더(9)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3 증폭기(10)를 구비한다.
제1 절환기(2)는 기준접점(1a), 제1 선택접점(1b), 제2 선택접점(1c)을 구비하여, 자신에게 공급되는 미러 윈도우 제어신호(Mirror Window Control)의 논리 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된다. 미러 윈도우 제어신호는 헤더 정보 내의 미러영역에서 특정의 논리 값(예를 들면 하이(High))을 갖고 있어, 이러한 논리 값이 제1 절환기(2)에 공급되면 기준접점(1a)은 제2 선택접점(1c)에 접속되어 미러 영역에서의 직류옵셋을 검출한다. 그리고 제1 절환기(2)는 미러영역이외의 헤더 정보영역과 사용자 정보 영역에서 기준접점(1a)은 제1 선택접점(1b)에 접속된다. 이 신호는 제1 로패스 필터&홀더(8)에 의해 적분 신호화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로패스 필터&홀더(8)는 제1 절환기(2)의 기준접점(1a)에 접속된 전류제한용 저항(R1)과, 제2 노드(12)를 경유하여 전류제한용 저항(R1)과 기저 전압원(GND)에 공통접속되어 제2 노드(12)상의 전압을 평준화시키는 캐패시터(C1)를 구비한다. 제1 로패스 필터&홀더(8)의 출력신호는 제2 증폭기(3)에서 일정레벨로 증폭퇴고 가산기(4)에 공급된다. 이 신호는 미러영역에서 검출된 직류 옵셋 신호로 푸쉬풀 검출신호에 더해진 직류 옵셋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와 반대 위상을 갖고 있다.
가산기(4)는 제1 노드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푸쉬풀 검출신호와 제2 증폭기(3)로부터의 직류 옵셋 신호를 가산하여 푸쉬풀 검출신호에 더해진 직류 옵셋 신호를 보상함으로서 정확한 트랙킹 에러신호로 버퍼(5)와 인버터(6)에 공통으로 공급된다.
한편, 워블링(Wabbling) 방식을 사용하는 DVD-RAM과 같은 광기록매체는 그 구조상 사용자 정보영역은 산과 골의 트랙(Land & Groove track)으로 구성된다. 산과 골의 트랙에서는 트랙킹 에러신호가 위상이 반전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정보영역은 헤더 정보 영역을 사이에 두고 교번적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 정보 영역의 종료 시점에서의 트랙킹 에러신호는 헤더 정보 영역에서 홀드(Hold)되어 이어지는 사용자 정보 영역에서 연속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2 절환기(7)에는 산/골 제어신호와 헤더 왼도우 제어신호가 공급된다. 산/골 제어신호는 산과 골의 트랙에서 서로 다른 논리 값을 갖는다. 그리고 헤더 윈도우 제어신호는 사용자 정보 영역파 헤더 청보 영역에서 서로 다른 논리 값을 갖는다.
제2 절환기(7)는 기준접점(2a), 제1 선택접점(2b), 제2 선택접점(2c), 제3 선택접점(2d)을 구비하여, 자신에게 공급되는 산/골 제어신호와 헤더 윈도우 제어 신호의 논리 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된다.
산/골 제어신호의 논리 값에 따라, 제2 절환기(7)의 기준접점(2a)은 선택적으로 제1 선택접점(2b)과 제3 선택접점(2d)에 접속되어 가산기(4)로부터의 트랙킹 에러신호의 극성을 산과 골의 신호트랙에 따라 반전시킨다. 그리고 헤더 윈도우 제어신호에 의해, 헤더 정보 영역에서 제2 절환기(7)의 기준접점(2a)은 제2 선택접점(2c)에 접속된다. 제2 로패스 필터&홀더(9)는 전류 제한용 저항(R2)과 제3 노드(13)상의 전압을 평준화시키는 캐패시터(C2)를 구비하여, 제2 절환기(7)의 기준접점(2a)으로부터의 신호를 로패스 필터링하여 적분 신호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헤더(Header) 정보 내의 미러(Mirror)면을 이용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 장치는 사용자 정보 영역을 사이에 두고 교번적으로 위치한 헤더 정보 영역 내에 위치한 미러 영역에서 직류 옵셋만을 검출하여 이를 보정하게 되어 불연속적인 직류 옵셋 보상방법이 된다.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헤더 정보의 고주파 신호(RF)를 이용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6의 구성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헤더 정보의 고주파 신호(RF)를 이용한 트랙킹 옵셋 보상 장치는 푸쉬풀(Pushpull) 검출 신호가 공급되어 산과 골의 트랙에서 선택적으로 극성을 반전시키고 교번적으로 이어지는 사용자 정보 영역에서 푸쉬풀 검출신호 값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버퍼(15) 및 인버터(16)와, 버퍼(15) 및 인버터(16)에 공통 접속된 제3 절환기(17)와, 제3 절환기(17)에 직렬 접속된 제3 로패스 필터&홀더(19)와, 제3 로패스 필터&홀더(19)에 직렬 접속된 제4 증폭기(20)와, 헤더 정보의 고주파 신호(RF)에서 직류옵셋을 검출하는 직류옵셋 검출부(30)와, 제4 증폭기(20)의 출력단과 직류옵셋 검출부(30)의 출력단에 공통 접속된 제2 가산기(28)를 구비한다.
직류옵셋 검출부(30)는 헤더 정보 영역에서의 고주파 신호(RF)를 검출하는 검파부(21)와, 검파부(21)의 출력단에 공통 접속된 제4 절환기(22) 및 제5 절환기(23)와, 제4 절환기(22)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4 로패스 필터&홀더(24)와, 제5 절환기(23)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5 로패스 필터&홀더(25)와, 제4 및 제5 로패스 필터&홀더(24,25)의 출력단에 공통 접속된 가산 증폭기(26)와, 가산 증폭기(26)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5 증폭기(27)를 구비한다.
DVD-RAM과 같은 광기록 매체의 헤더 정보 영역은 산의 트랙의 헤더 정보를 담고 있는 LID 영역과, 골의 트랙의 헤더 정보를 담고 있는 GID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영역에서 검출되는 고주파 신호는 서로 다른 레벨 값을 갖는다. 이를 이용하여, LID 영역과 GID 영역에서의 고주파 신호를 제4 및 제5 절환기(22,23)에 공급되는 윈도우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절환함으로서 LID 영역과 GID 영역에서의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한 신호를 검출한다. 제4 로패스 필터&홀더(24)는 제4 절환기(22)의 출력신호를 로패스 필터링함과 아울러 홀드(Hold)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5 로패스 필터&홀더(25)는 제4 절환기(23)의 출력신호를 로패스 필터링함과 아울러 홀드(Hold)하는 역할을 한다. 제4 및 제5 로패스 필터&홀더(24,25)의 출력신호는 가산 증폭기(26)에 공급되어, 가산 증폭기(26)는 제4 및 제5 로패스 필터&홀더(24,25)의 출력신호를 차등 증폭하여 제5 중폭기(27)에 공급한다. 제5 증폭기(27)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제2 가산기(28)에 의해 제4 증폭기(20)의 출력신호와 합산되어 트랙킹 에러신호의 직류옵셋 신호가 보상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헤더 정보의 고주파 신호(RF)를 이용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 장치는 교번적으로 위치한 헤더 청보 영역에서의 고주파 신호에서 직류옵셋을 검출함으로서 결과적으로는 불연속적인 트랙킹 트랙킹 옵셋 보정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스크의 트랙킹 에러를 푸쉬풀(Push-pull) 방식으로 검출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직류옵셋을 연속적으로 검출하여 보정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4분할 광검출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푸쉬풀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트랙킹 옵셋이 없는 경우의 광검출기의 형상과 그에 따른 트랙킹 에러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트랙킹 옵셋이 발생하는 경우의 광검출기의 형상파 그에 따른 트랙킹 에러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종래의 트랙킹 옵셋 보상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6도는 종래의 다른 트랙킹 옵셋 보상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7도는 트랙킹을 수행할 때 대물렌즈의 기구적 위치와 구동전압을 나타내는 도면.
제8도는 트랙킹을 수행할 때 구동전압의 직류 바이어스와 직류 옵셋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옵셋 보상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상장치에서 발생하는 보정 옵셋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옵셋 보상장치의 회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옵셋 보상장치의 회로도.
제12도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제어신호의 파형과 로패스 필터링한 트랙킹 에러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10,20,27,35,38,42 : 증폭기 2,7,17,22,23,31,32,39 : 절환기
4,28,37,43 : 가산기 5,15 : 버퍼
6,16 : 인버터 21 : 검파부
26 : 가산 증폭기 30 : 직류옵셋 검출부
36,41 : 감산기 R1,R2,R3 : 저항
8,9,19,24,25,33,34,40 : 로패스 필터&홀더
C1,C2 : 캐패시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트랙킹 옵셋 보상방법은 대물렌즈의 중심이 광축상에서 벗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직류옵셋을 불연속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대물렌즈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전압을 상기 직류옵셋이 검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하는 단계와, 직류 옵셋과 구동전압의 차값을 이용하여 직류옵셋을 연속적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트랙킹 옵셋 보상장치는 대물렌즈의 중심이 광축상에서 벗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직류옵셋을 불연속적으로 검출하는 제1 검출수단과, 대물렌즈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전압을 직류옵셋이 검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하는 제2 검출수단과, 직류 옵셋과 구동전압차값을 이용하여 직류옵셋을 연속적으로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트랙킹 옵셋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상장치는 대물렌즈(OL)의 중심이 광축상에서 벗어남으로 인채서.발생하는 직류 옵셋에 따라 이를 추종하도록 직류옵셋과 비례관계에 있는 액츄에이터(Actuator)의 구동전압을 이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랙킹(Tracking)시 광픽업의 기구적 위치는 도 7(a)와 같다.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는 고정되어 있고, 트랙킹 서보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구동함에 따라 디스크의 외주방향 또는 내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신호트랙의 중심을 추종한다. 대물렌즈(OL)가 신호트랙에서 중심 또는 디스크의 내주 방향 또는 외주 방향으로 이동된 지점은 각각 a, b, c 지점으로 표기한다. 대물렌즈(OL)의 기구적 위치와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구동전압은 도 7(b)와 같은 관계를 갖는다.
도 8은 트랙킹시 액츄애이터의 구동전압의 직류 바이어스(DC Bias)와 직류 옵셋(DC offset)의 관계를 나타낸다. 대물렌즈(OL)의 중심이 광축상에서 일치했을 때의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구동전압파 직류옵셋은 특정 레벨(예를 들면 기저 전압원 레벨)로 일치하고(도면에서 g1), 대물렌즈(OL)의 중심이 광축상에서 벗어나는 변위에 비례하여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구동전압과 직류옵셋은 비례관계를 갖으며 레벨차를 발생한다. (도면에서 △g2, △g3) 여기서, △g2, △g3로 나타나는 트랙킹 액츄애이터의 구동전압과 직류옵셋의 차전압을 이용하여 직류옵셋을 보정한다. 여기서, 기울기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의 헤더(Header) 정보 내의 미러(mirror)면을 이용하는 방식과, 헤더 정보의 고주파 신호(RF)를 이용하는 방식의 트랙킹 옵셋 보상 방법은 도면에서 P1, P2, P3, P4와 같이 불연속적으로 트랙킹 옵셋을 보정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방식으로 헤더 정보 영역 내의 정보로부터 검출된 직류 옵셋과 (B)와 같은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구동전압을 로패스 필터링하여 (A)와 같이 연속적으로 직류옵셋을 검출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옵셋 보상 장치의 상세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제어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내는 도 12와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옵셋 보상 장치는 직류 옵셋이 공급되는 제1 절환기(31)와, 트랙킹 구동전압이 공급되는 제2 절환기(32)와, 제1 절환기(31)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되는 제1 로패스 필터&홀더(33)와, 제2 절환기(32)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2 로패스 필터&홀더(34)와, 제2 로패스 필터&홀더(34)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1 증폭기(35)와, 제1 증폭기(35)의 출력단과 제1 노드(51)를 경유하여 제1 로패스 필터&홀더(33)의 출력단에 공통 접속된 감산기(36)와, 감산기(36)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2 증폭기(38)와, 제1 노드(51)를 경유하여 제1 로패스 필터&홀더(33)의 출력신호가 공급되고 제2 증폭기(38)의 출력단에 접속된 가산기(37)를 구비한다.
도 12 (c)와 같이, 트랙킹 에러신호는 헤더 정보 영역에서의 신호 특성상 왜곡이 심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트랙킹 구동전압의 로패스 필터링된 출력신호를 얻을 때 헤더 정보영역 신호의 영향이 배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미러 영역에서의 신호 또는 헤더 정보영역에서의 고주파 신호(RF)에 해당하는 기간에서 직류 옵셋 신호가 통과되고 사용자 정보 영역에서 직류 옵셋 신호가 절체되어야 한다. 비를 위하여, 제1 절환기(3l)와 제2 절환기(32)의 제어신호로 공통으로 공급되는 헤더 윈도우 제어신호에 의해 트랙킹 구동전압과 직류 옵셋은 헤더 정보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절환된다. 헤더 윈도우 제어신호는 도 12(a)도의 파형도와 같이, 헤더 정보영역에서는 하이(High)의 논리 값을 유지하고, 사용자 정보영역에서는 로우(Low)의 논리 값을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제1 절환기(31)는 제1 로패스. 필터&홀더(33)에 직렬 겋속된 제1 기준접점(31a)과, 제1 기준접점(31a)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 선택접점(31b, 31c)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절환기(32)는 제2 로패스 필터&홀더(34)에 직렬 접속된 제2 기준접점(32a)과, 제2 기준접점(32a)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 선택접점(32b, 32c)을 구비한다.
헤더 윈도우 제어신호의 논리 값이 하이(High)일 때, 제1 절환기(31)의 제1 기준집점(31a)은 제1 선택접점(31b)에 접속되어 직류 옵셋은 헤더 정보 영역의 기간동안 제1 선택접점(31b)과 제1 기준접점(31a)을 경유하여 제1 로패스 필터&홀더(33)에 공급된다. 그리고 헤더 윈도우 제어신호의 논리 값 하이(High)에 의해, 제2 절환기(31)의 제2 기준접점(32a)은 제1 선택접점(32b)에 집속되어 트랙킹 구동전압은 사용자 정보 영역의 기간동안 제2 선택접점(32b)과 제2 기준접점(32a)을 경유하여, 제2 로패스 필터&홀더(34)에 공급된다.
제1 및 제2 로패스 필터&홀더(33, 34)는 자신에게 공급된 직류 옵셋 신호 또는 트랙킹 구동전압 신호를 각각 로패스 필터링하여 홀드(Hold)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증폭기(35)는 도 8과 같은 기울기를 보상하도록 자신의 일정 이득 값으로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감산기(36)는 동일한 트랙킹 위치에서 제1 노드(51)를 경유한 제1 로패스 필터&홀더(33)의 출력신호와 제1 증폭기를 감산하여 출력이 "0"이 되도록 한다. 감산기(36)의 출력신호는 제2 증폭기(38)에 공급되어 일정 이득으로 증폭되고 가산기(37)에 공급된다. 가산기(37)는 제1 노드(51)를 경유한 제1 로패스 필터&홀더(33)의 출력 산호와 제2 증폭기(38)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보정 옵셋을 발생한다. 제2 로패스 필터&홀더(34)와 제1 증폭기(35) 및 감산기(36)는 직류 옵셋의 레벨을 트랙킹 구동 전압의 레벨과 일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1은 도 12에서 감산기(36)의 출력신호를 정확하게 "0"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옵셋 보상 장치는 제2 노드(52)를 경유하여 제2 절환기(32)와 제2 로패스 필터&홀더(34)에 공통으로 접속된 제3 절환기(39)와, 제3 절환기(39)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3 로패스 필터&홀더(40)와, 제2 로패스 필터&홀더(34)의 출력단과 제3 로패스 필터&홀더(40)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접속된 제2 감산기(41)와, 제2 감산기(41)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제3 증폭기(42)와, 제1 로패스 필터&홀더(33)의 출력단과 제3 증폭기(41)의 출력단에 공통 접속된 제2 가산기(43)를 구비한다.
제1 절환기(31)에 공급되는 직류 옵셋 신호와 제2 절환기(32)에 공급되는 트랙킹 구동전압은 도 11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제어신호이며, 제1 및 제2 절환기(31,32)와 제1 및 제2 로패스 필터&홀더(33,34)는 도 11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제3 절환기(39)는 제2 노드(52)를 경유하여 제2 로패스 필터&홀더(34)에 직렬 접속된 제3 기준접점(39a)과, 제3 기준접점(39a)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 선택접점(39b, 39c)을 구비한다. 제3 절환기(39)는 도 12(b)에서와 같이, 사용자 정보 영역의 개시시점에 하이(High)로 트리거(Trigger) 되는 제어신호인 트랙킹 기준 트리거 펄스 신호에 의해서 구동된다.
트랙킹 기준 트리거 펄스 신호가 하이(High)의 논리 값인 경우, 제3 기준접점(39a)은 제2 선택접점(39c)에 접속되어 제2 노드(52)를 경유하는 트랙킹 구동전압이 제3 로패스 필터&홀더(40)에 공급된다. 제3 로패스 필터&홀더(40)는 제3 기준접점(39a)으로부터의 신호를 로패스 필터링하고 홀드(Hold)하는 역할을 한다. 제3 로패스 필터&홀더(40)의 출력신호는 직류옵셋을 샘플링한 시점과 거의 비슷한 시점에서의 전압으로 트랙킹 위치의 상대적인 기준점이 된다.
제2 감산기(41)는 제2 로패스 필터&홀더(34)직 출력신호와 제3 로패스 필터&홀더(40)의 출력신호를 감산하는 역할로, 직류옵셋을 샘플링한 시점으로부터 변동된 양의 정보를 가지게 된다. 제2 감산기(41)의 출력신호는 도 8에서와 같은 기울기를 보상하도록 제3 증폭기(42)에 의해 적당한 이득 값으로 즐폭되어 제2 가산기(43)에 공급된다.
제2 가산기(43)는 제1 로패스 필터&홀더(33)의 출력 신호와 제3 증폭기(42)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보정 옵셋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옵셋 또상 장치는 직류옵셋과 트랙킹 구동전압의 차값을 원직류옵셋에 가산하여 직류옵셋을 보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트랙킹 옵셋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상장치는 헤더 정보 영역 내의 미러 영역 또는 혜더 정보 영역의 고주파 신호(RF)로부터 얻어진 직류 옵셋과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전압을 가산함으로서 연속적인 직류 옵셋 보정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랙킹 옵셋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상장치는 연속적으로 직류옵셋을 보정함으로서 슬레드가 유동하거나 디스크의 트랙에 편심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직류 옵셋 보정이 가능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럭킹 옵셋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상장치는 디스크의 트랙킹 에러를 푸쉬풀(Push-pull) 방식으로 검출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직류옵셋을 연속적으로 검출하여 보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없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대물렌즈의 중심이 광축상에서 벗어낭에 따라 발생하는 직류옵셋을 불연속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전압을 상기 직류옵셋이 검출된 영역이외의 영역에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직류 옵셋과 상기 구동전압의 차값을 이용하여 상기 직류옵셋을 연속적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방법.
  2. 대물렌즈의 중심이 광축상에서 벗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직류옵셋을 불연속적으로 검출하는 제1 검출수단과, 상기 대물렌즈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전압을 상기 직류옵셋이 검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하는 제2 검출수단과, 상기 직류 옵셋과 상기 구동전압차값을 이용하여 상기 직류옵셋을 연속적으로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옵셋이 검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는 이전에 검출된 직류옵셋 및 구동전압을 홀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옵셋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직류옵셋과 구동전압의 차값을 원 직류옵셋에 가산하여 상기 직류옵셋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옵셋 보상방법.
KR1019970045330A 1997-08-30 1997-08-30 트랙킹옵셋보상방법및이를이용한보상장치 KR100312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330A KR100312325B1 (ko) 1997-08-30 1997-08-30 트랙킹옵셋보상방법및이를이용한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330A KR100312325B1 (ko) 1997-08-30 1997-08-30 트랙킹옵셋보상방법및이를이용한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56A KR19990021756A (ko) 1999-03-25
KR100312325B1 true KR100312325B1 (ko) 2001-12-28

Family

ID=3753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330A KR100312325B1 (ko) 1997-08-30 1997-08-30 트랙킹옵셋보상방법및이를이용한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3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360A (ja) * 1995-03-16 1996-10-01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360A (ja) * 1995-03-16 1996-10-01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56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2063B1 (en) Focus balance automatic adjusting device and method
EP0381394A1 (en) Tracking error detect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cording and/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07459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correction and optical disk for use therein
KR100462914B1 (ko) 트랙킹서보장치
KR19990016488A (ko) 트랙킹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280347B1 (ko) 트랙킹 서보 회로
US5050151A (en) Apparatus for playing back data read out of data tracks on a recorded medium
KR100423919B1 (ko) 트래킹서보회로
KR100312325B1 (ko) 트랙킹옵셋보상방법및이를이용한보상장치
US7158455B2 (en) Servo error detecting device for optical disk
KR960013487B1 (ko) 데이타 재생장치
JP2000200419A (ja) 光ディスク装置
KR970011406B1 (ko) 광기록매체 재생시스템의 트랙 점프제어장치
JP2780185B2 (ja) フォーカスサーチ方法
JPH09274726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2766149B2 (ja) 光ディスクの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EP1265230A2 (en) Optical disc drive
JPH041411B2 (ko)
KR20040032269A (ko) 트랙킹 에러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KR910005648B1 (ko) 종류가 다른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포커스 서보회로
KR100565711B1 (ko) 광자기디스크의신호검출방법및장치
JP3557816B2 (ja) 光学式ディスク装置の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2878974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2691025B2 (ja) トラッキングサーボ系調整方法
JPH0614407B2 (ja) サ−ボ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00626

Effective date: 200105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