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983B1 - 차량제동시스템용공압작동부우스터 - Google Patents

차량제동시스템용공압작동부우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983B1
KR100311983B1 KR1019930010096A KR930010096A KR100311983B1 KR 100311983 B1 KR100311983 B1 KR 100311983B1 KR 1019930010096 A KR1019930010096 A KR 1019930010096A KR 930010096 A KR930010096 A KR 930010096A KR 100311983 B1 KR100311983 B1 KR 100311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ster
housing
sleeve
valve mechanism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323A (ko
Inventor
씬바이른스
Original Assignee
안네트 제랄드 아서
루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네트 제랄드 아서, 루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안네트 제랄드 아서
Publication of KR94000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with multiple booster units, e.g. tande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제동시스템용 공압작동부우스터에 관한 것으로, 중심코아(80)가 복귀스프링(89)의 접속부를 형성하고 통공(81)이 반작용기구(82)의 지지부를 형성한다. 코아(80)는 밸브기구(32)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후브부재(31)를 고정한다. 내외측부재(20, 22)로 구성된 중심코아는 간격을 둔 가동벽(9, 12)과 밸브기구(32)가 장설되는 후브부재(31)를 갖는 조립체를 구성한다. 가동벽(9, 12)의 내측단부가 외측부재(20)에 조립되고 내측부재(22)의 내측단부가 커플링(24)으로 후브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를 통하여 내측부재(22)를 삽입하므로서 고정될 수 있다. 접속부재(106)가 밸브키(63)의 후퇴정지구를 형성한다. 부재(106)는 부우스터의 하우징(1)에 형성된 후측중공돌출부내에 실리고 밸브기구 구성부분의 후퇴위치와 부우스터의 유효축방향길이를 결정토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제동시스템용 공압작동부우스터
도 1은 진공서스펜드형 탠덤 부우스터를 통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 부우스터에 사용되는 수정형 밸브기구를 통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1 부우스터의 수정된 밸브기구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보인 키후퇴 정지구의 수정형태를 보인 단면도.
*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하우징 9, 12 … 가동벽
20, 22, 31 … 슬리이브 32 … 밸브기구
63 … 키 80 … 코아
82 … 반작용 디스크 89 … 복귀스프링
106 … 키후퇴정지구
본 발명은 마스타 실린더에 가하여지는 페달로부터의 제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압력차가 가하여질 때에 벼이 부우스터하우징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 종류의 차량제동시스템용 공압작동부우스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형태의 부우스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엔진격실의 공간이 한정되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방사상 방향으로 콤펙트하고, 수압 마스타 실린더와 조합하였을 때에도 축방향으로 콤펙트한 부우스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주어진 용량의 부우스터를 방사상 방향이나 축방향으로 크기를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서, 상기 언급된 형태의 부우스터에 있어서, 슬리이브내에 수용된 밸브기구가 중심코아에 의하여 부우스터의 하우징내에 조립되며, 슬리이브는 하우징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코아는 복귀스프링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형성하며 통공이 반작용기구의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반작용 기구가 마스타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출력부재상에서 작용한다.
코아는 슬리이브와 고정결합되는 것이 좋다.
코아가 부우스터내에 배치될 때에 부우스터와 밸브기구의 구성부품의 후퇴위치가 밸브기구의 일부와 협동하게 되어 있는 후퇴정지구에 의하여 결정된다.
중심코아를 제공하므로서 부우스터가 축방향으로 보다 콤펙트하게 된다. 이 중심코아는 일정한 간격을 둔 가동벽의 내측단부가 밀폐연결되는 슬리이브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서, 부우스터에서 슬리이브조립체는 동축상의 내외측부재로 구성되고, 그 내측부재는 외측부재에 가동벽의 내측단부가 고정되고, 밸브기구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후브부재와 결합토록 리테이너로서 작용한다.
후퇴정지구는 스프링의 힘과 다른 모든 부하가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부재 또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후퇴정지구는 하우징 자체의 벽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피스턴은 방사상 키를 통하여 후퇴정지구에 협동하는 밸브기구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키와 협동하는 하우징의 부분은 대소직경의 내외측 방사상 플랜지를 연결하는 방사상 웨브로 구성된다.
수정형태에 있어서, 후퇴정지구는 부우스터 하우징의 내면에 취부되어 이와 함께 협동하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서, 차량제동시스템용 공압작동형의 탠덤형 부우스터에 있어서, 이 부우스터는 하우징, 하우징을 전후격실로 나누는 격벽, 전방격실을 정압의 제1 전방챔버와 가변압력의 제1 후방챔버로 나누는 제1 가동벽, 후방격실을 정압의 제2 전방챔버와 가변압력의 제2 후방챔버로 나누는 제2 가동벽,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격벽을 통하여 밀폐가능하고 활동가능하게 연장된 슬리이브와 내측단부에서 슬리이브에 결합되어 이와 함께 조립체를 구성하는 후브부재로 구성되고, 후브부재는 부우스터 하우징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어 부우스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페달작동형 밸브기구의 밸브하우징을 형성하며, 접속부가 후브부재와 부우스터하우징사이에 형성되어 밸브기구의 후퇴위치를 한정하고, 복귀스프링이 후브부재에 작용하여 이를 접속부측으로 탄지하며, 각 가동벽이 그 내측변부에서 조립체에 밀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전방챔버가 조립체의 내부와 조립체의 포트를 통하여 제2 전방챔버에 영구적으로 연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서, 상기 언급된 형태의 부우스터에 있어서, 복귀스프링의 힘과 다른 부하를 받는 후퇴정지구가 부우스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밸브기구의 일부가 협동하며 하우징의 후측 단부벽에 후향하여 배치된 내향돌출부를 갖는 접속부재로 구성된다.
돌출부의 위치가 밸브기구 구성요소의 후퇴위치를 결정하고, 결국 부우스터의 유효축방향 길이를 결정한다.
아울러, 접소부재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후측 단부벽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의 직경을 줄일 수 있고, 그 결과로서 플랜지가 격벽의 직경이 작은 개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엔진격실 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구성부품의 후퇴위치는 밸브기구의 피스턴구성부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키의 협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접속부재는 환상링으로 구성되고, 이 환상링은 이 링의 후단부에서 내향 방사상 플랜지에 의하여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후향 플랜지의 내면에 고정된다.
링은 후향 플랜지에 고정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접속부재의 플랜지는 단일 두께일 수 있거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두께를 두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진공 서스펜드형 탠덤 공압 부우스터는 접시형태인 한쌍의 대향된 셀(2)(3)로 구성되는 하우징(1)으로 구성된다. 두 셀은 변부 만곡작업으로 구성되는 것과 같은 적당한 커플링(4)으로 이들의 주연변부가 함께 고정된다. 하우징의 내부는 환상의 격벽(7)에 의하여 전후방 격실(5)(6)로 나누어진다. 격벽(7)은 셀(3)의 벽에 놓이고, 커플링(4)측으로 향하는 주연스커어트(8)를 갖는다.
제1 가동벽(9)이 전방격실(5)을 정압의 전방챔버(10)와 후방 가변압력 챔버(11)로 나눈다. 마찬가지로 제2 가동벽(12)이 후방격실을 전방 정압챔버(13)와 후방 가변압력 챔버(14)로 나눈다.
제1 가동벽(9)은 롤링 다이아프램(16)으로 지지된 피스턴(15)으로 구성된다. 다이아프램(16)의 외측 주연변부에 형성된 환상 비이드(17)가 셀(3)과 격벽(7) 사이를 밀폐하고, 이 비이드(17)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격벽(7)에 대하여 외측으로 확대된 두께가 두배인 환상 돌출부(18)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된다. 다이아프램(16)의 방사상 최내측 단부에 형성된 환상 비이드(19)는 중앙의 원통형 슬리이브(20)에 의하여 고정되며 이 슬리이브(20)는 이와 동축상이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 슬리이브(22)에 의하여 격벽(7)의 내측 단부에서 환상씨일(21)을 통하여 활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슬리이브(20)와 내측 슬리이브(22)가 슬리이브 반조립체를 구성한다.
별도 구성부품인 것을 대신하는 수정형태에서 내측 슬리이브(22)는 후향된 원통형 연장부를 형성토록 피스턴(15)으로부터 인발된다.
제2 가동벽(12)은 슬리이브(20)에 접속하는 피스턴(25)으로 구성되고, 슬리이브(20)는 변부만곡작업으로 구성되는 것과 같은 커플링(24)으로 중앙의 슬리이브(31)에 고정된다. 피스턴(25)은 롤링 다이아프램(26)으로 지지되고, 이 다이아프램(26)의 외측 변부에 형성된 환상 비이드(27)가 격벽(7)의 환상 플랜지(8)의 보상적인 부분과 커플링(4)으로 연결되는 셀(2)(3)의 벽 사이를 밀폐한다. 다이아프램(26)의 내측 단부에서 축방향 후측으로 연장된 비이드(30)는 셀(2)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어 부우스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밸브기구(32)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중앙의 슬리이브(31)의 외면과 연결되어 밀폐부를 형성한다.
가동벽(9)(12)은 슬리이브(20)에 조립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슬리이브(20)를 통하여 내측 슬리이브(22)를 삽입하므로서 그 위치에 고정되어 가동벽(9)의 내측 단부가 슬리이브(20)의 단부와 내측 슬리이브(22)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외향 플랜지 사이에 고정된다. 슬리이브(2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방사상 내향 플랜지가 역시 변부만곡작업으로 형성되는 커플링(24)에 의하여 중앙의 슬리이브(31)에 연결된다. 이로써 두 가동벽(9)(12)과 밸브기구(32)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슬리이브(31)로 구성되는 조립체가 구성된다.
연결롯드(33)는 하우징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두 셀(2)(3)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대향단부에 인접하여 연결된다. 연결롯드(33)는 엔진격실에 부우스터를 착설하고, 마스타 실린더를 취부하기 위한 취부구를 제공하여 연결롯드(33)를 통하여 격실로부터 직접 마스타 실린더가 취부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연결롯드(33)는 포선형 벨로우즈(34)를 통하여 돌출되고, 이 벨로우즈의 양측 단부는 가동벽(12)과 격벽(7)에 형성되어 정렬된 개방부 둘레에서 밀폐되며, 가동벽(9)은 다이아프램(16)에 일체로 구성되어, 이로부터 피스턴(15)의 개방부(36)를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밀폐 부우트(35)에 의하여 연결롯드(33)에 연결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16)과 부우트(35)는 단일 부재로 구성된다.
슬리이브(31)는 단층형이고, 밀폐형 개방부(40)를 통하여 하우징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고, 개방부에서 슬리이브가 짧은 거리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개방부(40)는 직경이 큰 플랜지부분(42)의 외측 단부에서 직경이 작은 플랜지부분(41)내에 형성되고, 두 플랜지부분(41)(42)은 방사상 웨브(43)로 연결된다. 플랜지부분(42)의 외경은 차량의 격벽내에 형성된 보상적인 개방부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적당한 직경을 가지며, 이에 대하여 연결롯드(33)의 나선부(45)에 나선결합되는 너트와 나선부(45)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서 셀(2)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된 나선봉(46)에 의하여 환상 지지면(44)이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밸브기구(32)는 내측 단부가 슬리이브(31)의 축공(52)에서 활동토록 안내되는 피스턴으로 구성된 포핏 밸브부재(51)에 결합된 페달작동형 롯드(50)로 구성된다. 밸브부재(51)의 최외측 단부에는 부분 구형체의 밸브시이트(54)가 형성되어 있다. 유연성의 밸브부재(56)의 내측 단부에서 환상 밸브헤드(55)는 롯드(50)의 턱(58)에 접하는 스프링(57)에 의하여 밸브시이드(54)와 슬리이브(31)의 환상 밸브헤드(55)측으로 탄지된다. 밸브헤드(55)는 주연변부에는 슬리이브(31)내에서 밸브 헤드(55)의 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포핏 밸브부재(51)에 대하여 중심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둔 다수의 축방향 연장리브(49)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가 슬리이브(31)의 외측 단부에 배치되고 롯드(50)에 대하여 복귀스프링으로서 작용하며 슬리이브(31)의 접속부에 밸브부재(56)를 고정하는 원추형의 나선스프링(61)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형성하는 필터(60)를 통하여 밸브기구(32)로 유입된다.
포핏 밸브부재(51)에는 방사상 슬로트(62)가 구비되어 있고, 슬로트(62)에 삽입되는 키(63)가 밸브부재(51)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키(63)는 부우스터 작동중에 슬리이브(31)에 대하여 밸브부재(51)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하나 밸브기구(32)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페달을 놓았을 때에 셀(2)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두 정압챔버(10)(13)는 셀(3)의 벽에 형성된 역지밸브연결부(70)를 통하여 차량의 유입매니폴드와 같은 적당한 진공원에 연결되며 이들 두 챔버(10)(13)는 슬리이브(20)의 중심과 이 슬리이브(20)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포트(7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정상적인 제동해제상태에서 가변압력챔버(11)(14)는 이러한 상태에서 밸브헤드(55)가 키(63)와 셀(2)의 결합으로 결정된 위치에서 밸브시이트(54)와 밸브헤드(55)의 결합으로 밸브헤드(59)에 접촉하므로 벨로우즈(34)와 밸브기구(32)의 내부를 통해 거의 대기압력으로 유지된다.
프레스된 금속 코아(80)가 슬리이브(22)의 통공내에 배치된다. 이 코아(80)는 피스턴형태의 포핏 밸브부재(51)가 축방향으로 연장된 출력부재(83) 상에 작용하는 반작용 디스크(82)를 위한 지지체를 형성하는 소경의 후향 통공(81)을 갖는 단층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출력부재(83)는 반작용 디스크(82)와 소경의 통공(81)내에 결합되는 리테이너(84) 사이에 개재된 확대 헤드(85)를 갖는다.
코아(80)는 이 코아상에 형성된 주연방향 연장리브(86)(88)에 의하여 정하여진 축방향으로 간격을 둔 두 위치에서 슬리이브(22)내에 배치된다. 최내측 리브(86)는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둔 절결부(87) 사이에 형성된 원호영역으로 불연속 되게 형성되고, 슬리이브(31)에 접하는 후퇴위치에서 코아(80)를 고정하는 복귀스프링(89)의 접속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후퇴위치는 셀(2) 내에서 키(63)의 결합으로 결정된다.
출력부재(83)는 쇄선윤곽으로 보인 동체(91)가 부우스터 하우징(1)의 내측 단부에 밀폐가능하게 삽입된 오우버행 형태인 마스타 실린더의 보상적인 입력 구성부재와 회전되지 않게 결합토록 그 외측 단부에 인접한 스플라인 부분(90)을 갖는다. 마스타 실린더의 구성부분은 롯드형태인 출력부재(83)의 단부에서 회전부재(92)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부우스터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동벽(9)은 셀(3)에 삽입되고, 슬리이브가 이 가동벽(9)에 대하여 다이아프램(16)의 내측 변부에서 두꺼운 부분을 감싸도록 슬리이브(220를 둘러싸고 연결롯드(33)가 부우트(35)를 통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슬리이브(20)와 슬리이브(22)가 용접등의 방법으로 연결된다. 격벽(7)이 셀(3)의 개방단부로 삽입되고, 씨일(21)이 슬리이브(20)의 외면에 밀폐가능하게 결합되며, 격벽(7)이 셀(3)의 벽에 대하여 다이아프램(16)의 외부에서 두꺼운 부분을 감싼다. 코아(80)와 밸브기구(32)를 수용하고 있는 슬리이브(31)가 다음으로 셀(3)의 개방단부에 삽입되며, 코아(80)가 슬리이브(22) 내에 활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리이브(22)가 변부만곡방법으로 슬리이브(31)에 고정된다. 가동벽(12)이 슬리이브(22)와 슬리이브(31)에 고정된 다이아프램(26)의 내측 변부에서 두꺼운 부분이 셀(3)에 삽입된다. 셀(2)이 셀(3)의 개방 단부에 결합되어 비이드(27)가 두 셀(3)(2)의 보상적인 부분과 주연스커트(8)사이에 고정된 후에 커플링(4)이 하우징에 결합되어 셀(3)(2)을 고정하므로서 조립이 완성된다.
따라서 마스타 실린더의 동체(91)와 부우스터의 조립체가 축방향으로 콤팩트하게 된다.
부우스터의 작동에 있어서, 밸브기구(32)가 키(63)와 방사상 웨브(43)의 결합으로 평형상태에 있으므로 밸브헤드(55)와 이미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롯드에 제동력이 가하여지면 밸브시이트(54)와 밸브헤드(55)가 분리되므로서 두 후방격실(11)(14)로 공기가 유입되어 부우스터를 작동시킨다. 이후에 부우스터는 공지된 방법으로 두 가동벽(9)(12)과 함께 이동하므로서 페달작동력에 응답하여 출력부재(83)에 제동력이 가하여지도록 한다.
도 2에서 보인 수정형태의 밸브기구에 있어서, 밀폐 부우트(100)가 페달작동 롯드(50)와 셀(2)에 착설된 환상 칼라(101) 사이를 밀폐한다. 칼라(101)는 부우트(100)의 내부, 그리고 부우스터에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방사상 공기 유입필터(102)를 위한 취부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므로서 부우스터는 저소음으로 작동한다.
그밖에 밸브기구의 구조와 작동은 도 1과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격벽의 개방부에 도 1의 부우스터를 설치하여 방사상 방향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셀(2)은 이 셀(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환상의 단일 후향 플랜지(105)를 가지며, 방사상 웨브(43) 대신에 키(63)를 위함 별도의 키후퇴정지구(106)가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정지구(106)는 셀(2)의 내면에서 주연방향으로 연상된 요구(110) 내에 삽입되는 회전방향으로 간격을 둔 다수의 톱니(109)를 갖는 고정링(108)의 외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방사상 플랜지(107)로 구성된다. 링(108)은 외향 만곡부(111)가 셀(2)과 플랜지(105) 사이의 만곡영역에서 결합되어 반대방향으로 축방향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에서 보인 수정형태에서, 키후퇴정지구(106)는 환상 플랜지(105)의 내부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기다란 "S"자 형태의 스프링부재(120)로 구성된다. 이 스프링부재(120)의 내측 단부가 셀(2)에 가압된 리브(121)에 접속되게 이 스프링부재(120)를 고정토록 플랜지(105)의 벽에 고정된다. 두께가 두배인 방사상 플랜지(122)가 스프링부재(120)의 내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키(63)가 접하는 접속부를 형성한다.
도 3과는 다르게 셀(2)에 대하여 키후퇴정지구(106)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므로서 비이드(30)와 셀(2) 사이에 형성된 통로(125)가 도 3의 실시형태와 같이 후퇴정지구(106)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으므로 비이드(30)와 셀(2) 사이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한다.
아울러, 두께가 두배인 방사상 플랜지(122)를 이용하므로서 키의 접속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로써 키(63)와 부재(120) 사이의 방사상 간극(126)을 증가시켜 키(63)가 접속되는 후퇴정지구(106)가 오염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6)

  1. 가동벽(9, 12)이 페달로부터 제동력을 마스타 실린더에 가하기 위하여 압력차이를 받을 때에 부우스터 하우징(1)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량제동시스템용 공압작동부우스터에 있어서, 슬리이브(20, 22, 31)내에 수용된 밸브기구(32)가 중심의 코아(80)에 의하여 하우징(1)내에 조립되고, 슬리이브(20, 22, 31)가 하우징(1)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코아(80)가 복귀 스프링(89)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성하는 연장리브(86)와 반작용 디스크(82)가 마스타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출력부재(83)에 작용하도록 반작용 디스크(82)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통공(8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동시스템용 공압작동부우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코아(80)가 슬리이브(20, 22, 31)와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우스터가 간격을 둔 가동벽(9, 12)을 포함하는 탠덤구조이고, 코아(80)가 슬리이브(20, 22, 31)로 둘러싸이며 이에 가동벽(9, 12)의 내측단부가 밀폐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슬리이브(20, 22, 31)가 동축상의 내외측 슬리이브(20, 22)로 구성되고 내측 슬리이브(22)는 외측 슬리이브(20)에 가동벽(9, 12)의 내측단부를 고정하고 밸브기구(32)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슬리이브(31)와 결합토록 리테이너로서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우스터와 밸브기구의 구성요소의 후퇴위치가 밸브기구(32)의 일부분이 협동토록 되어 있는 후퇴정지구에 의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6. 제 5 항에 있어서, 후퇴정지구가 하우징(1)의 벽의 일부분인 플랜지부분(41)으로 구성되고, 피스턴형태의 포핏 밸브부재(51)가 방사상 키(63)를 통하여 후퇴정지구와 협동하는 밸브기구(32)의 일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7. 제 6 항에 있어서, 키(63)가 협동하는 하우징의 플랜지부분이 대소직경의 내외측 방사상 플랜지(41, 42)를 연결하는 방사상 웨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8. 제 6 항에 있어서, 후퇴정지구가 부우스터 하우징의 내면에 착설되어 이와 협동하는 별도의 키후퇴정지구(10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9. 부우스터 하우징(1), 하우징을 전후 격실(5, 6)로 나누는 격벽(7), 전방 격실(5)을 정압의 제1 전방챔버(10)와 가변압력의 제1 후방챔버(11)로 나누는 제1 가동벽(9), 후방격실(6)을 정압의 제2 전방챔버(13)와 가변압력의 제2 후방챔버(14)로 나누는 제2 가동벽(12),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격벽(7)을 통하여 밀폐가능하고 활동가능하게 연장된 슬리이브(20, 22)와 내측 단부에서 슬리이브(20, 22)에 결합되어 이와 함께 조립체를 구성하는 슬리이브(31)로 구성되고, 이 슬리이브(31)는 부우스터 하우징(1)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되어 부우스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페달작동형 밸브기구(32)의 밸브 하우징을 형성하며, 접속부를 구서아는 웨브(43)가 슬리이브(31)와 부우스터 하우징(1) 사이에 형성되어 밸브기구(32)의 후퇴 위치를 한정하고, 복귀 스프링(89)이 슬리이브(31)에 작용하여 이를 웨브(43)측으로 탄지하는 차량제동시스템용 공압작동 탠덤형 부우스터에 있어서, 각 가동벽(9, 12)이 그 내측변부에서 슬리이브(20, 22, 31)에 밀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전방챔버(10)가 슬리이브(20, 22, 31)의 내부와 슬리이브(20, 22, 31)의 포트(71)를 통하여 영구적으로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동 시스템용 공압작동 탠덤형 부우스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복귀스프링(89)이 슬리이브(20, 22)의 통공내에 배치된 코아(80)에 작용하고, 코아(80)가 페달이 출력부재(83)에 작용하는 반작용 디스크(82)의 지지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형 부우스터.
  11. 가동벽(9, 12)이 페달로부터의 제동력을 마스타 실린더에 가하기 위하여 압력차이를 받을 때에 부우스터 하우징(1)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량제동시스템용 공압작동부우스터에 있어서, 복귀스프링의 탄력과 기타 부하를 받는 후퇴정지구가 부우스터의 하우징(1) 내에 배치되고 밸브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키(63)가 협동하며 하우징의 셀(2)의 후측으로 배치된 내향돌출형의 방사상 플랜지(107, 122)를 갖는 키후퇴정지구(10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제동 시스템용 공압작동 부우스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구성부품의 후퇴위치가 밸브기구(32)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스턴형태의 포핏 밸브부재(51)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키(63)의 협동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키후퇴정지구(106)가 이 키후퇴정지구(106)의 후단부에서 내향된 방사상 플랜지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부를 갖는 후향 플랜지(105)의 내면에 고정된 환상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키후퇴정지구(106)가 후향 플랜지(105)와 고정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15. 제 11 항에 있어서, 키후퇴정지구(106)가 단일 두께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16. 제 11 항에 있어서, 키후퇴정지구(106)가 이중 두께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우스터.
KR1019930010096A 1992-06-04 1993-06-04 차량제동시스템용공압작동부우스터 KR100311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11850.4 1992-06-04
GB929211850A GB9211850D0 (en) 1992-06-04 1992-06-04 Improvements in pneumatically operated boosters for vehicle braking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323A KR940000323A (ko) 1994-01-03
KR100311983B1 true KR100311983B1 (ko) 2001-12-28

Family

ID=1071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096A KR100311983B1 (ko) 1992-06-04 1993-06-04 차량제동시스템용공압작동부우스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0573233B1 (ko)
JP (3) JP3595349B2 (ko)
KR (1) KR100311983B1 (ko)
DE (2) DE69303983T2 (ko)
ES (2) ES2090873T3 (ko)
GB (1) GB9211850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4876B1 (fr) * 1994-01-07 1996-03-01 Alliedsignal Europ Services Servomoteur pneumatique d'assistance au freinage, à fonctionnement silencieux.
JPH10129458A (ja) * 1996-11-05 1998-05-1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ブレーキブースタ
US5878650A (en) * 1997-05-21 1999-03-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booster sealing mechanism
GB9824315D0 (en) 1998-11-06 1998-12-30 Rover Group A motor vehicle vacuum assisted braking system
KR100901827B1 (ko) * 2008-09-11 2009-06-0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패닉 브레이킹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부스터
US9168904B2 (en) * 2010-01-26 2015-10-27 Kelsey-Hayes Company Input and output rods for vacuum brake boos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8855U (ja) * 1984-02-09 1985-08-29 自動車機器株式会社 ブレ−キブ−スタの消音装置
JPS6145277U (ja) * 1984-08-30 1986-03-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タンデム型倍力装置
DE3505626A1 (de) * 1985-02-19 1986-08-21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Bremskraftverstaerker
FR2630693B1 (fr) * 1988-04-28 1990-07-13 Bendix France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a saut regl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3983D1 (de) 1996-09-19
EP0573234A1 (en) 1993-12-08
JP2004189231A (ja) 2004-07-08
DE69312173T2 (de) 1997-10-30
KR940000323A (ko) 1994-01-03
EP0573234B1 (en) 1996-08-14
ES2104060T3 (es) 1997-10-01
DE69303983T2 (de) 1997-01-02
DE69312173D1 (de) 1997-08-21
ES2090873T3 (es) 1996-10-16
JPH06144208A (ja) 1994-05-24
JP2006188207A (ja) 2006-07-20
JP3595349B2 (ja) 2004-12-02
JP3813617B2 (ja) 2006-08-23
GB9211850D0 (en) 1992-07-15
EP0573233A1 (en) 1993-12-08
EP0573233B1 (en) 199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89547A (en) Fluid pressure servomotor
EP0164198B1 (en) Pneumatic brake booster
JPS5940660B2 (ja) バキユ−ムブレ−キブ−スタ
EP0034507B2 (en) Servo boosters for vehicle braking systems
US4173172A (en) Tandem brake booster
KR100311983B1 (ko) 차량제동시스템용공압작동부우스터
JPH0425187B2 (ko)
GB2053395A (en) Servo booster for a vehicle braking system
JP2540050B2 (ja) 空気圧ブレ―キブ―スタ
US4270438A (en) Servo boosters for vehicle braking systems
US5367941A (en) Pneumatic booster with valve
US5704270A (en) Vacuum brake booster for automotive vehicle
KR880002072B1 (ko) 피스톤과 출력부재 사이에 힘증폭 시스템을 갖는 제동보조 서어보 모우터
US4393750A (en) Brake booster
US4881452A (en) Tandem vacuum booster and diaphragm for same
US5697284A (en) Booster
KR920006887Y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시일장치
CZ210695A3 (en) Vacuum brake booster for motor vehicles
EP0242085B1 (en) Compressed air-operated servo-booster
US5537910A (en) Actuator for a brake booster
JP2650213B2 (ja) 負圧倍力装置
US5878651A (en) Tandem vacuum brake booster
KR200296183Y1 (ko) 차량용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밸브본체
JPS6213894Y2 (ko)
JPS62134366A (ja) タンデムブレ−キ倍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118

Effective date: 200506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1118

Effective date: 2005063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004

Effective date: 20070315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