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271B1 - 파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캐비티내에 구비된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파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캐비티내에 구비된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271B1
KR100311271B1 KR1019980006914A KR19980006914A KR100311271B1 KR 100311271 B1 KR100311271 B1 KR 100311271B1 KR 1019980006914 A KR1019980006914 A KR 1019980006914A KR 19980006914 A KR19980006914 A KR 19980006914A KR 100311271 B1 KR100311271 B1 KR 100311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oven
cavity
arc
sidewall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791A (ko
Inventor
전우금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0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271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0Feed lines
    • H05B6/707Feed lines using wave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고주파가 캐비티 내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는 전자 렌지가 개시되었다. 상기 전자렌지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로부터 분리되는 제어실을 구비하는 캐비넷, 상기 캐피티의 전방에 설치되는 도어, 상기 제어실에 설치되어 고주파를 생성시키는 마그네트론 및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를 상기 캐비티 내로 안내하기 위한 도파관을 구비한다. 상기 캐비티는 상부벽, 하부벽, 상기 도파관이 부착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에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제2 측벽,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에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제3측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에는 고주파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측벽과 제3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렌지는 고주파를 음식물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고르게 침투시키므로 상기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요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 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캐비티 내에 구비된 전자렌지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를 전자렌지의 캐비티 내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키므로써 식품을 효과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이라는 고주파 발진관에 고압전기를 가하여 초고주파를 발생시키므로 써 식품을 요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은 약 2,450 MHz의 초고주파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초고주파가 전자렌지에 내장된 식품에 가해지면, 식품의 분자들은 매우 빠른 속도로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분자들 간의 마찰에 의해 많은 마찰열이 발생하게 된다. 전자렌지는 이러한 마찰열을 이용하여 식품을 요리한다.
상기 고주파는, 통상적으로 캐비넷의 내측 저면에 설치되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의 제1차 및 2차 유도 코일의 상호 유도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고전압을 마그네트론에 인가함에 따라 발생되고, 이러한 고주파는 도파관을 통하여 전자렌지의 조리실 내부로 조사된다.
도 11에는 이러한 종래 전자렌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전자렌지(400)은 캐비넷(430)을 구비한다. 상기 캐비넷(430)은 격벽(415)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캐비티(cooking cavity; 410) 및 제어실(control chamber; 420)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415)의 소정 위치에는 마그네트론(440)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를 상기 캐비티(410)으로 안내하는 도파관(45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440)은 상기 도파관(45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440)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가 상기 도파관(450)을 통해 상기 캐비티(410) 내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격벽(415)에는 관통 호올(4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론(440)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주파를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4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실(420)의 바닥벽에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스포머(46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포머(460)은 상기 마그네트론(440)에 연결되어 상기 마그네트론(440)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캐비티(410) 내에는 요리될 식품이 놓여지게 되는 조리대(cooking tray; 480)이 제공된다. 식품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리대(480)은 샤프트(472)를 통해 모터(470)에 연결되어 요리시 상기 모터(47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자렌지(4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사용자가 캐비넷(43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작동 스위치(도시 안됨)를 누르면, 상기 전자렌지(400)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안됨)가 상기 트랜스포머(460)에 작동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랜스포머(460)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고전압은 상기 마그네트론(440)에 전달되어 상기 마그네트론(440)에 의해 고주파가 생성된다. 상기 고주파는 상기 안테나(442), 도파관(450) 및 관통 호올(452)을 통해 상기 캐비티(410) 내부로 조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480)에 얹혀진 식품이 가열된다.
동시에, 상기 마이컴은 상기 모터(47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며, 이에 따라 모터(470)이 구동하여 상기 식품이 가열되는 동안 상기 조리대(480)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전자렌지(400)은, 상기 캐비티(410)으로 조사되는 고주파가 불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상기 조리대(480)에 많은 양의 식품이 놓여 있을 경우 식품의 일부분에 상기 고주파가 도달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식품이 불균일하게 가열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품들이 고주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식품들을 휘저을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렌지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전자렌지는 상기 식품에 고주파를 고르게 조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식품들을 충분히 저어 주어야 할뿐만 아니라, 상기 식품이 무른(fragile) 재료일 경우 이러한 휘젓기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불러드(Boulard)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937,418호는 식품들을 휘젓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캐비티 내부의 온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전자렌지를 개시한다.
불러드의 전자렌지는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수납 개구부(wave-receiving opening) 및 하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확산 개구부(wave-diffusing opening)를 갖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파분산장치(wave spreader)를 구비한다. 상기 도파관의 내부에는 도파관으로 유입되는 파(wave)를 굴절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디플렉터가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불러드의 파분산장치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캐비티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캐비티의 활용 면적을 축소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사카이(Sakai)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698,128호는 캐비티 내에 프로젝션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렌지를 개시하고 있다. 사카이의 전자렌지는 그 캐비티 내에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볼록형 프로젝션을 형성시키므로써 캐비티내로 조사되는 고주파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사카이의 전자렌지는 상기 다수개의 볼록형 프로젝션을 형성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제조가 용이하지 않으며, 볼록형 프로젝션의 수가 적을 때에는 고주파가 캐비티 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주파를 캐비티 내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으며, 구성이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M-N부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조리물의 수평 방향 가열온도 분포를 실험하기 위해 시료들이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 전자렌지에 의해 실험된 시료들의 수평 방향의 가열온도 편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에 의해 실험된 시료들의 수평 방향의 가열온도 편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조리물의 수직 방향 가열온도 분포를 실험하기 위한 시료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종래 전자렌지에 의해 실험된 시료의 수직 방향의 가열온도 편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에 의해 실험된 시료의 수직 방향의 가열온도 편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 분산용 호형 오목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 분산용 호형 오목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 전자렌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전자렌지 110; 캐비티
115; 제1 측벽 116; 도어
117; 제2 측벽 118; 제3 측벽
120; 제어실 130; 캐비넷
140; 마그네트론 142; 안테나
150; 도파관 152; 고주파 배출공
160; 트랜스포머 180; 트레이
182; 제1 호형 오목부 184; 제2 호형 오목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요리될 음식물이 수납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로부터 분리되는 제어실을 구비하는 캐비넷; 상기 캐비티를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설치되는 도어; 상기 제어실에 설치되어 고주파를 생성시키는 마그네트론; 및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를 상기 캐비티 내로 안내하기 위한 도파관을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는 상부벽, 하부벽, 상기 도파관이 부착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에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제2 측벽,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에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제3측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벽에는 고주파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측벽과 제3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측벽과 제3 측벽에는 각각 두개의 호형 오목부가 서로 소정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호형 오목부의 직경은 λ/2 (λ=고주파의 파장)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된 호형오목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바닥벽까지의 거리는 λ/2 이상으로 헝성된다. 또한, 상기 호형 오목부의 깊이는 3 내지 24mm 사이에서 설정된다.
평면에서 볼때,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된 두개의 호형 오목부의 중심과 상기 고주파 배출공의 중심은 일직선 상에 또는 소정 거리 만큼 옵셋되게 위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렌지(100)은 캐비넷(130)을 구비한다. 상기 캐비넷(130)은 제1 측벽(115)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캐비티(110) 및 제어실(12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110)은 상부벽(111), 바닥벽(112), 상기 전자렌지(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도어(116; 도2에 도시됨), 상기 제1 측벽(115), 상기 제1 측벽(115)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측벽(117) 및 상기 도어(116)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 측벽(118)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어실(120) 내에는 마그네트론(140)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를 상기 캐비티(110)으로 안내하는 도파관(150)이 상기 제1 측벽(115)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파관(150)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측벽(115)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주파가 상기 캐비티(110)내로 조사될 수 있도록 고주파 배출공(152)가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론(140)은 상기 도파관(15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론(140)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주파를 상기 도파관(150)으로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실(120)의 바닥벽에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스포머(16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포머(160)은 상기 마그네트론(140)에 연결되어 상기 마그네트론(140)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캐비티(110) 내에는 요리될 식품(186)이 놓여지게 되는 조리대(180)이 제공된다. 식품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리대(180)은 샤프트(172)를 통해 모터(170)에 연결되어 요리시 상기 모터(17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110) 내로 조사되는 고주파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캐비티(110)의 제2 측벽(117)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호형 오목부(arcuated concave recess; 182)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110)의 제3 측벽(118)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호형 오목부(18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측벽(117)과 제3 측벽(118)에는 각각 두개의 호형 오목부가 서로 소정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벽에도 하나 이상의 호형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형 오목부의 직경(D)는 λ/2 (λ=고주파의 파장)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형 오목부의 직경은 70∼100mm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호형 오목부(182, 184)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된 두개의 호형 오목부(182) 사이의 중심(C)로부터 상기 바닥벽까지의 거리(L)은 λ/2 이상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리(L)은 60mm 이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호형 오목부의 깊이(d)는 3 내지 24mm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및제2 호형 오목부(182, 184)의 깊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에서 볼때, 상기 제2 측벽(117)에 형성된 두개의 호형 오목부(182)의 중심(C)와 상기 고주파 배출공(152)의 중심은 일치하거나 일정한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에서 볼때, 상기 제2 측벽(117)에 형성된 두개의 호형 오목부(182)의 중심(C)가 상기 고주파 배출공(152)의 중심에 대해 옵셋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그 옵셋 거리(ℓ)은 λ/8 이하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평면에서 볼때, 상기 제2 측벽(117)에 형성된 두개의 호형 오목부(182)의 중심(C)는 상기 고주파 배출공(152)의 중심에 대해 15mm 이하의 거리만큼 옵셋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형 오목부(282)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형 오목부(282)는 그 선단에 자신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테두리부(284)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호형 오목부(282)를 상기 캐비티(110)의 측벽에 형성시키는 작업이 용이해 진다. 상기 테두리부(284)의 폭(t)는 대략 1mm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호형 오목부(382)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호형 오목부(382)는 그 선단에 자신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테두리부(384)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테두리부(384)의 반경은 상기 호형 오목부(382)의 반경 보다 대략 1mm 또는 그 이상으로 크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폭(t)도 대략 1mm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10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사용자가 캐비넷(13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작동 스위치(도시 안됨)를 누르면, 상기 전자렌지(100)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안됨)가 상기 트랜스포머(160)에 작동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작동신호를 인가 받음에 따라, 상기 트랜스포머(160)은 고전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트랜스포머(160)은 상기 고전압을 상기 마그네트론(140)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140)에 의해 고주파가 생성된다. 상기 고주파는 상기 안테나(142), 도파관(150) 및 고주파 배출공(152)를 통해 상기 캐비티(110) 내부로 조사된다.
도1 및 도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110)의 내부로 조사된 고주파가 상기 제2 측벽 및 제3 측벽(117, 118)에 형성되어 있는 호형 오목부(182, 184)에 접촉되면, 상기 고주파의 반사각도가 다양하게 굴절되어 상기 트레이(180) 상에 놓여진 음식물(186)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고르게 통과하므로써, 음식물이 효율적으로 가열된다.
상기 고주파가 상기 음식물(186)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고르게 침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캐비티(110) 내로 조사된 고주파와 호형 오목부(182, 184)에 의해 반사된 반사파가 음식물을 향해 적절히 유도되고, 또한, 그 반사파와 조사파의 교차(cross)에 의해 생성되는 핫스팟(hot spot)이 캐비티(110)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호형 오목부(182, 184)의 위치, 형상 및 크기가 적절하게 선택되어야만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다수회의 기하학적인 실험을 통해 최적의 핫스팟을 만들 수 있는 호형 오목부(182, 184)의 위치, 형상 및 크기를 찾아내었다. 따라서,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위치,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호형 오목부(182, 184)를 상기 캐비티(110)의 제2 및 제3 측벽(117, 118)에 형성한 결과, 상기 캐비티(110)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주파가 고르게 분포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본 출원의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이다. 먼저, 수평 방향의 가열온도 편차를 파악하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들(1, 2, 3, 4, 5)를 트레이 상에 배치하였다. 상기 시료로는 물을 담은 일반적인 비이커가 사용되었다. 종래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가 아래 표1 및 표2에 각각 기재되어 있다.
종래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온도/시료번호 1 2 3 4 5
T1 17.9 18.2 18.3 18.2 18.2
T2 54.1 56.8 58.8 63.6 60.8
△T 36.2 38.6 40.5 45.4 42.6
△Tmax-△Tmin 9.2
(T1: 초기 온도, T2: 가열후 온도, △T: 가열 전후 온도차. △Tmax: 최대 온도차, △Tmin; 최소 온도차, 가열시간: 2분)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온도/시료번호 1 2 3 4 5
T1 16.7 16.8 16.9 16.9 16.7
T2 57.2 55.5 60.1 60.1 56.0
△T 40.5 38.7 43.2 43.2 39.3
△Tmax-△Tmin 4.5
(T1: 초기 온도, T2: 가열후 온도, △T: 가열 전후 온도차. △Tmax: 최대 온도차,△Tmin; 최소 온도차, 가열시간: 2분)
도4 및 도5는 상기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4 및 도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최소 온도차를 갖는 시료(1)과 최대 온도차를 갖는 시료(4) 사이의 온도차(w)는 9.2°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최소 온도차를 갖는 시료(2)와 최대 온도차를 갖는 시료(4) 사이의 온도차(w)가 4.5°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상기 음식물의 수평방향으로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 진다는 것을 상기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아울러, 수직 방향의 가열온도 편차를 파악하기 위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우유병을 시료로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종래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시험한 결과가 아래 표3 및 표4에 각각 기재되어 있다.
종래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시험한 결과.
위치/시간(초)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상부 19.1 22.9 27.9 31.9 35.7 39.4 42.3 45.6 46.9 49.3
중간부 19.0 24.7 30.0 34.5 39.7 44.2 48.7 51.8 54.1 57.7
하부 19.2 28.9 37.5 45.3 54.4 61.2 70.9 78.4 85.8 93.6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위치/시간(초)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상부 16.4 20.5 24.2 28.3 32.3 35.7 38.2 40.7 43.5 44.4
중간부 17.0 24.0 30.8 37.3 43.5 48.5 51.9 55.6 59.4 62.4
하부 17.4 26.9 34.7 42.6 50.9 58.2 64.5 73.2 81.7 89.7
도7 및 도8은 상기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7 및 도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전자렌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우유병의 상부와 중간부 사이의 온도차(w1)가 상기 중간부와 하부 사이의 온도차(w2)에 비해 크게 형성되었으며, 본 발명의 전자렌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우유병의 상부와 중간부 사이의 온도차(w1)가 상기 중간부와 하부 사이의 온도차(w2)와 대략 비슷하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상기 음식물의 수직방향으로 비교적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 진다는 것을 상기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들은 다수회의 실험을 통해 획득된 것으로서, 물, 핏자, 및 우유등을 시료로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상기 음식들이 매우 균일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요리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맛도 더욱 향상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음식물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고주파를 균일하게 침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식품에 대한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요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호형 오목부의 형상이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며, 고주파를 분산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전술된 명세서와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실시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요리될 음식물이 수납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로부터 분리되는 제어실을 구비하는 캐비넷;
    상기 캐비티를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설치되는 도어;
    상기 제어실에 설치되어 고주파를 생성시키는 마그네트론; 및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를 상기 캐비티 내로 안내하기 위한 도파관을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는 상부벽, 하부벽, 상기 도파관이 부착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에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제2 측벽,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에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제3측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벽에는 고주파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측벽과 제3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과 제3 측벽에는 각각 두개의 호형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오목부의 직경은 λ/2 (λ=고주파의 파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오목부의 직경은 30∼100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삭제)
  6. (삭제)
  7.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오목부의 깊이는 3 내지 24mm 사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8.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때,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된 두개의 호형 오목부의 중심과 상기 고주파 배출공의 중심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9.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때,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된 두개의 호형 오목부의 중심은 상기 고주파 배출공의 중심에 대해 λ/8 이하의 거리만큼 옵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0.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때, 상기 제2측벽에 형성된 두개의 호형 오목부의 중심은 상기 고주파 배출공의 중심에 대해 15mm 이하의 거리만큼 옵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오목부의 선단에는 1mm 이상의 폭을 갖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19980006914A 1998-03-03 1998-03-03 파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캐비티내에 구비된 전자렌지 KR100311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14A KR100311271B1 (ko) 1998-03-03 1998-03-03 파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캐비티내에 구비된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14A KR100311271B1 (ko) 1998-03-03 1998-03-03 파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캐비티내에 구비된 전자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791A KR19990073791A (ko) 1999-10-05
KR100311271B1 true KR100311271B1 (ko) 2002-06-24

Family

ID=3753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914A KR100311271B1 (ko) 1998-03-03 1998-03-03 파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캐비티내에 구비된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2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791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6893C (en) Wave guide system of a microwave oven
KR100200063B1 (ko) 전자렌지의 고주파 분산장치
JPH11506864A (ja) 円筒状マイクロ波アプリケータ
US2888543A (en) Electronic heating apparatus
JPH10106741A (ja) 電子レンジの導波管システム
US2827537A (en) Electronic heating apparatus
JP2003173867A (ja) 電子レンジ
JPS63114093A (ja) マイクロ波調理器具
KR100311271B1 (ko) 파분산용 호형 오목부가 캐비티내에 구비된 전자렌지
US5919391A (en) Microwave oven having arcuate concave portions in a cavity for distributing microwaves
KR100208693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전자렌지용 도파관
US4147912A (en) Shaped antenna for energy distribution in a microwave cooking cavity
EP0949848B1 (en) Microvawe oven having arcuate concave portions in a cavity for distributing microwaves
JP3855337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3755995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H11311418A (ja) 電子レンジ
JP2007042333A (ja) 高周波加熱装置
KR0127653Y1 (ko) 고주파 가열장치
JP3619044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2000179864A (ja) 高周波加熱装置
KR0124302Y1 (ko) 전자레인지
KR200154601Y1 (ko) 전자 렌지의 마이크로파 방사 구조
KR200182324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열반사 장치
JPWO2019087418A1 (ja) 加熱調理器
JPH04319287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