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005B1 - 드라이어장치를구비한전자사진방식프린터 - Google Patents

드라이어장치를구비한전자사진방식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005B1
KR100311005B1 KR1019980005604A KR19980005604A KR100311005B1 KR 100311005 B1 KR100311005 B1 KR 100311005B1 KR 1019980005604 A KR1019980005604 A KR 1019980005604A KR 19980005604 A KR19980005604 A KR 19980005604A KR 100311005 B1 KR100311005 B1 KR 10031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hot air
air
toner imag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639A (ko
Inventor
변승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005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광 벨트, 상기 감광 벨트에 토너 이메이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현상기, 상기 감광 벨트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 벨트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에 고온의 공기를 분배할 수 있는 열풍 분배부 및, 상기 열풍 분배부에 대하여 고온의 공기를 송출하는 열풍 발생부로 이루어진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서는 현상기에 의해 감광 벨트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로부터 액체 캐리어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전사 작동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Electrophotographic printer with dryer}
본 발명은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 벨트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에 대하여 소정 온도의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는 드라이어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는 컴퓨터용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등에 적용되는데, 이것은 현상 방식으로 분말 토너(toner)를 사용하는 건식과, 캐리어에 혼합된 액체 토너를 사용하는 습식이 있다. 이 두 가지 방식은 모두 정전 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 매체에 대전 상태의 토너나 액체 토너를 전사시킨 후, 그 감광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전사 매체 사이로 용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용지에 인쇄시킬 수 있다. 그러나, 건식 토너 방식의 프린터는 사용되는 토너 입자의 크기가 제한됨으로써 발생하는 해상도의 문제나, 토너 먼지가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는 문제로 있으며, 따라서 현재는 액체 토너를 사용하는 현상 방식이 본격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서는 롤러상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감광 벨트 또는 감광 드럼이 사용된다. 공지된 바로서, 감광 벨트의 표면은 대전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비임의 주사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위 레벨이 변환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습식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린터(10)는 구동 롤러(11), 조향 롤러(12) 및, 카운터 롤러(13)등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무한 궤도를 회전하는 감광 벨트(14)와, 최소한 하나 이상의 현상기(17a,17b,17c,17d)와, 전사 롤러(25)를 포함한다. 감광 벨트(14)는 그 표면이 코로나 장치(16)에 의해 대전되며, 감광 벨트 표면의 대전 상태는 각각의 현상기(17a,17b,17c,17d)에 근접 설치된 레이저 주사 장치(18a,18b,18c,18d)로부터 레이저 비임(beam)을 주사함으로써 전위가 변화될 수 있다. 레이저 주사 장치(18a,18b,18c,18d)에 의한 비임 주사는 감광 벨트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17a,17b,17c,17d)는 안료의 색상에 따라서 블랙(black), 옐로우(yellow), 시안(cyan) 및, 마젠타(magenta)의 칼러를 현상할 수 있으며, 또한 레이저 주사 장치(18a,18b,18c,18d)도 해당 칼러에 대한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17a,17b,17c,17d)에는 해당 색상의 잉크 토너와 캐리어의 액상 혼합체가 충전되어 있다. 현상기(17a,17b,17c,17d)에서 사용되는 액상 혼합체는 잉크 콘테이너(19a,19b,19c,19d)에 저장된 잉크와 다른 저장 수단(미도시)에 저장된 캐리어를 혼합기(21a,21b,21c,21d)에서 적절한 농도로 혼합한 것이다. 이러한 잉크는 펌프(20a,20b,20c,20d)에 의해 잉크 콘테이너로부터 혼합기로 이송되며, 다시 펌프(22a,22b,22c,22d)에 의해 혼합기로부터 현상기로 이송된다. 드라잉 롤러(23)는 감광 벨트(14)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로부터 액상의 캐리어를 완전히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며, 히팅 롤러(24)는 액상의 캐리어를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드라잉 롤러(23)의 기능을 보조한다. 감광 벨트(14)에 부착된 토너 이메이지는 전사롤러(25)에 전사되며, 표면 에너지 차이에 의해 전사 롤러(25)로부터 인쇄 용지(27)에 전사될 수 있다. 이레이저(15)는 감광 벨트(14)상에 잔류하는 대전 상태를 완전히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정전 잠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들중 하나에 대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1과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상기(17a)는 감광 벨트(14)의 일측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현상기(17a)내에는 현상 롤러(39), 제 1 스퀴지 롤러(31) 및, 제 2 스퀴지 롤러(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러(29)에 근접하여 현상기(17a)의 내부에 클리닝 롤러(36)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퀴지 롤러(31,32)에는 그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블레이드(33) 및, 제 2 블레이드(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 벨트(14)를 사이에 두고 현상 롤러(29)와 제 1 스퀴지 롤러(31)는 2 개의 카운터 롤러(30)에 대응하게 된다. 현상 롤러(29)는 노즐(35)을 통해 공급되는 잉크 토너와 캐리어의 혼합체를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 벨트(14)에 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스퀴지 롤러(31,32)는 토너 이메이지를 형성하는 잉크 토너 및 캐리어의 필름을 형성하는 동시에, 토너 이메이지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 잉크 토너 및 캐리어를 감광 벨트(14)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블레이드(34)는 스퀴지 롤러(31,32)에 접촉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스퀴지 롤러(31,32)의 표면에 흡수된 잉크 및 혼합체를 현상기(17a)로 떨구는 기능을 한다.
위와 같은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 있어서, 현상기(17a,17b,17c,17d)에 의해 감광 벨트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는 스퀴지 롤러(31,32)의 작동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토너 이메이지의 품질은 전사 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스퀴지 롤러(31,32)의 작동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스퀴지 롤러의 압력 분포, 롤러의 표면 조도 및 현상기 주위의 습도와 온도등이 스퀴지 롤러에 의한 토너 이메이지 형성에 주요 인자로서 작용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토너 이메이지에서 액체 상태의 캐리어를 제거하는 작업이 전적으로 스퀴지 롤러(31,32)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스퀴지 롤러(31,32)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주변의 온도 및 습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 프린트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즉, 토너 이메이지로부터 캐리어가 충분히 제어 가능하게 제거될 수 없으므로, 최종적인 인쇄물 자체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 벨트상에 형성되는 토너 이메이지로부터 캐리어를 제어 가능하게 제거할 수 있는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터의 현상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의 열풍 분배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1. 구동 롤러 12. 조향 롤러
13. 카운터 롤러 14. 감광 벨트
15. 이레이저 16. 코로나 장치
17a.17b.17c.17d. 현상기 18a.18b.18c.18d. 레이저 주사 장치.
23. 클리닝 롤러 24. 히팅 롤러
29. 현상 롤러 31.32. 스퀴지 롤러
34. 블레이드 38. 홀더
41. 열풍 발생부 42. 열풍 분배부
43. 유로 44. 모터
45. 팬 47. 필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광 벨트, 상기 감광 벨트에 토너 이메이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현상기, 상기 감광 벨트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 벨트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에 고온의 공기를 분배할 수 있는 열풍 분배부 및, 상기 열풍 분배부에 대하여 고온의 공기를 송출하는 열풍 발생부로 이루어진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풍 발생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팬, 상기 팬에 의해 송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 및, 상기 열풍 발생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풍 분배부에는 상기 열풍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공기가 분배될 수 있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분배공은 상기 감광 벨트의 폭 방향에 걸쳐서 근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풍 분배부는 상기 감광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현상기들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가 구비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에 표시된 도면 번호들중 도 2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도면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현상기(17a)는 감광 벨트(14)의 일측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현상기(17a)내에는 현상 롤러(29), 제 1 스퀴지 롤러(31) 및, 제 2 스퀴지 롤러(32)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기(17a)의 내부에 클리닝 롤러(36)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퀴지 롤러(31,32)에는 그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블레이드(33) 및, 제 2 블레이드(34)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29)와 제 1 스퀴지 롤러(31)는 2 개의 카운터 롤러(30)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현상기의 일측에는 드라이어 장치가 구비된다. 드라이어 장치는 고온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열풍 발생부(41)와, 상기 열풍 발생부(41)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감광 벨트(14)에 분사시킬 수 있는 열풍 분배부(42)로 이루어진다. 열풍 분배부(42)는 도 1에서 현상기(17a,17b,17c,17d)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감광 벨트(14)의 진행 방향에서 마지막 현상기(17d)의 하류측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열풍 분배부(42)는 그로부터 분배되는 열풍이 감광 벨트(14)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에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열풍 발생부(41)내에는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는 팬(45)과,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열선(46)이 설치된다. 팬(45)은 모터(44)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열풍 발생부(41)내의 공기는 열선(46)에 의해 가열된다. 열풍 발생부(41)의 일측에는 필터(47)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47)에 의해서 열풍 발생부(4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입자가 여과될 수 있다.
열풍 발생부(41)로부터 송출되는 고온의 공기는 유로(43)를 통해 열풍 분배부(42)로 유동한다. 열풍 분배부(42)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부위는 감광 벨트(14)에 근접하게 설치됨으로써, 감광 벨트(14)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가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도 4에는 열풍 분배부가 감광 벨트에 근접 설치된 것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풍 분배부(42)의 상부에는 다수의 분배공(4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배공(48)들은 감광 벨트(14)의 폭에 걸쳐 배열되어 있으며, 따라서 분배공(48)을 통해 분배되는 고온의 공기는 감광 벨트(14)를 폭에 걸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즉, 감광 벨트(14)가 열풍 분배부(42)의 상부를 통과함과 동시에, 감광 벨트(14)상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를 폭에 걸쳐서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는 분배공(48)들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렬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상 롤러(39)에 의해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로부터 약 70% 이상의 액체 캐리어가 회수되어야만 양호한 전사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드라이어 장치 없이 단순히 스퀴지 롤러만을 이용할 경우, 스퀴지 롤러의 압력 분포나 온습도의 변동에 의해 액체 캐리어의 회수율은 60%를 넘을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드라이어 장치를 적용할 경우, 액체 캐리어의 회수율은 70% 이상의 범위에서 최적의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45)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의 송출량을 제어하고, 열선(46)에 의한 공기 온도를 제어하며, 통공(48)의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토너 이메이지의 건조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서는 현상기에 의해 감광 벨트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로부터 액체 캐리어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전사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과도한 액체 캐리어에 의한 감광 벨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액체 캐리어의 회수를 스퀴지 롤러에만의존하는 설계 방식을 변경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정전 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감광 벨트;
    상기 감광 벨트에 토너 이메이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현상기;
    상기 감광 벨트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감광 벨트에 형성된 토너 이메이지에 고온의 공기를 분배할 수 있는 열풍 분배부와, 상기 열풍 분배부에 대하여 고온의 공기를 송출하도록 모터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회전 구동되는 팬, 상기 팬에 의해 송출되는 공기를 조절 가능하게 가열하는 열선 및, 상기 열풍 발생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열풍 발생부로 이루어진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분배부에는 상기 열풍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공기가 분배될 수 있는 다수의 분배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분배공은 상기 감광 벨트의 폭 방향에 걸쳐서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분배부는 상기 감광 벨트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현상기들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드라이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
KR1019980005604A 1998-02-23 1998-02-23 드라이어장치를구비한전자사진방식프린터 KR10031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604A KR100311005B1 (ko) 1998-02-23 1998-02-23 드라이어장치를구비한전자사진방식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604A KR100311005B1 (ko) 1998-02-23 1998-02-23 드라이어장치를구비한전자사진방식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639A KR19990070639A (ko) 1999-09-15
KR100311005B1 true KR100311005B1 (ko) 2002-02-19

Family

ID=3753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604A KR100311005B1 (ko) 1998-02-23 1998-02-23 드라이어장치를구비한전자사진방식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247A (ko) * 2007-02-12 2008-08-18 김수곤 디지털프린터의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639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38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phoretic liquid development
US9268286B2 (en) Printing arrangement for two-sided printing on a recording medium and printing method
US6719423B2 (en) Ink jet process including removal of excess liquid from an intermediate member
US20060150836A1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phoretic liquid development
JP3242919B2 (ja) 液体トナー現像装置
JP5333023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196021B2 (ja) デジタルオフセット印刷用途のための霧現像
US74719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phoretic liquid development
US6519435B2 (en) Electrostatic transfer type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H06500406A (ja) 液体現像装置
JP4060787B2 (ja) プリンタ
US5177877A (en) Dryer-fuser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device
JP2014146032A (ja) 記録支持体に印刷を行うデジタルプリンタ
KR100311005B1 (ko) 드라이어장치를구비한전자사진방식프린터
JP2006350099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定着方法
US97011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inting with temperature gradient for optimal solvent penetration
JP2014502365A (ja) プリンタの蒸気処理の予熱
JP3133030B2 (ja) 強誘電性記録部材からの自己固定印刷のための方法および手段
JP2817866B2 (ja) 余剰現像液除去装置
KR100230317B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EP0435516A2 (en) Dryer-fuser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device
KR100338752B1 (ko) 용지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230307B1 (ko)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용 현상기
KR100544169B1 (ko)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KR100331308B1 (ko) 화상형성장치의현상액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