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337B1 -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337B1
KR100310337B1 KR1019980055885A KR19980055885A KR100310337B1 KR 100310337 B1 KR100310337 B1 KR 100310337B1 KR 1019980055885 A KR1019980055885 A KR 1019980055885A KR 19980055885 A KR19980055885 A KR 19980055885A KR 100310337 B1 KR100310337 B1 KR 10031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time
mobile phone
re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298A (ko
Inventor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33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수명을 체크하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정전류를 출력하는 교류/직류 어뎁터와, 충전제어시 상기 교류/직류 어뎁터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도록 충전경로를 제공하는 충전 경로부와, 배터리 교체시기를 경보하는 배터리 교체 경보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 충전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시간이 기준 충전시간 이하일 경우 배터리 교체를 경보하도록 상기 배터리 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장치(DTC: Desk Top Charg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수명을 체크하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폰은 한 번 충전된 배터리의 사용시간 제한성으로 인하여 배터리 방전시 상기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장치를 사용하여 배터리 충전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폰의 충전용 배터리는 소모성을 갖는 특성으로 인하여 최초 구입시보다 시간이 경과할수록 배터리 사용 시간이 짧아지게 되는데, 상기 배터리를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결국 배터리 수명이 다하여 더 이상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못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 셀(Cell)이 고장나는 경우에도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못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 소모성의 문제에 대해 현 휴대폰 단말기 제조업자들은 예를 들어, 구입후 6개월이라는 배터리 보증기간을 이 기간 내에 배터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보상을 해 주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는 사용에 따라 수명이 변하게 되는데 배터리 수명에 대한 기준이 없고, 배터리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릴 수 없도록 되어 있어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일단 배터리를 구입하면 언제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폰 사용자는 배터리 교체시기를 임의로 판단해야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상태, 특히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정전류를 출력하는 교류/직류 어뎁터와, 충전제어시 상기 교류/직류 어뎁터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도록 충전경로를 제공하는 충전 경로부와, 배터리 교체시기를 경보하는 배터리 교체 경보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 충전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시간이 기준 충전시간 이하일 경우 배터리 교체를 경보하도록 상기 배터리 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3(a,b)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로 충전시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충전장치의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AC/DC 어뎁터(10)는 AC 전원(AC 110 또는 220V)을 인가받아 이를 직류로 변환하여 정전류를 출력한다. 배터리 감지부(30)는 배터리(2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40)로 인가한다. 충/방전 경로부(50)는 충전경로부와 방전경로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충전 또는 방전 기능이 제어된다. 상기 충/방전 경로부(50)는 상기 제어부(40)의 충전제어시 상기 AC/DC 어뎁터(10)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류를 상기 배터리(20)로 공급되도록 충전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40)의 방전제어시 상기 배터리(20)의 전류를 소모하도록 방전시키는 방전경로를 제공한다. 충전시간 감지부(80)는 카운터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20)의 충전 동작시 상기 배터리(20)가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의 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인가한다. 전압 감지부(60)는 상기 배터리(20)의 충전 동작중에 상기 배터리(20)의 충전전압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상기 제어부(40)로 출력하며, 온도 감지부(70)는 상기 배터리(20)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를 상기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상기 전압 감지부(60)와 상기 온도 감지부(70)는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배터리(20)의 현재 충전상태 및 만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상태 감지부 기능을 수행한다. 충전상태 표시부(90)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20)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90)는 적색 LED와 녹색 LED로 구성되어 만충전 상태에서는 녹색 LED를 구동하고, 충전중 상태에서는 적색 LED를 구동하여 표시하므로써 사용자에게 충전여부를 알리게 된다. 배터리 교체시기를 경보하는 배터리 교체 경보부(100)는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교체 표시부(101)와 부저(103)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교체 표시부(101)는 LED 및 LCD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LED로 구동시에는 배터리 정상을 알리는 LED와 배터리 비정상에 따른 교체시기를 알리는 LED로 구성하며, 상기 LCD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아이콘 또는 문자로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부저(103)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터리(20)의 비정상시 부저음을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배터리 이상여부를 검사하도록 하는 배터리 검사키를 별도로 구비하여 두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터리 검사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가 이를 인지하여 배터리 수명 체크 동작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배터리(20) 수명 체크시 상기 배터리 충/방전 경로부(50)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20)를 완전 방전시키도록 제어한 후, 상기 배터리(20)에 정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20)를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충전상태 감지부(60 및 70)와 상기 충전시간 감지부(80)를 제어하여 완전방전에서 만충전되는 충전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충전시간이 미리 설정한 충전 기준시간 이하일 경우 상기 배터리 경보부(100)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를 경보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배터리의 용량(표준형 및 대용량)에 따라 각각 설정된 충전 기준시간을 저장하고 있다.
구 분 표 준 형 대 용 량
충전 기준시간 80 분 150 분
또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구분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하기의 표 2의 예와 같다.
구 분 표 준 형 대 용 량
양 호 160 ~ 220 분 260 ~ 360 분
정 상 80 ~ 160 분 150 ~ 260 분
비정상 80분 이하 150분 이하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의 제어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로 충전시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충전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설명은 상기 도 2의 제어흐름을 통해 설명한다.
먼저, 201단계에서 제어부(40)는 상기 배터리 감지부(30)로부터 상기 배터리(20)가 도시하지 않은 충전구에 삽입됨을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2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배터리 감지부(30)의 배터리 용량 감지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용량을 감지한다. 그런 후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40)는 배터리 검사키(11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배터리 검사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207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배터리 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한다. 그러나, 상기 20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터리 검사키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방전 경로부(50)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킨다. 이후 2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전압 감지부(60)의 배터리 충전전압 감지에 의해 상기 배터리가 완전방전(또는 FULL 방전)상태가 될 때까지 방전을 계속한다. 그런 후 상기 배터리가 완전방전 되었음을 확인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충전 경로부(50)를 통해 상기 AC/DC 어뎁터(10)의 정전류를 상기 배터리(20)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이때, 2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충전시간 감지부(80)의 카운터를 구동하여 충전시간을 카운팅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배터리(20)의 충전중에 지속적으로 상기 전압 감지부(60), 온도 감지부(70)의 충전상태 감지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사하다가 217단계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만충전(또는 FULL충전)을 감지하면 2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는 구동중인 카운터를 정지하고 카운팅한 충전시간을 체크한다. 그런 후 상기 2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카운팅한 충전시간과 설정되어 있는 충전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카운팅한 충전시간이 기 설정된 충전 기준시간 이상이면 223단계로 진행하여 배터리 교체 표시부(101)를 제어하여 배터리 현 상태가 정상임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221단계에서 상기 카운팅한 충전시간이 기 설정된 충전 기준시간 이하이면 2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표시부(101)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배터리 교체 표시를 한다. 그리고 2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는 부저(103)를 구동하여 배터리 비정상임을 알리는 부저음을 송출한다.
이하, 도 1,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로 배터리 충전시 상기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충전장치의 제어흐름을 상기 도 3(a,b)의 흐름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301단계에서 제어부(40)는 상기 배터리 감지부(30)로부터 상기 휴대폰에 배터리(20)가 장착한 상태로 배터리 충전구에 삽입됨을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3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3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배터리 감지부(30)의 배터리 용량 감지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용량을 감지한다. 그런 후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40)는 배터리 검사키(11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배터리 검사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331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배터리 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한다. 그러나, 상기 30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터리 검사키(110)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307단계로 진행하여 휴대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가를 배터리 감지부(30)를 통해 검사한다. 상기 휴대폰 전원이 온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331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배터리 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배터리(20)를 충전한다. 그러나 상기 휴대폰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라면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방전 경로부(50)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20)를 방전시킨다. 이후, 3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전압 감지부(60)의 배터리 충전전압 감지에 의해 상기 배터리(20)가 완전방전(또는 FULL 방전)상태가 될 때까지 방전을 계속한다. 그런 후, 상기 배터리(20)가 완전방전 되었음을 확인한 상기 제어부(40)는 313단계에서 상기 충전 경로부(50)를 통해 상기 AC/DC 어뎁터(10)의 정전류를 상기 배터리(20)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이때, 3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충전시간 감지부(80)의 카운터를 구동하여 충전시간을 카운팅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배터리(20)의 충전중에 지속적으로 상기 전압 감지부(60), 온도 감지부(70)의 충전상태 감지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사하다가 317단계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만충전(또는 FULL충전)을 감지하면 3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는 구동중인 카운터를 정지하고 카운팅한 충전시간을 체크한다. 그런 후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는 카운팅한 충전시간과 설정되어 있는 충전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카운팅한 충전시간이 기 설정된 충전 기준시간 이상이면 323단계로 진행하여 배터리 교체 표시부(101)를 제어하여 배터리 현 상태가 정상임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카운팅한 충전시간이 기 설정된 충전 기준시간 이하이면 3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표시부(101)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배터리 교체 표시를 한다. 그리고 3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는 부저(103)를 구동하여 배터리 비정상임을 알리는 부저음을 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를 구현하므로써 휴대폰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알 수 있어 사용자가 휴대폰 배터리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정전류를 출력하는 교류/직류 어뎁터와,
    충전제어시 상기 교류/직류 어뎁터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도록 충전경로를 제공하는 충전 경로부와,
    배터리 교체시기를 경보하는 배터리 교체 경보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 충전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시간이 기준 충전시간 이하일 경우 배터리 교체를 경보하도록 상기 배터리 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2.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정전류를 출력하는 교류/직류 어뎁터와,
    배터리 장착을 감지하는 배터리 감지부와,
    충전제어시 상기 교류/직류 어뎁터를 통해 인가되는 정전류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도록 충전경로를 제공하고, 방전제어시 상기 배터리의 전류를 소모하도록 방전시키는 방전경로를 제공하는 충/방전 경로부와,
    상기 배터리 충전시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의 시간을 체크하는 충전시간 감지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 및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충전상태 감지부와,
    배터리 교체시기를 경보하는 배터리 교체 경보부와,
    상기 배터리 수명 체크시 상기 배터리 충/방전 경로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완전 방전시키도록 제어한 후, 상기 배터리에 정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충전상태 감지부와 상기 충전시간 감지부를 제어하여 완전방전에서 완전충전되는 충전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충전시간이 기준 충전시간 이하일 경우 상기 배터리 경보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를 경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충전장치는 배터리 검사키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 경보부는 배터리 교체여부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배터리 이상을 경고하는 부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5.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완전방전 상태의 배터리가 상기 휴대폰 충전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배터리에 정전류를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과정과,
    상기 완전방전 상태의 배터리 충전시부터 만충전까지의 배터리 충전시간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체크한 배터리 충전시간과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체크한 배터리 충전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하이면 상기 배터리 교체를 통보하는 경보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교체시기 통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시간 체크는 상기 휴대폰 충전장치에 별도 구비된 키에 의해 사용자 요구가 있을 경우에만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교체시기 통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기 경보는 배터리 교체 표시 및 부저음 송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교체시기 통보방법.
  8. 배터리 수명을 체크하는 키신호를 발생하는 배터리 검사키를 구비하며, 각 배터리 용량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충전 기준시간을 저장하고 있는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교체시기 통보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감지시 상기 배터리 용량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 검사키 입력이 있을 시 배터리를 완전방전 시키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 완전방전 시킨 후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면서 충전시간을 카운팅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가 만충전되면 상기 충전시간 카운팅을 중단한 후, 상기 카운팅한 충전시간과 상기 배터리 용량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 충전 기준시간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팅한 충전시간이 상기 충전 기준시간 이하일 경우 배터리 교체를 통보하는 배터리 교체 표시를 점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교체시기 통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한 충전시간이 상기 충전 기준시간 이하일 경우 배터리 교체를 통보하는 부저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교체시기 통보방법.
  10.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로 감지되어 상기 배터리 검사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휴대폰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배터리 교체시기 통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배터리 교체시기 통보방법.
KR1019980055885A 1998-12-17 1998-12-17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10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85A KR100310337B1 (ko) 1998-12-17 1998-12-17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85A KR100310337B1 (ko) 1998-12-17 1998-12-17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98A KR20000040298A (ko) 2000-07-05
KR100310337B1 true KR100310337B1 (ko) 2001-11-22

Family

ID=1956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885A KR100310337B1 (ko) 1998-12-17 1998-12-17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883A3 (en) * 2008-10-16 2010-09-02 Walter Kidde Portable Equipment Inc. Life safety device with automatic battery discharge at the end of lif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138B1 (ko) * 2006-08-16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정보 검출 방법
KR101366416B1 (ko) * 2011-10-12 2014-02-24 (주)에스엔디파워닉스 축전지 수명 진단 기능을 구비한 충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387A (ja) * 1992-07-14 1994-02-10 Nec Corp 電池寿命確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387A (ja) * 1992-07-14 1994-02-10 Nec Corp 電池寿命確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883A3 (en) * 2008-10-16 2010-09-02 Walter Kidde Portable Equipment Inc. Life safety device with automatic battery discharge at the end of li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98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2965B1 (en) Battery monitoring system and battery pack
US5321392A (en) Infusion pump with battery back-up
JP3600628B2 (ja) 電池形式識別方法
US53633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control
US20040232885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57449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backup battery flow charge
KR100310337B1 (ko) 배터리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휴대폰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229450B1 (en) Power interruption monitoring apparatus
US20070052393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KR20010026261A (ko) 배터리의 누설전류보상방법
EP2837258A1 (en) Battery monitoring in emergency lighting systems
KR20030008501A (ko) 자체진단 기능을 갖는 배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15395A (ja) 電池寿命モニター回路
JPH0255536A (ja) 無停電電源装置のバッテリー寿命判定回路
KR20000072680A (ko) 유피에스의 축전지 관리 장치
JPH09285024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バッテリ制御方法と電源制御回路
WO2007029691A1 (ja) 二次電池の充電状態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5833562U (zh) 一种接近开关测试仪
EP04501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control
KR100278400B1 (ko) 배터리 종류 식별장치 및 방법
JP2002191138A (ja) 無停電電源装置
JPH11122827A (ja) 充電器
JP2005142129A (ja) 誘導灯装置
JPH0884437A (ja) 電池寿命判定装置
KR200300981Y1 (ko) 비접촉식 배터리팩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