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928B1 -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928B1
KR100309928B1 KR1019990033931A KR19990033931A KR100309928B1 KR 100309928 B1 KR100309928 B1 KR 100309928B1 KR 1019990033931 A KR1019990033931 A KR 1019990033931A KR 19990033931 A KR19990033931 A KR 19990033931A KR 100309928 B1 KR100309928 B1 KR 100309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oothpaste
foot
manufacturing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024A (ko
Inventor
류희영
김찬호
Original Assignee
김찬호
주식회사 바이오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호, 주식회사 바이오썸 filed Critical 김찬호
Priority to KR1019990033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9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구강질환의 치료 및 예방효과가 우수한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족도리풀의 추출물(extract)을 함유시킴으로써 이 족도리풀 추출물의 광범위한 항균작용으로 잇몸질환, 충치, 구취 등의 원인균을 제거하고 프라그를 없앰으로써, 각종 구강질환 및 잇몸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잇몸치료용 치약이나 프라그제거용 치약은 치약에 잇몸치료나 프라그제거 등에 효과가 있는 의약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그에 첨가된 의약을 다량 또는 장기간 투여하게되면 그 의약성분에 의하여 초래되는 부작용을 앓게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러한 치약은 반드시 치과의사의 처방에 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치료용 치약에는 의약성분이 함유됨으로 인하여 일반인들이 평상시에 항용(恒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치약은, 앞서 본 바와 같은 종래 치약의 문제점을 극복한 것으로 족도리풀의 추출물(extract)를 함유시킴으로써, 잇몸질환, 충치, 구취 등의 원인균을 제거하고 프라그를 없애며 장기간 계속 사용하더라도 부작용이 없이 잇몸질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가져오는 치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Tooth paste comprising the extract of Asarum sieboldii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구강질환의 치료 및 예방효과가 우수한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족도리풀의 추출물(extract)을 함유시킴으로써 이 족도리풀 추출물의 광범위한 항균작용으로 잇몸질환, 충치, 구취 등의 원인균을 제거하고 프라그를 없앰으로써, 각종 구강질환 및 잇몸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족도리풀(학명:Asarum sieboldii)은 쥐방울 덩굴과(학명: Aristolochiaceae)의 단년초로서 뿌리와 줄기가 가늘고 길며 약간의 매운맛을 지니기 때문에 한약재명으로는 세신(細辛)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민간요법으로 이 족도리풀을 다린 물을 입에 머금거나 마시면, 치통이나, 만성 기관지염, 해소, 두통을 동반하는 감기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족도리풀이 민간요법으로 오래 전부터 우리 민족에게 사용되어져 왔다고 하나, 일제시대 이후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과거의 대부분의 민간요법들이 비과학적이라는 이유로 멸시되어 사장되었듯이, 이 족도리풀의 약리적인 효능역시 더 이상 연구 검토되지 않은채 우리민족의 기억속에서 거의 사라져 버렸다.
족도리풀을 민간용법으로 사용할 때, 그 다린 물을 다량 복용하면, 토하거나 어지러우며, 심할때는 호흡곤란의 상태가 초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족도리풀이 가지고 있는 독성은 그다지 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족도리풀 다린물을 다량 복용한다고하여 치명적인 위험이 초래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하겠다. 본 발명자들은 족도리풀에 대하여 오랫동안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 족도리풀이 가지고 있는 성분을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잇몸질환, 충치, 구취의 원인균이나 프라그를 제거할 수 있는 치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족도리풀의 성분에 관한 연구로는 일본 약학잡지(81;129,1961, 87;1529,1967)에서 나가사와 (Nagasawa)가 족도리풀로부터 메칠유제놀 (Methyleugenol), 사프롤(Safrole), 베타 피네네(β-pinene), 유카르본(Eucarvone)을 분리하였다고 발표된 바 있다. 그리고 그락자 엘(Gracza, L)(CA, 62,11626d, 1965)이 위 성분 중에서 메칠유제놀(Methyleugenol)이 항균 실험에서 양성균의 억제 작용이 있음을 발견하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족도리풀의 성분 중에서 메칠유제놀(Methyleugenol)만이 잇몸질환 치료나 예방 등에 효과를 가져오는 요소로 보기는 어렵고, 타 요소들과 결합하여 전체로서 잇몸질환 치료 및 예방, 구취제거, 프라그제거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고 하겠다.
한편, 종래 사용되고 있는 잇몸치료용 치약이나 프라그제거용 치약은 치약에 잇몸치료나 프라그제거 등에 효과가 있는 의약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그에 첨가된 의약을 다량 또는 장기간 투여하게되면 그 의약성분에 의하여 초래되는 부작용을 앓게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러한 치약은 반드시 치과의사의 처방에 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치료용 치약에는 의약성분이 함유됨으로 인하여 일반인들이 평상시에 항용(恒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대부분 화학물질로 제조되는 서양 의약품들은 당해 질환의 치유에는 탁월한 효과가 있겠으나, 그러한 의약품의 사용으로 인하여 신체전체의 균형이 무너지기도 하고, 나아가 치명적인 부작용이 초래되기도 한다. 근자에 제약회사들이 생약성분의 의약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기우리는 것도, 그리고, 치약에 관하여 생약성분을 이용한 치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 기한 것이라고 할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은, 앞서 본 바와 같은 종래 치약의 문제점을 극복한 것으로 족도리풀의 추출물(extract)를 함유시킴으로써, 잇몸질환, 충치, 구취 등의 원인균을 제거하고 프라그를 없애는 치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약성분인 족도리풀의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장기간 계속 사용하더라도 부작용이 없이 잇몸질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가져오는 치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공정들에 의하여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을 제조하는 것이다.
제1공정: 족도리풀을 채집하여 건조시키는 공정
제2공정: 건조된 족도리풀에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n-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류, 초산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Cyclo-부탄온과 같은 케톤류, Cyclo-펜탄, n-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의 용매 중에서 한가지 또는 둘이상을 섞은 용매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공정.
제3공정: 전기 공정에서 가열된 혼합물로부터 족도리풀 추출액을 여과시키는 공정.
제4공정: 전기 공정에서 여과된 추출액에 대하여 그 속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시켜 족도리풀 추출물(extract)을 얻는 공정.
제5공정: 전기공정에서 추출된 족도리풀 추출물(extract)을 통상의 치약조성물에 0.5-5중량% 첨가하여 족도리풀 추출물(extract)이 함유된 치약을 완성시키는 공정.
위 각 공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족도리풀은 그 산지에 따라 그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extract)의 효과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우리 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대만 등 동북아시아에서 자라는 족도리풀은 그 효과가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그 채집시기에 따라, 추출되는 추출물(extract)의 양에 차이가 나는데, 추출물 량이 많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체로 양력 8월에서 9월에 채집하는 것이 좋다.
전기 제1공정에 있어서, 채집된 족도리풀을 건조시킴에 있어서는 반드시 햇빛이 없는 그늘을 이용하여야 한다. 햇빛이 직접 비치는 양지에서 건조시키면, 족도리풀에 함유된 유효성분들이 파괴되거나 증발함으로 인하여, 그 효과가 저하되거나 원하는 만큼의 추출물을 얻기 어렵게 된다. 건조의 정도는 족도리풀의 표면에 수분이 거의 증발된 상태로서 풀잎의 끝부분이 약간씩 말려있을 정도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물을 추출함에 있어서, 족도리풀의 건조정도를 정하는 것이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니나, 다음 공정에서 투입되는 용매의 량이 건조된 족도리풀의 무게에 의하여 정해지고, 또는 건조가 적당히 된 것일수록 용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족도리풀의 건조정도를 적정하게 정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제2공정에 있어서, 건조된 족도리풀에 투입되는 용매의 량은 건조된 족도리풀 100g에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n-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콜류, 초산에틸 같은 에스테르류, Cyclo-부탄온 같은 케톤류, Cyclo-펜탄, n-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의 용매중에서 한가지 또는 둘 이상을 섞은 용매를 약 1.5-2.5ℓ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을 가열함에 있어서는 환류 냉각기가 설치된 맨틀에서 대기압으로 약1-3시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압을 대기압이하로 낮추면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기압을 0.1기압이하로 낮추어 가열시간을 대폭 단축시킬수도 있다. 가열온도는 사용되는 용매의 비등점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대체적으로 대기압하에서는 1-3시간 정도 가열하면 족도리풀의 성분이 충분히 용해될 수 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 가열시간을 약간 줄이거나 연장할수도 있다.
제3공정에 있어서, 전기공정에서 가열된 혼합물의 상충부에 있는 찌꺼기 상태의 족도리풀잎들이 부유상태로 있고, 그 하층부에는 족도리풀의 엑기스에 해당하는 추출물(extract)과 위 용매들이 섞여 액상으로 있게 되는데, 이때, 상층부의 찌꺼기 상태의 족도리풀잎들을 제거하고, 하층부에 남아 있는 혼합액을 적절한 여과기에 여과시켜 족도리풀 추출물(extract)과 용매만으로 된 추출액을 얻는다.
제4공정에 있어서, 전기 공정에서 얻어진 추출액에 대하여 약 0.005-0.1기압에서 섭씨 40-60도 조건으로 증발시켜 추출물(extract)을 얻는다. 이때 증발온도를 섭씨 60도 이상으로 높게하면, 추출물에 화학변화를 일으키거나 감압시 빠져나가는 공기에 추출물의 주요성분이 함께 빨려나갈 우려가 있고, 온도를 섭씨 40도 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증발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얻어진 추출물의 양은 극성도(Polarity)가 큰 용매 일수록 많은 양을 얻을 수 있다. 족도리풀의 추출물(extract)의 양은 족도리풀의 산지나 채집시키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여러 용매를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는 경우에도 용매를 각각 사용할때와 유사한 양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늘에서 건조된 족도리풀 100g에 물:에탄롤 비를 90:10에서 10:90까지의 비율로 각각 2ℓ씩 가하여 상과 같은 방범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의 수율은 물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했을 경우의 결과와 유사하다.
제5공정은, 전기 공정에서 얻어진 족도리풀 추출물(extract)을 통상의 치약 조성물에 0.5-5중량% 섞어 함유시켜 치약을 완성시키는 공정이다. 치약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각 종류에 따른 구성성분도 다르기 때문에, 족도리풀 추출물(extract)을 함유시킴에 있어서 그 성분들의 혼합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되기도 하였으나, 수많은 실험결과 그러한 문제는 없었다. 치약에 함유되는 족도리풀추출물 이 0.5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이상이면 치약에 매운맛이 강하여 양치질할 때 불쾌감을 준다. 바람직하게는 족도리풀 추출물을 1.5-2.5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의 의거 설명한다.
실시예 1
우리나라산의 족도리풀을 채취하여 그늘에서 건조시킨 후, 이에 각종 용매를 건조된 족도리풀 100g당 2ℓ씩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환류냉각기가 설치된 맨틀에서 대기압하에 2시간동안 가열하였다. 그리고, 이 가열된 혼합물의 상부에 있는 찌꺼기를 제거하고 그 하부에 있는 액상의 잔존물을 여과하여 족도리풀 추출액(용매 및 이에 용해되어 있는 족도리풀 추출물)을 얻고, 이 추출액을 0.008기압(5㎜Hg) 및 섭씨 50도로 그 추출액에 들어 있는 용매를 증발시켜 최종적으로 족도리풀 추출물(extract)(이하 '추출물'이라고만 한다)를 얻었다. 각 용매별로 얻어진 추출물(extract)의 양은 표 1과 같았다.
용매의 종류 수율(%) 용매의 종류 수율(%)
10 아세톤 3
에탄올 8 클로로포름 4
메탄올 8 cyclo-부탄온 4
이소프로필알콜 6 cyclo-펜탄 2
n-부탄올 6 n-핵산 2
초산에틸 7
상기 여러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의 성분은 그 양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지만 각 추출물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 모든 추출물의 주성분에 큰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추출물의 양이 많고(수율이 높고) 인체에 해가 없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물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추출된 추출물에 대하여 그 독성이 어느 정도인지 실험을 하였다. 그 실험의 방법은 추출물 중에서 메칠유제놀(Methyleugenol)을 분리 추출하고, 추출물과 메칠유제놀(Methyleugenol)을 각각 쥐에 투여하면서 그 치사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실험결과 추출물(extract)의 쥐에 대한 치사 유효성분LD 50은 1.2375∼0.778g/㎏ 이었고, 메칠유제놀(Methyleugenol)의 쥐에 대한 치사 유효성분LD 50은 247㎎/㎏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함유된 치약의 경우, 치약에 함유되는 추출물의 양이 매우 적고(일반적으로 위 치사 유효성분이 1/1000∼1/10,000), 또한 경구 투여방식으로 먹는 것이 아니라 양치질 후 모두 뱉어내는 것이므로, 인체에는 전혀 무해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치약에 있어서, 치약 100g에 추출물 2.4g(2.5%)을 함유시켰다고 가정하고 1회 치약사용량이 1g이라 할 때, 1회 치약 사용할 때 이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0.024g이 된다. 위 실험에서 치사 유효성분의 최대치를 기준으로 하면LD 50은 60g/50㎏이 되는데, 상기 치약에 함유된 추출물의 양은 이 치사 유효성분 최대치의 약 1/2500이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추출된 추출물(extract)을 치약 조성물에 혼입하였을 때 치약의 구성성분들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원치 않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지, 그리고, 추출물이 혼입된 치약의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즈음 판매되고 있는 수가지 종류의 치약들에 추출물을 혼입시켜 그 결과를 측정하였다.
치약은 대체로, 조성물 전체를 점착시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증점제, 잇발의 표면에 부착된 찌꺼기를 긁어내기 위한 연마제, 입안을 깨운하게 해주는 청정제, 조성성분들을 용해 혼합시키는 용제, 오래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부제 등을 그 기본적인 구성성분으로 하고, 감미료, 향, 색소 등을 그 보조적인 구성성분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성분들을 갖추기 위하여 실제로 어떠한 화학물질들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각 치약은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요즈음 판매되고 있는 치약들중에서 그 구성성분에 다소 차이가 있는 5가지 종류(A - E타입으로 구분)의 치약을 선택하였다. 각 타입의 치약들에 함유된 구성성분은 아래와 같았다.
(A 타입)
성분 중량비(%)
비검 (Veegum) 1.50
셀룰로오즈 검 (Cellulose gum) 0.80
증류수 (Distilled Water) 29.50
감미료 (Sweetner) 0.20
소르비톨(Sorbitol) 용액 15.00
글리세린 (Glycerin) 10.00
이수화이칼슘인산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30.00
삼칼슘인산 (Tricalciumphosphate) 10.00
향 (Flavor)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Sodium Lauryl Sulfate) 1.50
방부제 (Preservative) 0.50
(B 타입)
성분 중량비(%)
비검 (Veegum) 1.00
셀룰로오즈 검 (Cellulose gum) 0.25
증류수 (Distilled Water) 21.25
소르비톨(Sorbitol) 용액 12.50
글리세린 (Glycerin) 12.50
이수화이칼슘인산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49.50
향 (Flavor)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Sodium Lauryl Sulfate) 1.50
방부제 (Preservative) 0.50
(C 타입)
성분 중량비(%)
비검 (Veegum) 1.00
증류수 (Distilled Water) 18.50
나트륨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 0.50
(Sodium Carboxy Methylcellulose)
글리세린 (Glycerin) 30.00
이수화이칼슘인산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46.50
향 (Flavor)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Sodium Lauryl Sulfate) 2.00
방부제 (Preservative) 0.50
(D 타입)
성분 중량비(%)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즈 1.00
(Hydroxyprophy1 methylcellulose)
증류수 (Distilled Water) 16.00
글리세린 (Glycerin) 30.00
이수화이칼슘인산(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49.50
감미료 (Flavor)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Sodium Lauryl Sulfate) 1.50
방부제 (Preservative) 0.50
(E 타입)
성분 중량비(%)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즈 1.50
(Hydroxyprophy1 methylcellulose)
증류수 (Distilled Water) 16.00
소르비톨 (Solbitol) 용액 15.00
글리세린 (Glycerin) 15.00
이수화이칼슘인산(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39.50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1.00
삼마그네슘인산 (Trimagnesium phosphate) 1.00
향 (Flavor) 1.00
방부제 (Preservative) 0.50
상기 각 타입의 치약들에 추출물을 각각 0.3중량%, 0.6중량%, 2중량%, 5중량% 및 6중량% 혼입시킨 후, 이 추출물이 혼입된 치약들에 대하여 치약맛에 대한 관능검사, 구취제거검사, 잇몸질환검사, 프라그제거검사를 하기 위하여 잇몸에 질환이 있고 구취가 있는 사람 25명(X그룹)과, 프라그가 있는 사람들 25명(Y그룹)을 각각 선발하여 이들로 하여금 각 타입의 추출물이 다르게 함입된 치약들을 사용하여 매일 3회씩 (각 3분간) 25일간 양치질을 하게 하고, 그 결과를 측정하였다.
관능검사는 X 그룹과 Y 그룹 모두를 대상으로 행하였다. 검사의 결과, 실시예 3의 모든 타입의 치약에 있어서, 추출물이 함유된 모든 치약 약간의 맵고 톡쏘는 맛을 지니며, 함유된 추출물의 양에 비례하여 그 맛의 강도가 심해졌다. 그러나, 추출물 함유량이 6중량%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정도는 아니었고, 오히려 사용횟수가 많아질수록 그 맛에 친근감 내지 습관화되는 경향도 있었다.
구취제거검사는 X그룹을 대상으로 행하였는데, 모든 타입의 치약에 있어서 추출물의 함유량이 0.3중량%인 경우에는 구취제거의 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추출물의 함유량이 많아질수록 그 치유의 효과가 증대되었다. 그러나, 추출물 함유량이 6중량%인 경우에는 실험 대상자들이 그 맵고 톡쏘는 맛이 강하여 제대로 양치질을 하지 않아 그 결과를 측정할 수가 없었다.
잇몸질환검사는 X그룹을 대상으로 행하였는데, 모든 타입의 치약에 있어서 추출물의 함유량이 0.3중량%인 경우에는 잇몸질환 치유의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추출물의 함유량이 6중량%인 경우에는 실험 대상자들이 그 맛의 강함으로 인하여 실험에 제대로 응하지 않아 그 결과를 측정할 수 없었다. 그 외의 경우에는 모두 잇몸질환 개선의 효과가 있었으며, 추출물이 양이 많이 함유될수록 치유의 효과도 컸다.
프라그제거검사는 Y그룹을 대상으로 행하였는데, 모든 타입의 치약에 있어서추출물의 함유량이 0.3중량% 및 0.6중량%인 경우에는 프라그제거의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추출물 함유량이 6중량%인 경우에는 실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나머지 추출물 함유량이 각각 2중량% 및 5중량%인 치약의 경우에는 프라그제거의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보았듯이, 본 발명의 치약은 통상의 치약에 추출물을 함유시킨 것으로서, 치약의 구성성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불문하고 다양한 종류의 치약 어느 것에든지 추출물을 0.5-5중량% 함유시킴으로써 구취제거 잇몸질환치유 및 프라그제거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시판되는 대부분의 치료용 치약 조성물이 합성의약품으로서 인체에 해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품과 같이 식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치약에 함유시킨 것은, 치료 효과적인 측면 이외에도 부작용이 없다는 측면에서 보더라도 합성의약품 보다 훨씬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3)

  1. 통상의 치약 조성물에 족도리풀 추출물을 중량비로 0.5-5% 함유시킨 치약.
  2. 족도리풀을 채집하여 건조시키는 공정; 건조된 족도리풀에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n-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류, 초산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Cyclo-부탄온과 같은 케톤류, Cyclo-펜탄, n-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중에서 한가지 또는 둘 이상을 섞은 용매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공정; 전기 공정에서 가열된 혼합물로부터 족도리풀 추출액을 여과시키는 공정; 전기공정에서 여과된 추출액에 대하여 그 속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시켜 족도리풀 추출물(extract)을 얻는 공정; 및 전기공정에서 추출된 족도리풀 추출물(extract)을 통상의 치약조성물에 중량비로 0.5-5%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추출액에 포함된 용매를 0.005-0.1기압하에서 섭씨 40-60도로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제조방법.
KR1019990033931A 1999-08-17 1999-08-17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 KR100309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931A KR100309928B1 (ko) 1999-08-17 1999-08-17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931A KR100309928B1 (ko) 1999-08-17 1999-08-17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24A KR20010000024A (ko) 2001-01-05
KR100309928B1 true KR100309928B1 (ko) 2001-10-17

Family

ID=1960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931A KR100309928B1 (ko) 1999-08-17 1999-08-17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313B1 (ko) 2014-07-29 2016-10-18 주식회사 로보스타 Mlcc 적재기의 mlcc 칩 반전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24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7644A1 (en) Anti-fungal compositions with prolonged activity
JP4246736B2 (ja) 薬草の口腔歯科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WO2005084625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ral bacteria and inflammation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DE3901368A1 (de) Mittel zur vorbeugung gegen und behandlung von parodontopathien
KR20140071738A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86441A (zh) 一种止血抗过敏的复合草本漱口水及其制备方法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20090017282A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N115154501B (zh) 用于口腔修护的组合物及制备的凝胶制剂和应用
KR100309929B1 (ko)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16377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09928B1 (ko)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
KR101793822B1 (ko) 비단풀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JP5570744B2 (ja)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102349599B1 (ko)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2036B1 (ko)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CN111329903B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9846774B (zh) 一种抑菌漱口水及其制备方法
KR102221423B1 (ko) 구취 억제 및 구강 위생 증진용 구강청결제 조성물
KR102630716B1 (ko) 항균활성을 갖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KR101930785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2681B1 (ko) 소취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