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465B1 - 정보기록매체,기록기,판독기및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정보기록매체,기록기,판독기및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465B1
KR100308465B1 KR1019940702939A KR19940702939A KR100308465B1 KR 100308465 B1 KR100308465 B1 KR 100308465B1 KR 1019940702939 A KR1019940702939 A KR 1019940702939A KR 19940702939 A KR19940702939 A KR 19940702939A KR 100308465 B1 KR100308465 B1 KR 100308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s
crosstalk
track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590A (ko
Inventor
프랑스와모리스
미쉘송리에
까라한나
요셉꼴리노
Original Assignee
게네비브 부 탄
똥송-쎄 에스 에프
데니스에취.아일르베크
똥송꼰수머일렉뜨로니끄스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네비브 부 탄, 똥송-쎄 에스 에프, 데니스에취.아일르베크, 똥송꼰수머일렉뜨로니끄스에스아 filed Critical 게네비브 부 탄
Publication of KR95070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9Fixed mounting or arrangements, e.g. one head per track
    • G11B5/4969Details for track selection or addres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with provision for splicing to provide permanent or temporary conne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0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0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 G11B21/103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17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longitudinal tracks only, e.g. for serpentine format recording
    • G11B5/00821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longitudinal tracks only, e.g. for serpentine format recording using stationary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32Heads
    • G11B11/10541Heads for reproducing
    • G11B11/10543Heads for reproducing using optical beam of radiation
    • G11B11/10547Heads for reproducing using optical beam of radiation interacting with the magnetisation of an intermediate transfer element, e.g. magnetic film, included in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정보 기록 매체, 기록기, 판독기 및 기록방법
본 발명은 트랙들 위에 양의 연속성분들을 갖는 트랙들의 그룹들(G0)과 음의 연속성분들을 갖는 트랙들의 그룹들(G1)이 분배되어 있는 기록 매체상에 기록/기입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판독시 여러 신호들의 값들이 각각의 트랙에 대해 적분된다. 이어서, 제 1 가산회로(S1)가 각 그룹의 트랙들 중 제 1 트랙들의 적분 결과들을 가산하고, 다음으로 제 2 가산회로(S2)가 각 그룹의 트랙들 중 최종 트랙들의 적분 결과를 가산한다.
비교 회로(CD)는 트랙 추종 연산을 보정하기 위해 두 가산회로들의 가산 결과들을 비교한다.

Description

정보기록매체, 기록기, 판독기 및 기록방법
본 발명은 정보기록매체, 기록기, 판독기 및 판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정보 요소가 평행 트랙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자기매체 또는 광학매체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트랙-추종 시스템(track-follow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컴퓨터 주변 기록 및 판독 시스템과 모든 전문용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트랙추종에 대한 해법과 고정헤드 판독 시스템에서의 누화(cross-talk) 제거에 대한 해법을 제공한다.
오늘날의 시스템들은 낮은 트랙밀도를 갖고 있다(피치가 100㎛ 이상). 트랙들은 판독 누화(reading cross-talk)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신호 장벽들(blank signal barriers)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그 트랙들 보다 폭이 좁은 헤드들에 의해서 확실해진다. 테이프의 모서리 위치(the position of the edge)를 검사하는 것으로써 트랙의 효율적인 추종(following)과 테이프들의 호환적 특성(interoperational quality)을 충분히 보장해주며 그 트랙들에 대한 판독기들의 적용은 광범위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된-헤드 시스템은 높은 트랙 밀도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디지털 정보기록 시스템에서 각 정보 요소는 양의(또는 0 의) 요소들과 음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 트랙들에서 양의 요소와 음의 요소의 수는 다르며, 이러한 상이함은 0 이 아닌 연속 성분(non-zero continuous component)을 발생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트랜스코딩(transcoding)을 실행하는 채널 부호화기가 사용되며 소정수의 입력 비트들(incoming bits)이 보다 많은 수의 자기 영역(magnetic domains)들의 형태로 부호화되어, 그 연속 성분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자유분(freedom)을 남겨두게 된다. 예컨대, 8 비트의 정보요소가 10 비트로 부호화되는 8-10 코드를 이용한다. 이것은 8 비트 코드가 가질 수 있는 256 정보 요소들이 10 비트 코드의 1024 중 256 정보요소만을 사용함을 의미한다.
+1 값이나 -1 값이 그 값들의 방향에 따른 자기 영역들(magnetic domains)에 할당된다면, DSV 는 트랙상의 이들 값들의 전체(integral)를 지정한다. 따라서 소정의 10 비트 기록 코드들은 0 값 주변으로 DSV 의 변이를 제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랙 추종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도록 정보요소들의 이러한 부호화를 변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트랙들에 정보 요소들이 기록되고 각 트랙상에서 상기 정보 요소들이 부호화되는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 식별 트랙들의 부호화가 이들 트랙들이 제 1 형태의 값을 가지는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고, 상기 기록매체의 제 2 트랙들의 부호화가 이들 제 2 트랙들이 제 2 형태의 값을 가지는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트랙들을 따라 정보매체상에 위치되고 각 트랙상에서 상기 정보요소들이 부호화되는 정보기록기에 있어서, 제 1 식별 트랙들의 부호화가 이들 트랙들이 제 1 형태의 값을 가지는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고, 상기 기록매체의 제 2 트랙들의 부호화가 이들 제 2 트랙들이 제 2 형태의 값을 가지는 연속 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상에 나란히 배치된 트랙들에 기록된 정보 요소들의 판독기에 있어서,
- 적분회로는 각 트랙에 대한 차 신호들(different signals)의 값들을 적분하고,
- 제 1 가산회로(S1)는 각 패킷의 트랙들 중 제 1 트랙들의 적분 결과를 가산하고,
- 제 2 가산회로(S2)는 각 패킷의 트랙들 중 최종 트랙들의 적분 결과를 가산하며,
- 비교회로(CD)는 상기 두 가산회로들의 가산 결과들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요소 판독기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트랙들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기록매체상에 위치된 정보 요소들을 기록 및 판독하는 방법으로서, 각 트랙상에서 상기 정보 요소들이 부호화되는, 정보 요소 기록 및 판독 방법에 있어서, 이들 트랙들이 제 1 형태의 값을 가지는 연속 성분을 구비하도록 제 1 식별 트랙들의 부호화가 행해지고, 이들 제 2 트랙들이 제 2 형태의 값을 가지는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상기 기록매체의 제 2 트랙들의 부호화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요소 기록 및 판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목적과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과 첨부도면으로 분명하게 나타난다.
제1도는 자기기록 테이프의 자기광학적 판독 방법을 도시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기록된 자기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를 예시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기록된 자기테이프를 판독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 추종 시스템(track-following system)을 도시한다.
제6a도 내지 제6e도는 본 발명에 따른 누화 보정 시스템(cross-talk correction system)을 도시한다.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누화 보정 시스템의 변화예를 도시한다.
이제, 본 발명은 예컨대, 2진 요소 1 이 기록 상태의 변경으로 표시되고 2진 요소 0 이 기록 상태에서의 변경이 없는 것으로 표시되는, 넌-리셋팅(non-resetting)을 갖는 8/10 2진 부호화를 이용하여 기술된다.
이와 같은 코드는 8/10 + NRZI(d,k)로 표기되며, 여기에서, d 는 두개의 1 비트들간의 0 비트의 최소수를 표시하고(예컨대, d=0), k 는 두개의 1 비트들간의 0 비트의 최대수를 표시한다(예컨대,k=3).
적절한 부호화에 따라, 연속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각 트랙상에서 제한되어 평균 0 값을 갖는 DSV(Digital Sum Value)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256 개의 가능한 값을 제공하는 8 비트 워드의 경우, 10 비트의 트랜스코딩(transcoding)중에, 10 비트 워드에서 153 코드워드가 선택되고, 이들 153 코드워드는 103 코드워드 DC=-2 와 짝지어진 103 코드워드 DC=+2 에 의해 보수된 0 연속성분 DC=0 (1 의 비트수는 0 의 비트수와 같다)을 소유한다. 후자는 최상위 비트에 의해서만 상이하게 되며, 워드 DC=+2 가 나타났다면, 다음에 발생하는 워드는 DSV 를 평균 0 으로 만들도록 DC=-2 가 되게 선택되는 부호화 방법으로 사용된다. DC = 0 또는 +2 인 테이블에서 코드워드를 최초에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초기화의 관점에서 보상의 방향은 코드워드 DC=-2 가 코드워드 DC=+2 를 보상하도록 이루어진다.
트랙 추종 시스템은 넌-제로(non-zero)의 연속 성분 코드워드 DC=+/-2 의 존재를 유용하게 이용한다. 그 개념은 각 트랙의 DSV 를 모든 트랙에 대한 미리 정해진 계획(predefined scheme)에 따라 평균적인 방식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가능하다면 판독중에 트랙들을 증가하는 DSV 와 구별하고 또한 그 트랙들을 감소하는 DSV 와 구별하도록 절대적인 트랙 기준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8/10 부호화 알고리즘에 "열화(deterioration)" 라고 하는 변형을 발생시킨다. 이 DSV 의 증가 또는 감소 변화에 적합한 "DSV 의 변조"이라는 용어를 쓸 수 있다.
제1도에서 제시된 이러한 알고리즘(한 트랙에 대하여)에서:
- T 는 열화의 정도를 나타낸다. T=0 이면, 초기 8/10 부호화기의 알고리즘이 회복된다.
- S 는 S>0 이면 증가되고 S<0 이면 감소되는 평균값을 갖는 것으로서 변조의 방향을 정의한다.
- dsv 는 소정의 방향으로 변경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시스템의 상태 변수이다. dsv 는 각 워드에서 전환하는 2 진값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DSV 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코드워드 DC=+2 를 코드워드 DC=-2 로 보상하는 것이 아니고 두개의 연속하는 코드워드 DC=+2 를 허용함으로써 변경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DSV 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코드워드 DC=+2를 코드워드 DC=-2 로 두 배 보상하고 따라서 연속하는 DC=-2 를 갖는 두개의 코드워드를 허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변경은 코드워드 DC=+2 또는 DC=-2(부호화기 8-10)간의 선택을 정의하는 변수 Q' 를 반전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매체의 트랙들은 그룹들(G0, G1, G2,...,Gn)로 분배된다. 예를 들면 5 트랙으로 된 그룹들이 제공된다.
짝수열 그룹들의 트랙들은 각 트랙이 양의 연속성분을 가지도록 부호화된다.
홀수열 그룹들의 트랙들은 각 트랙이 음의 연속성분을 가지도록 부호화된다.
따라서 한 그룹에 있는 트랙들은 이웃하는 그룹들의 트랙들과 차별된다.
판독시, 시스템은 음의 연속 성분을 가지는 그룹들의 라인들로부터 양의 연속성분을 갖는 그룹들의 라인을 검출할 수 있다.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고려될 모든 트랙들은 양의 연속 요소를 갖는 트랙으로부터 음의 연속 요소를 갖는 트랙으로의 통로인 것으로서 정의되는 경계들 중 어느 쪽의 측면에 배치된 트랙들이며, 그 역도 성립한다.
제3도는 기록된 트랙들 상의 판독 헤드들의 정렬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디지털식 가산기나 아날로그식 가산기는 그룹들(G0, G1,...)의 트랙들 0 과 같은 전-경계 트랙들(the pre-boundaries tracks)의 DSV 값들의 합을 계산한다. 다른 가산기(S2)는 그룹들(G0,G1,...)의 트랙들 4 와 같은 후-경계 트랙들(the post-boundaries tracks)의 DSV 값들의 합을 취한다.
IN1 과 같은 반전기들은 짝수열 그룹들의 후-경계 트랙들의 판독을 반전시키고, IN2 와 같은 반전기들은 홀수열 그룹들의 전-경계 트랙들의 판독을 반전시킨다.
합산기(S1)는 그 합산기(S1)가 짝수열 그룹들의 전-경계 트헥들에서의 양의 연속 성분과 홀수열 그룹들의 전-경계 트랙들에서의 음의 연속성분을 검출할 때 검출신호를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합산기(S2)는 그 합산기(S2)가 짝수열 그룹들의 후-경계 트랙들에서의 양의 연속 성분과 홀수열 그룹들의 후-경계 트랙들에서의 음의 연속 성분을 검출할 때 검출신호를 공급한다.
그 두 합산기(S1 과 S2)가 동일한 검출신호(identical detection signal)를 공급할 때 판독 시스템은 판독되어야 할 트랙들에 적절하게 고정된다.
가산기(S1)가 가산기(S2)의 검출신호보다 높은 검출신호를 공급하는 경우, 이는 판독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트랙에 의해 한 방향(제 3 도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오프셋됨을 의미한다.
회로(CD)는 오프셋 방향을 검출하여 트랙 추종 보정 신호를 공급한다. 이러한 트랙 추종 보정 신호는 제4a도 및 제4b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추종장치에 작용한다.
제3도의 회로는 전-경계 트랙들과 후-경계 트랙들의 DSV 값들을 처리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근간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더 많은 수의 트랙들을 처리하는 회로도 제공 가능하다.
제3도에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연산이 병렬로 도시되었다. 실제로는, 트랙들의 순환식 탐색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각 가산기의 출력과 그 가산기의 입력을 루프화 하는 메모리들(D1 과 D2)의 존재를 셜명하고 있다. 이들 메모리로 인하여, 다른 트랙들의 DSV 값들을 점진적으로 가산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노이즈에 대해 어느 정도의 면역성을 갖고 있다. 노이즈이라는 용어는 최적의 예로 노이즈가 평균 0 값이고 표준 편차가 N(표본수)임을 정의하는 무작위 표본들의 순차를 제공하는 일시적으로 불량한 트랙들을 주로 지칭한다. 경험적으로는 이러한 "이상적인" 경우는 매우 일어나기 어려우며, 트랙 추종연산에 적용되는 경우, 불량 트랙은 미리 계산된 DSV 를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강하게 밀어 넣으려 함을 보여주고 있다. 소수의 불량 트랙들로 인해 이러한 계산이 불확실하게 되고 또 노이즈가 만연하게 된다.
이러한 노이즈에 대한 면역성을 얻기 위하여 카운터들에 의해 고려되는 모든 것들은 "삭제금지(not in erasure)"라고 선언된, 즉 진폭의 특정 임계값 이상인 표본들이 되며, 적분기의 비트수는 그에 따라서 적합된다.
제1도는 자기테이프의 자기광학적 판독용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프랑스 특허 공보 제 89 17313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자기광학 판독장치(TL1)는 자기지원(magnetic support) BM(자기테이프)에 근접해 있다. 그 장치는 편광의 빔을 송신기(TL2)로부터 수신하여, 그 분극 방향이 테이프의 자기화 상태의 함수인 빔을 검출기(TL6)로 다시 보낸다.
트랙 추종 시스템(Ass)이 자기광학 판독장치(TL1)에 의해 전송되는 광빔을 지향하는데 사용되어, 테이프의 여러 트랙들을 판독하기 위한 여러 빔들이 적절한 기본 검출기(Dec0, Dec1; elementary detector)쪽으로 정확하게 지정되어 향한다. 이러한 트랙 추종 시스템(ASS)은 전술의 트랙 추종 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된다.
트랙 추종 시스템(ASS)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실제로 검출기(TL6)에 평행하게 배치된 평행면(TL7)을 갖는 유리판을 구비한다.
또한, 시스템은 전자석(TL8)과, 판(TL7)에 고정 연결된 솔레노이드 플런저(TL9)를 구비한다. 전자석은 트랙 추종에 속하는 전기 정보 요소들을 수신하고, 상기 판으로 하여금 변환기(TL1; transducer)로부터 인입하는 빔을 검출기(Tl6)를 향해 적절히 반사하도록 향하게 하여 변환기(TL1)에 의해 전송된 트랙 판독 빔을 검출기(TL6)의 각 광 다이오드에 할당할 수 있게 한다.
전자석 시스템에 의한 제어 시스템은 영상 시스템의 광학적 요소 또는 광소자용 센서 중 어느 것을 이동(shifting)시키는 압전 제어 시스템(piezoelectric control system)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장치(M0)에 의해 전송되는 트랙 판독 빔들이 검출기들(Dec0, Dec1,...)쪽으로 향하게 되기 위해 지향되는 추종 시스템은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이들 다른 빔들의 각각이 가능한한 검출기상의 중심에 맞춰지거나 또는 적어도 검출기상에 공지의 방식으로 배치될 필요가 여전히 있다.
사실, 자기 매체상에 기록된 트랙수 때문에 이들 트랙들은 서로 매우 근접해 있게 된다. 따라서 판독 중에 누화(cross-talk)가 있을 수 있으며 각 트랙에 대한 판독은 이웃하는 트랙들에 의해 노이즈가 만연될 수 있다.
제6a도 내지 제6e도 및 제7a 및 제7b도는 트랙들간의 가능한 누화를 검출함으로써 그리고 본 목적상 여러 트랙들의 누화를 다른 트랙들의 누화와 균형을 맞춤으로써 트랙 추종 시스템을 더욱 정밀하게 만드는데 이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n개의 이웃하는 트랙들로부터 인입하는 신호 표본들 Xj에 순차적으로 작용하는 연산자들의 집합(a set of operators)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6a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화 보정 시스템이 설명된다. 제1도의 판독 시스템에 따르면, (한 헤드에서 다음 헤드로의 이동(passage)의 정밀성이 불충분한 회전식 헤드 시스템(rotating head system)에 반하여) 판독 헤드는 모든 트랙들의 표본들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간략화된 예에 따라서 인접 트랙들로부터 인입하는 정보 요소들의 표본들은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트랙들 j-1 및 j+1 로 인해서 트랙 j 가 받는 누화를 찾기 위해서, j-1, j 및 j+1 열의 트랙들로부터 인입하는 정보 요소들이 고려된다.
기록매체의 트랙들에서 판독된 여러 정보요소들은 그 역할이 후술되는 진폭 제어회로(1)에 의해서 수신된다. 여러 신호들 xj-1, xj 및 xj+1 은 누화 평가회로(2) 및 누화 보정회로(5)로 전송된다.
누화 평가회로(2)는 트랙 j-1 에서 트랙 j 까지 그리고 트랙 j+1 에서 트랙 j 까지 존재할 수도 있는 누화를 평가한다. 누화계수 C'jg 의 평가(트랙상의 트랙 j-1 의 누화)는 신호 xj 의 값에 신호 xj-1 의 부호에 할당된 1(unity)의 곱을 계산함으로써 행해진다. 이하, 신호 xj 가 xj-1 의 신호로 곱해지는 것을 더 간단하게 기술한다. 마찬가지로 누화계수 C'jd 의 평가(j 에서 j+1 의 누화)는 신호 xj의 값을 신호 xj+1 의 부호로 곱함으로써 행해진다.
제6b도는 신호들 xj-1, xj, xj+1 이 연속하여 도달하는 누화평가회로의 예를 나타낸다. 지연회로들(20,21)은 신호들의 위상 재설정(phase resetting)을 수행하고, 예컨대 ROM 메모리형의 회로(22)는 누화 C'jg 와 C'jd 의 계수들을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각 누화 계수 C'jg 와 C'jd 는 필터 3g, 3d 즉 시간에 따라 평균 Cjg 또는 Cjd 를 계산할 수 있는 평활화 필터(smoothing filter)로 전송된다. 이를 위해 각 계수는 동일 트랙에 대해 이전에 계산된 이전의 누화 계수(previous cross-talk coefficient)와 결합된다.
제6c도는 평활화 필터를 예시한다. 이 필터는 예컨대 누화계수 C'jg 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곱셈기 회로(30)는 수신된 계수 C'jg 를 1 보다 적은 가중계수 k 로 곱한다. 그 결과는 메모리(32)에서 보관하고 있던 동일 트랙에 대해 이전에 계산된 누화 계수를 제 2 입력에서 수신하는 가산기(31)로 전송되어 계수 1-k(곱셈기 회로(33))로 곱해진다. 이어서 출력에서, 필터링된 누화계수 Cjg 를 얻게 된다.
제6d도는 일 예로 메모리 회로(32)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메모리 회로는 n 개의 메모리 회로들(32.1 내지 32.n)을 가지고 있다. 숫자 n 은 기록매체의 트랙수 이다. 이어서 트랙의 각 처리시 다른 트랙들에 대하여 이전에 계산된 누화계수들은 하나의 메모리 단계만큼 이동(shift)되어, 회로(31)가 동일 트랙의 추종 계수 C'jg 를 수신할 때 소정의 순간에 계산된 트랙의 계수 Cjg 는 메모리(우측)로 입력되어 회로(33 및 31) 즉, 더 아래에 있는 n 메모리 단계들에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필터링된 누화 계수들 Cjg 와 Cjd 는 누화보정회로(5)로 전송된다. 또한 이 회로는 신호 xj-1, xj 및 xj+1 을 수신하여 연산 xj-(Cjg.xj-1+Cjd.xj+1)을 수행함으로써 신호 xj 의 누화를 보정한다.
제6e도는 누화보정회로(5)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회로는 직렬로 수신된다고 가정되는 신호 xj-1, xj, xj+1 를 재위상(rephase)시키는데 이용되는 두개의 지연회로들(50,51)을 가지고 있다. ROM형 회로(52)는 누화계수들 Cjg 와 Cjd 및 신호들 xj-1 과 xj+1 을 수신하여 Cjg.xj-1+Cjd.xj+1 를 대신 공급한다. 이 결과는 이러한 결과와 신호 xj 의 값간의 차를 계산하는 감산회로(53)로 전송된다. 이어서 누화보정신호 xj 가 얻어진다.
따라서 제6a도의 회로는 신호 xj 의 누화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 회로는 전술의 트랙추종장치(TL5)를 제어하기 위해 트랙추종신호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계산은 필터들(3g 과 3d)의 출력에 연결되어 누화계수들간의 차를 계산하는 감산회로(6)에 의해서 달성된다. 트랙추종장치에 순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부터 누화계수들의 어떤 갑작스런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차 Cjg-Cjd 는 기록매체에 소유된 n 개의 트랙들에 대해 적분된다. 특정 트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반응하지 않는 결과를 공급하도록 모든 트랙들에 대한 트랙 추종 신호의 평균이 취해진다.
제3a도의 회로에 허용된 상이한 신호들(xj)은 원칙적으로는 -1 또는 +1 값을 갖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 이들 조건하에서 어떤 현저한 차는 그 회로의 작용을 왜곡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전술의 진폭제어회로가, 그 상이한 신호들(xj)을 모든 트랙들에 대한 절대값에 의해 비교 가능한 값으로 감소시키는데 이용되기 때문이다.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7a도는 신호들 x-j, xj, xj+1 을 수신하는 누화보정 회로(5)를 갖는다.
누화평가회로(2)는 누화보정회로(5)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그것은 적분 필터와 결합되어 있고 따라서 누화계수들의 이후 계산(posteriori computation)을 수행한다. 실제로, 누화보정회로(5)의 출력에서 누화계산이 행해지기 때문에 누화 평가회로는 누화에 대해 이미 보정된 것으로 가정된 신호의 잔류누화(residual cross-talk)의 평가를 수행한다. 이러한 회로(2)는 제6a도의 회로와 같은 방식으로 작용한다.
평가된 잔류누화계수들 ejg 와 ejd 는 적분필터들 4g 와 4d 로 전송된다. 이들 필터들은 누화계수를 연속해서 적분한다.
다음식은 적분필터에 의해서 수행되는 연산이다.
Cjgt= C'jgt-1+ k'ejg
즉, 순간 t 에서 누화계수의 새로운 평가값은 잔류 오류 ejg 의 프랙션(fraction) k' 에 의해 보정된 순간 t-1 에서의 값과 같다.
이러한 것은 경사 알고리즘(gradient algorithm)에 따른 적용 처리 (adaptive process)이다.
제7b도는 이들 필터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회로(40)는 계수 k'(1 이하)로 잔류누화계수(ejg)의 가중치 부여를 수행한다. 가중 부여된 계수는 가산회로(41)의 입력으로 전송되고 그 가산회로(41)의 출력은 메모리 회로(42)에 의해 또 다른 입력에 루프된다. 이 메모리 회로(42)는 예컨대 제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계수 k' 에 의해 가중 부여된 잔류누화계수 ejg 는 동일 트랙에 대해 이전에 계산된 누화계수의 값에 가산됨을 알 수 있다.
이어서 회로 4g 와 4d 는 누화계수들 Cjg 와 Cjd 를 제6a도 및 제6e도의 회로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어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는 누화보정회로(5)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7a도의 회로는 누화 x'j 에 대해 보정된 신호들을 공급한다.
제6a도의 회로와 같이 제7a도의 회로도 누화계수들 Cjg 와 Cjd 로부터 시작하여 트랙추종신호를 공급하는 회로들(6 과 7)을 갖는다.
전술된 트랙신호들의 처리는 다른 트랙들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잔류누화의 사후 평가회로(회로(1,1'))는 근본적으로 현재의 표본(xj)을 교란 표본(xj+1)(동기 검출)의 부호로 곱한 것이다. 따라서 트랙들간의 누화를 보정하는데 이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트랙들의 추종에 관하여, 달성될 수 있는 기계적 위치의 정밀값들이 주어지면, DSV>0 또는 <0 을 갖는 지역(zone)들의 경계들은 어떤한 위치 지정의 모호성을 발생시키지 않고서도 100 에서 200㎛ 만큼 근접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검출될 수 있는 대다수의 경계들은 누락하는 트랙들이 존재하는 경우 시스템을 강건하게 한다.
DSV 에 관한 관리규칙의 변형이 결코 채널 용량을 열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은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의 식별은 빈약한 시스템에 기여하는 특정의 본래 트랙의 식별을 수반하는 것은 아니며, 공통의 특성으로 특징지워지는 트랙의 작은 패킷들간의 경계들의 검출을 수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들의 식별은 하나의 전-경계(pre-boundary) 트랙과 하나의 후-경계(post-boundary) 트랙만을 분석하기 때문에 지극히 간단하다. 각 경계의 각 측면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트랙들을 분석함으로써 트랙수에 관하여 경계에서 편차값을 얻어 시스템의 동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중 트랙신호의 용량을 조금도 열화시키지 않고서 결점들(임의의 오류 트랙들)을 허용(tolerate)하는 누화 보정 및 트랙추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의 표시 트랙(marking track)은 요구되지 않는다.
보다 개선된 시스템으로, 판독은 128 트랙들로 이루어진 3 블록들 상에서 병렬로 행해질 수도 있다. 기록중에는 128 트랙들로 이루어진 블럭에서의 모듈로 5 트랙들을 교대로 증가 및 감소시키는 트랙들의 DSV 들을 형성하고 이러한 패턴을 128 트랙들로 이루어진 두개의 다른 블럭들로 복제하는 것이 선택되었다.
따라서, 판독시 이들 블럭들중 한 블럭만을 이용하는 트랙추종 시스템은 변형없이 한 블럭에서 다른 블럭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변이 모듈로 5 는 증가 DSV/감소 DSV 및 감소 DSV/증가 DSV 경계들의 최상의 효율 분배를 가능케 함으로써 매트릭스 헤드의 선택 라인당 그리고 데이터 라인당 이들 전이의 수를 최소화한다.

Claims (30)

  1.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트랙들에 정보 요소들이 기록되고 각 트랙상에서 상기 정보 요소들이 부호화되는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 식별 트랙들의 부호화는 상기 트랙들이 제 1 형태의 값을 갖는 연속 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며, 상기 기록 매체의 제 2 트랙들의 부호화는 상기 제 2 트랙들이 제 2 형태의 값을 갖는 연속 성분을 구비하도록 부호화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 트랙들의 부호화는 상기 트랙들이 양의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며,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제 2 트랙들의 부호화는 상기 제 2 트랙들이 음의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랙들은 연속하는 트랙들의 패킷 형태로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는, 0 의 연속 성분들을 갖는 각각의 디지털 위치가 정보 요소를 표시하고 양의 연속 성분을 갖는 각 디지털 위치가 정보 요소를 표시하기 위해 음의 연속 성분을 갖는 디지털 위치와 쌍(pair)이 되는 디지털 RLL 부호화이며, 상기 정보요소는 선택에 따라서 두개의 디지털 위치들 중 하나의 디지털 위치로서 표시되고, 상기 제 1 트랙들은 양의 연속 성분들을 갖는 디지털 위치들을 표시하며, 상기 제 2 트랙들은 음의 연속 성분들을 갖는 디지털 위치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매체는 자기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매체는 자기디스크 또는 광학기록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7.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트랙들을 따라서 정보매체상에 위치되고, 각 트랙상에서 정보요소들이 부호화되는 정보기록기에 있어서, 제 1 식별 트랙들의 부호화는 상기 트랙들이 제 1 형태의 값을 갖는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며, 상기 기록매체의 제 2 트랙들의 부호화는 상기 제 2 트랙들이 제 2 형태의 값을 갖는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 트랙들의 부호화는 상기 트랙들이 양의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며,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제 2 트랙들의 부호화는 상기 제 2 트랙들이 음의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랙들은 연속하는 트랙들의 패킷 형태로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는, 0 의 연속성분들을 갖는 각각의 디지털 위치가 정보 요소를 표시하고 양의 연속성분을 갖는 각 디지털 위치가 정보요소를 표시하기 위해 음의 연속성분을 구비하는 디지털 위치와 쌍(pair)이 되는 디지털 RLL 부호화이고, 상기 정보 요소는 선택에 따라서 두개의 디지탈 위치들 중 하나의 디지털 위치로서 표시되며, 상기 제 1 트랙들에 대해 양의 연속성분들을 갖는 디지털 위치들을 선택하고 상기 제 2 트랙들에 대해 음의 연속성분들을 갖는 디지털 위치들을 선택하는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기.
  11. 기록매체상에 나란히 배치된 트랙들에 기록된 정보 요소의 판독기에 있어서: 각 트랙에 대한 차 신호들의 값들을 적분하는 적분 회로; 각 패킷의 트랙들 중 제 1 트랙들의 적분 결과들을 가산하는 제 1 가산회로(S1); 각 패킷의 트랙들 중 최종 트랙들의 적분 결과들을 가산하는 제 2 가산회로(S2); 및 상기 두 가산회로들의 가산 결과들을 비교하는 비교회로(C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요소 판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전기(IN1,IN2)가 각 패킷에 대해 상기 제 1 트랙 또는 상기 최종 트랙의 적분값(integration value)의 부호(sign)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요소 판독기.
  13. 제12항에 있어서, 메모리(D1, D2)는 각 가산기의 출력을 그 가산기의 입력에 루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요소 판독기.
  14. 복수의 병렬 기록된 정보트랙들을 구비하며, 각 정보요소가 음의 값 또는 양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기록매체 판독기에 있어서: 제 1 트랙(j)으로부터 직접 또는 비직접적으로 인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신호(xj), 상기 제 1 트랙(j)의 한 측면에 배치된 제 2 트랙(j-1)으로부터 직접 또는 비직접적으로 인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xj-1), 상기 제 2 트랙에 대하여 상기 제 1 트랙의 다른 측면에 배치된 제 3 트랙(j+1)으로부터 직접 또는 비직접적으로 인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신호(xj+1)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 2 신호의 부호로 곱하여 얻은 제 1 누화계수(Cjg)와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 3 신호의 부호로 곱하여 얻은 제 2 누화계수를 계산하는 누화 평가 회로(cross-talk estimation circuit )(2);. 및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상기 제 1 신호로부터 상기 제 1 누화계수와 상기 제 2 신호의 곱 및 상기 제 2 누화계수와 상기 제 3 신호의 곱을 감산함으로써 누화 보정 신호를 계산하는 누화 보정 회로(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하여, 먼저 상기 신호들을 상기 누화 평가 회로로 전송하고, 이어서 상기 누화 보정 회로에 전송하는 신호들의 진폭 보정용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누화 평가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누화계수들을 수신하고 그 누화계수들의 차를 계산하여 트랙 추종 보정 신호(track-following correction signal)를 제공하는 감산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판독기는 상기 누화 평가 회로(2)와 상기 누화 보정 회로(5) 사이에 누화 계수당 하나의 필터링 회로(3g, 3d)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링 회로(3g, 3d)는 제 1 계수 k(k < 1)로 누화계수를 가중하는 가중 회로(30)를 구비하고 이러한 가중된 계수를 가산 회로(31)의 제 1 입력에 공급하며, 상기 가산회로(31)의 출력은 상기 동일 트랙에 대해 이전에 계산된 누화계수를 공급하는 메모리회로(32)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제 1 가중 계수의 1 의 보수(one's complement)인 제 2 가중계수(1-k)로 가중하는 제 2 가중 회로에 의해 제 2 입력으로 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누화 평가회로(2)는 상기 누화 보정회로(5)의 출력에 연결되고, 따라서 이들 신호들이 상기 누화 보정 회로에 의해 처리된 후 신호들(x-j, xj, x+j)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판독기는 상기 누화 평가 회로(2)와 상기 누화 보정 회로(5) 사이에 누화 계수당 하나의 필터링 회로(4g, 4d)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링 회로(4g, 4d)는 누화 신호를 수신하여 그 누화 신호를 가중계수 k 로 가중하는 제 1 가중 회로(40), 이러한 가중된 신호를 제 1 입력에서 수신하는 가산회로(41)를 구비하며, 상기 가산회로(41)는 상기 동일트랙에 대해 이전에 계산된 누화계수를 상기 가산회로의 제 2 입력에 공급하는 메모리 회로(42)에 의해 상기 제 2 입력에 루프되는 출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기.
  20. 트랙들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기록 매체상에 위치된 정보 요소들을 기록 및 판독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트랙상에서 상기 정보 요소들이 부호화되는, 상기 정보요소 기록 및 판독 방법에 있어서, 제 1 식별 트랙들의 부호화가 상기 트랙들이 제 1 형태의 값을 갖는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며, 상기 기록 매체의 제 2 트랙들의 부호화가 상기 제 2 트랙들이 제 2 형태의 값을 갖는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요소 기록 및 판독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 트랙들의 부호화가 상기 트랙들이 양의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며, 상기 기록 매체의 제 2 트랙들의 부호화가 상기 제 2 트랙들이 음의 연속성분을 구비하도록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요소 기록 및 판독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랙들은 연속적인 트랙들의 패킷 형태로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요소 기록 및 판독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는 0 의 연속성분들을 갖는 각각의 디지털 위치가 정보 요소를 표시하고 양의 연속성분을 갖는 각각의 디지털 위치가 정보요소를 표시하기 위해 음의 연속성분을 갖는 디지털 위치와 쌍(pair)이 되는 디지털 RLL 부호화이고, 이러한 정보 요소는 선택에 따라서 두개의 디지털 위치들 중 하나의 디지털 위치로 표시되고, 상기 제 1 트랙들에 대해 양의 연속성분들을 갖는 디지털 위치들이 선택되고, 상기 제 2 트랙들에 대해 음의 연속성분들을 갖는 디지털 위치들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요소 기록 및 판독 방법.
  24. 다수의 병렬-기록 정보트랙을 구비하는 기록 매체의 판독 방법으로서, 각각의 정보요소가 양의 값 또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는, 상기 기록 매체 판독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트랙(xj), 상기 제 1 트랙의 양쪽에 배치된 제 2 트랙(xj-1) 및 제 3 트랙(xj+1)으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랙의 신호값을 상기 제 2 트랙의 신호 부호로 곱함으로써 제 1 누화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랙의 신호값을 상기 제 3 트랙의 신호 부호로 곱함으로써 제 2 누화계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누화 계수와 상기 제 2 누화 계수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트랙 추종 보정 신호를 얻도록 상기 두 누화 계수들간의 차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차는 상기 기록 매체의 트랙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다수의 연산으로 적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링된 누화계수(Cjg)를 상기 제 2 트랙(xj-1)의 신호값으로 곱한 값과 상기 제 2 필터링된 누화계수(Cjd)를 상기 제 3 트랙(xj+1)의 신호값으로 곱한 값을 상기 제 1 트랙(j)의 신호(xj)로부터 감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누화 보정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은 상기 계산된 누화계수의 계수 k 로 가중함으로써 행해지고 이러한 가중된 계수를 상기 동일 트랙에 대해 이전에 평가되어 계수(1-k)로 가중된 누화계수에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을 수신한 후, 신호들의 진폭들을 표준화하도록 상기 신호들의 진폭 보정을 위한 예비 단계(preliminary step)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누화계수와 상기 제 2 누화계수의 계산 단계들은 잔여 누화 계수들(ejg, ejd)을 계산하도록 상기 누화 보정된 신호들을 기초하여 수행되며, 상기 필터링은 각 순간에 상기 잔여 누화 계수(ejd, ejd)의 프랙션(fraction) k' 로 상기 누화 계수들(Cjg, Cjd)의 값을 갱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판독 방법.
KR1019940702939A 1992-12-22 1993-12-21 정보기록매체,기록기,판독기및기록방법 KR100308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215473 1992-12-22
FR9215473A FR2699723B1 (fr) 1992-12-22 1992-12-22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enregistreur, lecteur et procédé d'enregistrement.
PCT/FR1993/001278 WO1994015334A1 (fr) 1992-12-22 1993-12-21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enregistreur, lecteur et procede d'enregist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590A KR950700590A (ko) 1995-01-16
KR100308465B1 true KR100308465B1 (ko) 2001-12-01

Family

ID=943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939A KR100308465B1 (ko) 1992-12-22 1993-12-21 정보기록매체,기록기,판독기및기록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640285A (ko)
EP (1) EP0627113B1 (ko)
JP (1) JP3615544B2 (ko)
KR (1) KR100308465B1 (ko)
CN (1) CN1062675C (ko)
DE (1) DE69328717T2 (ko)
ES (1) ES2147228T3 (ko)
FR (1) FR2699723B1 (ko)
TW (1) TW377433B (ko)
WO (1) WO1994015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7589B1 (fr) * 1994-11-25 1997-01-03 Thomson Csf Dispositif et systeme de lecture
FR2728716B1 (fr) * 1994-12-23 1997-01-31 Thomson Csf Dispositif et systeme de lecture
EP0905695B1 (en) * 1997-09-29 2003-05-14 Deutsche Thomson-Brandt Gmbh Tracking device with a coil driven actuator and a sensor coil to determine a position of the actuator
EP0905694A1 (en) * 1997-09-29 1999-03-3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Tracking device with a coil driven actuator and a sensor coil to determine a position of the actuator
FR2779863B1 (fr) * 1998-06-16 2000-08-25 Thomson Csf Systeme de suivi de piste pour l'enregistrement/lecture d'un support d'informations et support d'enregistrement
US6275349B1 (en) * 1998-12-02 2001-08-14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Integrated optical tracking system for magnetic media
US6236340B1 (en) * 1999-01-04 2001-05-22 Quantum Corporation Modulation encoders and decoders
JP4129856B2 (ja) 1999-07-09 2008-08-06 タレス データ媒体及び記録媒体の記録/読取に有用なトラック追跡システム
FR2797514B3 (fr) 1999-08-10 2001-10-12 Thomson Csf Dispositif de lecture magneto-optique pour bandes magnetiques multipistes
FR2797513B1 (fr) * 1999-08-10 2001-10-26 Thomson Csf Dispositif de lecture magneto-optique pour bandes magnetiques multipistes
US7307809B2 (en) * 2005-08-18 2007-12-11 Quantum Corporation Correlation servo for positioning recording head
US11133864B1 (en) * 2020-04-24 2021-09-28 Ciena Corporation Measurement of crosstal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7056A (ja) * 1985-06-12 1986-12-17 Toshiba Corp 光情報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8846A (en) * 1961-01-23 1964-11-24 Silverman Danie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GB1478339A (en) * 1975-12-19 1977-06-29 British Broadcasting Corp Multiple track record replay
US4484238A (en) * 1982-06-15 1984-1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al track magnetic recording method
JPS5933618A (ja) * 1982-08-16 1984-02-23 Hitachi Ltd トラツク位置ずれ検知方式
JPS59100678A (ja) * 1982-11-30 1984-06-09 Olympus Optical Co Ltd トラツキング制御方式
EP0138210A3 (en) * 1983-10-14 1986-02-05 Hitachi, Ltd. Rotary head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racking control signals therefor
JPS6166250A (ja) * 1984-09-07 1986-04-05 Sony Corp トラツキング制御回路
JPS61287059A (ja) * 1985-06-12 1986-12-17 Toshiba Corp 光デイスク
JPH0693304B2 (ja) * 1985-10-08 1994-11-16 ソニー株式会社 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JP2633526B2 (ja) * 1986-01-16 1997-07-2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FR2665010B1 (fr) * 1990-07-20 1992-09-18 Thomson Csf Dispositif magnetique de lecture a reseau matriciel de tetes de lecture.
FR2683063B1 (fr) * 1991-10-29 1998-02-06 Thomson Csf Procede de lecture d'informations enregistrees et systeme de lecture.
FR2689293B1 (fr) * 1992-03-27 1994-05-13 Thomson Csf Dispositif de lecture d'un ensemble d'elements resistifs.
FR2699724B1 (fr) * 1992-12-22 1995-01-20 Thomson Csf Procédé de lecture d'un support d'enregistrement et système appliquant ce procéd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7056A (ja) * 1985-06-12 1986-12-17 Toshiba Corp 光情報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4015334A1 (fr) 1994-07-07
JP3615544B2 (ja) 2005-02-02
DE69328717T2 (de) 2000-11-02
DE69328717D1 (de) 2000-06-29
JPH07504292A (ja) 1995-05-11
TW377433B (en) 1999-12-21
ES2147228T3 (es) 2000-09-01
CN1090420A (zh) 1994-08-03
US5796710A (en) 1998-08-18
US5640285A (en) 1997-06-17
CN1062675C (zh) 2001-02-28
FR2699723A1 (fr) 1994-06-24
EP0627113B1 (fr) 2000-05-24
KR950700590A (ko) 1995-01-16
FR2699723B1 (fr) 1995-01-20
EP0627113A1 (fr) 1994-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2005A (en) Synchronous detection of wide bi-phase coded servo information for disk drive
US6493162B1 (en) Frame synchronization for viterbi detector
US6842410B1 (en) Digital automatic gain control of a multilevel optical disc read signal
KR930002879B1 (ko) 누화제거용 2차원 등화기를 구비한 데이터기록/재생장치
KR0162260B1 (ko) 고밀도 디스크 드라이브용 서보 제어 시스템과 위치 에러 신호 복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08465B1 (ko) 정보기록매체,기록기,판독기및기록방법
US6909566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P0749123B1 (en) Maximum-likelihood symbol detection for RLL-coded data
JP2870598B2 (ja) 2進値をサンプル値に割り当てる方法と装置
US5291500A (en) Eight-sample look-ahead for coded signal processing channels
KR100362793B1 (ko) 판독장치및시스템
EP0853805B1 (en) Transmiss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US6393598B1 (en) Branch metric compensation for digital sequence detection
US6094408A (en) Adaptive and selective cancellation of inter-symbol interference of a read channel in storage technologies
JP2760099B2 (ja) 光記録再生装置
JP4129856B2 (ja) データ媒体及び記録媒体の記録/読取に有用なトラック追跡システム
US5666339A (en)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ransversal filter
NL8203575A (nl) Werkwijze voor het coderen van een stroom van databits,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decoderen van een stroom databits.
JP2818129B2 (ja) 情報記録再生方式及びその情報記録再生方式を適用した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3370367B2 (ja) 波形等化方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光ディスク装置
EP0821827B1 (en) Branch metric compensation for digital sequence detection
WO1999028901A2 (en) Amplitude detector for signals having a periodical character,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tape recorder comprising such an amplitude detector
NL8203618A (nl) Inrichting voor het uitlezen van een registratiedrager.
JP3235096B2 (ja) データの変換及び検出方法
JPH0638282B2 (ja) デジタル磁気記録情報の再生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