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383B1 - 차량용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383B1
KR100307383B1 KR1019950004358A KR19950004358A KR100307383B1 KR 100307383 B1 KR100307383 B1 KR 100307383B1 KR 1019950004358 A KR1019950004358 A KR 1019950004358A KR 19950004358 A KR19950004358 A KR 19950004358A KR 100307383 B1 KR100307383 B1 KR 100307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dicator
vehicle
concave mirro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018A (ko
Inventor
스미요시겐지로
Original Assignee
오오 노 하루 오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 노 하루 오,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 노 하루 오
Publication of KR95003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9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giving information to passengers inside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다른 종류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여 그들 정보를 각각 다른 사람이 볼 수 있게 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오목거울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격리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표시기를 설치하고 이들 표시기로부터 표시되는 확대표시허상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볼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용하는 표시창을 투시하여 다른 정보를 각각 다른 사람에게 동시에 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표시장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어 차의 속도, 엔진의 회전수 및 다른 정보를, 예를 들어 액정 표시기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차량용 원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차량용 원격 표시장치로서는 제 1 도, 제 2 도와 같은 구조의 것이 있었다.
즉 1 은 표시화면 설치부(2)를 갖는 계기반(instrument panel)으로서, 이 표시화면 설치부(2)에는 예를 들어 차의 속도, 엔진 회전수등의 표시 눈금, 수온표시, 연료양표시등을 표시하는 표시기(3)과, 이 표시기(3)에 의한 표시정보를 반사시켜 방향을 바꾸는 하프미러(4)와, 이 하프미러(4)에 의하여 반사된 반사상을 운전자의 아이 포인트(eye point) 방향으로 확대표시하기 위한 오목거울(5)을 갖는 확대광학(擴大光學)시스템(6)과, 미터 바늘구동부(7)를 갖고 표시기(3) 및 바늘구동부(7)에 의한 표시를 하프미러(4)와 확대광학시스템(6)에 연속적으로 반사시켜 그 확대광학시스템에 의하여 확대표시되는 표시허상(10) 을 운전자가 눈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8은 미터 바늘구동부(7)에 설치되어 있는 미터 바늘, 9는 투명한 프론트 커버(front cover)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랑용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그 장치에 설치된 표시기가 하나이고, 이표시기에 의한 표시허상(10)의 표시부는 운전석의 전방에 위치하며 또한 운전석으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표시기에 의한 표시허상(10)은 운전자가 표시창(11)을 투시하여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조수석에 앉아 있는 사람은 표시허상을 보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종래의 예에서는 표시기(1)가 하나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운전자가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또 조수석의 사람은 T.V. 방송등을 동시에 볼 수가 없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이러한 것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T.V. 방송등을 수상하여 표시하는 제1표시기와, 자동차를 운전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기(13B)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들 쌍방의 표시를 확대하여 허상으로 표시하는 오목거울 및 그 확대허상을 투과하는 표시창을 계기반의 차폭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하고 동일한 오목거울 및 표시창을 이용하여 운전자는 제1표시기의 의한 표식허상을, 조수석의 사람은 제2표시기에 의한 표시허상을 각각 볼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는 운전의 안전성을 높이고 조수석의 사람은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는 차랑용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 도내지 제 5 도에서, 11 은 자동차용 계기반의 차폭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몸체(16)의 정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창으로서 이 몸체(16)내의 속(차체의 앞 방향)에는 오목거울(12)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거울(12)의 (차체의 및 방향으로) 전방 밑에는 그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제1 및 제2의 표시기(13A, 13B)가 설치되어 있다. 14는 이들 제1 및 제2의 표시기(13A, 13B)에 의한 표시상(表示像)을 오목거울(12)에 반사시키기 위한 한 장의 하프미러이다. 또 제1표시기(13A)는 T.V.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제2표시기(13B)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navigation), 차량 속도, 엔진 회전수 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다.
이상이 본 실시예의 구성이며,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표시기(l3A)와 제2표시기(13B)를 발광시켜 표시하면 이들 쌍방의 표시기(13A, 13B)에 표시되는 표시상, 즉 제1표시기(13A)에 의한 표시상은 하프미러(14)를 통하여 오목거울(12)에 반사되어 제 3 도에 있어서 그오목거울(12)로부터 떨어진 오른쪽 위치에 제1확대표시허상(l5A)이 표시된다. 또한 제2표시기(13B)에 의한 표시상은 위와 마찬가지로 하프미러(14)를 통하여 오목거울(12)에 반사되어 그 오목거울(12)로부터 떨어진 왼쪽 위치에 제2확대표시허상(15B)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위의 제1확대표시허상(15A)은 조수석으로부터, 공용(共用)되는 표시창(11)을 투시하여 볼 수 있고 또한 제2확대표시허상(15B)은 운전석으로부터 표시창(11)을 투시하여 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각각 다른 것을 표시할 수 있는 각각의 표시기 즉 제1표시기(13A), 제2표시기(13B)를 구비하여, 그 제1표시기(13A)에 의한 제1확대표시허상(15A)은 조수석으로부터 볼 수 있어도 운전석으로부터 볼 수 없고 또한 제2표시기(13B)에 의한 제2확대표시허상은 운전석으로부터 볼 수 있어도 조수석으로부터 볼 수 없으므로 제1표시기(13A)를 예를 들어 T.V. 수상등의 표시기로서 또 제2표시기(13B)를 자동차 주행에 필요한 내비게이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로 함으로써 운전자는 안전운전을 도모하고 조수석의 사람은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표시기를 구비하면서도 그들 표시기에 의한 표시를 확대표시하기 위한 오목거울(12), 표시기(11), 하프미러(14) 등은 모두 짝으로 구성되어 공용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 전체는 비교적 컴팩트(compact)하게 설계할 수 있어 차량 탑재용의 표시장치로서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표시기에 의한 표시상을 확대표시하는 것이므로 그들의 표시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표시장치의 저렴화, 절전화(節電化)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오목거울(12)에 의하여 확대되어 표시되는 허상은 그 오목거울(12)을 내장하는 몸체(16)내의 깊은 곳에서 원격 표시되는 것이므로 운전자, 조수석에 앉은 사람의 가시성(可視性)이 향상된다 또한 표시장치를 계기반의 차폭방향 중앙부에 설치함으로써 표시기의 표면에 직사광선이 들어오기 힘들고, 위시아웃(wash-out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형식(自發光式)의 표시기의 표시면에 강한 빛이 비추어지면 비발광부가 보이거나 발광부분의 휘도가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콘트라스트(contrast)가 극히 작게 되어 표시(display)가 보기 어렵게 되는 것)이 생기지 않으므로 특히 주간의 가시성도 향상된다.
제 1 도는 종래의 차량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구조 설명도.
제 2도는 종래의 차량용 표시장치의 표시형태설명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설명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측면설명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표시창(表示窓) 12 : 오목거울
13A : 제1표시창 13B : 제2표시창
14 : 하프 미러(half mirror) 15A : 제1확대표시허상(擴大表示虛像)
15B : 제2확대표시허상 16 : 몸체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오목거울(12) 전방의 좌우방향에 분리하여 설치되는 제1표시기(13A) 및 제2료시기(13B)를 배치하여 이들 제1표시기(13A) 및 제2표시기(13B)에 의한 제1표시허상(15A) 및 제2표시허상(15B) 각각을 오목거울(12) 배후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확대표시시켜 그들의 제1확대표시허상및 제2확대표시허상을, 각기 다른 시점(視點)에서 공용하는 표시창(11)을 투시하여 볼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표시기(13A)를 예를 들어 T.V. 수상등의 표시기로 하고 또한 제2표시기(13B)를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로 함으로써, 운전자는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조수석의 사람은 지루함 등을 해소할 수 있어 실용성이 우수한 차량용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오목거울(12)의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떨어트려 제1표시기(13A) 및 제2표시 기(13B)를 설치하여,
    이들 제1표시기(13A) 및 제2표시기(13B)에 의한 제1확대표시허상(15A)및
    제2확대표시허상(15B) 각각을 오목거울(12)의 배후의 각각의 다른 위치에 확대 표시하고,
    이들 제1확대표시허상 및 제2확대표시허상을 다른 시점(時點)에서 공용(共用)하는 표시창(11)을 투시하여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장치.
KR1019950004358A 1994-03-23 1995-03-03 차량용표시장치 KR100307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186194A JP3542042B2 (ja) 1994-03-23 1994-03-23 車両用表示装置
JP51861 1994-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018A KR950034018A (ko) 1995-12-26
KR100307383B1 true KR100307383B1 (ko) 2002-04-24

Family

ID=1289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358A KR100307383B1 (ko) 1994-03-23 1995-03-03 차량용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42042B2 (ko)
KR (1) KR100307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77097B1 (en) * 2002-08-19 2014-02-26 Koninklijke Philips N.V. A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within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018A (ko) 1995-12-26
JP3542042B2 (ja) 2004-07-14
JPH07261689A (ja) 199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4871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5519536A (en) Warning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vehicle
KR100508813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EP1821070B1 (en) Luminous display for automotive satellite navigation systems
WO2014175371A1 (ja) 車両用表示装置
EP0344968B1 (en) Vehicular display view control system
JP4588384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293264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5327154A (en) Indication display unit for vehicles
KR100307383B1 (ko) 차량용표시장치
JPH0986225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
JP2017190056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516438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S61238016A (ja) 車両用表示装置
JPS61151681A (ja) 車両用デイスプレイ装置
US20040189446A1 (en) Vehicle dashboard
JP3500180B2 (ja) 車両用表示装置
RU32054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зеркало-дисплей заднего вида автомобиля
WO2016163316A1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419017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0193257B1 (ko) 자동차의 계기판 구조
JP2002120597A (ja) 表示装置
JPH0369729B2 (ko)
WO1995013557A1 (en) Display systems and methods
JPH0362085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