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069B1 - 엔지오제닌및플라즈민의저해제 - Google Patents

엔지오제닌및플라즈민의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069B1
KR100307069B1 KR1019980052583A KR19980052583A KR100307069B1 KR 100307069 B1 KR100307069 B1 KR 100307069B1 KR 1019980052583 A KR1019980052583 A KR 1019980052583A KR 19980052583 A KR19980052583 A KR 19980052583A KR 100307069 B1 KR100307069 B1 KR 10030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in
val
angiogenesis
activity
cha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812A (ko
Inventor
치 범 채
용 송 고
Original Assignee
허일섭
주)녹십자
정명식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일섭, 주)녹십자, 정명식,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허일섭
Priority to KR101998005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06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Obesit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지오제닌(angiogenin) 및 플라즈민(plasmin)의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 혈관형성(angiogenesis)을 유도하는 엔지오제닌의 저해제로 보고된 chANG 펩티드(인간 엔지오제닌의 58번부터 68번까지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에 대응하는 유전자코돈(anticodon)으로부터 번역되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참조: 특허출원 97-44681)와 이로부터 유래된 특정 결실 펩티드들 및 그를 이용한 신 혈관형성의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들은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는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저해하고, 기존혈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엔지오제닌과 인간 암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바, 항암제 혹은 신 혈관형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류머티스 관절염, 당뇨성 실명증 및 망막의 황반퇴화에 의한 실명증 등과 같은 병의 치료제로서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지오제닌 및 플라즈민의 저해제 (INHIBITOR OF ANGIOGENIN AND PLASMIN)
본 발명은 엔지오제닌(angiogenin) 및 플라즈민(plasmin)의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 혈관형성(angiogenesis)을 유도하는 엔지오제닌의 저해제로 보고된 chANG 펩티드(인간 엔지오제닌의 58번부터 68번까지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에 대응하는 유전자코돈(anticodon)으로부터 번역되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참조: 특허출원 44681 및 Gho, Y. S. et. al., J. Biol. Chem., 272: 24294(1997))와 이로부터 유래된 특정 결실 펩티드들 (chANGN-1, chANGN-3, 및 chANGN-5)들이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는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고 엔지오제닌가 인간 유선암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의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 혈관형성은 기존의 혈관에서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것을 일컫는 용어로서, 기관이 형성되거나 상처 치유과정 등의 정상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 류머티스 관절염 및 당뇨성 실명증 등의 여러 질병에서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신 혈관형성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신 혈관형성의 유도물질과 억제물질이 상호 정교하게 작용하여 조절되지만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 류머티스 관절염 및 당뇨성 실명증 등의 여러 질병에서는 신 혈관형성이 조절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실제 여러 종류의 인간 암에서, 암조직에 형성된 모세혈관의 미리 도와 암의 전이 가능성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엔지오제닌(참조: Fett, J. W. et. al., Biochemistry, 24: 5480(1985))은 지금까지 알려진 수십 종의 혈관형성 유도물질중 하나로, 이를 분비하는 암세포들의 성장 및 전이에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참조: Olson, K. 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2:442(1995)). 엔지오제닌은 혈관을 구성하는 내피세포(endothelial cell)의 표면에 존재하는 액틴(actin)이라는 수용체와의 결합을 통해 신 혈관형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Hu, G. F.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 1217(1993)).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는 세포간의 질을 분해하여 주변 조직으로의 침범 등과 같은 서로 공통적인 특성들을 갖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메탈로프로테아제, 플라즈미노젠 액티베이터 및 플라즈민 등)들의 활성이 필수적이다. 액틴은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저해하지만(참조: Lind, S. E. et. al., J. Biol. Chem., 266: 5273(1991)) 이를 활성화시키는 플라스미노젠 액티베이터(plasminogen activator)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플라즈민노젠(plasminogen)에서 플라스미노젠 액티베이터에 의해 생성되는 플라즈민의 활성도가 액틴이 존재할 때 증가하며(참조: Lind, S. E. et. al., J. Biol. Chem., 266: 17673(1991))액틴과 엔지오제닌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플라즈민의 활성도가 액틴만 존재할 때 훨씬 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Hu, G. F.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7: 682(1993)). 이는 액틴과 엔지오제닌의 결합체가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플라즈민노젠(plasminogen)에서 플라스미노젠 액티베이터에 의해 생성되는 플라즈민의 활성도는 증가시키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액틴과 결합하는 엔지오제닌과 플라즈민의 결합부위는 구조적으로 유사할 것으로 예측되며 엔지오제닌과 결합해 액틴과의 결합을 저해하는 물질, 예를 들어 chANG 펩티드는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저해할 수 있고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도 저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암치료제들은 대부분 특정 초기암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암세포들이 이들 항암제에 대한 빠른 내성을 보이고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일단 전이가 일어난 경우에는 효과가 거의 없다는 문제점들로 인해, 임상적 사용에 많은 한계를 노출시켜 왔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암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 즉, 암세포 종류의 다양성, 항암제에 대한 내성 획득, 암세포의 전이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한 신 혈관형성 저해제를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인간 엔지오제닌 수용체인 액틴과의 결합에 관여하는 인간 엔지오제닌의 58번부터 68번까지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에 대응하는 유전자코돈(anticodon)으로부터 번역되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결실 펩티드들이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에 필수적인 세포간의 조직분해 및 침범과정에서 요구되어지는 엔지오제닌 및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하고 엔지오제닌과 인간 유선암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암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신 혈관형성을 유도하는 인간 엔지오제닌과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는 플라즈민에 대한 길항능을 지닌 펩티드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펩티드들을 신 혈관형성이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여 신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는 플라즈민(plasmin)이 인간 엔지오제닌과 그 수용체인 액틴간의 결합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은 chANG 펩티드가 플라즈민의 비경쟁 저해제(noncompetitive inhibito r)로 작용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는 chANG 펩티드가 인간 유선암(fibrosarcoma)의 세포간의 질을 분해하여 침범함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특정 결실 펩티드들 (chANG-1, chANGN-3 및 chANGN-5)이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은 인간 엔지오제닌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이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특정 결실 펩티드들(chANG-1, chANGN-3 및 chANGN-5)에 의해 저해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인간 유선암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이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특정 결실 펩티드들(chANGN-1, chANGN-3 및 chANGN-5)에 의해 저해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액틴은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시 요구되어지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저해하지만(참조: Lind, S. E. et. al., j. Biol. Chem., 266:5273(1991))의 액틴과 엔지오제닌의 결합체는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참조: Hu, G. F.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197: 682(1993), 액틴과 결합하는 엔지오제닌과 플라즈민의 결합부위는 구조적으로 유사할 것으로 예측되며 엔지오제닌과 결합해 액틴과의 결합을 저해하는 물질은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고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도 저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보고에 근거하여, 본 발명자들은 신 혈관형성을 유도하는 엔지오제닌의 저해제로 보고된 chANG 펩티드(인간 엔지오제닌의 58번부터 68번까지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에 대응하는 유전자코돈(anticodon)으로부터 번역되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참조: 특허출원 44681 및 Gho, Y. S. et. al., J. Biol. Chem., 272: 249294(1997))와 이로부터 유래된 결실 펩티드들을 화학 합성하였다.
chANG: NH2-Val-Phe-Ser-Val-Arg-Val-Ser-Ile-Leu-Val-Phe-COOH
chANGN-1: NH2--Phe-Ser-Val-Arg-Val-Ser-Ile-Leu-Val-Phe-COOH
chANGN-3: NH2-Val-Arg-Val-Ser-Ile-Leu-Val-Phe-COOH
chANGN-5: NH2-Val-Ser-Ile-Leu-Val-Phe-COOH
이들 펩트드들중 chANG펩티드는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비경쟁적으로 저해하고 (noncompetitive inhibitor), 인간 유선암의 세포간의 질의 분해에 의한 침범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한다. 또한,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특정 결실 펩티드들(chANG-1, chANG-3 및 chANG-5)이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저해하고 엔지오제닌과 인간 유선암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을 저해하나, 기존혈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부작용 없이 암 치료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티드들은 신 혈관형성이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는 질병 등을 가진 포유동물 또는 전기 병징을 나타내는 포유동물 모델에 투여함으로써, 신 혈관형성을 억제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펩티드들에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추가 등의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를 가하여 제조된 펩티드 유도체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4종류의 펩티드들뿐만 아니라, 그의 유도체들도 인간 엔지오제닌과 그의 수용체로 알려진 액틴과의 결합을 저해하고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저해하여 기존혈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신혈관형성만을 저해하는 한, 암 치료제 혹은 신 혈관형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류머티스 관절염, 당뇨성 실명, 망막의 황반퇴화에 의한 실명증 등과 같은 병의 치료제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서 사용된 펩티드들의 설계 및 합성 (도 1)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신 혈관형성을 유도하는 엔지오제닌의 저해제로 보고된 chANG 펩티드(참조: 특허출원 97-44681 및 Gho, Y. S. et. al., J. Biol. Chem., 272: 24294(1997))와 이로부터 유래된 결실 펩티드들을 화학 합성하였다(참조: 도 1).
도 1에서 chANG 펩티드는 인간 엔지오제닌에서 그 수용체로 알려진 액틴과의 결합에 관여하는 58번부터 68번까지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에 대응하는 유전자코돈(anticodon)으로부터 번역되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chANG 유도체들은 chANG에서 아미노 말단(chANG-1, chANG-3 및 chANG-5) 또는 카르복시 말단(chANG-2 및 chANG-4)에서 아미노산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상기에서 설계된 펩티드들을 화학 합성한 다음(Bio-Synthesis, Inc., USA),합성된 펩티드들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C18 역상 칼럼에 주입하고, 용매 A (증류수/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와 용매 B(아세토니트릴/ 0.05%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펩티드들을 10 mg/㎖의 농도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용해시키고, 적당량씩 분주하여 영하 70℃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플라즈민이 인간 엔지오제닌과 그 수용체인 액틴간의 결합 저해능력 검정 (도 2)
액틴은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시 요구되어지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저해하지만(참조: Lind, S. E. et. al., J. Biol. Chem., 266:5273(1991)) 엔지오제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저해하지 않으므로(참조: Hu, G. F.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7:682( 1993), 액틴과 결합하는 엔지오제닌과 플라즈민의 결합부위는 구조적으로 유사할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이것을 검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즉, 엔지오제닌 100 ng을 96웰 ELISA 용기에 고정시키고, 1% 알부민이 포함된 인산 완충용액을 가하고 상온에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 바이오틴(biotin)으로 표지된 액틴(8.0 nM)을 여러 농도의 플라즈민과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이때, 플라즈민의 단백질 분해능력을 저해하기 위해 아프로티닌(aprotinin)을 첨가하였다.) 용기에 가하여 고정된 엔지오제닌과 상온에서 1시간 결합시켰다. 결합되지 않은 액틴을 0.1%의 Tween 20이 포함된 인산 완충용액으로 3번 세척하고, 1/5,000으로 희석한 페록시다제가 결합되어 있는 스트렙타비딘을 상온에서 1시간 처리하였다. 다시 0.1%의 Tween 20이 포함된 인산 완충용액으로 3번 세척한 후, 페록시다제의 수용성 기질인 O-페닐디아민디히드로 클로라이드(OPD)를 처리하였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3N의 염산으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엔지오제닌과 결합된 액틴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49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플라즈민은 인간 엔지오제닌과 그 수용체인 액틴간의 결합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참조: 도 2). 이상의 실시예 2에서, 액틴과 결합하는 엔지오제닌 및 플라즈민의 결합부위는 구조적으로 유사함을 검증하였다.
실시예 3: chANG 펩티드의 플라즈민 활성 억제능력 검정 (도 3)
실시예 1에서 합성 정제된 chANG 펩티드가 플라즈민의 활성을 억제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플라즈민(1㎍)과 그 기질인 ChromoPL 및 여러 농도의 chANG 펩티드가 포함된 용액(20 mM Tris/HCI, pH 7.5, 130 mM NaCl) 0.2 ㎖을 96웰 ELISA 용기에 가하고 상온에서 반응시키면서 49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플라즈민의 활성은 초기 활성속도(v)로 결정하였는데, 이는 1분당 490 nm 파장에서 흡광도의 변화량으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chANG 펩티드는 플라즈민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고 chANG 펩티드는 플라즈민의 비경쟁 저해제(noncompetitive inhibitor)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참조: 도 3).
따라서, chANG 펩티드는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시 요구되어지는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시예 4: chANG 펩티드의 인간 유선암의 세포간의 질의 분해에 의한 침범 억제능력 검정 (도 4)
chANG 펩티드가 암 세포의 침범을 억제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Biocoated Matrigel Invasion Chamber(Becton Dickinson, USA)을 사용하여 다음과 간이 실험하였다. 3T3 조건 배지(3T3 conditioned medium)을 인베이젼 챔버 (Invasion Chamber)의 아래쪽에 가하고 10만개의 인간 유선암(HT1080, human fibrosarcoma) 세포와 0.1%의 알부민 및 여러 농도의 chANG 펩티드가 든 배양액(DMEM) 0.2 ㎖을 인베이젼 챔버의 윗쪽에 가하였다. 37℃에서 16시간 배양한 후, 위쪽 필터에 남아 있는 암 세포를 면봉으로 제거한 후에 침범된 암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chANG 펩티드는 인간 암세포의 침범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참조: 도 4). 또한, 플라즈민의 저해제로 알려진 알파2 앤티플라즈민(alpha2 antiplasmin) 역시 인간 암세포의 침범을 저해하였다. 이는, chANG 펩티드가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암세포의 침범을 억제함으로써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결실 펩티드들의 플라즈민 활성 억제능력 검정 (도 5)
이상의 실시예 3 및 4로부터, chANG 펩티드는 플라즈민의 활성을 비경쟁적으로 저해하고(noncompetitive inhibitor) 이러한 기작으로 암세포의 침범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비록, chANG 펩티드가 1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작은 물질이지만, 그 크기가 작을수록 여러 입장에서 암 치료제 등으로 유용하기 때문에 실시예 1에서 보인 여러 종류의 결실 펩티드를 합성 정제하고 이들 펩티드들이 플라즈민의 활성을 억제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특정 결실 펩티드들 (chANGN-1, chANGN-3 및 chANGN-5)이 플라즈민의 활성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고, chANGN-6,chANGN-2 및 chANGN-4 펩티드들은 플라즈민의 활성도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참조: 도 5). 특히, 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chANGN-5(NH2-Val-Ser-Ile-Leu-Val-Phe-COOH)는 1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chANG 펩티드보다 더 효과적으로 플라즈민이 활성도를 저해하였다.
실시예 6: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결실 펩티드들의 엔지오제닌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 억제능력 검정 (도 6)
엔지오제닌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 형성이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결실 펩티드들에 의해 저해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달걀CAM(chorioallantoic membrane)을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즉, 유정란((주)풀무원, 대한민국)을 37℃ 배양기에 넣고 2일간 배양시킨 후, 3 ㎖의 알부민을 제거하고 4일 후에 3 cm x 3cm 정도의 달걀 껍질을 제거해 창을 만든 후 계속 배양하였다. 엔지오제닌 10ng(0.69pmol) 및 인간 알부민 500ng과 일정양의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결실 펩티드들을 혼합하고, 3㎕를 1/4조각의 Thermanox 디스크(Nunc, USA)에 점적하여 건조시킨 다음, 9일간 배양된 달걀의 CAM에 위에 놓고, 이틀간 배양하고, 점적된 샘플로 유도되는 혈관이 있는지를 결정하였다. 실험은 각각의 샘플당 12∼16개의 달걀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3회 반복하였다.
도 6에서 보듯이, 10 ng (0.69 pmol)의 엔지오제닌은 500 ng의 인간 알부민과 같이 존재할 때 57.8%의 달걀에서 신 혈관형성을 유도하였지만 (Angiogenin 점선), 500 ng의 인간 알부민만은 38.8%의 달걀에서만 신 혈관형성을 유도되었다 (HSA 점선). 이는 엔지오제닌이 인간 알부민이 존재할 때에도 신 혈관형성을 잘 유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하는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특정 결실 펩티드들(chANGN-1, chANGN-3, chANGN-5)은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시 요구되어지는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엔지오제닌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7: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결실 펩티드들의 인간 암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 억제능력 검정 (도 7)
달걀 CAM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결실 펩티드들이 인간 암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 억제하는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정란을 37℃에서 배양하면서 알부민을 제거하고 창을 만들었다. 105개의 인간 유선암 (HT1089) 및 7.5㎍의 Type Ⅰ 콜라젠 (Rat tail Becton Dickinson, USA)과 펩티드들을 5㎕의 부피에 섞어 1/4조각의 Thermanox 디스크에 점적하여 건조시킨 다음 상온에서 콜라젠 스펀지를 제작한 다음,이를 10일간 배양한 달걀의 CAM에 얹어 3일간 배양하고 점적된 샘플로 유도되는 혈관이 있는지를 결정하였다. 실험은 각각의 샘플당 10∼12개의 달걀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2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보이듯이 암세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72.78%의 달걀에서 신 혈관형성을 유도하였지만 (도 7, HT1080 점선), 콜라젠만은 22.8%의 달걀에서만 신 혈관형성이 유도되었다(도 7, 콜라젠 점선). 이는 암세포가 주변의 기존혈관에서 콜라젠 스펀지 쪽으로 신 혈관형성을 잘 유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하는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특정 결실 펩티드들 (chANGN-1, chANGN-3 및 chANGN-5)은 기존혈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인간 유선암 (HT1080)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 형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그러나, 플라즈민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chANGN-6, chANGN-2 및 chANGN-4 펩티드들은 암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chANG 펩티드 및 이로부터 유래된 특정 결실 펩티드들(chANGN-1, chANGN-3 및 chANGN-5)은 신 혈관형성과 암세포의 전이시 요구되어지는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엔지오제닌 및 인간 암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나, 기존혈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부작용 없이 암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의 펩티드들은 신 혈관 형성과 암세포의 전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는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하고 엔지오제닌과 인간 암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나, 기존혈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항암제 혹은 신 혈관형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류머티스 관절염, 당뇨성 실명 및 망막의 황반퇴화에 의한 실명증 등과 같은 병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열 1]

Claims (7)

  1.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하여 신 혈관형성(angiogenesis)을 억제하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NH2-Val-Phe-Ser-Val-Arg-Val-Ser-Ile-Leu-Val-Phe-COOH
  2.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하여 신 혈관형성(angiogenesis)을 억제하는 하기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NH2-Phe-Ser-Val-Arg-Val-Ser-Ile-Leu-Val-Phe-COOH
  3.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하여 신 혈관형성(angiogenesis)을 억제하는 하기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NH2-Val-Arg-Val-Ser-Ile-Leu-Val-Phe-COOH
  4.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하여 신 혈관형성(angiogenesis)을 억제하는 하기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NH2-Val-Ser-Ile-Leu-Val-Phe-COOH
  5. 인간 암세포의 세포간의 질을 분해하여 침범함을 억제하는 것은 펩티드의 플라즈민의 활성을 저해함을 특징으로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4항 기재중 어느 하나의 펩티드.
  6. 기존혈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엔지오제닌과 인간 암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신 혈관형성만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4항 기재중 어느 하나의 펩티드.
  7. 신 혈관형성(angiogenesis)이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 혈관형성의 억제방법으로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4항 기재중 어느 하나의 펩티드.
KR1019980052583A 1998-12-02 1998-12-02 엔지오제닌및플라즈민의저해제 KR100307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583A KR100307069B1 (ko) 1998-12-02 1998-12-02 엔지오제닌및플라즈민의저해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583A KR100307069B1 (ko) 1998-12-02 1998-12-02 엔지오제닌및플라즈민의저해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812A KR20000037812A (ko) 2000-07-05
KR100307069B1 true KR100307069B1 (ko) 2001-11-30

Family

ID=1956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583A KR100307069B1 (ko) 1998-12-02 1998-12-02 엔지오제닌및플라즈민의저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0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812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no et al. Calpain research for drug discovery: challenges and potential
US5972636A (en) ATP-dependent protease and use of inhibitors for same in the treatment of cachexia and muscle wasting
Maejima et al. Nitric oxide inhibits myocardial apoptosis by preventing caspase-3 activity via S-nitrosylation
JP2520131B2 (ja) セリンプロテア−ゼ阻害剤
KR102060207B1 (ko) 세타-디펜신들로 염증성 프로테아제들의 차단
KR20080055852A (ko)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의한 콜로니화를 특징으로하는 염증성 피부 병태의 치료를 위한 아우레오리신억제제의 용도
Ferro et al. The role of 5′-methylthioadenosine phosphorylase in 5′-methylthioadenosine-mediated inhibition of lymphocyte transformation
CA2501282C (en) Vasoregulating compounds and methods of their use
KR100307069B1 (ko) 엔지오제닌및플라즈민의저해제
Francis et al. Differential expression of cyclosporine A-Induced calcineurin isoform-specific matrix metalloproteinase 9 (MMP-9) in renal fibroblasts
KR20030027789A (ko) 혈관증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응고인자ⅶ-활성화 프로테아제의 용도
Barta et al. Calpain-1-dependent degradation of troponin I mutants found in familial hypertrophic cardiomyopathy
Pacheco-Rodriguez et al. BIG1 and BIG2: brefeldin A-inhibited guanine nucleotide-exchange proteins for ADP-ribosylation factors
JP2017530954A (ja) トロポニンのエラスターゼから独立した増加と関連する障害のためのエラフィンの使用
DiChiara et al. XBP1s-mediated endoplasmic reticulum proteostasis network enhancement can selectively improve folding and secretion of an osteogenesis imperfecta—causing collagen—I variant
KR100241185B1 (ko) 엔지오제닌의 저해제
CN113880930B (zh) 一种多肽毒素THTX-Cl19及其应用
KR100241184B1 (ko) 엔지오제닌의 저해제
WO2005071103A1 (de) Verfahren zur identifizierung und herstellung von effektoren calmodulin-abhängiger peptidyl-prolyl cis/trans isomerasen
JP2918922B2 (ja) インスリン結合活性を有するポリペプチド
JP2915907B2 (ja) インスリン結合用担体
Böhm Targeting the Final Step of Blood Coagulation: Structure-Activity-Relationship Studies on the Factor XIIIa Inhibitor Tridegin
WO2000060083A9 (en) Novel protein associated with cell stress response
JP2000166542A (ja) IκBまたはβカテニンのユビキチン化を促進するユビキチンリガーゼSCF複合体のF−ボックスタンパク
Peden Activ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