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255B1 -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수확도구 - Google Patents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수확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255B1
KR100306255B1 KR1019990002416A KR19990002416A KR100306255B1 KR 100306255 B1 KR100306255 B1 KR 100306255B1 KR 1019990002416 A KR1019990002416 A KR 1019990002416A KR 19990002416 A KR19990002416 A KR 19990002416A KR 100306255 B1 KR100306255 B1 KR 10030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edium
mulching
cultiv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787A (ko
Inventor
장현유
장형규
Original Assignee
장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유 filed Critical 장현유
Priority to KR101999000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25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균상재배, 상자재배, 및 봉지재배시 배지가 노출됨으로 인하여 발생되던 병해충의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지가 수납된 재배용기에 배지가 봉지되도록 비닐로 멀칭처리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발이구멍을 형성하여 그 발이구멍을 통하여 버섯이 발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멀칭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멀칭 재배 방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지가 수납되는 원통형상의 자루로서 백색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흑색의 HD 비닐이고, 그 흑색비닐에 발이구멍이 일정 직경과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배지가 수납되는 상자의 상부에 덮혀지며 발이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멍에 돌출되도록 하여 절단수단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도구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재배용기 및 수확도구에 따르면, 버섯이 발생될 부분만 노출시켜 배지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병해충의 발생원으로부터 배지를 차단하여 고품질의 버섯을 제고(提高)할 수 있고, 버섯 수확의 생력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수확도구{Mushroom mulching cultivation method and harvest tool used in the same}
본 발명은 버섯 재배 방법과 그에 이용되는 재배용기 및 수확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지의 멀칭(mulching) 처리에 의해 수량제고(數量提高)와 병충해 방제를 할 수 있도록 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그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버섯 재배용기와 수확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버섯의 재배 방법으로는 균상재배와 상자재배 및 봉지재배 등이 대표적이다. 그 예로서 느타리버섯의 재배 방법을 소개하기로 한다.
느타리버섯의 원래 기주체는 느티나무, 포플러 등 활엽수이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볏짚과 폐면을 이용하여 저온살균 및 발효방법을 이용한 균상재배가 널리 행하여져 왔다. 볏짚이 풍부하고 1970년대 성행하던 방직산업의 발달로 방직공장에서 쓰이고 남은 찌거기인 폐면의 수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었다. 느타리버섯을 재배하기 위하여 볏짚과 폐면을 배지로 하여 저온살균(60~65℃에서 8시간)과 발효방법(60℃에서 2회 뒤집기, 50~55℃에서 2일간 후 발효)을 이용하여 왔던 것이다.
그러나, 종래 균상재배나, 상자재배, 및 봉지재배시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배지를 외부환경에 노출시켜 재배를 하기 때문에 배지가 쉽게 건조되고 병원균이나 해충의 침입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버섯 재배시 상압에서 이루어지는 저온살균을 하고 있기는 하나 저온살균의 경우에 병원균을 완전하게 살균하지 않고 항균 미생물을 이용하는 불완전 살균이기 때문에 병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으며, 배지의 건조에 따른 잦은 물주기의 필요에 따라 병해의 발생 확률이 더욱 높아질 수 밖에 없었다. 예를 들어, 현재 버섯을 재배할 때 가장 많은 해를 미치는 병해는 세균성갈변병과 푸른곰팡이병인데, 이들은 모두 수매성 병해로서 세균성갈변병의 경우 물주기에 의해 병이 시작되고 푸른곰팡이병의 경우 고온다습할 때와 해균 포자의 배지로의 낙하에 의해서 발명된다. 이러한 이유로 버섯을 재배하는 많은 농가에서 버섯 재배에 실패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재배된 버섯의 수확시 노동력이 집중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지가 쉽게 건조되지 않도록 하고 해균포자의 배지 낙하를 방지하여 배양중에 발생되는 병해충으로 인하여 버섯의 품질이나 수확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섯 멀칭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멀칭 재배 방법이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수확을 용이하게 하는 버섯 재배용기와 수확도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2와 도 3은 일반적인 재배상자와 본 발명에 따른 수확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자루 21; 흑색비닐
22; 백색라인 23; 발이구멍
24; 봉지마개 30; 수확도구
31; 몸체 32; 천
33; 손잡이 34; 구멍
35; 칼날 40; 상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멀칭 재배 방법은 배지가 수납된 재배용기에 배지가 봉지되도록 비닐로 멀칭처리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발이구멍을 형성하여 그 발이구멍을 통하여 버섯이 발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멀칭에 사용된 비닐에 배지를 노출시키지 않고 발이구멍을 형성하여 버섯이 발생될 부분만 노출시켜 배지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병해충의 발생원으로부터 배지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때, 멀칭에 이용되는 비닐은 HD(High Density) 비닐로서 백색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흑색비닐을 사용하여 빛을 차단하므로써 버섯의 생장조건을 제한하고 배지 건조 방지 효과를 상승시켜 발이구멍 이외의 부분에서 버섯이 발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흑색비닐의 백색라인에 의해 균사체의 생장 상태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필요한 빛의 공급을 하여주게 된다.
느타리버섯의 경우 배지의 재료는 톱밥을 주재료로 하고 거기에 약간의 폐면등을 혼합하여 고압살균의 무균과정을 거쳐 멀칭되도록 하여 배지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병원균으로부터의 병해 발병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배지를 포플러 톱밥과 면자각 및 미강이 65:20:15의 비율로 배합된 것을 사용하면 보다 높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버섯간의 경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발이구멍들간의 간격을 약 10㎝로 하고, 각 발이구멍의 직경을 5㎜로 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는 배지가 수납되는 원통형상의 자루로서 백색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흑색의 HD 비닐이고, 그 흑색비닐에 발이구멍이 일정 직경과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확도구는 배지가 수납되는 상자의 상부에 덮혀지며 발이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멍에 돌출되도록 하여 절단수단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멀칭 재배 방법의 실험 결과와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느타리버섯을 예로 하여 균상, 상자, 봉지, 자루재배로 나누어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멀칭 재배 방법에 따라 얻어진 수량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였으며,구체적으로 종래와 같이 배지가 노출되는 무처리시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방법을 백색비닐과 흑색비닐의 멀칭시로 구분하여 주기별 수량을 비교하여 보았다.
먼저, 상자재배의 경우이다. 여기서, 상자는 내열성 플라스틱 제품으로서 45×45㎝ 크기인 것으로 하였고, 배지는 포플러 톱밥:면자각:미강을 65:20:15(v/v)로 혼합하여 수분을 65%로 조절하였다. 한 개의 상자에 수분 조절된 배지를 5㎏씩 넣어 뚜껑을 덮고 고압 살균(1.5기압, 121℃, 40분)한 후 25℃에서 20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배지 위에 흑색비닐과 백색비닐에 발이구멍을 직경 5㎜로 하여 10㎝간격으로 발이 유기시에 멀칭하여 비교 실험을 하였다.
상자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배지의 멀칭재료에 따른 주기별 수량의 영향
멀칭재료 주기별 수량(g)
1 2 3 4 5 6
무처리(기존) 650 450 310 195 90 - 1695
흑색비닐 680 590 431 287 157 92 2237
백색비닐 675 545 405 216 112 75 2028
표 1에서와 같이 멀칭을 하지 않은 기존의 상자 재배 방법은 상자 당 1695g의 느타리버섯이 생산되었다. 그리고, 흑색 비닐로 멀칭하였을 때는 24.2%가 증수된 2237g/상자이었고, 백색 비닐로 멀칭하였을 때는 16.4%가 증수된 2028g/상자이었다. 증수된 용인은 배지가 건조되지 않고 불필요한 발이를 억제하므로서 주기별 수량 감소가 적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다음에 균상 재배의 경우이다. 균상은 ㎏/3.3㎡이고, 배지두께는 15㎝이며 배양이 완료된 배지 위에 흑색비닐과 백색비닐에 발이구멍을 직경 5㎜로 하여 10㎝간격으로 발이 유기시에 멀칭하여 비교 실험을 하였다.
균상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배지의 멀칭재료에 따른 주기별 수량의 영향
멀칭재료 주기별 수량(㎏)
1 2 3 4 5 6 수량지수(%)
무처리(기존) 22.8 12.4 6.4 4.5 2.1 - 48.2 100
흑색비닐 17.6 13.6 11.5 8.8 4.2 1.8 57.5 116.2
백색비닐 21.3 13.1 8.2 6.1 2.3 1.1 52.1 107.5
표 2에서와 같이 균상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배지의 멀칭재료에 따른 주기별 수량은 기존(무처리) 방법이 48.2㎏/3.3㎡이었으나 흑색비닐로 멀칭하였을때 57.5㎏/3.3㎡, 백색비닐로 멀칭하였을 때 52.1㎏/3.3㎡로 각각 16.2%와 7.5%의 증수 효과가 있었다.
흑색비닐 멀칭의 증수 요인은 주기별 수량 감소율이 적고 배지의 수분유지가 잘됨에 따른 것이라고 추정된다. 특히, 흑색비닐로 멀칭한 경우는 버섯이 발생될 부분만 광에 노출되기 때문에 병충해가 적고 불필요한 발이가 억제되어 영양소모가 적어 품질이 우수하였다. 물론, 무처리(기존)구는 1주기에 22.8㎏/3.3㎡로서 초기 수량이 가장 많았다. 흑색비닐 멀칭구에서 1주기 때 17.6㎏/3.3㎡로서 무처리구 22.8㎏/3.3㎡가 오히려 22.8% 증수된 결과를 얻었고, 백색 비닐 멀칭구는 1주기 때 21.3㎏/3.3㎡로서 무처리구 22.8㎏/3.3㎡가 6.6% 더 증수된 결과를 얻었다. 즉, 1주기 수량만을 비교하면 무처리구, 백색, 흑색 처리구 순으로 수량이 높았다. 이는 무처리나 백색은 전면적에 광(光)이 조사됨에 따라 발이 면적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전체적인 수량을 비교하여 볼 때 흑색비닐 멀칭구의 경우가 수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느타리버섯을 균상재배할 때 멀칭 시기에 따른 주기별 수량의 영향을실험하였다. 조건은 표 2의 조건과 동일하며, 단 멀칭 시기를 접종시와 발이유기시로 구분하여 실험을 하였고 멀칭 재료로 흑색 비닐을 사용하였다.
균상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의 멀칭시기에 따른 주기별 수량의 영향
멀칭재료 주기별 수량(㎏)
1 2 3 4 5 6 수량지수(%)
기존 22.8 12.4 6.4 4.5 2.1 - 48.2 100
접종시 17.1 12.9 10.7 7.2 3.7 1.1 52.7 108.5
발이유기시 17.6 13.6 11.5 8.8 4.2 1.8 57.5 116.2
균상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의 멀칭시기를 접종시와 발이유기시에 하였을 때 주기별 수량을 조사한 결과 표 3에서와 같이 접종시에 52.7㎏/3.3㎡로서 무처리구 48.2㎏/3.3㎡에 비해 8.5% 증수되었으며, 1주기의 수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25%나 감소되었다. 그러나, 주기별 수량 감소율이 낮아 전체적인 수량은 높았다. 비닐멀칭시기는 발이 유기시가 수량이 가장 높았고 품질도 좋았으며 병해충 발생이 적었다. 접종시에 발이구멍이 뚫려 있는 흑색비닐을 멀칭하여 배양을 하기 때문에 배양정도와 오염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고품질의 수량제고를 위하여 발이 유기시에 흑색비닐을 멀칭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다음은 봉지재배의 경우이다. 느타리버섯 배지의 재료에 따른 주기별 수량의 영향을 얻어내기 위해 배지의 재료를 포플라 톱밥과 면자각 및 미강을 사용하고 그 혼합비율의 변화에 따른 수량 변화를 실험하여 표 4에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여기서, (포)는 포플라 톱밥이고, (면)은 면자각이며, (미)는 미강이고, 배지 무게는 1.5㎏, 봉지 길이는 30㎝, 폭은 10㎝, 멀칭은 백색 비닐(단 상부는 개방)이다.
봉지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배지의 재료에 따른 주기별 수량의 영향
배지재료(%)(포):(면):(미) 주기별 수량
1 2 3 4 5 6
80:0:20 720 415 206 113 87 46 1587
95:0:5 600 358 152 74 25 - 1209
85:10:5 732 401 167 81 65 26 1472
65:20:15 809 426 216 105 73 35 1664
봉지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배지의 재료에 따른 주기별 수량을 조사한 결과, 배지의 재료인 포플러:면자각:미강이 65:20:15(V/V; volume/volume)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 1664g/봉지로서 수량이 가장 양호하였고, 80:0:20(V/V)이 1578g, 85:10:5(V/V)가 1209g의 순이었다. 주재료로서 포플러 톱밥만을 사용한 것보다는 포플러 톱밥과 면자각을 혼합하는 것이 전체 수량은 많았다. 모든 처리구에서 1,2,3주기까지의 초기 수량이 많다가 4,5,6주기인 후기 수량이 떨어졌으나 미강함량이 높은 처리구에서는 주기에 따른 수량감소가 적었는데 그 이유는 영양원인 미강 함량이 높기 때문에 후기 수량감소가 적어졌다고 추정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시에 멀칭 처리, 특히 흑색비닐로 멀칭처리하고 발이구멍을 형성하는 경우가 종래와 같이 멀칭 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수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의 재배용기의 실시예로 소개하는 자루는 이러한 버섯 멀칭 재배 방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배용기로서 사용되는 자루(20)는 길이 l이 약 80㎝, 직경D가 약 25㎝의 크기의 배지가 수납되는 원통형상이다. 자루(20)를 구성하는 재료는 HD(High Density) 비닐로서 백색라인(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흑색비닐(21)이다.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하여 흑색비닐(21)에 직경이 약 5㎜이고, 간격d1이 약 10㎝인 발이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자루(20)의 상단과 하단에는 자루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마개(24)가 결합되어 있다.
멀칭 재료로 사용된 흑색비닐이 배지의 수분을 유지시켜 건조를 방지하여 주고, 광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발이를 억제한다. 느타리버섯은 광에 노출된 발이구멍을 통하여 자라나게 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발이구멍이 분포되어 버섯간의 경합없이 고른 성장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흑색비닐의 백색라인은 발이유기 전까지 균사체의 생장에 필요한 광을 공급하게 되고, 그 생장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백색라인의 수와 폭 등은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소개된 실시예는 봉지재배에 사용되는 봉지가 약 30㎝인 것에 반하여 그 길이를 약 80㎝로 하고 있다. 이것은 종래 봉지재배시에 봉지의 상부를 개방하여 그 부분에서 버섯이 발이되기 때문에 길이가 제한되었으나 발이구멍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기 때문에 길이의 증가가 가능하게 된 것이며 느타리버섯의 경우 약 80㎝ 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발이구멍의 전체적인 고른 분포로 인하여 자루를 주기별로 회전시켜 가며 버섯을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 발이구멍의 직경을 약 5㎜로 하며, 발이구멍간의 간격을 약 10㎝로 하고 있으나 버섯의 종류나 배지 등 조건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이구멍의 형성시기는 발이유기시에 형성하여 줄 수도 있고 그 전에 형성시켜 줄 수도 있다. 백색라인이 형성된 흑색비닐의 자루에 배지를 수납하여 봉지하고 자루 전체에 고르게 접종하여 비닐 테이프 등으로 봉지하고 발이유기시 발이구멍을 형성하여 주면된다. 또는 배지가 수납된 흑색비닐에 미리 발이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한번 더 백색 비닐로 봉지하여 발이유기시에 바깥쪽 비닐을 제거하여 주면 된다.
이와 같은 자루를 이용하여 느타리버섯의 주기별 수량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먼저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의 발이구멍 직경에 따른 주기별 수량의 영향을 실험하였다. 여기서, 자루길이는 80㎝, 지름이 25㎝, 배지무게가 7㎏, 발이구멍간격이 10㎝이다.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의 발이구멍 직경에 따른 주기별 수량의 영향
발이구멍 직경(㎜) 주기별 수량(㎏/자루)
1 2 3 4 5 6
5 3.2 2.1 1.3 0.9 0.5 0.2 8.2
10 3.4 1.9 1.2 0.7 0.3 0.1 7.6
15 3.5 2.0 1.4 0.6 0.3 0 7.8
25 3.1 1.8 1.0 0.3 0.1 0 6.3
30 3.2 1.9 1.2 0.4 0.2 0 6.9
표 5에서와 같이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의 발이 구멍직경에 따른 주기별 수량을 조사한 결과, 흑색비닐에 발이 구멍직경이 5㎜일 경우 8.2㎏/자루로 가장 양호하였고 10,15㎜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25,30㎜도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발이구멍이 클수록 오히려 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배지의 노출부분이 많아질수록 배지가 건조하기 쉽고 발이수가 많아져 실제 자실체의 개체수가 되는 것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발이가 되어 영양소모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에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발이구멍 직경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여기서, 자루길이는 80㎝, 지름이 25㎝, 배지무게가 7㎏, 발이구멍간격이 10㎝이다.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발이구멍 직경에 따른 품질의 영향
발이구멍 직경(㎜) 갓색택 다발 자실체 크기(㎜)
초기 성숙기 발이경수 유효경수 개체중(g) 총길이 대길이 대직경 갓직경
5 진회색 회색 10.2 9.5 18.5 71 65 16 47×46
10 진회색 회색 14.7 8.7 14.2 65 62 14 45×43
15 진회색 회색 16.4 9.1 12.7 64 61 13 43×41
25 진회색 회색 21.5 8.2 13.1 61 56 13 42×40
30 진회색 회색 23.4 8.1 13.6 63 59 15 43×40
실험결과 표 6에서와 같이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발이구멍에 따른 갓색택은 모든 처리에 동일하게 초기는 진회색, 성숙기에는 회색을 띠었다. 발이구멍별 발이경수는 발이구멍이 클수록 많았고 반대로 유효경수는 오히려 발이구멍 직경이 작은 5㎜일 때 9.5개로 가장 많았으며 개체중도 18.5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자실체의 총길이, 대길이, 대직경, 갓직경 모두 발이구멍이 작을수록 더 길어지거나 커지는 경향이었다.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발이구멍의 간격에 따른 주기별 수량의 영향을 실험하였다. 여기서, 자루길이는 80㎝, 지름이 25㎝, 배지무게가 7㎏, 발이구멍 직경이 5㎜이다.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발이구멍의 간격에 따른 주기별 수량의 영향
발이구멍 간격(㎝) 주기별 수량(㎏/자루)
1 2 3 4 5 6
5 3.0 2.1 0.9 0.5 0.3 0.1 6.9
10 3.2 2.1 1.3 0.9 0.5 0.2 8.2
15 3.1 1.6 0.8 0.3 0.2 - 6.5
표 7에서와 같이 느타리버섯을 자루재배를 할 때 발이구멍의 간격을 5,10,15㎝로 하여 주기별 수량을 조사한 결과 10㎝간격으로 하였을 때 8.2㎏이 생산되어 가장 양호하였고, 5㎝, 15㎝ 순이었다. 발이구멍의 간격을 넓게 하면 1주기의 수량은 비슷하나 2주기부터 현저하게 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발이구멍의 간격에 따른 품질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여기서, 자루길이는 80㎝, 지름이 25㎝, 배지무게가 7㎏, 발이구멍 간격이 5㎜이다.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발이구멍의 간격에 따른 품질의 영향
발이구멍 간격(㎝) 갓색택 다발 자실체 크기(㎜)
초기 성숙기 발생경수 유효경수 개체중(g) 총길이 대길이 대직경 갓직경
5 진회색 회색 10.2 8.2 16.7 72 65 13 41×44
10 진회색 회색 10.2 9.1 17.2 69 61 15 45×43
15 진회색 회색 10.2 9.5 18.6 67 60 16 48×49
표 8에서와 같이 자루재배에 의한 느타리버섯 발이구멍의 간격에 따른 품질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갓색택은 초기에 진회색, 성숙기에 회색을 띠어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개체 발생의 경우도 10.2로 동일하였으나 유효경수와 개체중은 간격이 넓을수록 유효경수와 개체중이 많고 무거워지는 경향이었다. 자실체의 총길이와 대길이는 발이구멍 간격이 넓을수록 짧아지고 대직경과 갓직경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이구멍의 간격이 10㎝일때 가장 많은 수량과 우수한 품질의 버섯을 얻을 수 있었다.
멀칭의 유무에 따른 병해충의 발생정도를 실험하였다. 여기서, 발생정도의 0은 발생치 않은 상태이고, 1은 미세한 오염(1~5% 발명)이 발병된 상태이며, 2는 부분적 오염(5~10% 발명)이 발병된 상태이고, 3은 10%이상 발병을 나타낸다.
멀칭재배의 유무에 따른 병해충 발생정도
재배 방법별 병해충 발생정도
푸른곰팡이병 세균성갈반병 버섯파리
무멀칭 1 2 3
멀칭 0 0 0
표 9에서와 같이 무멀칭일 때는 배지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버섯파리가 심하였고, 버섯파리에 의한 포자의 전파로 푸른곰팡이병이 군데군데 발생하였으며 노출되어 있는 배지의 표면을 마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물주기를 하므로써 수매전염이 되는 세균성갈변병이 많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멀칭을 하였을 경우에 푸른곰팡이병이나 세균성갈변병 및 버섯파리의 발생되지 않았다. 여기에서 무멀칭일 경우에 비해 멀칭할 경우 병해충의 방제효과가 월등함을 알 수 있다. 멀칭 재배의 장점은 역시 병해충 발생을 비닐 멀칭에 의해 물리적으로 방제하는 효과가 있다는점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멀칭 재배 방법을 적용한 상자재배에서 버섯을 수확할 때 다음과 같은 수확도구를 이용하면 노동력을 절감하여 수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일반적인 재배상자와 본 발명에 따른 수확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확도구(30)는 일반적으로 상자 재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자(40)의 크기가 45×45㎝이고 높이가 9㎝일 경우에 그 상자(40)를 덮을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손잡이(33)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수확도구는 몸체(31)에 천(32)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서 천(32)에는 발이구멍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구멍(34)에 돌출되도록 하여 일정한 배열을 이루는 칼날(35)이 부착되어 있다.
버섯이 발이유기시 또는 그 전에 발이구멍과 수확도구의 구멍이 일치되도록 하여 수확도구를 배지가 담겨져 멀칭 처리된 상자를 덮는다. 버섯을 수확할 때 수확도구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구멍을 통하여 자란 버섯이 칼날에 의해 밑둥이 한꺼번에 잘려나가게 된다.
위 수확도구의 실시예로서 구멍의 일측에 칼날이 부착된 경우를 소개하고 있으나, 수확도구는 구멍의 양쪽에서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동작하는 가위의 형태를 갖는 것이나 링 형상의 칼날을 갖는 것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그에 이용되는 재배용기와 수확도구에 따르면, 종래의 버섯 재배 방법에서 얻을 수 없는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고품질의 버섯을 제고(提高)할 수 있다. 배지가 수납되어 멀칭된 상태이기 때문에 버섯이 발생할 부분을 제외하고 배지는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배지는 쉽게 건조되지 않아 가습이나 물주기 등의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푸른곰팡이병, 히이포크레아, 세균성갈변병, 버섯파리 등의 병충해의 물리적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버섯 재배사의 노동력이 절감될 수 있다.
둘째, 톱밥을 주재료로 하고 약간의 폐면이 혼합되어 고압살균의 무균과정을 거쳐 배양하기 때문에 병해충의 발생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셋째, 배지 수납 수단의 발이구멍이 버섯이 재배될 수 있는 최적의 간격과 직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버섯의 동시적 전면발생에 의한 발이버섯간의 경합으로 인한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주기별로 고르게 수확할 수 있다.
넷째, 재배된 버섯을 수확할 때 기계적으로 일시에 할 수 있어 수확의 생력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종균이 혼합된 배지를 봉지 또는 자루의 재배용기에 상기 배지가 봉지되도록 비닐로 멀칭처리하고 발이유기시소정의 간격으로 발이구멍을 형성하여 그 발이구멍을 통하여 버섯이 발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멀칭 재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은 백색라인이 형성된 흑색비닐이고, 상기 흑색비닐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발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멀칭 재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느타리버섯이고, 상기 발이구멍의 간격과 직경은 약 10㎝, 약 5㎜이며, 상기 배지는 포플러 톱밥과 면자각 및 미강이 65:20:15의 비율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멀칭 재배 방법.
  4. 배지가 수납되는 상자의 상부에 덮혀지며 발이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에 돌출되도록 하여 절단수단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도구.
KR1019990002416A 1999-01-26 1999-01-26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수확도구 KR10030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416A KR100306255B1 (ko) 1999-01-26 1999-01-26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수확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416A KR100306255B1 (ko) 1999-01-26 1999-01-26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수확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787A KR20000051787A (ko) 2000-08-16
KR100306255B1 true KR100306255B1 (ko) 2001-09-24

Family

ID=1957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416A KR100306255B1 (ko) 1999-01-26 1999-01-26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수확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9207A (zh) * 2011-04-18 2012-03-21 姜坤 黑塑料袋代用料地摆黑木耳栽培方法
KR101319655B1 (ko) * 2011-11-22 2013-10-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올자란 버섯 배지 용기
CN107624515A (zh) * 2017-10-24 2018-01-26 建瓯市元润塑料有限公司 黑木耳户外栽培菌袋及其制备与使用方法
CN108243845B (zh) * 2018-04-09 2023-06-09 嘉善宁远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双孢菇自动采摘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477U (ko) * 1997-09-26 1999-04-15 서기석 느타리버섯 재배용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477U (ko) * 1997-09-26 1999-04-15 서기석 느타리버섯 재배용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787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25023B (zh) 一种食用菌栽培基质及利用其的食用菌栽培方法
KR20080105001A (ko)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JP2012144507A (ja) 鹿角霊芝菌床を活用した難防除土壌病害予防堆肥とその製造方法。
Yamanaka Cultivation of mushrooms in plastic bottles and small bags
CN106818207A (zh) 一种金针菇的袋栽直生法
US5291685A (en) Intact seed-based delayed-release nutrient supplement for mushroom cultivation
Gea et al. Mushroom diseases and control
CN101637149A (zh) 具有杀昆虫和杀螨特性的捕食性螨类的生产方法
Satpal Effect of different substrates on the growth and yield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djamor)
KR100306255B1 (ko) 버섯 멀칭 재배 방법과 수확도구
CN103125266A (zh) 银耳短段木熟料层架栽培新方法
KR20030039402A (ko) 식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그 사료
KR20190040536A (ko) 표고버섯 및 그 재배방법
CN113016548A (zh) 一种食用菌烟草轮作方法
Maurya et al. Important Diseases and Pests of Mushroom
Maurya et al. Cultivation Techniques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
KR20080109466A (ko) 느타리버섯 재배용 침공 멀칭비닐백 및 이를 이용한버섯재배방법
KR101634857B1 (ko)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CN107593266A (zh) 天麻萌发菌培育方法
JP2997442B2 (ja) 羽化前甲虫の飼育床および飼育方法
CN112931046A (zh) 一种袋栽香菇培养料配方
JP2000069845A (ja) キノコの子実体を容器で栽培する方法
Mizuno Cultivation of the medicinal mushroom royal sun agaricus—Agaricus blazei Murr.(Agaricomycetideae)
KR920006706B1 (ko) 낙면을 주제로 한 배지를 이용하여 느타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
Bhandaria et al. Benefit-cost ratio analysis of pleurotus mushroom cultivation using dif-ferent substrates in campus of live sciences, Dang, Nep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