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498B1 -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 Google Patents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498B1
KR100305498B1 KR1019980031948A KR19980031948A KR100305498B1 KR 100305498 B1 KR100305498 B1 KR 100305498B1 KR 1019980031948 A KR1019980031948 A KR 1019980031948A KR 19980031948 A KR19980031948 A KR 19980031948A KR 100305498 B1 KR100305498 B1 KR 100305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binding
substrate
gree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218A (ko
Inventor
신영식
Original Assignee
신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식 filed Critical 신영식
Priority to KR101998003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49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9/00Equipment for binding harvested produce
    • A01D59/02Pac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01D61/002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transversal conve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5/00Arrangements for making or setting stacks
    • A01D85/001Arrangements for making or setting stacks making or setting stacks of cereals or grass, e.g. rack formers, fixed haystacks
    • A01D85/002Arrangements for making or setting stacks making or setting stacks of cereals or grass, e.g. rack formers, fixed haystacks with binding equipment, e.g. binding groups of b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채소나 야채등의 푸성귀를 일정양씩 묶음으로 단을 지을 때 작업자가 일정량의 푸성귀를 묶음단위로 장치의 이동 받침대상에 재치시키는 것만으로 장치가 작동되면서 결속끈에 의해 묶음형태로 단을 짓도록 함으로써 푸성귀를 일정량씩 묶어 단 짓는 작업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커버가 힌지회동가능하게 기판상에 설치되는 본체의 일측에는, 결속끈이 인입되는 한쌍의 인입 로울러로 되는 인입부와; 일측에 결속끈 가이드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측에는 고정 커터를, 하부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이동커터를 설치한 커팅부와; 부착구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편과, 이 받침편을 밀어 절첩시키면서 하강되며 뒤쪽으로 누름편을 설치한 밀판과, 이 밀판상부에 베이스양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묶음구와, 연결바와 연결되어 상기 밀판을 하강시키는 지지봉과, 연결바와 연결되어 묶음구를 회동시키는 작동봉을 각각 고정구내에서 승하강 작동되게 한 묶음부와; 상기 연결바와 접촉되는 제1편심캠과, 연결바와 접촉되는 제2편심캠으로 되어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와; 상기 기판상에는 이동받침이 설치되는 안내레일을 설치하고, 벨트에 의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와 일체로 되는 구동축과 함께 기판 외면으로 자력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노출된 상태에서 회전시에는 가이드편에 의해 오므려져 회전되도록 한 결속자로 되는 결속부로 구성된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이다.
[색인어]
푸성귀, 단, 결속끈, 묶음장치

Description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본 발명은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채소나 야채등의 푸성귀를 일정양씩 묶음으로 단을 지을 때 작업자가 일정량의 푸성귀를 묶음단위로 장치의 이동받침대상에 재치시키는 것만으로 장치가 작동되면서 결속끈에 의해 묶음형태로 단을 짓도록 함으로써 푸성귀를 일정량씩 묶어 단 짓는 작업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래들어 계절에 관계없이 농가에서는 사시사철 다양한 종류의 푸성귀를 재배하여 다량 출하하고 있는 실정인바, 이와같이 출하되는 많은종류와 많은양의 푸성귀를 종류별로 일정량씩 묶어 운반 이송출하하기 위해서는 출하되는 푸성귀를 묶음단위로 단을 지어 포장하여야만 효율적인 운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지금까지는 이와같이 농가에서 재배된 푸성귀를 종류별로 일정 묶음씩 단을 짓는 작업을 모두 작업자가 일일이 결속끈을 이용하여 손으로 묶어 단을 지어야하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어서 푸성귀에 대한 단짓는 작업 공수(工手)가 많이 소요되는데 따른 푸성귀 가격의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 처리속도 또한 매우 더디므로 그 만큼 푸성귀의 신선도가 떨어져 상품가치가 하락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이 푸성귀를 결속끈을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일정양씩 묶음 단위로 단을 지어야 하는 종래 푸성귀의 단 묶음방식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품으로서 출하되기 위한 푸성귀를 일정량의 묶음단위로 장치의 이동받침대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단을 짓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대량의 푸성귀를 종류별로 일정량씩 묶음단위로 단을 지을 수 있게 하여 푸성귀를 항상 신선한 상태로 신속하게 출하 및 운반 할 수 있도록 한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묶음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측 커버를 연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타측 커버를 연상태의 배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6(a),(b)도는 본 발명의 묶음장치에 설치사용되는 단 받침대의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결속부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단묶음된 푸성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기판
3 : 결속끈 4 : 인입부
5 : 커팅부 6 : 묶음부
7 : 작동부 8 : 결속부
9, 9′ : 이동받침 41, 42 : 인입로울러
43 : 스프링 44 : 승강바
45 : 결속끈가이드 51 : 이동커터
52 : 솔레노이드 53 : 고정커터
61 : 부착구 62 : 받침편
63 : 고정구 64 : 지지봉
65 : 밀판 66 : 작동봉
67 : 역U자형묶음구 67a : 베이스
71 : 제1편심캠 72 : 제2편심캠
73, 74 : 연결바 81 : 결속자
82 : 벨트 83 : 구동체
84 : 구동축 86 : 가이드편
87 : 작동봉 88 : 승강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 장치는, 일측에 본체가 설치되는 기판에는 작동봉에 의해 승하강됨과 동시에 결속자가 회전되도록 한 결속부를 설치하고 그 양측으로는 별도의 이동받침이 얹혀져 안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결속끈이 인입되는 한쌍의 인입로울러로 되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로부터 가이드를 타고 인입되는 결속끈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순간 작동되도록 한 이동커터와 고정커터로 되는 커팅부와, 상기 절단된 결속끈을 하강시켜 단 형태로 오므려 결속하기 위해 밀판과 묶음구로 되는 묶음부와, 상기 묶음부를 순차 하강시키기 위해 묶음부 상단에 접촉되는 연결바와, 이 연결바에 힘을 부여하기 위한 편심캠으로 되는 작동부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의 일측커버를 연 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 장치의 타측커버를 연 상태의 배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의 요부 측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의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의 요부평면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에 설치 사용되는 단받침대의 사시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의 결속부의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본체(1), 기판(2), 인입부(4), 커팅부(5), 묶음부(6) 및 작동부(7)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체(1)는 기판(2)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커버(11)가 개폐 가능하게 힌지 설치된다.
상기 본체(1)의 상기 커버(11) 대향측면에는 각각 인입부(4)와 커팅부(5)와, 묶음부(6) 및 작동부(7)를 각각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인입부(4)는 스프링(43)에 의해 인장상태로 설치되는 승강바(4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 인입로울러(41)와 별도의 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되는 하부 인입로울러(42)로 구성되며, 상기 커팅부(5)는 결속끈가이드(45)를 통해 유입되는 결속끈(3)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솔레노이드(52) 작동에 의해 순간 작동되는 이동커버(51)와 고정커터(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묶음부(6)는 일정길이로 절단된 상태의 결속끈(3)을 재치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본체(1)에 설치된 부착구(61)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편(62)과, 상기 받침편(62)을 밀어 누르면서 그 하면에 결속끈(3)을 부착 시킨채 하강되도록 본체(1)에 부착된 고정구(63)내에 승하강가능하게 끼워진 지지봉(64) 하단에 고정되는 밀판(65)과, 상기 고정구(63)내에 승하강 가능하게 끼워진 또다른 작동봉(66)의 승하강동작 및 이 작동봉(66) 하단 양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밀대(66a)에 연결되어 밀판(65)상에서 베이스(67a)의 양단을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2개의 역 ‘U’자형 묶음구(67)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봉(64)과 작동봉(66)의 선단은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동축으로 피봇 설치되는 묶음부(7)의 연결바(73)(74)에 그 선단이 롤접촉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밀판(65)의 저면에는 다수의 자석을 매설하여 작동부(6)의 하강시 받침편(62)상의 결속끈(3)을 밀판(65) 저면에 자연스럽게 부착시킨 상태로 하강시켜 묶고자 하는 푸성귀묶음(V) 상면을 자연스럽게 누르면서 결속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작동부(7)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1편심캠(71)과 제2편심캠(72)으로 구성되어, 제1편심캠(71)은 상기 묶음부(6)의 지지봉(64)과 연결된 연결바(73) 상측에 설치되는 접촉구(73a)와 접촉되게 하고 제2편심캠(72)은 상기 묶음부(6)의 작동봉(66)과 연결된 연결바(74) 상측에 설치되는 접촉구(74a)와 접촉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부(8)는 기판(2)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85)와 벨트(82)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으로, 구동체(83)와 일체로 설치된 채 기판(2)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84) 상단에는 자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결속자(8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결속자(81) 양측으로는 가이드편(86)를 직립설치하며 상기 구동체(83)는, 일단이 기판(2) 하측에 설치되고 타단은 승강봉(88)에 설치된 작동봉(87)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봉(88)은, 타단이 상기 묶음부(6)의 밀판(65) 상단에 연결고정된 누름편(68)에 의해 눌려 하강하거나 또는 그 외면에 설치된 스프링(88a)에 의해 상승복귀하도록 함으로써, 구동체(83)가 하강하면 결속자(81)가 가이드편(86)에 의해 오므려지면서 회전하여 결속끈(3)을 물고서 트위스트 결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의 실시 작동상태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A)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9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단묶음된 푸성귀(V)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이동받침(9)을 상기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A)를 이루는 기판(2)상에 설치된 안내레일(21)에 좌우 이동가능한 상태로 장치외측에 설치한 후 이동받침(9)상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대략 반원형의 푸성귀 받침(91)상에 일정량씩 묶음상태로 단을 짓기 위한 적정량의 푸성귀(V)를 양손으로 움켜쥐고서 묶음부분, 즉 단을 짓고자 하는 부분을 올려 놓고서, 그대로 이동받침(9)을 기판(2)상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동받침(9)은 기판(2)상의 안내레일(21)을 타고 끈 묶음장치(A)의 내측(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리미트스위치(도시생략)를 터치하면서 끈 묶음장치(A)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끈 묶음장치(A)가 구동하기 시작하면, 장치(A) 일측에 자유롭게 풀리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철제심선이 매설된 결속끈(3)은 인입부(4)의 양 인입로울러(41)(42)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 인입로울러(42)의 구동에 의해 결속끈 가이드(5)를 거쳐 묶음부(6)의 받침편(62) 끝단까지 공급되고 이어서 커팅부(5)의 고정커터(53)에 대한 이동커터(51)의 순간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결속끈(3)은 일정길이, 즉 푸성귀를 묶기에 충분한 길이로 절단된 상태로 받침편(62)상에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부(7)의 제1 및 제2 편심캠(71)(72)이 회전되게 되는데 이때 제1편심캠(71)은 편심회전하면서 묶음부(6)의 지지봉(64) 상단과 접촉된 연결바(73)상에 설치된 접촉구(73a)를 누르게 됨에 따라 연결바(73)는 그대로 하강하면서 묶음부(6)의 지지봉(64)이 그대로 눌려 먼저 하강하면서 이 지지봉(64) 하부에 고정된 밀판(65)이 일차 하강하게 됨에 따라 이 밀판(65) 하면에 설치된 다수의 자석에 의해 결속끈(3)은 밀판(65) 하면에 부착된 채 밀판(65)과 함께 하강하면서 이동받침(9)의 푸성귀받침(91)상에 올려놓여진 푸성귀(V)의 단묶음할 부분을 밀판(65)이 살며시 누름과 동시에 결속끈(3)은 푸성귀(V)의 단묶음할 부분상에 얹혀진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제1편심캠(71)의 작동에 의해 밀판(65)이 푸성귀(V)의 단묶음할 부분을 살며시 누르고 그 위에 결속끈(3)을 위치시킨 상태로 결속부(6)의 1차 하강이 끝나면, 작동부(7)의 제2편심캠(72)의 회전에 의해 또 다른 연결바(74)상에 설치된 접촉구(74a)를 누르게 됨에 따라 연결바(74)가 하강하게 되고 이와 접촉된 작동봉(66)이 하강하면서 그 하단의 양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밀대(66a)로 하여금 그 양측에 힌지 설치된 2 개의 역‘U’자형 묶음구(67)를 동시에 밀게 됨에 따라 이 역‘U’자형 묶음구(67)는 베이스(67a)의 양단을 축으로 하여 안쪽으로 회동하면서 밀판(65)하면에 설치된 다수의 자석에 의해 밀판(65)하면에 부착되어 있던 결속끈(3)을 그대로 안쪽으로 감싸 오므리면서 이동받침(9)의 푸성귀받침(91)상에 일정량 묶음상태로 얹혀져 있는 푸성귀(V)의 바깥둘레면에 결속끈(3)을 그대로 감아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밀판(65)이 하강하게 됨에 따라 밀판(65) 상부 일측에 설치된 누름편(68)도 함께 하강하게 되면서, 결속부(8)와 구동체(83)하단이 연결된 작동봉(87)에 설치된 승강봉(88)을 누르게 됨에 따라 결속부(8)의 결속자(81)가 순간적으로 하강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이 회전되는 결속자(81)로 하여금 푸성귀(V)를 감아 밀착시킨 상태인 결속끈(3)의 양끝단을 물고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결속끈(3)의 양끝단은 트위스트 결속되게 되어 이동받침(9)상에 놓여진 일정량의 푸성귀(V)에 대한 결속작업은 모두 마쳐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동받침(9)의 푸성귀받침(91)상에 놓여진 푸성귀(V)의 묶음부상으로 밀판(65)이 하강되고 결속끈(3)이 위치됨과 동시에 결속부(8)의 구동체(83)가 하강하게 됨에 따라 이와 일체로 연결된 구동축(84) 선단에 설치된 결속자(81) 역시 약간 하강하면서 동시에 회전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결속자(81)는 그 양측에 각각 대향설치된 가이드편(86)에 의해 각각 오므려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결속자(81)의 펼쳐진 위치에 도달된 결속끈(3)의 양단을 협지한채 회전하여 결속끈(3)으로서 푸성귀(V)를 단묶음상태로 트위스트 결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푸성귀(V)에 대한 일련의 단묶음공정이 마무리됨과 동시에 상기 하강되었던 구동체(83)는, 승강봉(88)외면에 설치된 스프링(88a)의 탄발력에 의해 승강봉(88)이 본래 위치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 작동봉(87)이 함께 상승되면서 구동체(83) 및 결속자(81) 역시 본래 위치로 상승되면서 다시 초기의 단묶음작업의 대기상태로 돌입하게 된다.
이와함께 푸성귀(V) 외면에 결속끈(3)을 감아 단을 짓기 위해 하강되었던 밀판(65)과 양 반원형묶음구(67)는, 작동봉(66)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봉의 스프링(63a)의 탄발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본래의 위치로 상승하게 되어 역시 다음 단묶음작업의 준비상태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선별된 출하예정의 푸성귀(V)를 일정량씩 단묶음형태로 끈 묶음장치(A)의 이동받침(9)상에 올려 놓고서 장치(A)를 작동시켜 묶음부(6)가 하강되면서 묶음단위로 단을 짓는 일련의 동작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재배된 푸성귀를 일정량의 묶음단위로 단을 지어 제품으로서 출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일련의 동작은 본체(1)내부에 설치되는 공지구성의 콘트롤부에 의해 적당한 시차를 두고 연동되게 함으로써 소기의 목적달성을 위한 원할한 기계적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 본체(1)에 대한 커팅부(5)의 위치, 받침편(62)의 길이 및 양 역‘U’자형 묶음구(67)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해 푸성귀(V)에 대한 단묶음양을 증감하여 단을 지을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작동부(7)의 편심캠(71)(72)의 편심회전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묶음부(6)의 단 묶음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판(2)상에 설치된 안내레일(2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받침(9)을 구성함에 있어, 파와같이 뿌리부분에 일정크기의 살이 있는 푸성귀(V)를 보다 용이하게 단묶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설명한 이동받침(9) 대신에 푸성귀받침(91) 일측에 낮은 단턱(92)을 형성한 또다른 이동받침(9′)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안내레일(21)중 일측의 안내레일(21′)의 설치높이를 일정길이 낮추어 설치함으로써 단이 형성된 이동받침(9′)을 아무 무리없이 사용할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끈 묶음장치에 의하면, 단 묶음할 일정량의 푸성귀를 간단한 기계적 작동만으로 일정량씩 결속끈으로서 묶음상태로 안정적으로 단을 지어 제품으로서 출하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배 완료된 푸성귀에 대한 묶음처리가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출하되는 푸성귀에 대한 신선도를 좋게 유지한 상태로 운반, 이송가능하게 되어 신선한 야채나 채소등 양질의 푸성귀를 염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커버(11)가 힌지회동가능하게 기판(2)상에 설치되는 본체(1)의 일측에는, 결속끈(3)이 인입되는 한쌍의 인입로울러(41)(42)로 되는 인입부(4)와; 일측에 결속끈 가이드(45)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측에는 고정커터(53)를, 하부에는 솔레노이드(52)에 의해 작동되는 이동커터(51)를 설치한 커팅부(5)와; 부착구(61)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편(62)과, 이 받침편(62)을 밀어 절첩시키면서 하강되며 뒤쪽으로 누름편(68)을 설치한 밀판(65)과, 이 밀판(65) 상부에 베이스(67a) 양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묶음구(67)와, 연결바(73)와 연결되어 상기 밀판(65)을 하강시키는 지지봉(64)과, 연결바(74)와 연결되어 묶음구(67)를 회동시키는 작동봉(66)을 각각 고정구(63)내에서 승하강 작동되게 한 묶음부(6)와; 상기 연결바(73)와 접촉되는 제1편심캠(71)과, 연결바(74)와 접촉되는 제2편심캠(72)으로 되어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7)와; 상기 기판(2)상에는 이동받침(9)(9′)이 설치되는 안내레일(21)(21′)을 설치하고, 벨트(82)에 의해 구동모터(85)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83)와 일체로 되는 구동축(84)과 함께 기판(2) 외면으로 자력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노출된 상태에서 회전시에는 가이드편(86)에 의해 오므려져 회전되도록 한 결속자(81)로 되는 결속부(8)와;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8)의 구동체(83) 하단을 일단이 기판(2) 하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승강봉(88)에 연결설치된 작동봉(87) 도중에 연결설치하여, 승강봉(88)의 상단이 상기 누름편(68)의 하강동작에 의해 눌리면서 결속자(81)가 순간 하강토록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상에 설치되는 안내레일(21)(21′)중 일측의 안내레일(21′)은 그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일측에 단턱(91)을 형성한 이동받침(9′)을 선택적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KR1019980031948A 1998-08-06 1998-08-06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KR100305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948A KR100305498B1 (ko) 1998-08-06 1998-08-06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948A KR100305498B1 (ko) 1998-08-06 1998-08-06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218A KR20000013218A (ko) 2000-03-06
KR100305498B1 true KR100305498B1 (ko) 2001-11-22

Family

ID=1954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948A KR100305498B1 (ko) 1998-08-06 1998-08-06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619B1 (ko) * 2015-03-02 2018-03-29 신영식 농산물 결속기
KR20220107735A (ko) 2021-01-26 2022-08-02 신영식 농산물 스트링 바인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619B1 (ko) * 2015-03-02 2018-03-29 신영식 농산물 결속기
KR20220107735A (ko) 2021-01-26 2022-08-02 신영식 농산물 스트링 바인더
KR102553351B1 (ko) * 2021-01-26 2023-07-06 신영식 농산물 스트링 바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218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0002B1 (en) A device for bundling flowers
KR100305498B1 (ko) 푸성귀의 단 결속용 자동 끈 묶음장치
JP2005508649A (ja) 花束をアレンジするための装置
KR100820957B1 (ko) 야채류 자동 바인딩 장치
KR100202835B1 (ko) 푸성귀 자동 단 묶음장치
CN114194460B (zh) 一种用于电缆电线的捆扎机及其捆扎方法
CN111758477B (zh) 一种水果种植葡萄枝蔓捆绑装置
CN215399515U (zh) 一种绕线扎线成捆一体机
KR200268684Y1 (ko) 트윈스프링 제본기
CN105170841B (zh) 一种u型线成型装置
CN205110616U (zh) 一种u型线成型装置
JP3445127B2 (ja) 花束等の調製結束装置
US2770183A (en) Tying machine
CN218431902U (zh) 一种捆绑高度可调节的纸箱自动捆绑机
JP2644394B2 (ja) 汎用結束機
KR102553351B1 (ko) 농산물 스트링 바인더
CN218404821U (zh) 一种拉链切断机
CN112772152B (zh) 一种木柴整合捆绑机
JP2740139B2 (ja) タオル類梱包機
CN2122696U (zh) 便携式手动金属线绕线器
GB2332615A (en) Method and machine for trussing slaughtered fowl
JP2609005B2 (ja) 汎用結束機
JPH0130042Y2 (ko)
JP2644392B2 (ja) 汎用結束機
JPS6059945A (ja) コイル巻線装置におけるリ−ド線の保持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